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732B1 - 안테나 설치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안테나 설치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732B1
KR101250732B1 KR1020100115097A KR20100115097A KR101250732B1 KR 101250732 B1 KR101250732 B1 KR 101250732B1 KR 1020100115097 A KR1020100115097 A KR 1020100115097A KR 20100115097 A KR20100115097 A KR 20100115097A KR 101250732 B1 KR101250732 B1 KR 10125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ontact
connector
switch
ins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332A (ko
Inventor
다이스케 야마코시
츠요시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16Antenna or wave energy "plumbing" making
    • Y10T29/49018Antenna or wave energy "plumbing" making with other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과제) 사용 상황에 따라서 내장 안테나 또는 외부 안테나의 일방을 선택하여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안테나를 사용한, 안테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 상기의 방법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내장 안테나를 갖는 무선 모듈은, 동축 케이블을 개재하여 외부 안테나와 접속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과 외부 안테나의 접속은, 동축 커넥터와 검사용 동축 전환 스위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무선 모듈을 케이싱의 어느 위치에 설치했을 때, 무선 모듈에 설치한 내장 안테나가 적당히 기능할 수 없는 경우에는, 내장 안테나에 접속된 동축 전환 스위치에 동축 케이블을 개재하여 동축 커넥터를 장착하고,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동축 케이블에 접속된 외부 안테나를 외부 안테나가 적당히 기능할 수 있는 케이싱의 어느 위치에 배치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설치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ANTENNA INSTALLATION METHOD AND COAXIAL CONNECTOR USED FOR IT}
본원 발명은 무선 모듈을 사용한 안테나 설치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내장 안테나를 설비하는 무선 모듈을, 당해 무선 모듈을 설치해야 하는 장치의 케이싱 내부의 1 위치에 설치했을 경우, 당해 1 위치에 있어서 내장 안테나가 원하는 안테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아무런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품 비용이 비교적 높고, 또 설계 공정 수가 많은 외부 안테나는 필요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품 비용은 저렴해지고, 또 설계 공정 수는 감소한다.
한편, 내장 안테나를 설비하는 무선 모듈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바꾸어 말하면 내장 안테나를 설비하는 무선 모듈을 케이싱 내부의 당해 1 위치에 설치했을 경우, 당해 1 위치에 있어서는 내장 안테나가 원하는 안테나 특성을 발휘할 수 없고, 또 내장 안테나가 원하는 안테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무선 모듈을 설치할 수가 없는지, 혹은 그러한 위치에 무선 모듈을 설치하기 곤란한 상황에서는, 케이싱 내의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모듈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내장 안테나를 설비하는 무선 모듈을 사용해야 하는지,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모듈을 사용해야 하는지가 사전에 분명한 상황에서는 아무런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어느 무선 모듈을 사용해야 하는지가 사전에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만약을 위해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모듈을 준비해야만 한다.
그러나,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모듈을 준비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내장 안테나를 설비하는 무선 모듈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된 경우에는, 고가이고 또한 설계 공정 수가 많은 외부 안테나를 낭비로 사용하게 되어 비용이 상승되고 또한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23915호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장 안테나를 설비하는 무선 모듈을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모듈을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가 사전에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 상황에 따라서 내장 안테나 또는 외부 안테나의 일방을 선택하고,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안테나를 사용한 안테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원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동축 커넥터는, 종래의 동축 전환 스위치와 쌍으로 사용되고, 그 종래의 동축 전환 스위치는,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통신 기기에 있어서, 고주파 회로의 검사용으로서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3 에 이 종래의 동축 전환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에 도시된 동축 전환 스위치 (121) 는, 본원 출원인 자신에 의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23915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동축 전환 스위치 (121) 의 내부에는 절연 하우징 (122) 에 설치된, 서로 접촉 분리 가능한 고정 단자 (124) 와 가동 (可動) 단자 (125) 가 포함된다. 이들 단자 간의 접촉은, 동축 커넥터 (126) 의 절연 하우징 (127) 에 의하여 지지된 중심 도체 (129) 를, 절연 하우징 (122) 에 천공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 (135) 을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단자 (124) 는 그대로, 가동 단자 (125) 만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가동 단자 (125) 와 고정 단자 (124) 의 접촉을 분리함으로써, 동축 커넥터 (126) 의 중심 도체 (129) 는 가동 단자 (125) 와만 접촉된 상태가 되고, 이 결과, 가동 단자 (125) 와 고정 단자 (124) 간의 신호 회로를, 가동 단자 (125) 와 중심 도체 (129) 간의 다른 신호 회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환 조작은, 종래에 휴대 전화 등의 고주파 회로를 탑재한 기기의 고주파 성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온 것이다.
