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314Y1 -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314Y1
KR200328314Y1 KR20-2003-0007147U KR20030007147U KR200328314Y1 KR 200328314 Y1 KR200328314 Y1 KR 200328314Y1 KR 20030007147 U KR20030007147 U KR 20030007147U KR 200328314 Y1 KR200328314 Y1 KR 200328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ir
air damper
rod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백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파트라시스템
Priority to KR20-2003-0007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3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65G47/6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f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하부 일측에 슬라이드 공을 일정 길이로 형성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슬라이드 공에 볼트 결합되고, 캐리어와 대향되는 방향에 로드바를 결합하며, 하부에 에어댐퍼 연결구와 고정되는 슬라이드 암과; 일측은 슬라이드 암에 고정되고, 타측은 로드가 결합된 에어댐퍼 연결구와; 상기 에어댐퍼 연결구의 로드가 내부로 직선이동하고, 소정 위치에 일정 크기의 에어홀이 형성되며, 에어댐퍼 브라켓으로 캐리어 하부에 고정된 에어댐퍼로 구성되고, 에어홀은 0.3㎜의 크기로 형성되어 로드의 삽입시에는 에어댐퍼의 공기가 배출되고, 캐리어의 이송되는 간격에 의하여 로드가 배출되면 에어홀을 통해 에어댐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슬라이드 암과 로드의 이동거리는 30~50㎜로 형성되어 전방 캐리어와 후방 캐리어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 캐리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행거에 실려 있는 차체에 충격을 감소시켜 차체를 보호하며, 차체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내려놓을 수 있으므로 이동위치에 안전하게 내려놓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Over-head Type Conveyer Reduced Impact}
본 고안은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캐리어 본체 하부에 에어댐퍼를 설치하여 체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체인 도그에 록킹과 해제시에 충격을 완화하고,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면서 체인과 캐리어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버헤드형 컨베이어는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 대량 생산을 위하여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차량을 이송시키면서 차량에 각종 부품들을 조립하는 연속 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연속 생산방식은 여러 공정 중에서 단 하나의 공정이라도 고장나는 경우에는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라인 전체가 정지되는 단점이 있으나 동일 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부품의 규격화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 생산성의 효율 등을 가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대부분 완성차 공장에서는 컨베이어에 의한 연속 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헤드형 컨베이어는 생산라인을 따라 설치된 파워레일(10)에 결합되어 이송하는 롤러(11)를 설치하고, 롤러(11)에 결합된 행거 브라켓(12)의 하부에는 체인(13)을 고정하며, 상기 체인(13)에 일정한 간격으로 체인도그(14)를 설치하여 캐리어(20)에 설치된 후크(21)와 록킹·해제되면서 캐리어(20)에 실려있는 차체(C)를 이송하게 된다.
차체(C)를 받치는 행거(15)를 지지하는 캐리어(20)의 수에 따라 2점식, 3점식, 4점식 등의 다양한 형태로 행거(15)를 지지하고, 캐리어(20)는 파워 앤드 프리레일(10, 24)을 따라 이동하면서 캐리어(20)에 고정되어 있는 후크(21)와 체인(13)에 설치되어 있는 체인 도그(14)의 록킹과 해제에 의하여 차체(C)를 내려놓을 위치에 내려 놓고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는 캐리어(20)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웨이트 레버(22)에 의하여 작업 위치에 놓였다가 다시 이송하게 되면서 행거(15)에 고정되어 있는 차체(C)의 무게 때문에 충격이 가하여져 컨베이어에 무리를 주게 되고, 이러 충격에 의하여 캐리어(20)에 실려 있는 차체(C)에도 손상을 가하게 되며, 행거(15)에 고정된 차체(C)의 위치 변경에 의하여 작업자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캐리어 본체에 가하여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캐리어 