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841B1 -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841B1
KR100598841B1 KR1020020070999A KR20020070999A KR100598841B1 KR 100598841 B1 KR100598841 B1 KR 100598841B1 KR 1020020070999 A KR1020020070999 A KR 1020020070999A KR 20020070999 A KR20020070999 A KR 20020070999A KR 100598841 B1 KR100598841 B1 KR 10059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onveyor
attach
suppor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008A (ko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8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컨베이어 어태치(ATTACH)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으로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대상물의 하부를 형상에 따라 지지하는 제1/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제2지지부재 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승강 이동된 변위량을 상기 제2지지부재에 전달하는 변위량 전달부재를 구비한다.
컨베이터, 어태치 디바이스, 구슬, 피스톤

Description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CONVEYER ATTACH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하부의 굴곡이 심한 대상물을 고정하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 및 4b는 대상물의 하부 굴곡이 작은 경우의 본 발명의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종 변형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어태치(ATTACH)장치는 이송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작업 라인으로 두 개 이상의 차종이 생산될 경우에 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에는 차종별로 다수개로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1)는 컨베이어(3) 상면에 구비되어 미도시된 대상물을 고정하여 소정 위치로 대상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컨베이어(3)에 마련된 어태치 디바이스(1)는 차종별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차종별로 각각 상이하게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종 변형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는, 이송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ATTACH)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으로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대상물의 하부를 형상에 따라 지지하는 제1/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제2지지부재 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승강 이동된 변위량을 상기 제2지지부재에 전달하는 변위량 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위량 전달부재는, 상기 제1/제2지지부재간에 마련 된 관로; 상기 관로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승강 이동에 따른 가압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측면에 스프링으로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가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의 가압력이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가압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와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피스톤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다수개의 구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지지부재의 하단에는 걸림블럭이 마련되어 상기 제1/제2지지부재의 하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100)는, 이송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11)의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13)으로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대상물(17)을 지지하는 제1/제2지지부재(10)(20)와, 상기 제1지지부재(10)의 승하강 이동된 변위량이 슬라이더 부재(33)를 통하여 제2지지부재(20)에 전달되도록 하는 변위량 전달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10)는 컨베이어(11)의 내측에 마련되는 스프링(13)으로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0)의 하측에는 승강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블럭(15)이 마련되어 과다한 하강을 방지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10)와 제2지지부재(20) 사이에는 제1/제2지지부재(10)(20)간의 변위량을 전달하는 변위량 전달부재(30)가 마련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0)는 제2지지부재(20)의 설치된 길이보다 길게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10)의 가압력이 변위량 전달부재(30)를 통하여 제2지지부재(20)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변위량 전달부재(30)는 제1/제2지지부재(10)(20)간에 마련된 관로(31)와, 관로(31)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지지부재(10)의 승강 이동에 따른 가압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부재(33)와, 제2지지부재(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21)가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20)의 측면에 스프링(23)으로 장착되는 피스톤부재(35)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부재(35)는 슬라이더 부재(33)가 일측에 접촉되며, 제1지지부재(10)의 가압력으로 슬라이더 부재(33)가 이동됨으로 제2지지부재(20)와 선택적으로 탈착된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33)는 관로(31)를 이동하기 용이한 다수개의 구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제2지지부재(10)(20)의 하단에는 걸림블럭(15)이 마련되어 제1/제2지지부재(10)(20)의 과다한 하강을 제한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하부의 굴곡이 심한 대상물(17)을 고정하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대상물(17)의 하부가 제1/제2지지부재(10)(20)에 접촉된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7)의 하중에 의하여 제1지지부재(10)가 하강하고, 그 단부는 피스톤부재(35)에 마련된 홈부(2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부재(35)는 대상물(17)의 자중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20)는 슬라이더 부재(33)가 피스톤부재(35)의 고정으로 이동되지 못함으로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10)는 슬라이더 부재(33)가 피스톤부재(35)에 의하여 밀림이동이 제한되어, 정위치에 고정됨으로써, 대상물(17)의 형상에 따라 안착 가능하다.
도 4a 및 4b는 대상물의 하부 굴곡이 작은 경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10)가 제2지지부재(20)보다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대상물(17)이 안착되면 제1지지부재(10)가 제2지지부재(20) 보다 먼저 하강된다. 여기서 최초 제2지지부재(20)는 피스톤부재(35)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서, 피스톤부재(35)는 스프링(23)으로서 이동이 용이한 상태이다.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7)의 계속적인 하강에 의하여 제1지지부재(10)가 하강되면, 그 가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더 부재(35)가 제2지지부재(20)측으로 이동되어 피스톤부재(35)를 일측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재(10)는 피스톤부재(35)의 걸림 작용이 없으므로 계속적으로 하강할 수 있게 되어, 하부의 굴곡이 작은 대상물(17)도 용이하게 안착시킨 상태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차종 변형에 상관없이 대상물을 이송 가능하여 이송에 따른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공급이 필요없는 기계적 작동이 가능하여 원가절감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이송되는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컨베이어 어태치(ATTACH)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으로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대상물의 하부를 형상에 따라 지지하는 제1/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제2지지부재간에 마련된 관로와, 상기 관로 내부에 다수개의 구슬이 상호간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관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승강 이동에 따른 가압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측면에 스프링으로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가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의 가압력이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와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피스톤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승강 이동된 변위량을 상기 제2지지부재에 전달하는 변위량 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지지부재의 하단에는 걸림블럭이 마련되어 상기 제1/제2지지부재의 하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KR1020020070999A 2002-11-15 2002-11-15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KR10059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999A KR100598841B1 (ko) 2002-11-15 2002-11-15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999A KR100598841B1 (ko) 2002-11-15 2002-11-15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008A KR20040043008A (ko) 2004-05-22
KR100598841B1 true KR100598841B1 (ko) 2006-07-11

Family

ID=3733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999A KR100598841B1 (ko) 2002-11-15 2002-11-15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8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008A (ko) 200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039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sand molds
KR20070011499A (ko) 수송벨트를 구비한 수송장치
CA2460736A1 (en) Conveyance system for interface with component production and assembly equipment
KR100598841B1 (ko) 컨베이어 어태치 디바이스
US5860509A (en) Conveyor belt system
MXPA02006563A (es) Elevador de toque suave.
CN110289238B (zh) 晶圆框架盒水平移动装置与晶圆上料系统
KR20040000088A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CN113682790B (zh) 下降机装置及钢坯传送系统
KR100775147B1 (ko) 로봇 로딩 행거장치
JP2006264965A (ja) リフタ装置
EP1318086A3 (en) Guide for reciprocally movable slats
JP2024504361A (ja) 無人搬送車
CN208616685U (zh) 一种蒸压混凝土砌块托盘输送装置
JP4896668B2 (ja) ストッパ操作装置
CN219113908U (zh) 一种装备制造组装用定位机构
CN217972484U (zh) 一种用于自装卸设备的传动机构
CN112140294A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组合式脱模模具
CN220925636U (zh) 一种瓷砖生产转运车的夹持装置
CN116986317B (zh) 玻璃横移输送机构及其输送方法
CN216272912U (zh) 一种用于设备物资施工安装的运输、举升装置
CN220056022U (zh) 一种管道消音器组装用吊具
CN214135104U (zh) 一种角钢防倾斜的传送装置
CN217623624U (zh) 一种防碰减振坯车
CN215973519U (zh) 定位输送装置及定位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