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200A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200A
KR20140145200A KR1020147031754A KR20147031754A KR20140145200A KR 20140145200 A KR20140145200 A KR 20140145200A KR 1020147031754 A KR1020147031754 A KR 1020147031754A KR 20147031754 A KR20147031754 A KR 20147031754A KR 20140145200 A KR20140145200 A KR 20140145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onnector
terminal
axis direction
cylindrical por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오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4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20Two-pole devices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33/205Two-pole devices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ecured to structure or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상대방 동축 커넥터가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체에는 프로브(130)가 아랫방향을 향하여 삽입되는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단자(14)는 위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멍(34a)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32)이며, 외부단자(132)에 삽입되는 통부(32), 및 통부(32)의 하단에 접속되면서, 위쪽을 향하는 면을 가지는 플랫부 (31)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단자(22)는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단자(20)는 본체에 고정되면서, 고정단자(22)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고, 프로브(130)가 접촉함으로써 고정단자(22)로부터 멀어진다. 통부(32)의 바깥둘레면에는 플랫부(31)에 인접하면서, 위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주회하고 있는 홈(G)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관하여, 보다 특정적으로는 휴대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 장치에 넣어서 신호 경로의 전환을 실시하는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에 관한 발명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도 7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510)의 단면 구조도이다.
동축 커넥터(510)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512), 외부단자(514), 가동단자(520) 및 고정단자(522)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단자(520) 및 고정단자(522)는 본체(512)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단자(520)는 고정단자(522)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압접(壓接)하고 있다. 또, 본체(512)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534a)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단자(514)는 구멍(534a)과 동심(同心)의 원통부(532) 및 원통부(532)의 하단(下端)에 접속된 플랫부(flat portion)(5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축 커넥터(510)에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방 동축 커넥터(540)가 장착된다. 상대방 동축 커넥터(540)는 프로브(probe)(542) 및 외부단자(544)를 포함하고 있다. 프로브(542)는 구멍(534a)에 삽입되어 가동단자(520)를 아래로 누른다. 이로 인해, 가동단자(520)와 고정단자(522)가 멀어지고, 가동단자(520)와 프로브(542)가 접속된다. 또, 외부단자(514)의 원통부(532)는 외부단자(544) 내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외부단자(514)와 외부단자(544)가 접속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510)에서는 상대방 동축 커넥터(540)가 동축 커넥터(510)로부터 쉽게 빠질 우려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부(532)의 바깥둘레면에는 홈(550)이 마련되어 있다. 또, 외부단자(544)의 하단에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기(突起)(55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대방 동축 커넥터(540)가 동축 커넥터(510)에 장착될 때에는 돌기(552)가 홈(550)에 끼워맞춰진다.
그러나,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550)이 원통부(532)의 상하방향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외부단자(544)의 하단은 플랫부(531)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 동축 커넥터(540)는 원통부(532)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플랫부(531)에 의해서는 지지되고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 동축 커넥터(540)는 외력이나 진동 등에 의해 기울어서 동축 커넥터(510)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
일본국 특허 제4442719호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방 동축 커넥터가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봉상(棒狀)의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상(筒狀)의 제1 외부단자를 포함한 상대방 동축 커넥터가 착탈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프로브가 아랫방향을 향하여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위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이며, 상기 제1 외부단자에 삽입되는 통부, 및 상기 통부의 하단에 접속되면서, 위쪽을 향하는 면을 가지는 베이스부에 의해 구성되는 제2 외부단자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단자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단자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는 가동단자이며, 상기 프로브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고정단자로부터 멀어지는 가동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통부의 바깥둘레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에 인접하면서, 위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주회(周回)하고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 동축 커넥터가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斜視圖)이다.
도 2는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下部)케이스 위에 가동단자 및 고정단자가 장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상부(上部)케이스 위에 가동단자 및 고정단자가 장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a)는 상대방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의 동축 커넥터의 xz평면에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6(b)는 상대방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을 때의 동축 커넥터의 xz평면에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또, 도 2 및 도 3은 동축 커넥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이 동축 커넥터(10)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외부단자(14), 상부케이스(16) 및 하부케이스(18)를 겹치는 방향을 z축방향으로 한다. z축방향의 양방향은 하부케이스(18)에서 외부단자(14)를 향하는 방향이다. 또, 가동단자(20) 및 고정단자(22)가 나열되는 방향을 x축방향으로 하고, x축방향과 z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방향으로 한다. x축방향의 양방향은 가동단자(20)에서 고정단자(22)를 향하는 방향이다.
