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795Y1 -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 Google Patents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795Y1
KR200324795Y1 KR20-2003-0016832U KR20030016832U KR200324795Y1 KR 200324795 Y1 KR200324795 Y1 KR 200324795Y1 KR 20030016832 U KR20030016832 U KR 20030016832U KR 200324795 Y1 KR200324795 Y1 KR 200324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ece
housing
contact
coaxial connect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에이. 이 (주) filed Critical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to KR20-2003-0016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스위치기구가 구비된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스위치기구(20)를 내장한 절연하우징(10)이 서로 조립되어 대략 원통형 몸체를 이루는 제1하우징편(11)과 제2하우징편(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하우징편(12)은 상단에 수평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중심축방향으로 커넥터핀 삽입구멍(14)이 축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원반형 덮개부(13)를 구비함으로써 커넥터핀 삽입구멍(14)의 동심도가 양호하며, 스위치기구(20)는 제1하우징편(11)에 설치되는 고정콘택트(21)와 제2하우징편(12)에 설치되는 가동콘택트(22)로 구성되고, 가동콘택트(22)는 제2 하우징편(12)의 수용홈(12a)에 삽입된 평판형 고정부(22a)의 하단에서 호형으로 연장된 넥크부(22b)와, 상기 넥크부(22b)의 선단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경사진 스프링부(22c)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부(22c)의 선단에는 접촉단자부(22e)가 돌출되어 상기 고정콘택트(21)의 접촉부(21a)에 접촉함으로써 변형량이 적어 응력이 작으므로 수명이 길어진다.

Description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본 고안은 전자부품용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으로,특히 상대 커넥터핀이 조립되는 경우에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에 설치되는 동축커넥터는 휴대전화에 내장된 안테나회로를 접속하거나 단속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휴대전화의 몸체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도 점차 소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한 동축커넥터는 일본 특허공개 2000-113948호에 개시되어 알려진 것이 있다.
상기 종래의 동축커넥터는 상대 커넥터핀이 삽입되는 핀삽입구멍이 중심축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핀삽입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는 커넥터핀에 의해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치기구와,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부에 조립되고, 상단에 상기 절연하우징을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형성한 외부도체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동축커넥터에서는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스위치기구를 조립하기 위하여 절연하우징을 중심축방향으로 대략 절반으로 분리된 2개의 절연하우징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 절연하우징편은 별개의 금형에서 성형되어 대응하는 1쌍의 절연하우징편을 서로 조립하여 하나의 절연하우징을 형성하게 되므로 각 절연하우징편에 중심축방향으로 성형되는 커넥터핀 삽입구멍은 정확하게 반원형 형상으로 성형되어야만 조립되었을 때 동심도가 양호한 원형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 1쌍의 절연하우징편들은 각각 별개의 금형에서 별도로 성형되므로 각 금형에서 성형되는 절연하우징편에 형성된 커넥터핀 삽입구멍과 다른 절반의 절연하우징편에 형성된 커넥터핀 삽입구멍과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동심도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동심도에서 불량인 2개의 절연하우징편을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절연하우징을 조립하게 되면 커넥터핀 삽입구멍의 동심도가 불량하여 상대부품(커넥터핀)이 삽입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가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스위치기구의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생산성이 우수하고, 절연하우징에 형성된 커넥터핀 삽입구멍의 동심도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절연하우징에 내장되는 스위치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동축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결합단면도로서, 스위치가 접속된 상태의 결합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결합단면도로서, 커넥터핀이 삽입되어 스위치가 단락된 상태의 결합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저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원통형 절연하우징 11: 제1 하우징편
11a: 수용홈 11b: 단턱부
11c: 슬릿 11d: 결합돌기
12: 제2 하우징편 12a: 수용홈
12b: 결합홈 12c: 슬릿
13: 원반형 덮개부 14: 커넥터핀 삽입구멍
20: 스위치기구 21: 고정콘택트
21a: 평판형 접촉부 21b: 리드단자부
22: 가동콘택트 22a: 평판형 고정부
22b: 넥크부 22c: 스프링부
22d: 안내부 22e: 접촉단자부
22f: 리드단자부 30: 외부도체셀