종래, 이 동축 전환 스위치 (121) 는, 검사를 위해서만 사용되고, 검사를 위해서만 유용한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그것이 사용되는 것은, 제품 제조 후의 기기의 검사시만으로서, 통상은 한 번밖에 사용되지 않아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 동축 커넥터 (126) 의 외부 도체 (128) 는, 끼워 맞출 수 있는 그 하단부 (133) 를, 동축 전환 스위치 (121) 의 고리형 홈 (132) 에 걸리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이며, 더욱이 동축 커넥터 (126) 는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구조상으로 동축 커넥터 (126) 와 동축 전환 스위치 (121) 를 상시 (常時) 접속시키는 데 적합한 것은 되지 못하였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의 방법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축 전환 스위치 (121) 와의 상시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동축 전환 스위치 (121) 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동축 전환 스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는 라이트 앵글형의 커넥터로서, 절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고,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에 접속할 수 있는 외부 커넥터 도체와,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에 가동 상태에서 형성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할 수 있는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대략 L 자 형상으로서, 상기 콘택트의 선단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절곡부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는, 그 콘택트의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설치부에 재치되고, 또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접속측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의 선단은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선단과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콘택트의 선단 및 그 근방이 상기 동축 커넥터의 내부에 수용될 때, 상기 콘택트의 제 1 부분은, 상기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압입되고, 상기 압입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이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벽의 일부에 박육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의하여 근원측이 편측 지지되고, 선단측이 상기 본체를 향하여 절곡함으로써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을 덮는 절곡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과, 상기 절곡부 사이에서 압접되어도 된다.
더욱 또,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는,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 중, 상기 동축 케이블의 설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광폭으로 형성된 광폭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광폭부를 덮는 상기 외부 커넥터 도체는, 상기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노치되어 있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와, 상기 박육부보다 두꺼운 중육부 사이에 경사, 혹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는, 상기 절곡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폭부보다 좁고, 또한 상기 광폭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압접하는 후육부보다 얇은 부분에 의하여 외부 커넥터 도체와 구분되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선단은,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의 접촉시에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를 와이핑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동축 전환 스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는, 라이트 앵글형의 커넥터로서, 절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된 외부 커넥터 도체와,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에 가동 상태에서 형성된 콘택트를 갖고,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의하여 근원측이 편측 지지되고, 선단측이 상기 본체를 향하여 절곡됨으로써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절곡부를 갖고, 그 절곡부는 근원측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선단측에 후육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 커넥터 도체는, 상기 절곡부를 향하여 절곡됨으로써 상기 절곡부의 외부를 덮을 수 있는 외측 절곡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대략 L 자 형상으로서, 상기 콘택트의 선단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절곡부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는, 그 콘택트의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설치부에 재치되고, 또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의 단부 부근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의 선단은,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의 접촉시에, 그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은, 내장 안테나를 갖는 무선 모듈을 사용한 안테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듈은, 동축 케이블을 개재하여 외부 안테나와 접속할 수 있고, 상기 동축 케이블과 상기 외부 안테나의 접속은, 동축 커넥터와 동축 전환 스위치를 사용하여 행해지는 것이고, 상기 동축 커넥터는, 라이트 앵글형의 커넥터로서, 절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에 접속할 수 있는 외부 커넥터 도체와,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에 가동 상태에서 형성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할 수 있는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의 선단 및 그 근방은,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에 상기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는, 상기 동축 커넥터의 콘택트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 절연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절연 스위치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스위치 도체와, 상기 절연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서로 접촉 분리 가능한 제 1 접촉편 및 제 2 접촉편을 갖고, 상기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내장 안테나와 신호 회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에 상기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면,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의 외부 스위치 도체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부 커낵터 도체가 서로 접촉하여, 양자는 착탈 가능하게 상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절연 스위치 하우징의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콘택트의 선단이 상기 제 1 접촉편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제 2 접촉편 사이의 접촉을 분리하고,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동축 커넥터 사이에서 다른 신호 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콘택트의 선단 및 그 근방은, 상기 콘택트의 선단과 상기 제 1 접촉편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 상기 동축 커낵터의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고, 상기 무선 모듈을 그 무선 모듈을 설치해야 하는 장치의 케이싱의 어느 위치에 설치했을 때, 상기 무선 모듈에 형성한 내장 안테나가 적당히 기능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위치에 설치된, 상기 내장 안테나에 접속된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에, 상기 동축 커낵터를 장착하고, 상기 동축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에 접속된 상기 외부 안테나를, 상기 외부 안테나가 적당히 기능할 수 있는 상기 케이싱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사용 상황에 따라서 무선 모듈의 내장 안테나 혹은 외부 안테나의 일방의 선택, 혹은 전환이 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한, 안테나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안테나 설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원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원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원 발명의 동축 커넥터의 조립 후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동축 커넥터와 함께 동축 전환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동축 전환 스위치에 동축 커넥터가 장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동축 커넥터에 실제로 동축 케이블을 장착하고자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일부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은 도 6 상태에 있는 동축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10 은 콘택트의 개품도 (個品圖) 이다.