동축 커넥터(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2), 금속제의 외부단자(14), 금속제(예를 들면, SUS301의 스테인리스)의 가동단자(20) 및 고정단자(22)를 포함하고, 2㎜×2㎜×0.9㎜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 본체(1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제의 상부케이스(16) 및 하부케이스(18)가 z축방향의 양방향쪽에서 음방향쪽으로 순서대로 겹쳐서 구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을 하고 있고, z축방향 양방향쪽의 면에 상부케이스(16)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돌기(52a, 52b)를 가지고 있다. 돌기(52a, 52b)는 하부케이스(18)에 있어서 y축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변을 따라 x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하부케이스(18)에는 구멍(53a, 53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8)의 y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2변 각각의 중앙부에는 가동단자(20) 및 고정단자(22)가 외부에 인출되기 위한 직사각형의 컷아웃부(54, 5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컷아웃부(54)의 x축방향 양방향쪽의 근방에는 가동단자(2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돌기(5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컷아웃부(54)와 돌기(56)의 사이에는 가동단자(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57)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컷아웃부(55)의 x축방향 음방향쪽의 근방에는 고정단자(2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58)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4) 및 커버부(35)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부(35)는 돌기(52a, 52b)를 따른 외형을 가진 판상(板狀)부재이며, 돌기(52a, 52b) 사이에 끼워 넣는다. 원통부(34)는 커버부(35)의 중앙에 있어서 z축방향의 양방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원통부(34)에는 z축방향의 양방향쪽이 막자사발형상으로 개구(開口)하면서, xy평면에서의 원형 단면의 구멍(34a)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34a)은 상부케이스(16)를 관통하고 있다. 구멍(34a)에는 상대방 동축 커넥터의 프로브가 막자사발형상 개구쪽에서 z축방향의 음방향쪽을 향하여 삽입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6)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축방향의 음방향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원주형의 립(rib)(36a, 36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립(36a, 36b)은 각각, 하부케이스(18)에 마련되어 있는 구멍(53a, 53b)에 삽입됨으로써 상부케이스(16)와 하부케이스(18)를 위치 결정한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6)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면에 있어서, x축방향 음방향쪽의 끝 근방에 가동단자(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37)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면(37)은 동축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에, 고정면(57)과 함께 가동단자(20)를 끼워서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상부케이스(16)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면에 있어서, x축방향 양방향쪽의 끝 근방에 고정단자(2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39)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면(39)은 동축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에, 고정면(58)과 함께 고정단자(22)를 끼워서 고정한다. 또한, 고정면(39)의 x축방향의 음방향쪽에는 배치부(38)가 마련되어 있다. 배치부(38)는 상부케이스(16)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면에 있어서, z축방향의 음방향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후술하는 고정단자(22)의 고정부(48) 및 접촉부(50a, 50b)가 배치된다. 배치부(38)는 z축방향의 음방향쪽으로 감에 따라 y축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계단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 가동단자(20) 및 고정단자(22)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하부케이스(18) 위에 가동단자(20) 및 고정단자(22)가 장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상부케이스(16) 위에 가동단자(20) 및 고정단자(22)가 장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고정단자(22)는 평판상(平板狀)의 금속판을 펀칭하고, 굴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48), 리드부(49) 및 접촉부(50a, 5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48)는 동축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에, 고정면(39)과 고정면(58) 사이에 끼임으로써 본체(12)에 고정되는 평탄부분이다. 리드부(49)는 고정부(48)의 x축방향의 양방향쪽에 접속되고, L자형상으로 굴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리드부(49)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에, 컷아웃부(55)로부터 본체(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접촉부(50a, 50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48)로부터 y축방향의 양방향쪽 및 음방향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고정부(48)에 대하여 z축방향의 양방향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접촉부(50a, 50b)는 z축방향의 음방향쪽을 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가동단자(20)와 접촉한다. 상기 접촉부(50a, 50b)는 후술하는 브랜치부(branch portions)(44a, 44b)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접촉부(50a, 50b)와 고정부(48) 사이의 꺾은선은 x축방향과 평행하다. 접촉부(50a, 50b) 사이의 고정부(48) 및 접촉부(50a, 50b)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50a, 50b) 및 고정부(48)를 따른 형상을 가지는 배치부(38) 위에 배치된다.
