KR200330568Y1 -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568Y1
KR200330568Y1 KR20-2003-0023454U KR20030023454U KR200330568Y1 KR 200330568 Y1 KR200330568 Y1 KR 200330568Y1 KR 20030023454 U KR20030023454 U KR 20030023454U KR 200330568 Y1 KR200330568 Y1 KR 200330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trunk
vehic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이정현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최준혁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20-2003-0023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2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05B81/60Control of actuators using pulse control, e.g. pulse-width mod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운전자들이 차량 내에 여러 가지 중요한 물품을 싣고 다니는 예가 많아짐에 따라 차량에서의 귀중품 도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잠금장치는 열쇠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복제가 용이하고, 또한 차량의 유리창 사이로 긴 막대를 넣어 도어를 쉽게 여는 등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방안이 부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는 트렁크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부호화하여 RF 신호로 송출하는 RF 송신수단; 상기 RF 신호를 수신 및 증폭하여 복호화 한 후 복호화 된 코드를 기 설정된 코드와 비교하고 그 일치여부에 따라 일치신호를 출력하는 RF 수신부; 상기 트렁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상기 개폐 감지부의 감지신호와 상기 RF 수신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트렁크에 대한 잠금 또는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잠금부의 동작여부를 알려주는 음성신호 발생부;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초기회시키는 리셋부;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져 차량 트렁크의 잠금 상태를 금고와 같이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Auxiliary Locking system of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RF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어 차량의 내부에 있는 물건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는 개인생활 뿐만 아니라 회사업무에도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그에 따라 운전자들은 차량 내에 여러 가지 물품을 싣고 다니는 예가 많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결과 차량에 적재되어 있는 귀중품에 대한 도난 사고 또한 빈번해지게 되었는데 이러한 도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일부 고급 승용차의 경우에는 운전석 옆에 조그마한 금고를 비치하여 귀중품을 넣어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골프채와 같이 값이 비싸지만 부피가 큰 물건들은 이처럼 차량 내에 보관하지 못하고 트렁크에 넣고 다녀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 도어 또는 트렁크는 열쇠구멍이 노출되어 있어 전문 절도범들은 짧은 시간 안에 트렁크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운전석 옆에는 트렁크를 개방시킬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차량의 도어만 열면 누구든 트렁크를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트렁크가 도난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방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여 차량내부에 들어있는 물건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는 잠금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리셋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RF 송신수단 102 : RF 부호화부
104 : RF 증폭부 106 : RF 송신부
200 : 트렁크 개폐수단 210 : RF 수신부
220 : 전원부 222 : 차량용 배터리
224 : 전원공급부 226 : 백업용 배터리
230 : 개폐 감지부 240 : 모터 구동부
250 : 잠금부 251 : 스텝 모터
252 : 잠금키 253 : 잠금고리
260 : 음성신호 출력부 270 : 제어부
280 : 리셋부 282 : 코드조합부
284 : 래치부 286 : 리셋신호출력부
288 : RC미분회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는 트렁크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부호화하여 RF 신호로 송출하는 RF 송신수단; 상기 RF 신호를 수신 및 증폭하여 복호화 한 후 복호화 된 코드를 기 설정된 코드와 비교하고 그 일치여부에 따라 일치신호를 출력하는 RF 수신부; 상기 트렁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상기 개폐 감지부의 감지신호와 상기 RF 수신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트렁크에 대한 잠금 또는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잠금부의 동작여부를 알려주는 음성신호 발생부;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초기회시키는 리셋부;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는 크게 운전자가 소지하는 무선 리모콘인 RF 송신수단(100)과 차량에 설치되어 RF 송신수단(100)의 RF 신호에 따라 트렁크 리드를 개폐시키는 트렁크 개폐수단(20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RF 송신수단(100)은 RF 부호부(102), RF 증폭부(104) 및 RF 송신부(106)를 구비한다.