본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캐리어에 실려 있는 차체에도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차체가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는 컨베이어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캐리어 본체의 하부에 에어댐퍼를 설치하여 캐리어의 록킹과 해제시에 캐리어 및 상부, 하부프레임에 가하여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캐리어와 프레임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정확하게 차체를 위치시키는 오버헤드형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버헤드형 컨베이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의 록킹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캐리어와 슬라이드 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에어댐퍼에 로드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캐리어에 결합된 에어댐퍼 브라켓에 에어댐퍼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캐리어 21: 후크
22: 웨이트 레버 23: 타이로드
24: 프리 레일 25: 사이드 롤러
26: 수직 가이드 롤러 27: 리테이너 고정핀
28: 리테이너 29: 후크핀
40: 슬라이드 암 41: 슬라이드 공
42: 볼트 43: 로드바
50: 에어댐퍼 51: 로드
52: 에어댐퍼 브라켓 53: 에어홀
60: 에어댐퍼 연결구 61: 에어댐퍼 고정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 일측에 슬라이드 공을 일정 길이로 형성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슬라이드 공에 볼트 결합되고, 캐리어와 대향되는 방향에 로드바를 결합하며, 하부에 에어댐퍼 연결구와 고정되는 슬라이드 암과; 일측은 슬라이드 암에 고정되고, 타측은 로드가 결합된 에어댐퍼 연결구와; 상기 에어댐퍼 연결구의 로드가 내부로 직선이동하고, 소정 위치에 일정 크기의 에어홀이 형성되며, 에어댐퍼 브라켓으로 캐리어 하부에 고정된 에어댐퍼로 구성되고, 에어홀은 0.3㎜의 크기로 형성되어 로드의 삽입시에는 에어댐퍼의 공기가 배출되고, 캐리어의 이송되는 간격에 의하여 로드가 배출되면 에어홀을 통해 에어댐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슬라이드 암과 로드의 이동거리는 30~50㎜인 것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의 록킹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캐리어와 슬라이드 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에어댐퍼에 로드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캐리어에 결합된 에어댐퍼 브라켓에 에어댐퍼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어어는 캐리어(20) 하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압에 의하여 캐리어(20)의 이송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슬라이드 암(40)과, 캐리어(20) 하부에 결합되고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에어홀(53)이 형성된 에어댐퍼(50)와, 상기 슬라이드 암(40)과 에어댐퍼(50)를 연결하는 에어댐퍼 연결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리어(20)는 상부에 설치된 체인도그(14)와 록킹·해제되는 후크(21)를 결합하고, 캐리어(20)의 하부 일측에는 후크(21)를 조절하는 웨이트 레버(22)가 타이로드(23)에 의해 연결된다.
캐리어(20)의 중앙에는 프리레일(24)을 따라 안정되게 이송되도록 사이드롤러(25)가 설치되고, 사이드롤러(25)의 하부에는 수직 가이드롤러(26)를 결합한다.
상기 후크(21)는 체인(13)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체인도그(14)에록킹되어 캐리어(20)를 다음 위치로 이송시키고, 캐리어(20)가 도달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후크(21)는 체인도그(14)로부터 해제되어 차체(C)를 도달 위치에 내려놓게 된다.
후크(21)의 소정 위치에는 리테이너 고정핀(27)을 고정시켜 후크(21)가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조절하는 리테이너(28)를 설치하고, 후크(21)의 중심부에는 타이로드(23)를 결합시켜 후크핀(29)으로 고정한다.
상기 타이로드(23)는 웨이트 레버(22)와 결합되어 웨이트 레버(22)가 상승하게 되면 후크(21)를 체인도그(14)로부터 해제되어 캐리어(20)를 내려놓게 되고, 웨이트 레버(22)의 자중에 의하여 웨이트 레버(22)가 하강하게 되면 후크(21)는 상승하게 되어 체인도그(14)에 록킹되어 체인(13)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20)는 웨이트 레버(22)와 대향되는 위치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드 공(41)을 형성하고, 슬라이드 공(41)의 길이는 30~50㎜로 형성하되 4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라이드 공(41)에는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 암(40)을 직선이동 하도록 볼트(42)로 결합한다.
