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579Y1 -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579Y1
KR200326579Y1 KR20-2003-0017699U KR20030017699U KR200326579Y1 KR 200326579 Y1 KR200326579 Y1 KR 200326579Y1 KR 20030017699 U KR20030017699 U KR 20030017699U KR 200326579 Y1 KR200326579 Y1 KR 200326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cage
holder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영
Original Assignee
권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영 filed Critical 권대영
Priority to KR20-2003-0017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Abstract

본 고안은 다층의 발판을 갖는 케이지와, 이 케이지를 건축물의 옥상 난간벽에 고정되게 하는 브래킷을 클램프에 의해 조립 및 분해되게 함으로써, 케이지와 브래킷이 분리된 상태로 보관 및 이동되게 하고, 케이지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때 그 하중에 따라 브래킷의 간격 및 설치 개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STRUCTURE OF CAGE}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 306724 호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층의 발판을 갖는 케이지와, 이 케이지를 건축물의 옥상 난간벽에 고정되게 하는 브래킷을 클램프에 의해 조립 및 분해되게 함으로써, 케이지와 브래킷이 분리된 상태로 보관 및 이동되게 하고, 케이지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때 그 하중에 따라 브래킷의 간격 및 설치 개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 306724 호에 의하면, 다층의 발판을 갖는 케이지의 상부에 건축물 옥상의 난간벽에 고정되게 하는 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안전 작업대의 설치 작업과 해체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보다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브래킷의 수평지지대 상부에 케이지의 수평지지대가 용접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케이지와 브래킷이 일체로 이동되는 한편, 설치 및 분해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층의 발판을 갖는 케이지와, 이 케이지를 건축물의 옥상 난간벽에 고정되게 하는 브래킷을 클램프에 의해 조립 및 분해되게 함으로써, 케이지와 브래킷이 분리된 상태로 보관 및 이동되게 하고, 케이지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때 그 하중에 따라 브래킷의 간격 및 설치 개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직지지대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수평지지대가, 중단부와 하부에는 발판지지대가 설치되는 틀체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발판지지대에는 발판이, 각 틀체의 상부 모서리 내측에는 브래킷지지대가 설치되는 케이지와, 수평지지대에 직교하는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가 설치되고, 후방지지대에 조임용나사봉이 설치되며, 수평지지대가 케이지의 브래킷지지대의 저면에 직교하게 설치되는 브래킷으로 되는 작업대에 있어서, 조임판을 각각 갖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조임판 각각의 구멍을 통해 볼트가 관통되는 한편, 너트가 조임 되어 조임판이 평행한 상태로 고정되게 하며, 브래킷의 수평지지대 상부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각 브래킷지지대가 상,하부홀더의 지지대수용부에 의해 고정되게 하는 브래킷클램프와; 상기 브래킷클램프의 상부홀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지지대홀더를 갖는고정판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조임볼트가 설치되며, 브래킷지지대와 케이지의 수평지지대가 직교하는 곳마다 설치되어, 상,하부홀더의 지지대수용부에는 브래킷지지대가, 수평지지대홀더에는 수평지지대가 각각 고정되게 하는 케이지클램프로 구성되는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반대쪽에서 바라본 브래킷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지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클램프가 브래킷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지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지가 케이지클램프에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지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케이지
111 : 수직지지대 113 : 수평지지대
115 : 브래킷지지대 120 : 브래킷
121 : 수평지지대 122 : 전방지지대
123 : 후방지지대 124 : 조임나사봉
124a : 고정판 125 : 보강지지대
200 : 건물벽 210 : 난간벽
300 : 브래킷클램프 301 : 힌지
302 : 지지대수용부 310 : 상부홀더
311,321 : 조임판 321,322 : 구멍
313 : 너트 320 : 하부홀더
323 : 볼트 400 : 케이지클램프
410 : 고정판 411 : 수평지지대홀더
412 : 스터드너트 413 : 조임볼트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클램프(3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브래킷클램프(300)는 내부가 수평으로 관통되는 직육면체의 통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부홀더(310)와, 하부홀더(320)가 상,하로 양분되어 한 쪽이 힌지(301)에 의해 결합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게 되고, 반대편 쪽에는 수평상태로 조임판(311)(321)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 하부홀더(310)(320)의 사이에는 직사각의 지지대수용부(302)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판(311)(321) 각각에는 수직으로 구멍(312)(322)이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구멍(322)(312)을 통해 볼트(323)가 관통되는 한편, 너트(313)가 조임 됨으로써, 상기 조임판(311)(321)은 일정한 간격의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상, 하부홀더(310)(320)는 브래킷지지대(115)를 협지하여 지지대수용부(302)에 의해 브래킷지지대(115)가 고정되게 하며, 상기 브래킷클램프(300)는 도 4 도시와 같이 브래킷(120)의 수평지지대(121)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데, 하부홀더(320)의 저면이 수평지지대(121)의 상부면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브래킷(120)은 긴 길이의 수평지지대(121)의 중반부와 후단부에 각각 직교하게 전방지지대(122) 및 후방지지대(123)가 설치되는데, 이 전방지지대(122)와 후방지지대(123)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고, 수평지지대(121)와 전방지지대(122)간에는 보강지지대(125)가 설치되어 전방지지대(122)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며, 후방지지대(123)에는 수평으로 조임용나사봉(124)이 설치된다.