도 11 은 동축 케이블을 콘택트의 수평 부분에 배치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동축 커넥터를 절곡부와 수평 부분 사이에 압접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종래의 동축 전환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2 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의한 안테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내장 안테나 (93) 를 설비하는 무선 모듈 (90) 을, 그 무선 모듈 (90) 을 설치해야 하는 장치에 있어서의 케이싱 (1) 에 내부의 1 위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 1 위치에서는, 내장 안테나 (93) 는 원하는 안테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 바꾸어 말하면, 내장 안테나 (93) 는 적당히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도 2(a) 의 사시도는 도 1 과 유사하나, 여기서는 내장 안테나 (93) 를 설비하는 무선 모듈 (90) 은 상기 1 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이한 위치에서는, 내장 안테나 (93) 는 원하는 안테나 특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것, 바꾸어 말하면, 내장 안테나 (93) 는 적당히 기능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무선 모듈 (90) 을 설치해야 하는 장치의 크기나 형상, 혹은 설치해야 하는 다른 모듈과의 관계 등, 어떠한 사정에 의하여 무선 모듈 (90) 을,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내장 안테나 (93) 가 적당히 기능할 수 있는 위치가 아니고, 도 2(a) 에 나타내는 내장 안테나 (93) 가 적당히 기능할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 안테나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장 안테나 (93) 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2(b) 에 나타내는 외부 안테나 (91)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외부 안테나 (91) 는 동축 케이블 (15) 을 개재하여, 무선 모듈 (90) 에 접속함으로써 비로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무선 모듈 (90) 과 외부 안테나 (91) 사이에 가요성을 갖는 동축 케이블 (15) 을 접속함으로써, 외부 안테나 (91) 를 케이싱 (1) 내부의 어느 적당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안테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종래 장치와 마찬가지로, 외부 안테나 (91) 가 무선 모듈 (90) 에 접속되기 전에는 내장 안테나 (93) 는 ON 상태에 있지만, 그것들이 접속된 후에는, 신호 회로가 자동적으로 전환되어 내장 안테나는 OFF 상태로 되고, 이를 대신하여 외부 안테나 (91) 가 ON 상태로 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동축 케이블 (15) 과 무선 모듈 (90) 사이의 접속은, 동축 케이블 (15) 측에 형성한 동축 커넥터 (12) 와, 무선 모듈 (90) 측에 형성한 동축 전환 스위치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10) 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특히, 동축 전환 스위치 (10) 에 대해서는, 도 13 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한, 고주파 회로의 검사용으로서 넓고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종래의 동축 전환 스위치 (10) 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 발명에서는, 검사를 위해서만 사용되어 온 동축 전환 스위치 (10) 를, 본원 발명의 동축 커넥터 (12) 와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상시 접속시킴으로써, 검사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무선 모듈 (90) 과 동축 케이블 (15) 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다시 말하면, 무선 모듈 (90) 과, 동축 케이블 (15) 에 접속된 외부 안테나 (91) 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축 전환 스위치 (10) 를, 커넥터로서 겸용함으로써, 별도로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동축 전환 스위치 (10) 의 유효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처음에는 내장 안테나 (93) 를 사용할 의도였으나, 제반 사정에 의하여 내장 안테나 (93) 에 있어서 원하는 이득을 얻을 수 없었던 경우에도, 무선 모듈 (90) 의 회로 설계는 그대로 하고, 내장 안테나 (93) 를 외부 안테나 (91) 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요컨대 본원 발명에 의하면 내장 안테나 (93) 를 이용하는 방식과 외부 안테나 (91) 를 이용하는 방식, 이들 2 가지 방식에 관하여 동일한 설계의 무선 모듈 (90) 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본원 발명에서는 내장 안테나 (93) 에 접속된 동축 전환 스위치 (10) 에 동축 커넥터 (12) 를 장착하고, 추가로 동축 커넥터 (12) 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 (15) 을 이용하여, 동축 케이블 (15) 에 접속된 외부 안테나 (91) 를, 당해 외부 안테나 (91) 를 적당히 기능할 수 있는 케이싱의 어느 위치에 배치하여 언제나 안테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의 방법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 (12) 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 은 이 동축 커넥터 (12) 의 조립 후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동축 커넥터 (12) 와 함께 동축 전환 스위치 (10) 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동축 전환 스위치 (10) 에 동축 커넥터 (12) 가 장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 는 이미 동축 케이블 (15) 을 장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 는 동축 케이블 (15) 을 장착하는 전의, 조립 도중에 있는 동축 커넥터 (12) 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6 은 동축 커넥터 (12) 에 실제로 동축 케이블 (15) 을 장착하고자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일부 부분 확대도, 도 8 은 도 6 의 상태에 있는 동축 커넥터 (12) 의 평면도, 도 9 는 도 8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 도 5 에만 나타낸 동축 전환 스위치 (10) 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3 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종래 일반의 동축 전환 스위치와 동일하다. 이 동축 전환 스위치 (10) 는, 주된 구성 부품으로서 동축 커넥터 (12) 의 콘택트 (70) 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 통과 구멍 (87) 이 천공 형성된 절연 스위치 하우징 (82), 절연 스위치 하우징 (82) 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스위치 도체 (83), 또한 절연 스위치 하우징 (82) 의 내부에 형성되고, 서로 접촉 분리 가능한 탄성편 (85) 및 고정편 (86) 을 포함한다.