RF 부호부(102)는 RF 송신수단(100)의 외부에 구비된 버튼의 눌림을 감지하여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3진법의 코드로 부호화하여 RF 신호로 출력한다. 이러한 코드는 운전자가 하나의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 때 RF 부호부(102)에서는 예를 들어 3의 12승 정도의 복잡한 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비밀번호나 출력신호가 용이하게 복제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RF 증폭부(104)는 RF 부호부(102)의 출력을 증폭하고, RF 송신부(106)는 증폭된 RF 신호를 특정 주파수로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이때, 사용되는 주파수는 그 주파수 대역이 다른 기기와 중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RF 송신수단(100)은 휴대전화와 같은 기존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트렁크 개폐수단(200)은 RF 수신부(210), 전원부(220), 개폐 감지부(230), 모터구동부(240), 잠금부(250), 음성신호 출력부(260), 제어부(270) 및 리셋부(280)를 구비한다.
RF 수신부(210)는 RF 송신수단(100)으로부터의 RF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복호화 한 후, 복호화 된 3진법의 코드가 기 설정된 고유의 코드값(비밀번호)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후, 두 값이 일치하는 경우 일치신호(VT)와 데이터신호(D)를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상기 RF 수신부(210)는 RF 신호를 수신 및 증폭하는 RF 수신증폭부(212), 기 설정된 고유의 코드값을 저장하는 어드레스 패턴부(214) 및 증폭된 RF 신호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코드를 어드레스 패턴부(214)의 코드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치신호(VT)와 데이터신호(D)를 제어부(270)로 출력하는 RF 복호부(216)를 구비한다.
전원부(220)는 트렁크 개폐수단(2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차량용 배터리(222) 및 차량용 배터리(22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트렁크 개폐수단(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4) 그리고 백업용 배터리(226)를 구비한다. 여기서 백업용 배터리(226)는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되어 동작이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전원부의 차량용 배터리(222) 대신 트렁크 개폐수단(2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용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차량용 배터리를 전원공급부(224)로 사용하는 것이 정기적인 배터리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다.
개폐 감지부(230)는 트렁크의 문이 닫혀져 있는지 열려져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리미트 스위치, 자기센서 또는 이와 동등한 기능을 가진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개폐 감지부(230)는 센서의 감지결과를 제어부(270)로 전송된다.
모터구동부(240)는 제어부(2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텝모터의 회전에 의해 잠금부(250) 내의 잠금키(25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트렁크 리드를개폐시킨다. 본 고안에서는 잠금부를 스텝 모터(251)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것만을 예로 들고 있으나, 스텝모터 이외의 소형모터나 전자석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잠금부(250)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된 홈부(302)에 삽입되어 트렁크를 잠그는 잠금키(252)와 상기 잠금키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텝모터(251)를 구비한다.
도 2는 잠금부(25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조도로서, 도 2a는 스텝 모터(251)의 회전에 의해 잠금키(252)가 잠긴 상태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열린 상태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c는 도 2b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실제 차량에서 잠금부(250)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로, 본 고안에 따른 잠금부(250)는 도3과 같이 차량의 미등이 설치된 부분의 안쪽 공간(30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잠금고리(253)가 삽입되는 홈부(302)는 트렁크 리드의 잠금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의 잠금부는 차량의 양쪽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잠금부(250)는 스텝모터(251)와 스텝모터의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여 트렁크를 개폐하는 잠금키(252), 트렁크 내부에서 수동으로 잠금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수동회전레버(254), 잠금키(252)가 정해진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255),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 입설된 가이드핀(256), 전방 걸림돌기(257), 후방 걸림돌기(258)를 구비하며, 상기 스텝모터(251)의 회전축 종단에는 스텝모터의 회전운동을 잠금키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캠부(259)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잠금고리(252)는 두개를 구비할 수도 있고,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스텝모터의 회전운동을 잠금키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적인 구성은 스텝모터의 회전축 종단에 캠부(259) 대신에 원형의 톱니바퀴(미도시)를 설치하고, 걸림돌기(257, 258) 대신에 직선의 톱니바퀴(미도시)를 부착하여 두 톱니바퀴가 서로 맞물리게 하는 구조로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질 수가 있다.
