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615A -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615A
KR20160100615A KR1020150023272A KR20150023272A KR20160100615A KR 20160100615 A KR20160100615 A KR 20160100615A KR 1020150023272 A KR1020150023272 A KR 1020150023272A KR 20150023272 A KR20150023272 A KR 20150023272A KR 20160100615 A KR20160100615 A KR 20160100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ixed
housing
insulative housing
mov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604B1 (ko
Inventor
진장범
고상용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5002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604B1/ko
Priority to PCT/KR2016/001566 priority patent/WO2016133348A1/ko
Publication of KR2016010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가동 단자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되었을 때 가동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 하우징과,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이 상측으로부터 장착되는 하부 절연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절연 하우징 본체;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가능하도록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단자와 접촉되는 가동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고정부의 하면에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접촉부에 의해 상기 가동 단자와의 접촉압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실장되어 고주파 신호 회로를 전환하는 스위치가 장착된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기기에서 내장되는 고주파 회로의 검사용으로 스위치가 장착된 동축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상부 절연 하우징과, 상부 절연 하우징이 상측으로부터 장착되는 하부 절연 하우징과, 상부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와, 하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가동 단자로 이루어진다. 고정 단자는 하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가동 단자는 하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와 맞닿게 되고 또한 고정단자와 접촉 가능한 탄성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동축 커넥터에서 동축 플러그가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지 않을 때에는, 가동 단자는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단자에 눌려져 접촉됨으로써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동축 플러그가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의 하단부가 상부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 통과된다. 이 상태에서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는 가동 단자의 탄성부에 맞닿게 되고, 탄성부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져 탄성 변형되면서 고정 단자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는 전기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와 가동 단자가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가동 단자로부터 고정 단자로 흐르던 신호를 가동 단자로부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로 보내어 가동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고주파 회로를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동축 커넥터는 가동 단자를 눌러주는 고정 단자의 접촉압력이 부족할 경우,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있다.
또한, 가동 단자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되었을 때 가동 단자의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복원력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이 발생하여 스위치의 기능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6259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동 단자를 눌러주는 고정 단자의 접촉압력을 높여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동 단자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되었을 때 가동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동축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 하우징과,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이 상측으로부터 장착되는 하부 절연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절연 하우징 본체;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가능하도록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단자와 접촉되는 가동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고정부의 하면에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접촉부에 의해 상기 가동 단자와의 접촉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과의 인서트 몰딩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단자 고정부; 상기 고정 단자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고정 단자 리드부; 및 상기 고정 단자 고정부의 하면에 한 쌍의 접점이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 하우징과,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이 상측으로부터 장착되는 하부 절연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절연 하우징 본체;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가능하도록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단자와 접촉되는 가동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고정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되는 탄성 가동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가동부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되었을 때,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상기 탄성 가동부의 탄성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응력 분산을 통하여 상기 탄성 가동부의 영구 변형을 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과의 인서트 몰딩에 의해 고정되는 평판 형상의 가동 단자 고정부;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기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가동 단자 리드부;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기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벤딩되고,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상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정 단자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고정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되는 외팔보형 판스프링 형상을 가지는 탄성 가동부; 및 상기 탄성 가동부의 양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탄성 가동부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동체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되었을 때 상기 탄성 가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상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상향으로 벤딩되는 곡면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가동부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동체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되었을 때, 상기 탄성 지지부의 곡면 단부가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동 단자 리드부는 상기 탄성 가동부의 기단측 중앙부를 절개하여 획득되는 절개 폐쇄단면 부분을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기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벤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은 하부 측면에 하우징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은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의 하부가 상면에 삽입 장착되도록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의 하부 측면과 대응되는 하우징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장착홈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을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조립시, 상기 가이드 리브가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과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이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은 상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상기 외부 도체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에 조립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노치부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와 상기 외부 도체가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 조립방법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 하우징의 하면에 고정 단자를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하는 단계; 하부 절연 하우징의 상면에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 단자를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을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장착하여 절연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의 외측에 외부 도체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을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조립시, 상기 가동 단자의 탄성 가동부가 상기 고정 단자의 고정 단자 고정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접촉부에 의해 눌리면서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가동 단자와 상기 고정 단자 간 접촉압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가동 단자가 고정 단자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접촉부에 의해 눌려지면서 접촉되므로 고정 단자와의 접촉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가동 단자를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하고, 가동 단자의 탄성 가동부로부터 분기된 탄성 지지부가 탄성 가동부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동 단자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되었을 때 가동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하여 스위치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부 절연 하우징을 하부 절연 하우징에 조립시, 상부 절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가 하부 절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상부 절연 하우징과 하부 절연 하우징 간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하부 절연 하우징 상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외부 도체에 노치부를 형성하여 외부 도체를 하부 절연 하우징에 조립시 가이드 돌기가 노치부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하부 절연 하우징과 외부 도체 간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동축 커넥터의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 단자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동축 커넥터의 하부 절연 하우징에 가동 단자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상부 절연 하우징과 하부 절연 하우징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고정 단자의 (a)사시도 및 (b)측면도.