동축 전환 스위치 (10) 와의 상시 접속을 용이하게 혹은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동축 커넥터 (12) 는, 도 13 에 나타낸 수직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126) 와는 달리 이른바 라이트 앵글 (직교) 형의 커넥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으로 함으로써, 동축 커넥터 (12) 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동축 커넥터 (12) 는, 주된 구성 부품으로서.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커넥터 도체 (50), 추가로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에 가동 상태에서 형성되는 콘택트 (70) 를 포함한다. 또한, 이 동축 커넥터 (12) 는, 동축 전환 스위치 (10) 와 조합하여 사용됨에 따라서 1 조의 동축 장치 (1)(도 4, 도 5 참조) 를 형성할 수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10 에 콘택트 (70) 의 개품도를 나타낸다. 콘택트 (70) 는,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대략 L 자의 판 형상체로서, 주된 구성 부품으로서 수직 부분 (74) 과, 이 수직 부분 (74) 에 절곡부 (76) 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또한 수직 부분 (74) 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 (72) 을 포함한다. 수직 부분 (74) 은 추가로 삽입 통과 구멍 (87) 을 통하여 동축 전환 스위치 (10) 에 삽입되는 선단 (74') 을 포함한다. 또한, 수직 부분 (74) 은 수평 부분 (72) 과 달리,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고, 또 그 판면 중앙 부근 (75) 은 외측을 향하여 도드라지게 나와 있고, 이로써 강도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수평 부분 (72) 은 동축 케이블 (15) 의 설치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 이 설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광폭으로 형성된 광폭부 (72A) 를 갖는다. 광폭부 (72A) 는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에 고정되고, 이 결과 콘택트 (70) 는 전체적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된다. 수평 부분 (72) 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 (15) 의 접속측, 즉 수평 부분 (72) 의 단부 부근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부인 수평 부분 (72) 으로부터 가동부인 수직 부분 (74) 의 선단 (74') 까지의 거리, 요컨대 스프링 길이를 얻을 수 있어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에 수용될 때의 콘택트 (70) 가동성을 높일 수 있다.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은, 대략 직방 형상의 본체 (40) 와, 이 본체 (40) 에 대하여 절곡할 수 있도록 된 후육부 (24) 를 갖는 절곡부 (22) 를 포함한다. 또한, 후육부 (24) 의 표면은 폭 방향, 즉 동축 케이블 (15) 의 설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곡선을 띤 오목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 (22) 는 본체 (40) 에 의하여 근원측이 편측 지지되고, 해머 형상의 선단측을 본체 (40) 를 향하여 절곡함으로써, 본체 (40) 에 미리 설치한 콘택트 (70) 나 동축 케이블 (15) 을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절곡부 (22) 를 지지하고 있는 본체 (40) 의 일방측에, 콘택트 (70) 의 수직 부분 (74) 을 관통시키는 관통공 (41) 이 수직 방향으로, 또한 콘택트 (70) 의 고정 부분의 반대측에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 (40) 의 상부에, 콘택트 (70) 의 수평 부분 (72) 을 설치할 수 있는 수평 설치면 (46) 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 설치면 (46) 에 콘택트 (70) 를 설치함으로써 수평 방향에서도 콘택트 (70) 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콘택트 (70) 의 수직 부분 (74) 과 접할 수 있는, 수평 설치면 (46) 과 동일한 수직 설치면을 본체 (40) 에 형성하여 콘택트 (70) 의 수직 방향에서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지면을 형성함으로써, 콘택트 (70) 의 무부하시에, 콘택트 (70) 의 바닥측이나 측면을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 (40) 에는 콘택트 (70) 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테이퍼 (43)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부 커넥터 도체 (50) 는 동축 전환 스위치 (10) 에 끼워지는 원통부 (58) 와, 연계부 (53) 를 개재하여 원통부 (58) 와 연결된 외측 절곡부 (59) 를 포함한다. 외측 절곡부 (59) 는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의 절곡부 (22) 의 외부를 덮는 부분으로서, 케이블 압착부 (55), 절연체 압착부 (56), 및 덮개부 (57) 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추가로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 및 도 9 등을 참조하여 동축 전환 스위치 (10) 에 동축 커넥터 (12) 를 장착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 도 4, 도 9 등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콘택트 (70) 의 선단 (74') 및 그 근방은 동축 전환 스위치 (10) 에 동축 커넥터 (12) 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의 외부로 크게 돌출된 상태에 있다.