한편, 음성신호 출력부(260)는 RF 송신수단(100)을 통한 운전자의 제어명령이 도어 또는 트렁크 개폐수단(200)에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음성신호로서 알려준다. 즉, 제어부(270)는 RF 복호부(216)로부터 일치신호가 인가되면 잠금부(250)을 구동시킨 후 개폐 감지부(230)의 신호를 확인하여 음성신호 출력부(260)를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이때, 트렁크가 잠길 때와 열릴 때 서로 다른 소리(예컨대, 잠길 때는 "트렁크가 잠겼습니다", 열릴 때는 "트렁크가 열렸습니다")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70)는 잠금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RF 수신부(210)로부터 일치신호가 수신되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 구동부(240)로 출력하고, 개폐 감지부(230)로부터의 신호를 확인하여 음성신호 출력부(260)를 통해 트렁크 개폐 사실을 음성신호로서 알려준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개폐 감지부(230)를 통해 트렁크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트렁크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RF 수신부(210)로부터 신호가 없으면 자동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잠금부(250)로 트렁크를 잠그고, 트렁크가 정상적으로 닫혀있지 않은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면 음성신호 출력부(260)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필요에 따라서는 운전자가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원래의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만을 이용하고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잠금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보조 잠금장치의 소정 부분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잠금장치 사용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어부(270)는 전원공급부(22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되는데, 리셋부(280)는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270)의 기능을 초기화하거나, 제어부가 동작중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그 기능을 초기화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는 외부에 키가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물리적으로 트렁크 리드를 개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RF 송신수단에서 제어부를 리셋하기 위한 신호를 강제적으로 송신할 수 있어야 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리셋부(28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리셋부(280)는 코드조합부(282), 래치부(284), 리셋신호출력부(286) 및 RC미분회로부(288)를 구비한다.
코드조합부(282)는 RF 복호부(216)에서 출력되는 3 비트 데이터 코드(D0 ∼ D2)를 캡쳐링하여 논리연산한다. 상기 코드조합부(282)는 3 비트 데이터 코드(D0 ∼ D2)를 각각 반전 출력하는 인버터(IV1 ∼ IV3), 데이터 코드(D1)와 인버터(IV1, IV3)의 출력신호를 낸드연산하는 낸드게이트(ND1), 및 데이터 코드(D0)와 인버터(IV2, IV3)의 출력신호를 낸드연산하는 낸드게이트(ND2)를 구비한다.
래치부(284)는 낸드게이트(ND1, ND2)에서 출력된 첫 번째 신호를 각각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두 개의 D 플립플롭(D F/F) 및 제어부(270)의 클리어 명령을 플립플롭(D F/F)의 클리어 단자(CLR)로 인가하는 인버터(IV4)를 구비한다.
리셋신호출력부(286)는 래치부(284)의 출력신호와 코드조합부(282)의 출력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제어부(270)로 리셋신호(RST)를 출력한다. 상기 리셋신호출력부(286)는 래치부(284)의 두 개의 D 플립플롭(D F/F)의 출력을 낸드 연산하는 낸드게이트(ND3),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IV5),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IV6) 및 인버터(IV5, IV6)의 출력신호를 낸드 연산하여 리셋신호(RST)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ND4)를 구비한다.
한편, RC 미분회로부(288)는 전원을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한 경우에 제어부(270)를 초기화하기 위한 회로로, 전원전압(VCC)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캐패시터(C1)과 저항(R1)을 구비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트렁크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RF 송신수단(100)의 특정 버튼을 누르면 RF 부호부(102)는 3진법의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신호는 RF 증폭부(104)에서 증폭된 후 RF 송신부(안테나)(106)를 통해 특정 주파수를 갖는 RF 신호로 송출된다.