30a: 개방부 P: 커넥터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상대 커넥터핀이 삽입되는 핀삽입구멍이 중심축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핀삽입구멍을 통하여 외부에서 삽입되는 커넥터핀에 의해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치기구와,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부에 조립되고, 상단에 상기 절연하우징을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형성한 외부도체셀을 포함한 동축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이 서로 조립되어 대략 원통형 몸체를 이루는 제1하우징편과 제2하우징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하우징편은 상단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된 원반형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핀 삽입구멍이 상기 원반형 덮개부의 중앙에서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구조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커넥터핀 삽입구멍이 하나의 하우징덮개부에 1개의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므로 핀삽입구멍의 동심도가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절연하우징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스위치기구는 상기 제1 하우징편에 설치되는 고정콘택트와, 상기 제2 하우징편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콘택트와 접촉 또는 단락하는 가동콘택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콘택트는 상기 제1 하우징편의 저면에 개방된 슬릿을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벽에 형성된 수용홈에 안착되는 평판형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하우징편의 저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단자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의 스위치기구는 고정콘택트와 접촉하는 가동콘택트가 스프링부에서 돌출되게 연장된 접촉단자부를 구비하여 고정부에서 스프링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각도를 적게 할 수 있어 스프링변형에 따른 응력을 적게 받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원통형 절연하우징(10)과, 상기 절연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핀의 삽입에 의해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치기구(20)와, 상기 절연하우징(10)을 감싸도록 외측에 끼워져 조립되는 외부도체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은 서로 조립되어 대략 원통형 몸체를 이루는 제1하우징편(11)과 제2하우징편(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하우징편(12)은 상단에 수평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중심축방향으로 커넥터핀 삽입구멍(14)이 축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원반형 덮개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하우징편(11)은 내측벽에 중심축방향을 따라 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a)의 하부에는 제2 하우징편(12)의 수용홈(12a)에 삽입되는 단턱부(11b)가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11b)의 뒤쪽 선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고정콘택트(21)가삽입되는 슬릿(11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편(12)의 내측벽에는 후술하는 가동콘택트(22)가 설치되는 수용홈(12a)이 중심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2a)의 하단에는 상기 제1 하우징편(11)의 단턱부(11b)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1쌍의 하우징편(11,12)들이 좌우 움직임없이 위치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1쌍의 하우징편(11,12)들이 서로 접촉하는 내측벽에는 각각 결합돌기(11d)와 이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12b)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또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하우징편(11,12)의 수용홈(11a,12a)에 설치되어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치기구(2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기구(20)는 제1 하우징편(11)에 설치되는 고정콘택트(21)와, 제2 하우징편(12)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콘택트(21)와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콘택트(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콘택트(21)는 상기 제1 하우징편(11)의 저면에 개방된 슬릿(11c)을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벽에 형성된 수용홈(11a)에 안착되는 평판형 접촉부(21a)와, 상기 접촉부(21a)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편(11)의 저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단자부(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콘택트(22)는 제2 하우징편(12)의 저면에 개방된 슬릿(12c)을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벽에 형성된 수용홈(1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평판형 고정부(22a)와, 상기 고정부(22a)의 하단에서 호형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된넥크부(neck, 22b)와, 상기 넥크부(22b)의 선단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22a)에서 점차 벌어지게 연장되고 선단에는 상대 커넥터핀을 안내하는 안내부(22d)를 구비한 스프링부(22c)와, 상기 스프링부(22c)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콘택트(21)의 접촉부(21a)와 접촉하는 접촉단자부(22e)와, 상기 고정부(22a)의 하단에서 뒤쪽으로 연장되어 제2 하우징편(12)의 저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단자부(22f)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콘택트(21)를 설치한 제1 하우징편(11)의 결합돌기(11d)는, 가동콘택트(22)를 설치한 제2 하우징편(12)의 내측벽에 구비된 결합홈(12b)에 끼워지고, 동시에 제1 하우징편(11)의 단턱부(11b)는 제2 하우징편(12)의 수용홈(12a)안에 끼워져 제1하우징편(11)과 제2 하우징편(12)이 서로 결합되어 원통형 절연하우징(10)이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외주에는 외부도체셀(30)이 끼워져 절연하우징(10)을 결합상태로 고정한다. 상기 외부도체셀(30)의 상단면에는 개방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부(30a)를 통하여 절연하우징(10)의 덮개부(13)에 형성된 커넥터핀 삽입구멍(14)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핀 삽입구멍(14)을 통하여 외부에서 커넥터핀이 삽입되지 않으면 가동콘택트(22)는 힘을 받지 않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콘택트(22)의 접촉단자부(22e)가 고정콘택트(21)의 접촉부(21a)에 맞닿아 가동콘택트(22) 및 고정콘택트(21)의 각 리드단자부(21b,22f)를 통하여 접속된 전자회로(도시생략)를 연결하게 된다.