상기 조임용 나사봉(124)은 상기 후방지지대(123)내에 설치되는 너트(123a)를 관통하여 조임 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수평지지대(121)와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고, 그 전방에는 고정판(124a)이 일체로 설치되며, 이 조임용나사봉(124)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너트(123a)에 의해 전진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판(124a)이 상기 전방지지대(122)를 향하여 전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전방지지대(122)를 향하던 고정판(124a)을 전방지지대(124a)에서 후진하여 멀리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도 3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지클램프(4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케이지클램프(400)는 상기 브래킷클램프(300)의 상부홀더(310)에 수평지지대홀더(411)를 갖는 고정판(410)이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기 수평지지대홀더(411)는 "ㄷ"형상을 이루면서 아래 방향과 전,후방향이 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수용부(30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홀더(411)에는 수직으로 구멍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스터드너트(412)가 설치되며, 이에 조임볼트(413)가 일부 조임 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케이지클램프(400)는 상,하부홀더(310)(320)에 의해 브래킷지지대(115)가 협지되는 한편, 지지대수용부(302)에 의해 고정되고, 이 브래킷지지대(115)에 직교하게 되는 케이지(110)의 수평지지대(113)가 수평지지대홀더(411)에 의해 협지되어 고정된다.
도 5 및 도 6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지(110)가 브래킷지지대(115)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케이지(110)는 직사각을 이루는 한편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이루게 되는 여러개의 틀체가 평행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틀체들은 높이가 같은 수직지지대(111) 두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고, 각각의 하부가 발판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며, 상부 역시 수평지지대(113)에 의해 연결되어 직사각의 틀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수직지지대(111)의 중단부에 상기 발판지지대 및 수평지지대(113)와 평행하게 되는 또 다른 하나의 발판지지대가 설치되어 각 틀체는 2층의 구조를 지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틀체들의 발판지지대에는 발판이 설치되며, 각 틀체의 상부 모서리 내측에는 두 개 한 쌍을 이루게 되는 브래킷지지대(115)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각 틀체들은 발판 및 브래킷지지대(115)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틀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110)의 수평지지대(113)와 브래킷지지대(115)가 직교하는 곳마다 상기 케이지클램프(400)가 설치되는데, 상,하부홀더(310)(320)의 지지대수용부(320)에는 브래킷지지대(115)가 수평지지대홀더(411)에는 이에 직교하게 되는 케이지(110)의 수평지지대(411)가 협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5 및 도 7 도시와 같이 건축물의 옥상에 건축된 난간벽(210)에 설치되는데, 브래킷(120)의 수평지지대(121)가 난간벽(210)에 걸쳐지게 하는 동시에 난간벽(210)의 외측에 전방지지대(122)가 밀착되게 하고, 이어서 조임용나사봉(124)을 돌려서 고정판(124a)이 난간벽(210)의 내측에 밀착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작업자는 케이지(110)의 발판에 올라가 건물벽(200)의 마감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케이지(110)에 브래킷(120)이 결합된 본체(100)를 설치되게 할 수 있고, 건축 공사 후에는 본체(100)를 케이지(110)와 브래킷(120)으로 분리되게 하여 이동 및 보관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브래킷(120)에 고정된 브래킷클램프(300)에 브래킷지지대(115)를 고정할 때는 a)볼트(323)와 너트(313)를 분리되게 한 후 상부홀더(310)가 하부홀더(320)에서 열린 상태가 되게 하고, b)하부홀더(320)에 브래킷지지대(115)가 끼위지게 한 후, 상부홀더(310)를 닫아 볼트(323)와 너트(313)가 조임 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홀더(310)는 힌지(301)를 중심을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케이지클램프(400)는 브래킷지지대(115)와 수평지지대(113)가 직교하는 곳마다 설치되는데, a)볼트(323)와 너트(313)를 분리되게 한 후 상부홀더(310)가 하부홀더(320)에서 열린 상태가 되게 하고, b)하부홀더(320)에 브래킷지지대(115)가 끼워지게 한 후, 상부홀더(310)를 닫음과 동시에 상부홀더(310)의 수평지지대홀더(411)가 수평지지대(113)에 끼워지게 하고, c) 조임볼트(413)를 조임 되게 하는 