도 8은 가동 단자의 (a)사시도 및 (b)측면도.
도 9는 가동 단자의 탄성 지지부 유무에 따른 응력 분포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동축 커넥터의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 단자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동축 커넥터의 하부 절연 하우징에 가동 단자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상부 절연 하우징과 하부 절연 하우징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고정 단자의 (a)사시도 및 (b)측면도이며, 도 8은 가동 단자의 (a)사시도 및 (b)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10)는 절연 하우징 본체(100), 외부 도체(200), 고정 단자(300) 및 가동 단자(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축 커넥터(10)는 기판(미도시) 상에 실장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된 고정 단자(300)의 리드부(320)와 가동 단자(400)의 리드부(420)를 통해 기판에 접속되어 기판 회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절연 하우징 본체(100)는 상부 절연 하우징(110)과 하부 절연 하우징(120)으로 구성되고,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형성된다.
상부 절연 하우징(110)은 원통부(111) 및 커버부(113)를 구비한다. 원통부(111)는 커버부(113)의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 오목부(111a)가 형성된다. 오목부(111a)의 저면 중앙에는 상대측 동축 플러그(미도시)의 중심 도체(20, 도 9 참조)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세로방향의 홀(110a)이 원통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커버부(113)는 하부 절연 하우징(120)에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장착홈(120a)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 장착홈(120a)과 대응하는 외형을 가진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113)는 측면에 하우징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리브(113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부(113)는 대향되는 양측면에 반원형의 가이드 리브(113a)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커버부(113)를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하우징 장착홈(120a)에 장착시 커버부(113)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리브(113a)가 하우징 장착홈(120a)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120e)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절연 하우징(110)과 하부 절연 하우징(120)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하부 절연 하우징(120)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절연 하우징(120)은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커버부(113)가 상면에 삽입 장착되도록 커버부(113)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하우징 장착홈(120a)이 형성된다. 하우징 장착홈(120a)은 상부 절연 하우징(110)과 하부 절연 하우징(120)을 조립시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세로방향의 홀(110a)과 연통되도록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요홈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절연 하우징(120)은 후술할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4개의 고정편(411)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대향되는 2개의 면에 각각 고정 단자 고정홀(120c)을 하우징 장착홈(120a)과 연통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하부 절연 하우징(120)은 대향되는 2개의 면, 바람직하게는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2개의 면의 각각 중앙부에 고정 단자 리드부(320)와 가동 단자 리드부(42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홈 형태의 컷아웃부(120d)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절연 하우징(120)은 하우징 장착홈(120a)의 양측면에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커버부(113)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커버부(113)의 가이드 리브(113a)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홈(120e)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절연 하우징(110)을 하부 절연 하우징(120)에 조립시, 가이드 리브(113a)가 가이드 홈(120e)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상부 절연 하우징(110)과 하부 절연 하우징(120)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하부 절연 하우징(120)은 상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외부 도체(200)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돌기(12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상면의 두 개의 모서리에 가이드 돌기(121)를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 또는 세 개의 모서리에 가이드 돌기(121)를 형성하거나 네 개의 모서리 모두에 가이드 돌기(1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외부 도체(200)는 절연 하우징 본체(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대측 동축 커넥터(미도시)의 외부 도체(미도시)와 접촉하고, 금속판을 스탬핑하고 굽힘 가공,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다.