이에 대하여, 동축 전환 스위치 (10) 에 동축 커넥터 (12) 가 장착되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는, 콘택트 (70) 의 선단 (74') 과 탄성편 (85) 의 접촉을 통하여, 동축 전환 스위치 (10) 와 동축 커넥터 (12) 의 장착 방향 (도 4, 5 에 나타내는 화살표 「가」방향) 은 반대 방향 (도 4, 5 에 나타내는 화살표 「나」방향) 으로 탄성 변위되고, 동축 커넥터 (12) 의 내부에 콘택트 (70) 의 일부가 수용되는, 바꾸어 말하면 콘택트 (70) 의 수직 부분 (74) 은 동축 전환 스위치 (10) 와 동축 커넥터 (12) 가 장착되는 장착 방향, 혹은 콘택트 (70) 의 선단 (74') 이 삽입 통과 구멍 (87) 을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 있어서,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의 내부로 압입된다. 압입된 콘택트 (70) 의 수평 부분 (72) 과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의 내부에 공간 (27) 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 (27) 은, 예를 들어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의 벽의 일부에 삽입 방향을 따라 얇아지도록 설정된 박육부 (28) 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압입된 콘택트 (70) 의 수평 부분 (72) 과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은,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과 충돌하지 않고, 이 공간 (27) 의 범위에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이런 종류의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수평 부분 (72) 을 평평하게 형성하여, 콘택트의 전체면을 누르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었으나, 본원 발명에서는, 콘택트 (70) 의 가변 영역이 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끼워 맞출 때에 콘택트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이로써, 콘택트 (70) 등의 응력을 빠져나가게 하고, 좌굴을 방지하여 부품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동축 전환 스위치 (10) 에 동축 커넥터 (12) 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추가로 동축 전환 스위치 (10) 의 외부 스위치 도체 (83) 와 동축 커넥터 (12) 의 외부 커넥터 도체 (50) 가 서로 접촉하여 걸려 맞추어지고, 양자는 착탈 가능하게 상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상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동축 커넥터 (12) 측에는 탄성 작용을 갖는 고리형 돌출부 (54) 가, 이것에 대응하여 동축 전환 스위치 (10) 측에는 고리형 홈 (84)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시에는 절연 스위치 하우징 (82) 의 삽입 통과 구멍 (87) 을 통하여 삽입된 콘택트 (70) 의 선단 (74') 이 탄성편 (85) 과 접촉하고, 탄성편 (85) 과 고정편 (86) 사이의 접촉을 수직 방향으로 분리하여 고정편 (86) 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탄성편 (85) 과 동축 커넥터 (12) 사이에서만 신호 회로가 형성된다. 이 전환에 의하여, 내장 안테나와 외부 안테나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콘택트 (70) 의 선단 (74') 과 탄성편 (85) 의 접촉시에 콘택트 (70) 의 고정부, 즉 광폭부 (72A) 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시키고, 콘택트 (70) 의 선단 (74') 을 탄성편 (85) 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 하면, 이 슬라이딩을 이용하여 탄성편 (85) 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요컨대 이 접촉에 의하여 와이핑 기능을 발휘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1, 12 도 참조하여 동축 커넥터 (12) 의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도 11, 12 는 도 6 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1 은 특히 동축 케이블 (15) 을 콘택트 (70) 의 수평 부분 (72) 에 배치한 직후의 상태를, 도 12 는 특히 절곡부 (22) 의 선단측을 절곡선 (23) 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수평 부분 (72) 에 배치된 동축 케이블 (15) 을 절곡부 (22) 와 수평 부분 (72) 사이에 압접한 직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 (22) 의 선단측이 본체 (40)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 절곡부 (22) 와 콘택트 (70) 의 수평 부분 (72) 사이에서 동축 케이블 (15) 이 압압되고, 동축 케이블 (15) 이 콘택트 (70) 에 압착됨과 함께, 콘택트 (70) 자체도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에 대하여 압압된다. 이 때, 콘택트 (70) 의 수평 부분 (72) 에는, 동축 케이블 (15) 중에서 연선 (撚線) 을 포함하는 최선단의 중심 도체 (19) 와 이 중심 도체 (19) 의 근방, 즉 절연체 (18) 가 배치된다.