슬라이드 암(4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캐리어(20)의 슬라이드 공(41)에 결합되고, 절곡된 타측은 에어댐퍼(50)와 연결되는 에어댐퍼 연결구(60)를 결합한다.
슬라이드 암(40)의 타측에는 전방에 이송되는 캐리어(20)의 후방에 설치된 캐리어(20)와 연결되는 로드바(43)를 고정하고, 슬라이드 암(40)의 하부에는 에어댐퍼 연결구(60)를 에어댐퍼 고정핀(61)으로 고정한다.
상기 에어댐퍼 연결구(60)의 일측에는 에어댐퍼(50)에 직선이동하는 로드(51)를 설치하고, 에어댐퍼(50)는 캐리어(20)에 고정된 에어댐퍼 브라켓(52)에 고정하며, 에어댐퍼(50)에는 일정한 크기의 에어홀(53)을 형성하되 에어홀(53)은 0.3㎜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한다.
에어홀(53)은 로드(51)가 삽입될 경우에는 에어홀(53)을 통해 에어댐퍼(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고, 로드(51)가 빠질 경우에는 에어홀(53)을 통해 에어댐퍼(50)에 공기가 유입되어 다음 충격시에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가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는 파워레일(10)을 따라 이송되는 체인(13)을 따라 캐리어(20)가 이송되면서 캐리어(20) 하부에 실려있는 차체(C)를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내려놓았다가 다시 이동시킬 경우에는 웨이트 레버(22)에 의하여 후크(21)가 체인 도그(14)에 록킹되어 다른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
체인도그(14)에 록킹된 전방캐리어(20a)는 레일(10,24)을 따라 이송되면서 차체(C)를 내려놓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후크(21)의 해제에 의하여 차체(C)를 내려놓고, 상승된 후크(21)는 일정시간 만큼 대기하고 있다가 후방캐리어(20b)에 설치된 웨이트 레버(22)에 다음 캐리어(20)가 도달하면 신호에 의하여 웨이트 레버(22)가 하강하면서 후크(21)를 상부로 밀어올려 이송되는 체인(13)에 결합된 체인 도그(14)에 록킹되어 이송하게 된다.
전방캐리어(20a)에 설치된 에어댐퍼(50)는 이미 앞에 이송된 후방캐리어(20b)에 설치된 웨이트 레버(22b)를 따라 상승하면서 체인도그(14)에 록킹된 후크(21)를 해제하게 되는데 전방캐리어(20a)에 도달하면서 강한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캐리어(20) 하부에 설치된 에어댐퍼(50)에 로드(51)가 직선이동하면서 에어댐퍼(50)에 내장된 공기가 에어홀(53)을 통해 배출되면서 웨이트 레버(22)의 접촉에 의한 캐리어(20)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캐리어(20)에서 차체(C)를 지정 위치에 내려놓고 난 뒤에 후방 캐리어(20b)가 전방 캐리어(20a)의 배면에 설치된 후방의 웨이트 레버(30b)에 접촉하거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전방 캐리어(20a)의 전방에 설치된 웨이트 레버(22a)는 하강하여 후크(21)를 상부로 밀어올려 이송되는 체인도그(14)에 록킹되어 이송된다.
캐리어(20)의 이송이 시작되면 로드바(43)에 의하여 일정한 거리가 이격되게 되므로 에어댐퍼(50)에 삽입된 로드(51)는 에어댐퍼(50)로부터 배출되면서 에어홀(53)을 통해 에어가 유입된다.
도면상 설명되지 않은 부호 30은 웨이트 레버(22)를 고정하는 레버 고정핀이고, 부호 31은 웨이트 레버(22)와 타이로드(23)을 결합하는 타이로드 고정핀이다.