외부 도체(200)는 플랫부(210), 원통부(220) 및 다리부(230)를 구비한다. 플랫부(210)는 판형상의 부재이며,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상측에 씌워진다. 플랫부(210)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부(220)가 마련된다. 원통부(220)는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원통부(111)와 동심이 되도록 형성되고, 외부 도체(200)의 원통부(220) 외주면에는 반원 단면의 고리형 홈(220a)이 형성되어 이 고리형 홈(220a)에 상대측 동축 커넥터의 외부 도체가 끼워 맞춰지게 된다. 외부 도체(200)는 통상 어스(ground connection)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외부 도체(200)의 외표면은 필요에 따라 도금될 수 있다. 다리부(230)는 플랫부(210)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다리부(230)는 플랫부(210)로부터 연장된 판형상부재의 일부를 하방으로 눌러 구부려 코킹함으로써, 외부 도체(200)를 절연 하우징 본체(10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체(200)는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치부(211)가 형성되어 외부 도체(200)를 절연 하우징 본체(100)에 조립시, 가이드 돌기(121)가 노치부(211)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절연 하우징 본체(100)와 외부 도체(200) 간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고정 단자(300)는 상부 절연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고정 단자(300)는 고정 단자 고정부(310), 고정 단자 리드부(320) 및 접촉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단자 고정부(3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단자 리드부(320)의 폭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 단자 고정부(310)는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커버부(113) 하면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한다.
고정 단자 리드부(320)는 고정 단자 고정부(310)로부터 하방으로 ‘ㄴ’ 자 형상으로 벤딩되고,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커버부(113)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리드부 삽입구(113c)를 통해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기판에 접속된다. 또한, 고정 단자 리드부(320)는 동축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일측에 형성된 컷아웃부(120d)로부터 절연 하우징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접촉부(330)는 고정 단자 고정부(310)의 하면에 한 쌍의 접점이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접촉부(330)에 의해 가동 단자(400)의 탄성 가동부(430)와의 접촉압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부(330)의 접점을 원형 돌기 형태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돌기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가동 단자(400)는 하부 절연 하우징(120)에 고정되고, 상대측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에 의해 변위 가능하도록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 단자(300)와 접촉된다.
가동 단자(400)는 가동 단자 고정부(410), 가동 단자 리드부(420), 탄성 가동부(430) 및 탄성 지지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단자 고정부(410)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동 단자 리드부(420)의 폭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된다. 가동 단자 고정부(410)는 하우징 장착홈(120a)의 내부 저면에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한다. 또한,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4개의 모서리에는 각각 고정편(411)이 전후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전후로 대향되는 2개의 면에 고정된다.
가동 단자 리드부(420)는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기단으로부터 하방으로 ‘ㄴ’ 자 형상으로 벤딩되어 동축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타측에 형성된 컷아웃부(120d)로부터 절연 하우징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기판에 접속된다. 또한, 가동 단자 리드부(420)는 탄성 가동부(430)의 기단측 중앙부를 절개(420a)하여 획득되는 절개 폐쇄단면 부분을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기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벤딩하여 형성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탄성 가동부(430)는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양측 기단으로부터 상방으로 ‘ㄷ’ 자 형상으로 벤딩되고,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탄성 가동부(430)의 선단부가 고정 단자(300)를 향해 연장되어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와 접촉된다. 이때, 탄성 가동부(430)의 선단부는 고정 단자(30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접촉부(330)에 의해 눌려지므로 고정 단자(300)와의 접촉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탄성 가동부(430)는 외팔보형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 가동부(430)는 상대측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가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홀(110a)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고정 단자(300)의 돌출된 접촉부(330)와 접촉되고, 상대측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가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홀(110a)에 삽입된 경우 중심 도체(20)에 의해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로부터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다.
