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733A -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733A
KR20160076733A KR1020140187144A KR20140187144A KR20160076733A KR 20160076733 A KR20160076733 A KR 20160076733A KR 1020140187144 A KR1020140187144 A KR 1020140187144A KR 20140187144 A KR20140187144 A KR 20140187144A KR 20160076733 A KR20160076733 A KR 20160076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insulator
hold dow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739B1 (ko
Inventor
이수찬
최경해
김동희
오상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7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정해진 피치로 조립된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양단에 설치된 리셉터클 홀드다운을 구비한 리셉터클;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대응하는 피치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조립된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양단에 설치된 플러그 홀드다운을 구비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플러그 간의 체결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일대일 접촉을 하는 동시에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과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이 서로 계합하고,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 및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계합 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다른 하나에 록킹되는 변위 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암 부재는,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변위 암과, 상기 제1 변위 암의 일부가 구부러져서 형성된 폴딩부와, 상기 폴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변위 암으로부터 이격 형성된 제2 변위 암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IMPROVED CONNECTOR DEVICE FOR HOLD-DOWN STRUCTURE}
본 발명은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화 및 저배화커넥터에 적합한 구조의 홀드다운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FPCB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컨택트(Contact)의 수도 많아지고 컨택트 간의 배열 피치(Pitch) 또한 매우 좁게 설계되는 추세에 있다.
통상적으로 커넥터 장치는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Receptacle Contact)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에 정해진 피치로 조립된 리셉터클과,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일대일 접촉하는 다수의 플러그 컨택트(Plug Contact)가 플러그 인슐레이터(Plug Insulator)에 조립된 플러그로 구성된다.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는 각각 리셉터클측 케이블과 플러그측 케이블에 연결되거나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리셉터클에 플러그가 끼워져서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가 상호 접촉하여 도통되었을 때 리셉터클측 케이블과 플러그측 케이블 또는 회로기판들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커넥터 장치의 접속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셉터클과 플러그 간의 체결 시 록킹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특허 제3940387호에는 커넥터의 실장 강화용으로 사용되는 홀드다운을 통해 록킹이 이루어지고 감합이 확실히 행해졌을 때 명료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3940387호는 탄성 변형을 하는 한 쌍의 유지 암을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의 유지 암에 마련된 돌기가 상기 리셉터클의 유지 암에 마련된 돌기에 접촉하며 통과하는 과정에서 부하가 작용하고 돌기 통과 완료 시 록킹이 되어 무부하 상태가 되는 홀드다운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특허 제3940387호에 개시된 홀드다운은 유지 암이 단순히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만 연장된 구조로 인해 충분한 변위 암 길이를 확보하게 되면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 설계에 한계가 있고, 소형화 및 저배화 설계 시 변위 암의 길이가 제한적이어서 소성변형이나 마모가 발생하여 접촉 신뢰성의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커넥터의 실장 강도 강화용으로 사용되는 홀드다운을 활용하여 컨택트 외에 추가적인 접속 수단을 구현하고, 커넥터의 높이 방향 및 피치 방향으로 변위 암을 확보할 수 있어 소형화 및 저배화 설계 적용이 가능하며, 소성변형 방지를 통해 접촉 신뢰성 확보가 가능한 구조의 홀드다운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정해진 피치로 조립된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양단에 설치된 리셉터클 홀드다운을 구비한 리셉터클;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대응하는 피치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조립된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양단에 설치된 플러그 홀드다운을 구비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플러그 간의 체결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일대일 접촉을 하는 동시에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과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이 서로 계합하고,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 및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계합 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다른 하나에 록킹되는 변위 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암 부재는,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변위 암과, 상기 제1 변위 암의 일부가 구부러져서 형성된 폴딩부와, 상기 폴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변위 암으로부터 이격 형성된 제2 변위 암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변위 암의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 및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굴곡부가 계합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위 암 부재는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에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의 접촉이 시작되는 지점에는 상기 굴곡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라운드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 양단 측벽의 바깥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의 상단을 감싸면서 상기 측벽의 안쪽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클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면은 상기 클립부의 상단 모서리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클립부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는 커넥터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비해 작은 치수를 