가동단자(20)는, 스프링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굴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42), 리드부(43) 및 판 스프링부(plate spring portion)(44)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부(42)는 동축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에, 고정면(37)과 고정면(57) 사이에 끼임으로써 본체(12)에 고정되는 평탄부분이다. 리드부(43)는 고정부(42)의 x축방향의 음방향쪽에 접속되고, L자형상으로 굴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드부(43)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에 컷아웃부(54)로부터 본체(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판 스프링부(4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42)로부터 고정단자(22)를 향하여 x축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고정단자(22)의 접촉부(50a, 50b)와 접촉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 선단(先端)(ta, tb)에 있어서 하부케이스(1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판 스프링부(44)는 선단(ta, tb)쪽(x축방향의 양방향쪽)에 있어서 2개로 갈라져 나와서 형성되어 있는 브랜치부(44a, 44b)를 가지고 있다. 고정단자(22)는 상기 브랜치부(44a, 44b)의 사이에 위치하고, 고정단자(22)의 접촉부(50a, 50b)는 각각, z축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브랜치부(44a, 44b)에 겹치도록 z축방향의 양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y축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또, 판 스프링부(44)는 z축방향의 양방향쪽으로 돌출되도록 만곡(彎曲)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브랜치부(44a, 44b)는 각각, 판 스프링부(44)의 어징 포스(付勢力; urging force)에 의해 z축방향의 음방향쪽으로부터 접촉부(50a, 50b)에 압접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가동단자(20)와 고정단자(22)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부(44) 및 고정부(42)에 걸쳐서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45)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56)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가동단자(20)가 xy평면 내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가동단자(20) 및 고정단자(2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고정단자(22)가 상부케이스(16)에 장착되고 나서 가동단자(20)가 상부케이스(16)에 장착된다. 이로 인해, 브랜치부(44a, 44b)의 z축방향 양방향쪽의 부분과 접촉부(50a, 50b)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부분이 접촉한다.
외부단자(14)는 상대방 동축 커넥터의 외도체(外導體)와 접촉하고, 스테인리스(예를 들면, SUS301)의 금속판을 펀칭, 굴곡 가공, 압축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부(31), 원통부(32) 및 다리부(33a, 33b)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단자(14)는 통상 어스(earth)로서 기능하고 있고, 외부단자(14)의 외표면(外表面)에는 필요에 따라서 도금을 입힌다.
원통부(32)는, 원통부(34)와 동심이 되는 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부재이며, 상대방 동축 커넥터의 외도체와 끼워맞춰진다. 이로 인해, 원통부(32)는 z축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멍(34a)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플랫부(31)(베이스부)는 z축방향의 양방향쪽을 향하는 면을 가지는 판상부재이며, 원통부(32)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단부(端部)에 접속되어 있다. 플랫부(31)는 상부케이스(16)를 z축방향의 양방향쪽에서 덮는다. 플랫부(31)의 y축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변에는 다리부(33a, 33b)가 마련되어 있다. 다리부(33a, 33b)는 플랫부(31)로부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체의 일부를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6) 및 하부케이스(18)를 끼워서 고정한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외부단자(14)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의 동축 커넥터(10)의 xz평면에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6(b)는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가 장착되어 있을 때의 동축 커넥터(10)의 xz평면에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단자(14)의 원통부(32)의 바깥둘레면에는, 원통부(32)의 바깥둘레면이 원통부(32)의 중심을 향하여 움푹 들어감으로써 형성된 홈(G)이 마련되어 있다. 홈(G)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축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원통부(32)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주회하는 환상(環狀)을 이루고 있다. 또, 홈(G)은 원통부(32)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플랫부(31)에 인접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원통부(32)에 있어서, 홈(G)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을 영역 E2라고 부른다. 또, 원통부(32)에 있어서, 영역 E2보다도 z축방향 양방향쪽의 영역을 영역 E1이라고 부른다.