절곡부 (22) 와 콘택트 (70) 의 수평 부분 (72) 사이에 동축 케이블 (15) 을 압압할 때, 동축 케이블 (15) 은 절곡부 (22) 의 일부에 형성한 삽입 방향을 따라 두꺼워지도록 설정한 해머 형상의 후육부 (24) 와, 수평 부분 (72) 의 광폭부 (72A) 사이에서 압접된다. 이들 후육부 (24) 와 광폭부 (72A) 사이에는 동축 케이블 (15) 중에 주로 중심 도체 (19) 가 배치된다. 해머 형상의 후육부 (24) 를 이용함으로써,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비교적 두께가 적은 중심 도체 (19) 여도 보다 확실하게 압접할 수 있고, 또 광폭부 (72A) 를 이용함으로써, 연선으로서 형성된 중심 도체 (19), 압접에 의하여 꼬임이 풀려 외부로 퍼졌을 경우에서도, 그 퍼짐을 광폭부 (72A) 에 의하여 억제하고, 중심 도체 (19) 와 외부 커넥터 도체 (50) 의 측면 등과의 쇼트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후육부 (24) 의 표면이 곡선을 띤 오목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심 도체 (19) 의 위치 규제를 보다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퍼진 연선을 보다 쉽게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광폭부 (72A) 의 일부를 하방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비트를 설치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3 개의 병행하는 비트 (73) 를 형성하고 있다. 또, 외부로 퍼진 연선과 외부 커넥터 도체 (50) 의 측면과의 쇼트 (접촉) 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폭부 (72A) 를 덮는 외부 커넥터 도체 (50) 의 일부 (52) 를, 동축 케이블 (15) 의 설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서 노치해도 된다.
본원에서는, 또한 박육부 (28) 보다는 두껍고, 후육부 (24) 보다는 얇게 설정한 중육부 (26) 도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육부 (26) 를 형성함으로써 박육부 (28) 의 강도를 증대시켜 절곡부 (22) 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중육부 (26) 와 박육부 (28) 사이는 삽입 방향에 있어서 도 3 내지 5, 도 9 등에 나타내는 경사부 (29) 로 해도 되고, 단차 (도시 생략) 로 해도 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 (15) 의 중심 도체 (19) 근방, 특히, 절연체 (18) 의 후단축에는, 절곡부 (22) 의 일부에 동축 케이블 (15) 의 설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광폭부 (72A) 보다 좁고 또한 삽입 방향을 따라 후육부 (24) 보다 얇게 설정한 부분 (30) 이 형성되어 있다. 부분 (30) 은 후육부 (24) 보다 얇게 설정함으로써, 동축 케이블 (15) 을 후육부 (24) 와 마찬가지로 강하게 밀지 않고, 외부 커넥터 도체 (50) 와 중심 도체 (19) 사이를 절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이 부분 (30) 에 의하여 동축 케이블 (15) 의 중심 도체 (19) 는 외부 커넥터 도체 (50) 와 구분되어 있다.
도 12 상태로 된 후에, 혹은 그와 동시에 외부 커넥터 도체 (50) 의 외측 절곡부 (59) 는 그 연계부 (53) 를 사용하여 콘택트 (70) 의 제 2 부분 (72) 을 덮고 있는 절곡부 (22) 를 향하여 절곡됨으로써 제 2 부분 (72) 의 상부를 덮도록 절곡된다. 이 결과, 원통부 (58) 의 상부는 외부 커넥터 도체 (50) 의 덮개부 (57) 에 의하여 폐색된다. 또, 외부 커넥터 도체 (50) 의 케이블 압착부 (55) 는 그 후에 동축 케이블 (15) 의 외피 (16) 와 외측 도체 (17)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또 절연체 압착부 (56) 는 그 후에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소정 위치에서 압착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동축 케이블 (15) 의 외측 도체 (17) 는 외부 커넥터 도체 (50) 에 전기적,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또 동축 케이블 (15) 의 중심 도체 (19) 는 콘택트 (70) 에 전기적,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 (15) 의 중심 도체 (l9) 및 그 근방의 절연체 (18) 는 본체 (40) 에 설치한 콘택트 (70) 의 수평 부분 (72) 과 절곡부 (22) 사이에 압접되고, 한편으로 동축 케이블 (15) 의 중심 도체 (19) 는, 수평 부분 (72) 중에서 동축 케이블 (15) 의 설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광폭으로 형성된 광폭부 (72A) 에 설치되고, 이 광폭부 (72A) 와 절곡부 (22) 사이에 압접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 (15) 은, 압착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납땜 등 다른 수단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압착에 의해서만 고정시킴으로써 제품을 염가로 제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에 대한 콘택트 (70) 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택트 (70) 는 그 광폭부 (72A) 를 절연 커넥터 하우징 (20) 의 테이퍼 (43) 의 하부와 수평 설치면 (46) 상부 사이에 형성한 간극 (45)(도 9 에 도시되어 있다) 에 설치한 상태로 고정된다. 설치시에는, 광폭부 (72A) 는 테이퍼 (43) 에 의하여 선단 (44) 까지 안내되고, 선단 (44) 을 넘어 간극 (45) 에 압입되어 그곳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 고정에 있어서 접착제 등의 사용은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에서의 설명과 같이, 수평 부분 (72) 의 일부인 광폭부 (72A) 를 고정시키는 대신에 수직 부분 (74) 을 예를 들어 전후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원 발명은 내장 안테나 혹은 외부 안테나의 어느 안테나를 사용해야 하는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폭넓은 사용이 가능하다.