갖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조립된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외부로 노출된 실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 양단 측벽에 인접한 체결 선단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폭방향 양단면을 각각 감싸는 제1 홀더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 단부 바깥면을 지지하되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홀더 사이에 상기 변위 암 부재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각각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편에 열을 지어 배치되고,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플러그는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높이 방향으로 체결되어 서로 형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과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은 계합 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커넥터의 높이 방향 및 피치 방향으로 변위 암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 설계 적용이 가능하며,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홀드다운이 인슐레이터의 단부를 감싸는 구조에 의해 커넥터의 파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실장 강도 강화용으로 사용되는 홀드다운을 활용하여 컨택트 외에 추가적인 전기적 접속 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리셉터클과 플러그 간의 체결 시 홀드다운들 간에 기계적인 록킹과 전기적인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구성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리셉터클 홀드다운과 플러그 홀드다운이 계합되는 부분의 폭과 길이를 고전류용 커넥터에 대응하도록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리셉터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리셉터클 홀드다운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플러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플러그 홀드다운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리셉터클 홀드다운과 플러그 홀드다운의 결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양단에 리셉터클 홀드다운(103)을 구비한 리셉터클(100)과, 상기 리셉터클(10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양단에 플러그 홀드다운(203)을 구비하되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203)에 변위 암 부재(도 7의 D 참조)가 마련된 구조를 가진 플러그(20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00)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조립된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102)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의 양단에 조립된 리셉터클 홀드다운(103)을 구비한다. 도 3에는 리셉터클(100)의 구성이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몸체를 가진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의 장방형 몸체는 그 높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플러그(20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컨택트(102)는 플러그 컨택트(20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부러진 탄성 도전체에 의해 제공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103)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리셉터클 홀드다운(103)은 리셉터클(100)과 플러그(200) 간의 체결 시 플러그 홀드다운(203)과 계합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탄성 도전체에 의해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홀드다운(103)은 지지 플레이트(103a)와, 지지 플레이트(103a)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클립부(103b)를 구비한다.
지지 플레이트(103a)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의 길이방향 양단 측벽의 바깥면의 면적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와 높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리셉터클 홀드다운(103)은, 지지 플레이트(103a)의 양단에서 각각 커넥터의 피치 방향, 즉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에 조립되도록 끝부분이 꺽인 구조를 가진 고정부(103d,103e)와, 고정부(103d,103e)의 바깥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의 외부로 노출되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장부(103f,103g)를 구비한다.
클립부(103b)는 커넥터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지지 플레이트(103a)에 비해 작은 치수를 가지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103a)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103b)는 지지 플레이트(103a)와 일체를 이루고,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의 길이방향 양단 측벽의 상단을 감싸면서 상기 측벽의 안쪽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클립부(103b)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 부분의 포함하는 몸체를 가지며 굴곡진 부위, 즉 상단 모서리부분에는 후술하는 플러그 홀드다운(203)의 굴곡부(203i)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라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과 대향하는 면에는 소정 형상의 체결홈(103c)을 구비한다.
플러그(200)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와 형합 가능한 형태를 가진 플러그 인슐레이터(201)와, 리셉터클 컨택트(102)의 피치에 대응하도록 플러그 인슐레이터(201)에 일정한 피치로 조립된 다수의 플러그 컨택트(202)와, 플러그 인슐레이터(201)의 양단에 조립된 플러그 홀드다운(203)을 구비한다. 도 5에는 플러그(200)의 구성이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201)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에 마련된 내부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의 몸체를 가진다.
플러그 컨택트(202)는 리셉터클 컨택트(10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부러진 탄성 도전체에 의해 제공된다.
플러그 홀드다운(203)은 플러그 인슐레이터(20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플러그 홀드다운(203)은 리셉터클(100)과 플러그(200) 간의 체결 시 리셉터클 홀드다운(103)과 계합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탄성 도전체에 의해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홀드다운(203)은 지지 플레이트(203a), 제1 홀더(203b,203c), 제2 홀더(203d,203e) 및 변위 암 부재(D)를 구비한다.
지지 플레이트(203a)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01)의 길이방향 단부 주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203a)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01)의 길이방향 양단 측벽에 인접한 체결 선단면(201a)을 덮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 선단면(201a)은 리셉터클(100)과 플러그(200) 간의 체결 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의 내부공간 바닥면(101a)과 대향하게 되는 평면부를 지칭한다.