또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2)에서의 영역 E1에는 홈(G)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영역 E1에서의 원통부(32)의 두께는 영역 E2에서의 원통부(32)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또한, 원통부(32)에서의 플랫부(31)와의 접합부(C)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축방향의 양방향쪽으로 감에 따라서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접합부(C)는 홈(G)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안쪽 둘레면(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축 커넥터(10)는 이하와 같이 조립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단자(22)를 위치에 맞춰서 상부케이스(16)에 장착하고, 그 후, 가동단자(20)를 위치에 맞춰서 상부케이스(16)에 장착한다. 한편, 도 5에서 다리부(33a, 33b)는 절곡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이 단계에 있어서 다리부(33a, 33b)는 절곡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6)에 대하여 z축방향의 양방향쪽에서 외부단자(14)를 장착한다. 이때, 원통부(34)는 원통부(32)에 삽입된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6)에 대하여 z축방향의 음방향쪽에서 하부케이스(18)를 겹친다. 이때, 립(36a, 36b)이 구멍(53a, 53b)에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외부단자(14)의 다리부(33a, 33b)를 크림핑(crimped)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동축 커넥터(10)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 착탈시의 동축 커넥터(10)의 동작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브(130) 및 외부단자(132)를 포함하고 있다. 프로브(130)는 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부재이다. 프로브(130)에는 신호가 인가된다. 외부단자(132)는 프로브(130)의 주위를 둘러싸고, 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상의 부재이다. 또, 외부단자(132)에는 돌기(134)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134)는 z축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외부단자(132)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선단 안쪽 둘레면을 따라 주회하고, 외부단자(132)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외부단자(132)는 접지 전위로 유지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가동단자(20)는 x축방향의 중앙부가 z축방향의 양방향쪽으로 볼록해진 상태이다. 이로 인해, 브랜치부(44a, 44b)(도 6에서는 브랜치부(44a)만 기재)는 판 스프링부(44)의 어징 포스에 의해 접촉부(50a, 50b)(도 6에서는 접촉부(50a)만 기재)에 압접되어 있고, 가동단자(20)와 고정단자(22)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가 장착될 때에는 구멍(34a)을 통해서 상대방 동축 커넥터의 프로브(130)가 z축방향의 양방향쪽에서 음방향쪽으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프로브(130)는 판 스프링부(44)에 접촉하고, 상기 판 스프링부(44)를 z축방향의 음방향쪽으로 아래로 누른다. 즉, 판 스프링부(44)는 프로브(130)가 접촉함으로써 고정단자(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부(44)의 브랜치부(44a, 44b)는 접촉부(50a, 50b)로부터 멀어지고, 가동단자(20)와 고정단자(22)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는 한편, 프로브(130)와 가동단자(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외부단자(14)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의 외부단자(132) 내에 삽입된다. 이때, 외부단자(132)의 돌기(134)는 홈(G)에 끼워맞춰진다. 또, 외부단자(132)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단부는 플랫부(31)에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외부단자(14)와 외부단자(132)는 서로 끼워맞춰져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상대방 동축 커넥터를 동축 커넥터(10)로부터 빼면, 판 스프링부(44)의 x축방향의 중앙부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축방향의 양방향쪽으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가동단자(20)와 고정단자(22)가 다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편, 프로브(130)와 가동단자(20)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축 커넥터(10)에 의하면,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가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500)에서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550)이 원통부(532) 상하방향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외부단자(544)의 하단은 플랫부(531)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 동축 커넥터(540)는 원통부(532)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플랫부(531)에 의해서는 지지되어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 동축 커넥터(540)는 외력이나 진동 등에 의해 기울어져서 동축 커넥터(510)로부터 빠져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동축 커넥터(10)에서 홈(G)은 플랫부(31)에 인접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의 돌기(134)가 홈(G)에 끼워맞춰졌을 때에, 외부단자(132)의 z축방향 음방향쪽의 단부가 플랫부(31)에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는 플랫부(31) 및 원통부(32)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 결과, 상대방 동축 커넥터(10)에 의하면, 상대방 동축 커넥터(100)가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동축 커넥터(10)에서는 동축 커넥터(500)보다도, 홈(G)이 z축방향의 음방향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동축 커넥터(10)에서는 원통부(32)의 z축방향의 높이가 낮아진다. 그 결과, 동축 커넥터(10)의 저배화(低背化)가 도모된다.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유용하며, 특히, 상대방 동축 커넥터가 쉽게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뛰어나다.