1 동축 장치 10 동축 전환 스위치
12 동축 커넥터 15 동축 케이블
17 외측 도체 19 중심 도체
20 절연 커넥터 하우징 22 절곡부
24 후육부 26 중육부
27 공간 28 박육부
29 경사부 30 얇은 부분
40 본체 45 간극
50 외부 커넥터 도체 52 일부
70 콘택트 72 수평 부분 (제 2 부분)
72A 광폭 부분 74 수직 부분 (제 1 부분)
74' 선단 82 절연 스위치 하우징
90 무선 모듈 91 외부 안테나
93 내장 안테나 95 케이싱

Claims (13)

  1. 동축 전환 스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는, 라이트 앵글형의 커넥터로서,
    절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고,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에 접속할 수 있는 외부 커넥터 도체와,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에 가동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할 수 있는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L 자 형상으로서, 상기 콘택트의 선단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절곡부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는, 그 콘택트의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설치부에 재치되고, 또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접속측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의 선단은,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선단과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콘택트의 선단 및 그 근방이 상기 동축 커넥터의 내부에 수용될 때, 상기 콘택트의 제 1 부분은, 상기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압입되고,
    상기 압입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이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벽의 일부에 박육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동축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의하여 근원측을 편측 지지하고, 선단측을 상기 본체를 향하여 절곡함으로써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을 덮는 절곡부를 갖는 동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과, 상기 절곡부 사이에서 압접되는 동축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는,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 중, 상기 동축 케이블의 설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광폭으로 형성된 광폭부에 설치되는 동축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부를 덮는 상기 외부 커넥터 도체는, 상기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노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와, 상기 박육부보다 두꺼운 중육부 사이에 경사, 혹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는, 상기 절곡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폭부보다 좁고, 또한 상기 광폭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압접하는 후육부보다 얇은 부분에 의하여, 외부 커넥터 도체와 구분되는 동축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선단은,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의 접촉시에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를 와이핑하는 기능을 갖는 동축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 상기 동축 커넥터를 구비한 동축 장치.
  12. 동축 전환 스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는, 라이트 앵글형의 커넥터로서, 절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된 외부 커넥터 도체와,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에 가동 상태로 형성된 콘택트를 갖고,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의하여 근원측을 편측 지지하고, 선단측을 상기 본체를 향하여 절곡함으로써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절곡부를 갖고, 그 절곡부는 근원측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선단측에 후육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 커넥터 도체는, 상기 절곡부를 향하여 절곡됨으로써 상기 절곡부의 외부를 덮을 수 있는 외측 절곡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L 자 형상으로서, 상기 콘택트의 선단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절곡부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는, 그 콘택트의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설치부에 재치되고, 또한 상기 콘택트의 제 2 부분의 단부 부근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의 선단은,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의 접촉시에, 그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3. 내장 안테나를 갖는 무선 모듈을 사용한 안테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듈은, 동축 케이블을 개재하여 외부 안테나와 접속할 수 있고, 상기 동축 케이블과 상기 외부 안테나의 접속은, 동축 커넥터와 동축 전환 스위치를 사용하여 행해지는 것으로서,
    상기 동축 커넥터는, 라이트 앵글형의 커넥터로서,
    절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에 접속할 수 있는 외부 커넥터 도체와,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에 가동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할 수 있는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의 선단 및 그 근방은,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에 상기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는,
    상기 동축 커넥터의 콘택트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 절연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절연 스위치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스위치 도체와,
    상기 절연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서로 접촉 분리 가능한 제 1 접촉편 및 제 2 접촉편을 갖고,
    상기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내장 안테나와 신호 회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에 상기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면,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의 외부 스위치 도체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부 커넥터 도체가 서로 접촉하고, 양자는 착탈 가능하게 상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절연 스위치 하우징의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콘택트의 선단이 상기 제 1 접촉편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제 2 접촉편 사이의 접촉을 분리하여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동축 커넥터 사이에서 다른 신호 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 커넥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상기 콘택트의 선단 및 그 근방은, 상기 콘택트의 선단과 상기 제 1 접촉편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고,