한편, 볼트(323)와 너트(313)가 조임 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층의 발판을 갖는 케이지와 이 케이지를 건물 벽에 고정되게 하는 브래킷을 브래킷클램프와, 케이지클램프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되게 하여, 안전 작업대의 설치 작업과 해체 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시공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지와 브래킷을 분리하여 이동 및 보관되게 할 수 있는 한편, 설치할 때 그 하중에 따라 브래킷의 간격 및 설치 개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수평지지대(113)와 발판지지대가 상, 하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111)의 발판지지대에는 발판이, 수평지지대(113)의 상부 모서리에는 브래킷지지대(115)가 설치되는 케이지(110)와, 수평지지대(121)에 직교하는 전방지지대(122)와 후방지지대(123)가 설치되고, 후방지지대(123)에 조임용나사봉(124)이 설치되며, 수평지지대(121)가 케이지(110)의 브래킷지지대(115)의 저면에 직교하게 설치되는 브래킷(120)으로 되는 작업대에 있어서,
    조임판(311)(321)을 각각 갖는 상부홀더(310)와 하부홀더(320)가 힌지(301)에 의해 결합되고, 조임판(311)(321) 각각의 구멍(312)(322)을 통해 볼트(323)가 관통되는 한편, 너트(313)가 조임 되어 조임판(311)(321)이 평행한 상태로 고정되게 하며, 각 브래킷지지대(115)가 상,하부홀더(310)(320)에 의해 고정되게 하는 브래킷클램프(300)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게 수평지지대(121)에 설치되는 브래킷(120)과; 상기 브래킷클램프(300)의 상부홀더(3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지지대홀더(411)를 갖는 고정판(410)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조임볼트(413)가 설치되며, 브래킷지지대(115)와 케이지(110)의 수평지지대(113)가 직교하는 곳마다 설치되어, 상,하부홀더(310)(320)에는 브래킷지지대(115)가, 수평지지대홀더(411)에는 수평지지대(113)가 각각 고정되게 하는 케이지클램프(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
KR20-2003-0017699U 2003-06-05 2003-06-05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 KR200326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99U KR200326579Y1 (ko) 2003-06-05 2003-06-05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99U KR200326579Y1 (ko) 2003-06-05 2003-06-05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579Y1 true KR200326579Y1 (ko) 2003-09-19

Family

ID=4941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699U KR200326579Y1 (ko) 2003-06-05 2003-06-05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5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910B1 (ko) 2017-07-14 2017-09-29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슬래브 설치형 작업용 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910B1 (ko) 2017-07-14 2017-09-29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슬래브 설치형 작업용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3908B1 (en) Adjustable communications equipment dual relay rack
US6299268B1 (en) Metallic framework equipped with a progressive tightening corner-piece, in particular for an electrical cabinet
US5316254A (en) Junction box support for suspended ceilings
US6983824B1 (en) Portable structural system
JPH0829631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屋根上設置具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屋根上設置方法
JP2014047570A (ja) ソーラーパネル用固定具
KR200326579Y1 (ko) 건축물의 작업용 이동식 안전 작업대
JP5290879B2 (ja) 折板屋根用力骨体及び折板屋根の力骨体取付構造
JPH11241440A (ja) 支柱固定構造
JP4105307B2 (ja) 外囲体及び外囲面上にパネル状構造物を取り付ける装置
JP3204411U (ja) 足場用幅木および幅木固定構造
JP2931288B1 (ja) 作業用プラットフォームの支柱
JPH08284291A (ja) 間仕切壁
JPS6219761Y2 (ko)
JP3184052U (ja) 手摺取付金具
JP2514556B2 (ja) 支柱ホルダ−
JP2540724Y2 (ja) 締付横材のコーナー受金具
JP3095475U (ja) 横桟位置決めストッパー
KR20230150677A (ko) 선박 론지용 클램프
JPH071426Y2 (ja) 中空足場の支持金物
CN116122556A (zh) 一种可跨墙安装的施工吊篮架及其装配方法
JP3004133U (ja) 支持金具
JPH0722461Y2 (ja) 建物内に別の部屋を構築する吊下連結具
JP2504361Y2 (ja) 建物の配管固定構造
JPH03157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