탄성 지지부(440)는 탄성 가동부(430)의 대략 중앙 양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하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면서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상면에 지지되며, 탄성 가동부(430)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되었을 때 탄성 가동부(430)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또한, 탄성 지지부(440)는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상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상향으로 벤딩되는 원형 곡면 단부(440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탄성 가동부(430)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되었을 때, 탄성 지지부(440)의 원형 곡면 단부(440a)가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상면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도 9는 가동 단자의 탄성 지지부 유무에 따른 응력 분포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 가동부(430)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440)가 없는 경우 탄성 가동부(430)의 벤딩 기단측 "A"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탄성 가동부(430)의 영구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 가동부(430)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440)가 있는 경우 탄성 지지부(440)에 의해 탄성 가동부(430)의 탄성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탄성 가동부(430)의 벤딩 기단측 "A" 부분과 탄성 지지부(440)측 "B" 부분에 응력이 분산되어 탄성 가동부(430)의 영구 변형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플러그가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지 않을 때에는, 가동 단자(400)는 판스프링 형상의 탄성 가동부(43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단자(400)의 선단부가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와 접촉됨으로써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가동 단자(400)의 탄성 가동부(430)가 고정 단자(30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접촉부(330)에 의해 눌려지므로 고정 단자(300)와의 접촉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동축 플러그가 동축 커넥터(1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의 하단부가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홀(110a)에 삽입 통과되어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는 가동 단자(400)의 탄성 가동부(430)에 맞닿는다. 이때,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의 탄성력은 탄성 가동부(430)의 탄성력 보다 강하기 때문에, 탄성 가동부(430)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 가동부(430)의 선단부가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로부터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된다. 이때, 판스프링 형상을 갖는 탄성 가동부(430)로부터 분기된 한 쌍의 탄성 지지부(440)가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상면에 지지되어 탄성 가동부(430)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동체(20)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되었을 때 탄성 가동부(430)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가동 단자(400)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하여 스위치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가 전기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와 가동 단자(4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가동 단자(400)로부터 고정 단자(300)로 흐르던 신호를 가동 단자(400)로부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로 보내어 휴대 전화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기기에 내장된 고주파 회로를 검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10) 조립방법은,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300)를 상부 절연 하우징(110)의 하면에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한다. 이때, 고정 단자(300)의 하면에 한 쌍의 접촉부(330)가 돌출된다.
다음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 단자(400)를 하부 절연 하우징(120)의 상면에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한다. 이때, 가동 단자(400)의 탄성 가동부(430)는 탄성 지지부(44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절연 하우징(110)을 하부 절연 하우징(120)에 장착하여 절연 하우징 본체(100)를 형성한다. 이때, 가동 단자(400)의 탄성 가동부(430)가 고정 단자(30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접촉부(330)에 의해 눌리면서 접촉되므로 가동 단자(400)와 고정 단자(300) 간 접촉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부 절연 하우징(110)을 하부 절연 하우징(120)에 조립시, 상부 절연 하우징(110)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13a)가 하부 절연 하우징(120)에 형성된 가이드 홈(120e)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상부 절연 하우징(110)과 하부 절연 하우징(120) 간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200)를 제 3 캐리어(530)를 통해 이송하여 절연 하우징 본체(100)의 외측에 장착한다. 이때, 외부 도체(200)를 절연 하우징 본체(100)에 조립시, 하부 절연 하우징(12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1)가 외부 도체(200)에 형성된 노치부(211)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절연 하우징 본체(100)와 외부 도체(200) 간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200)의 양측 다리부(230)를 눌러 구부려 코킹한다. 이로써 외부 도체(200)가 절연 하우징 본체(100)에 고정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동축 커넥터 100 : 절연 하우징 본체
110 : 상부 절연 하우징 111 : 원통부
113 : 커버부 120 : 하부 절연 하우징
121 : 가이드 돌기 200 : 외부 도체
210 : 플랫부 211 : 노치부
220 : 원통부 230 : 다리부
300 : 고정 단자 310 : 고정 단자 고정부
320: 고정 단자 리드부 330 : 접촉부
400 : 가동 단자 410 : 가동 단자 고정부
420 : 가동 단자 리드부 430 : 탄성 가동부
440 : 탄성 지지부

Claims (9)

  1.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 하우징과,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이 상측으로부터 장착되는 하부 절연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절연 하우징 본체;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가능하도록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단자와 접촉되는 가동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고정부의 하면에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접촉부에 의해 상기 가동 단자와의 접촉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의 하면에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되는 고정 단자 고정부;
    상기 고정 단자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고정 단자 리드부; 및
    상기 고정 단자 고정부의 하면에 한 쌍의 접점이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3.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 하우징과,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이 상측으로부터 장착되는 하부 절연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절연 하우징 본체;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가능하도록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단자와 접촉되는 가동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고정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되는 탄성 가동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가동부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되었을 때,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상기 탄성 가동부의 탄성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응력 분산을 통하여 상기 탄성 가동부의 영구 변형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의 상면에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되는 평판 형상의 가동 단자 고정부;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기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가동 단자 리드부;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기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벤딩되고,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상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정 단자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고정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되는 외팔보형 판스프링 형상을 가지는 탄성 가동부; 및
    상기 탄성 가동부의 양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탄성 가동부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동체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되었을 때 상기 탄성 가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상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상향으로 벤딩되는 원형 곡면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가동부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동체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 되었을 때, 상기 탄성 지지부의 원형 곡면 단부가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 리드부는 상기 탄성 가동부의 기단측 중앙부를 절개하여 획득되는 절개 폐쇄단면 부분을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기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벤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은 하부 측면에 하우징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은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의 하부가 상면에 삽입 장착되도록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의 하부 측면과 대응되는 하우징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장착홈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을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조립시, 상기 가이드 리브가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과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이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은 상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상기 외부 도체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에 조립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노치부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와 상기 외부 도체가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9.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상부 절연 하우징의 하면에 고정 단자를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하는 단계;
    하부 절연 하우징의 상면에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 단자를 인서트 몰딩으로 일체화 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을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장착하여 절연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의 외측에 외부 도체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절연 하우징을 상기 하부 절연 하우징에 조립시, 상기 가동 단자의 탄성 가동부가 상기 고정 단자의 고정 단자 고정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접촉부에 의해 눌리면서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가동 단자와 상기 고정 단자 간 접촉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방법.