RF 수신증폭부(212)는 RF 송신부(106)의 출력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RF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증폭해서 RF 복호부(216)로 출력한다. RF 복호부(216)는 증폭된 RF 신호를 3진법의 코드(어드레스 패턴)로 복호화 한 후, 이 신호가 정당한 운전자가 트렁크를 열기 위해 보낸 신호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복호화 된 코드(어드레스)를 어드레스 패턴부(214)의 코드(어드레스)와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두 코드가 일치하면 RF 복호부(216)는 일치신호(VT)와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일치신호(VT)를 인가받은 제어부(270)는 트렁크 잠김 또는 잠김 해제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 구동부(240)로 출력하고 개폐 감지부(230)로부터의 신호를 확인한 후 음성신호 출력부(270)를 통해 잠김 또는 잠김 해제를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이때, 제어부(270)는 현재 트렁크의 잠김 상태에 따라 스텝 모터의 회전방향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270)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모터구동신호가 잠김 신호였는지 아니면 잠김 해제 신호였는지를기억하고 있다가 일치신호가 인가되면 이와 반대의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물론, 처음부터 RF 송신수단(100)에서 잠김 신호와 잠김 해제 신호를 구분하여 송신하고, RF 복호부(216)에서 이를 구분하여 제어부(270)로 인가하면, 제어부(270)에서 이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모터 구동부(240)가 일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스텝 모터(251)를 회전시키면, 이 회전운동이 캠부(259)에 의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며 이로써 잠금키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트렁크를 잠그거나 잠김 상태를 해제한다.
물론 기어식을 이용한 경우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기어(미도시)의 회전이 직선기어(미도시)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고 그 결과 잠금고리가 움직여 트렁크를 잠그거나 잠김 상태를 해제한다.
제어부(270)는 운전자의 실수로 RF 송신수단(100)의 키가 눌려 잠김이 해제되거나 운전자가 트렁크를 닫은 상태에서 RF 송신수단(100)을 통해 트렁크 잠김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않는 경우, 이러한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면 자동으로 모터구동신호를 발생시켜 트렁크가 잠기도록 한다. 즉, 제어부(270)는 개폐 감지부(230)의 감지신호를 통해 트렁크의 문은 제대로 닫혀져 있는데 현재의 상태가 잠김 해제 상태로 되어 있으면 일정 시간을 카운팅하고, 해당 시간동안 운전자의 조치가 없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모터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잠금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270)의 구동 프로그램은 예기치 않은 이유로 인하여 이상이 발생하여 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이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외부에서 물리적으로 보조 잠금장치를 개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부(270)를 초기화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RF 송신수단(100)을 이용하여 제어부를 강제 리셋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는 RF 송신수단(100)에 구비되어 있는 특정 버튼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RF 부호부(102)는 버튼의 눌림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코드를 3진법의 코드로 부호화하여 RF 증폭부(104) 및 RF 송신부(106)를 통해 트렁크 개폐수단(200)으로 송출한다.
그런데 이때는 제어부(270)가 RF 송신수단(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인식할 수 없는 상태에 있으므로 제어부(270)로 전송되는 3 비트 데이터 코드는 리셋부(280)에 의하여 캡쳐링되고, 캡쳐링된 3 비트 데이터 코드는 D 플립플롭(D F/F)에 일시저장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계속하여 또 다른 특정버튼을 누르게 되면 위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리셋부에는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 입력신호는 바로 전단계에서 입력되어 D 플립플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논리 조합되어 최종적으로 리셋신호(RST)를 발생하게 된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리셋신호(RST)에 의해 프로그램이 초기화된 후 다시 정상적인 동작이 수행되게 되면, 제어부(270)는 운전자가 리셋을 위해 버튼을 누르는 경우 이외에는 다시 리셋신호(RST)가 발생되지 못하도록 일정주기로 D 플립플롭(D F/F)에 래치된 데이터를 클리어시킨다. 따라서 리셋신호(RST)에 의해 프로그램이 초기화되어도 잠금부(250)는 현재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트렁크 잠금장치는 종래의 잠금장치와 같이 별도의 열쇠구멍을 노출시키지 않고 RF 신호에 의해서만 동작하여 트렁크를 잠그기 때문에, 일단 잠김 상태가 설정되면 자동차 열쇠나 운전석 옆의 트렁크 개방 버튼만으로는 트렁크를 개방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트렁크 안의 물건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나, 운전자가 모르는 사이에 트렁크 안에 사람이 갇히게 되는 경우 운전자 이외에는 차량 밖에서 트렁크를 열 수 없으므로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잠금부(250)의 수동회전레버(254)를 손으로 돌려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내부에 무선 리모콘을 두고 내리거나 분실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카센터나 보험회사 등에는 마스터키를 비치시키고, 운전자가 요청할 경우에는 상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트렁크나 도어를 열 수 있는데, 이 때에는 운전자가 자신만이 알고 있는 비밀번호와 잠금장치의 고유번호를 서비스제공자에게 알려주면 서비스제공자는 마스터키에 비밀번호와 잠금장치의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는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원래의 잠금장치를 그대로 두고 보조로 