외부에서 커넥터핀 삽입구멍(14)을 통하여 커넥터핀(P)을 삽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핀(P)은 가동콘택트(22)의 안내부(22d)와 접촉하면서 스프링부(22c)를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눌러서 접촉단자부(22e)를 고정콘택트(21)의 접촉부(21a)에서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각 콘택트(21,22)의 리드단자부(21b,22f)를 통하여 전자회로는 단속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콘택트(22)의 스프링부(22c)가 고정부(22a)와 연결되는 부분이 호형의 넥크부(22b)를 통하여 연결되므로 탄성변형시 응력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커넥터핀 삽입구멍이 하나의 하우징덮개부에 1개의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므로 동심도가 양호하므로 커넥터핀을 삽입할 때 동심도불량에 의한 삽입불능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가동콘택트의 스프링부가 고정부의 하단에서 호형의 넥크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변형시 응력이 저하되어 수명이 연장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대 커넥터핀이 삽입되는 핀삽입구멍(14)이 중심축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절연하우징(10)과, 상기 절연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핀삽입구멍(14)을 통하여 외부에서 삽입되는 커넥터핀에 의해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치기구(20)와,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부에 조립되고, 상단에 상기 절연하우징을 노출시키는 개방부(30a)를 형성한 외부도체셀(30)을 포함한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10)은 서로 조립되어 대략 원통형 몸체를 이루는 제1하우징편(11)과 제2하우징편(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하우징편(12)은 상단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된 원반형 덮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핀 삽입구멍(14)이 상기 원반형 덮개부(13)의 중앙에서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편(11)은 내측벽에 중심축방향을 따라 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a)의 하부에는 단턱부(11b)가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부(11b)의 뒤쪽 선단에는 콘택트가 삽입되는 슬릿(11c)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편(12)은 내측벽에 수용홈(12a)이 중심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2a)의 하부에는 상기 제1 하우징편(11)의 단턱부(11b)가 끼워져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슬릿(13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구(20)는 상기 제1 하우징편(11)에 설치되는 고정콘택트(21)와, 상기 제2 하우징편(12)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콘택트(21)와 접촉 또는 단락하는 가동콘택트(2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콘택트(21)는 상기 제1 하우징편(11)의 저면에 개방된 슬릿(11c)을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벽에 형성된 수용홈(11a)에 안착되는 평판형 접촉부(21a)와, 상기 접촉부(21a)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하우징편(11)의 저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단자부(2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콘택트(22)는 제2 하우징편(12)의 저면에 개방된 슬릿(12c)을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벽에 형성된 수용홈(1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평판형 고정부(22a)와, 상기 고정부(22a)의 하단에서 호형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된 넥크부(neck, 22b)와, 상기 넥크부(22b)의 선단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22a)에서 점차 벌어지게 연장되고 선단에는 상대 커넥터핀을 안내하는 안내부(22d)를 구비한 스프링부(22c)와, 상기 스프링부(22c)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콘택트(21)의 접촉부(21a)에 접촉하는 접촉단자부(22e)와, 상기 고정부(22a)의 하단에서 뒤쪽으로 연장되어 제1 하우징편(12)의 저면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단자부(22f)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편(11)과 제2 하우징편(12)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편 내측벽에는 결합돌기(11d)가 구비되고, 다른 하우징편의 내측벽에는 상기 결합돌기(11d)를 수용하는 결합홈(12b)이 대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KR20-2003-0016832U 2003-05-29 2003-05-29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KR200324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32U KR200324795Y1 (ko) 2003-05-29 2003-05-29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32U KR200324795Y1 (ko) 2003-05-29 2003-05-29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515A Division KR100490088B1 (ko) 2003-05-29 2003-05-29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795Y1 true KR200324795Y1 (ko) 2003-08-27

Family

ID=4941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832U KR200324795Y1 (ko) 2003-05-29 2003-05-29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7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571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switch
KR100593823B1 (ko)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US6241541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JP2002134237A (ja) 多極ジャック、多極プラグ、並びに多極ジャックと多極プラグとの接続構造
JP3699644B2 (ja) 給電端子内蔵モータ
JP2736697B2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
US7938677B1 (en) Electrical jumper with retaining arrangements
US6461174B1 (en) Power connector more easily and cheaply manufactured
US20090053922A1 (en) Connector for jack
JP7300058B2 (ja) 電気的プラグコネクタ
KR100490088B1 (ko)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KR200324795Y1 (ko) 스위치가 구비된 동축커넥터
US6336820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KR20160100615A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CN111834852B (zh) 电连接器组合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3825238B2 (ja) 防水コネクタ
JP7392688B2 (ja) コネクタセット
CN210110605U (zh) 一种微型按钮开关
US7314381B2 (en) Electric component having connector attached to case via seal member
US20060083399A1 (en) Earphone connector assembly
KR20080055242A (ko)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2024030590A (ja) 多重嵌合するコネクタを備えるコネクタ組立体
JP3684753B2 (ja) 蛍光ランプソケット
JPH0621191Y2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