또한, 작업라인에 컨베이어가 설치되면 작업자의 작업위치에 정확하게 내려놓으면서 캐리어(20)와 차체(C)에 가하여지는 충격을 줄여 캐리어(20)와 차체(C)를 안정된 상태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는 전방 캐리어와 후방 캐리어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 캐리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행거에 실려 있는 차체에 충격을 감소시켜 차체를 보호하며, 차체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내려놓을 수 있으므로 이동위치에 안전하게 내려놓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오버헤드형 컨베이어에 있어서,
    하부 일측에 슬라이드 공을 일정 길이로 형성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슬라이드 공에 볼트 결합되고, 캐리어와 대향되는 방향에 로드바를 결합하며, 하부에 에어댐퍼 연결구와 고정되는 슬라이드 암과;
    일측은 슬라이드 암에 고정되고, 타측은 로드가 결합된 에어댐퍼 연결구와;
    상기 에어댐퍼 연결구의 로드가 내부로 직선이동하고, 소정 위치에 일정 크기의 에어홀을 형성하며, 상기 캐리어의 하부 소정 위치에 에어댐퍼 브라켓을 고정시켜 에어댐퍼 브라켓의 하부 일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에어댐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에어홀은 0.3㎜의 크기로 형성되어 로드의 삽입시에는 에어댐퍼의 공기가 배출되고, 캐리어의 이송되는 간격에 의하여 로드가 배출되면 에어홀을 통해 에어댐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암과 로드의 이동거리는 3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KR20-2003-0007147U 2003-03-11 2003-03-11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KR200328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147U KR200328314Y1 (ko) 2003-03-11 2003-03-11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147U KR200328314Y1 (ko) 2003-03-11 2003-03-11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314Y1 true KR200328314Y1 (ko) 2003-09-29

Family

ID=4941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147U KR200328314Y1 (ko) 2003-03-11 2003-03-11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3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71B1 (ko) 2008-04-17 2010-10-06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캐리어 완충스토퍼
KR20230134688A (ko) * 2022-03-15 2023-09-22 박영한 충격 흡수기구를 구비한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771B1 (ko) 2008-04-17 2010-10-06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캐리어 완충스토퍼
KR20230134688A (ko) * 2022-03-15 2023-09-22 박영한 충격 흡수기구를 구비한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KR102664324B1 (ko) * 2022-03-15 2024-05-08 박영한 충격 흡수기구를 구비한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1294B1 (en) Green tyre conveyor
KR20170087523A (ko) 캐리어 이동 적재 촉진 장치
US4930213A (en) System for transferring vehicle body from a coating station to an assembly line and an overhead conveyor
MXPA02009883A (es) Sistema transportador aereo de versaroll.
US20060032728A1 (en) Apparatus for removing vehicle from vehicle assembly conveyor system
KR200328314Y1 (ko) 충격을 완화시킨 오버헤드형 컨베이어
CN111546541B (zh) 一种用于车体厢板的合模装置
CN215548202U (zh) 一种自动拆装机器人及集装箱锁具拆装系统
KR100774392B1 (ko) 자동차 구조 작업장의 시설 구성 시스템
US20060124434A1 (en) Aerial conveyor with pendular arms driven along a closed loop circuit
US5228549A (en) Mobile beltine moving system
CN215628172U (zh) 圆锯片全自动上料装置
JPH046622B2 (ko)
CN220263684U (zh) 一种有效提高效率的钢锭搬运治具及钢锭搬运装置
CN220131267U (zh) 一种用于物品输送线末端的缓冲装置
CN211846424U (zh) 一种悬臂式装卸输送装置
CN218908752U (zh) 一种空中搬运机
CN216686142U (zh) 一种铜合金带的运输装置
CN215206931U (zh) 一种适用于横向橇体输送的喷漆输送机
CZ20014445A3 (cs) Zařízení pro transport nákladů a způsob transportu nákladů
JPH0318510A (ja) 生タイヤのセット掛け装置
KR100981545B1 (ko) 핀 클램프 유니트
CN113025803A (zh) 圆锯片全自动上料装置及方法
JP2819945B2 (ja) ハンガー使用の搬送装置
KR100598841B1 (ko)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