설치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원래의 잠금장치 없이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보조 잠금장치를 차량의 트렁크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 것이나, 상기 보조 잠금장치는 자동차의 도어나 가정용 도어의 잠금장치 등 유사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무선 RF 송신부나 트렁크 개폐장치는 보다 다양한 변화들이 본 고안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렁크 잠금장치는 열쇠구멍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RF 신호만으로 트렁크의 잠김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트렁크가 일단 잠기게 되면 정상적인 방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트렁크를 개방할 수 없어 절도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차량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차량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부호화하여 RF 신호로 송출하는 RF 송신수단;
    상기 RF 신호를 수신 및 증폭하여 복호화 한 후 복호화 된 코드를 기 설정된 코드와 비교하고 그 일치여부에 따라 일치신호를 출력하는 RF 수신부;
    상기 트렁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상기 개폐 감지부의 감지신호와 상기 RF 수신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트렁크에 대한 잠금 또는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잠금부의 동작여부를 알려주는 음성신호 발생부;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초기회시키는 리셋부;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구동부의 펄스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스텝 모터;
    스텝모터의 회전운동을 잠금키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캠부; 및
    상기 캠부에 의해 직선운동하면서 트렁크를 개폐하는 잠금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키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수동회전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RF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논리조합하는 코드조합부;
    상기 코드조합부의 출력을 일시저장하는 래치부; 및
    상기 코드조합부의 출력과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조합하여 리셋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셋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5.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렁크가 닫혀진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잠금 해제 상태가 지속되면 강제적으로 상기 모터구동신호를 발생시켜 트렁크를 잠금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6.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리셋부에 클리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7.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신수단은 휴대전화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잠금장치.
KR20-2003-0023454U 2003-07-21 2003-07-21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KR200330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54U KR200330568Y1 (ko) 2003-07-21 2003-07-21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54U KR200330568Y1 (ko) 2003-07-21 2003-07-21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568Y1 true KR200330568Y1 (ko) 2003-10-17

Family

ID=4941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454U KR200330568Y1 (ko) 2003-07-21 2003-07-21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5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2379A (en) Rolling code for a keyless entry system
JPS60119873A (ja) 車両用施錠制御装置
JPH09301127A (ja) 誤操作を防止される点火キー・車両間通信装置
JPS6237479A (ja) 無線式施解錠制御装置
EP0527336B1 (en) Door unlocking device
KR200330568Y1 (ko) 자동차 트렁크 보조 잠금장치
US5969596A (en)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door locking/unlocking function
US5309152A (en) Security system with membrane switches to detect binary code on mechanical key
JP2823447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S63201282A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S60159260A (ja) 電波式キ−システム
JP2009275479A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H0366478B2 (ko)
JP2001355363A (ja) 車両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4549399B2 (ja) ドアのキーレス開閉システム
JPS60119875A (ja) 車両用施錠制御装置
JPH06156193A (ja)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ロック装置
JP2823446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RU5770U1 (ru) Противоуг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узел замк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противоуг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4097328B2 (ja) ドアのキーレス開閉システム
JP3926548B2 (ja) 車両用遠隔制御装置
JPH0364674B2 (ko)
JP3147403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S62276180A (ja) 電波式鍵の制御装置
JP2967674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機能を有す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