KR1020150023272A 2015-02-16 2015-02-16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10168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272A KR101685604B1 (ko) 2015-02-16 2015-02-16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PCT/KR2016/001566 WO2016133348A1 (ko) 2015-02-16 2016-02-16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272A KR101685604B1 (ko) 2015-02-16 2015-02-16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615A true KR20160100615A (ko) 2016-08-24
KR101685604B1 KR101685604B1 (ko) 2016-12-12

Family

ID=5669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272A KR101685604B1 (ko) 2015-02-16 2015-02-16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5604B1 (ko)
WO (1) WO2016133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5998B2 (ja) * 2017-08-10 2022-12-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環状の嵌合部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装置
CN107887735B (zh) * 2017-11-28 2019-12-10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同轴连接器
WO2021229945A1 (ja) * 2020-05-14 2021-11-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192A (ja) * 1989-10-30 1991-06-17 Hitachi Ltd ロボットの速度異常検出装置
KR20010062590A (ko) 1999-12-21 2001-07-07 무라타 야스타카 전자부품, 동축 커넥터 및 통신 장치
KR20060005876A (ko) * 2004-07-14 2006-01-18 (주)베스트원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JP2011134475A (ja) * 2009-12-22 2011-07-07 Smk Corp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2013254583A (ja) * 2012-06-05 2013-12-19 Daiichi Seiko Co Ltd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192B2 (ja) * 1993-07-20 2001-03-07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血中脂質改善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TWM336614U (en) * 2008-02-14 2008-07-11 Chant Sincere Co Ltd Coaxial connector
JP4945596B2 (ja) * 2009-03-31 2012-06-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192A (ja) * 1989-10-30 1991-06-17 Hitachi Ltd ロボットの速度異常検出装置
KR20010062590A (ko) 1999-12-21 2001-07-07 무라타 야스타카 전자부품, 동축 커넥터 및 통신 장치
KR20060005876A (ko) * 2004-07-14 2006-01-18 (주)베스트원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JP2011134475A (ja) * 2009-12-22 2011-07-07 Smk Corp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2013254583A (ja) * 2012-06-05 2013-12-19 Daiichi Seiko Co Ltd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3348A1 (ko) 2016-08-25
KR101685604B1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571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switch
EP1187267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US7217137B1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JP2008532244A (ja) 遊動型電子コネクタ
KR19990081751A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JP2005183025A (ja) スプリングコネクタ
CN106816786B (zh) 射频连接器组件
US20060234562A1 (en) Socket connector for coaxial plug
KR101685604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CN110571555A (zh) 板对板连接器组件
US7101207B1 (en) Memory card connector
US20070275605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Cable to a Circuit Board
US683772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nternal switch
CN210576565U (zh) 板对板连接器组件
JP4527150B2 (ja) 電気的接触のための切替え機構を有する同軸コネクタ
KR20140145200A (ko) 동축 커넥터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3859907B2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US11515669B2 (en) Floating header and circuit board assembly
JP5895554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CN112864740A (zh) 一种浮动连接器
CN217768855U (zh) 开关同轴连接器
US9923291B2 (en) Audio jack connector having compressive contacts
KR20220089641A (ko) 보드 접속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드 접속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