10: 동축 커넥터
12: 본체
14: 외부단자
16: 상부케이스
18: 하부케이스
20: 가동단자
22: 고정단자
31: 플랫부
32, 34: 원통부
34a: 구멍
G: 홈

Claims (3)

  1. 봉상(棒狀)의 프로브(probe) 및 상기 프로브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상(筒狀)의 제1 외부단자를 포함한 상대방 동축 커넥터가 착탈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프로브가 아랫방향을 향하여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위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이며, 상기 제1 외부단자에 삽입되는 통부, 및 상기 통부의 하단(下端)에 접속되면서, 위쪽을 향하는 면을 가지는 베이스부에 의해 구성되는 제2 외부단자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단자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단자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는 가동단자이며, 상기 프로브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고정단자로부터 멀어지는 가동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통부의 바깥둘레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에 인접하면서, 위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주회(周回)하고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아래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1 외부단자의 선단(先端)의 안쪽 둘레면을 따라 주회하는 돌기(突起)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홈에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에서의 상기 베이스부와의 접합부는, 위로 감에 따라서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홈의 안쪽 둘레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KR1020147031754A 2012-07-17 2013-06-19 동축 커넥터 KR201401452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58600 2012-07-17
JP2012158600 2012-07-17
PCT/JP2013/066837 WO2014013833A1 (ja) 2012-07-17 2013-06-19 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00A true KR20140145200A (ko) 2014-12-22

Family

ID=4994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754A KR20140145200A (ko) 2012-07-17 2013-06-19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56866A1 (ko)
JP (1) JP5804204B2 (ko)
KR (1) KR20140145200A (ko)
CN (1) CN104321940A (ko)
TW (1) TWI470882B (ko)
WO (1) WO20140138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5703B (zh) * 2014-03-05 2019-09-20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微型射频连接器
CN215418638U (zh) 2019-05-10 2022-01-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组的接地连接构造及同轴连接器组
CN210668900U (zh) * 2019-10-17 202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同轴连接器
CN213484020U (zh) * 2020-10-27 2021-06-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射频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1863B2 (ja) * 2001-10-18 2007-02-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CN2689531Y (zh) * 2004-03-11 2005-03-30 宣得股份有限公司 同轴连接器
US6843673B1 (en) * 2004-04-30 2005-01-18 Speed Tech Corp. Coaxial connector structure
JP4417322B2 (ja) * 2005-11-18 2010-02-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CN101765947B (zh) * 2008-06-25 2012-09-05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
JP4325885B1 (ja) * 2009-03-27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2474056B (zh) * 2009-07-31 2014-10-15 株式会社藤仓 同轴连接器
JP5720409B2 (ja) * 2011-05-11 2015-05-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21940A (zh) 2015-01-28
JP5804204B2 (ja) 2015-11-04
US20150056866A1 (en) 2015-02-26
TWI470882B (zh) 2015-01-21
JPWO2014013833A1 (ja) 2016-06-30
WO2014013833A1 (ja) 2014-01-23
TW201405979A (zh) 201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5531B1 (en) Coaxial connector
KR101250732B1 (ko) 안테나 설치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EP1788669A2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EP1187267A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US9551739B2 (en) Coaxial connector
KR1012393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및 리셉터클
US9236695B2 (en) Coaxial connector
KR20140145200A (ko) 동축 커넥터
JP2021101424A (ja)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WO2014013834A1 (ja) 同軸コネクタ
JP5077551B2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及び検査用プラグコネクタ、並びに回路検査スイッチ
KR101685604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101780861B1 (ko) 동축 커넥터
JP6024802B2 (ja) 同軸コネクタ
JP2017142957A (ja) 電気コネクタ
KR101812421B1 (ko)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JP2019003890A (ja) スイッチ装置
KR20150101746A (ko) 스위칭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