    상기 무선 모듈을 그 무선 모듈을 설치해야 하는 장치의 케이싱의 어느 위치에 설치했을 때, 상기 무선 모듈에 형성한 내장 안테나가 적당히 기능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위치에 설치한, 상기 내장 안테나에 접속된 상기 동축 전환 스위치에 상기 동축 커넥터를 장착하고, 상기 동축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에 접속된 상기 외부 안테나를, 상기 외부 안테나가 적당히 기능할 수 있는 상기 케이싱의 어느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115097A 2009-12-07 2010-11-18 안테나 설치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 KR101250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7343A JP4865848B2 (ja) 2009-12-07 2009-12-07 アンテナ設置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同軸コネクタ
JPJP-P-2009-277343 2009-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332A KR20110065332A (ko) 2011-06-15
KR101250732B1 true KR101250732B1 (ko) 2013-04-03

Family

ID=4408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097A KR101250732B1 (ko) 2009-12-07 2010-11-18 안테나 설치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14328B2 (ko)
JP (1) JP4865848B2 (ko)
KR (1) KR101250732B1 (ko)
CN (1) CN102157817B (ko)
TW (1) TWI4402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5995B (zh) * 2011-12-13 2015-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同轴连接器组合
DE102012201123B3 (de) * 2012-01-26 2013-03-21 Lisa Dräxlmaier GmbH Gewinkelter Hochvolt-Stecker
JP5763007B2 (ja) * 2012-04-19 2015-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495210B (zh) 2012-08-16 2015-08-01 Arcadyan Technology Corp 連接器
KR101320200B1 (ko) * 2012-08-29 2013-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케이블, 이를 갖는 입력 장치 및 컴퓨터 장치
JP6278586B2 (ja) * 2012-09-10 2018-0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CN103022787A (zh) * 2013-01-18 2013-04-03 昆山科信成电子有限公司 具有线芯限位机构的rf同轴连接器
US9419349B2 (en) 2014-10-10 2016-08-16 Tyco Electronics Brasil Ltda.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a fastener and anti-rotation projections
CN209570612U (zh) * 2016-05-26 2019-11-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检查用l型同轴连接器
JP6443636B2 (ja) * 2016-10-06 2018-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接続方法
JP6443637B2 (ja) * 2016-10-06 2018-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接続方法
JP7048091B2 (ja) * 2018-06-15 2022-04-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768A (ko) * 1997-03-06 1998-11-25 사까이 히데끼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
KR20020017945A (ko) * 2000-08-31 2002-03-07 사까이 히데끼 스위치부착 동축 커넥터
KR20040087258A (ko) * 2003-03-28 2004-10-13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203A (en) * 1983-12-07 1985-08-06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DE3604896A1 (de) * 1986-02-15 1987-08-20 Bosch Gmbh Robert Koaxialer winkelstecker
US5412393A (en) * 1993-01-25 1995-05-02 Motorola, Inc. Retractable antenna assembly with bottom connector
US5772470A (en) * 1996-06-03 1998-06-30 Smk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GB2332783B (en) * 1997-08-06 2000-02-16 Acer Peripherals Inc Composite antenna for radio transceivers
JP3346360B2 (ja) * 1999-12-21 2002-11-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機装置
FR2828022B1 (fr) * 2001-07-27 2003-11-21 Framatome Connectors Int Ensemble integre comportant une antenne et un commutateur
JP3881863B2 (ja) * 2001-10-18 2007-02-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6648653B2 (en) * 2002-01-04 2003-11-18 Insert Enterprise Co., Ltd. Super mini coaxial microwave connector
JP2003297499A (ja) * 2002-03-28 2003-10-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コンタク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7351067B2 (en) * 2006-08-09 2008-04-01 Speed Tech Corp. Coaxial cable connecting apparatus
JP2009044227A (ja) * 2007-08-06 2009-02-26 Alps Electric Co Ltd 無線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768A (ko) * 1997-03-06 1998-11-25 사까이 히데끼 안테나 변환용 동축 커넥터
KR20020017945A (ko) * 2000-08-31 2002-03-07 사까이 히데끼 스위치부착 동축 커넥터
KR20040087258A (ko) * 2003-03-28 2004-10-13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65848B2 (ja) 2012-02-01
TW201121168A (en) 2011-06-16
KR20110065332A (ko) 2011-06-15
JP2011119174A (ja) 2011-06-16
TWI440264B (zh) 2014-06-01
CN102157817B (zh) 2013-11-06
US8414328B2 (en) 2013-04-09
US20110136378A1 (en) 2011-06-09
CN102157817A (zh)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732B1 (ko) 안테나 설치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
EP3196989B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US9184512B2 (en) Connection terminal,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nd wiring structure thereof
KR101361970B1 (ko) 스위치가 장착된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JP3154214U (ja) 同軸ケーブル用小型コネクタ
US20150207256A1 (en)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0997427B1 (ko) 전기커넥터
KR101592724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US9997864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1901976A (zh) 小型开关连接器
US8235750B2 (en) Coaxial inspection connector and receptacle
US20130295796A1 (en) Multiple plug connector unit
WO2014013834A1 (ja) 同軸コネクタ
JP5804204B2 (ja) 同軸コネクタ
KR20060052128A (ko) 케이블 커넥터
KR20130126501A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1780861B1 (ko) 동축 커넥터
JP5754593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H09147996A (ja) 切換スイッチ付コネクター
JP2017147108A (ja) プラグコネクタ
JPH09147998A (ja) 切換スイッチ付コネクター
JPH09147997A (ja) 可動接触片の固定構造
KR20160076733A (ko)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US20090111302A1 (en) Microswitch for a coaxial plug and socket connector
KR101389974B1 (ko) 알 에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