제1 홀더(203b,203c)는 지지 플레이트(203a)의 양편에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되 지지 플레이트(203a)에 대하여 직각으로 밴딩된 구조를 가진다. 제1 홀더(203b,203c)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01)의 폭방향 양단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2 홀더(203d,203e)는 상기 한 쌍의 제1 홀더(203b,203c) 사이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203a)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한 쌍이 서로 나란히 연장된다. 아울러, 제2 홀더(203d,203e)는 지지 플레이트(203a)에 대하여 직각으로 밴딩되어 플러그 인슐레이터(201)의 길이방향 단부 바깥면을 지지한다.
변위 암 부재(D)는 지지 플레이트(203a)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한 쌍의 제2 홀더(203d,203e)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변위 암 부재(D)는 지지 플레이트(203a)로부터 직각으로 밴딩되어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변위 암(203f)과, 상기 제1 변위 암(203f)의 일부가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된 폴딩부(203g)와, 상기 폴딩부(203g)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변위 암(203f)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컨택트(202)의 피치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변위 암(203h)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폴딩부 및 그에 일체화된 상기 변위 암의 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변위 암 부재(D)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부(203g)가 마련되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커넥터의 높이 및 피치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의 변위 암을 확보할 수 있다.
변위 암 부재(D)에 있어서, 제2 변위 암(203h)의 단부에는 제1 변위 암(203f)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 굴곡부(203i)가 구비된다. 굴곡부(203i)는 리셉터클(100)과 플러그(200) 간의 체결 시 리셉터클 홀드다운(103)에 마련된 체결홈(103c)에 계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커넥터 장치는 리셉터클(100)과 플러그(200) 간의 체결시 플러그 인슐레이터(201)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에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형합되고, 각각의 플러그 컨택트(202)는 리셉터클 컨택트(102)와 일대일 접촉을 하게 되며, 리셉터클 홀드다운(103)과 플러그 홀드다운(203) 간에 기계적,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리셉터클 홀드다운(103)과 플러그 홀드다운(203)의 결합 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셉터클(100)과 플러그(200)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플러그(200)를 리셉터클(100)에 삽입하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러그 홀드다운(203)에 구비된 변위 암 부재(D)의 굴곡부(203i)가 리셉터클 홀드다운(103)의 라운드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피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변위 암(203f) 및 제2 변위 암(203h)이 피치 방향으로 변형되어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리셉터클(100)과 플러그(200) 간의 체결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홀드다운(203)의 굴곡부(203i)가 리셉터클 홀드다운(103)의 체결홈(103c)에 록킹되어 리셉터클 홀드다운(103)과 플러그 홀드다운(203) 간의 계합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리셉터클 홀드다운(103)과 플러그 홀드다운(203)은 서로 기계적으로 록킹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기계적인 록킹 기능과 전기적인 접속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플러그 홀드다운(203)의 변위 암 부재(D)와 리셉터클 홀드다운(103) 간의 결합 구조는 커넥터의 구성을 소형화, 저배화하고, 고전류 커넥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리셉터클 101: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102: 리셉터클 컨택트 103: 리셉터클 홀드다운
103a,203a: 지지 플레이트 103b: 클립부
103c: 체결홈 103d,103e: 고정부
103f,103g: 실장부 200: 플러그
201: 플러그 인슐레이터 202: 플러그 컨택트
203: 플러그 홀드다운 203b,203c: 제1 홀더
203d,203e: 제2 홀더 203f: 제1 변위 암
203g: 폴딩부 203h: 제2 변위 암
203i: 굴곡부 D: 탄성 암 부재

Claims (11)

  1.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정해진 피치로 조립된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양단에 설치된 리셉터클 홀드다운을 구비한 리셉터클;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대응하는 피치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조립된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양단에 설치된 플러그 홀드다운을 구비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플러그 간의 체결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일대일 접촉을 하는 동시에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과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이 서로 계합하고,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 및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계합 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다른 하나에 록킹되는 변위 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암 부재는,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변위 암과, 상기 제1 변위 암의 일부가 구부러져서 형성된 폴딩부와, 상기 폴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변위 암으로부터 이격 형성된 제2 변위 암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위 암의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 및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굴곡부가 계합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암 부재는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에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의 접촉이 시작되는 지점에는 상기 굴곡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라운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 양단 측벽의 바깥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벽의 상단을 감싸면서 상기 측벽의 안쪽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클립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면은 상기 클립부의 상단 모서리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클립부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커넥터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비해 작은 치수를 갖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조립된 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외부로 노출된 실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 양단 측벽에 인접한 체결 선단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폭방향 양단면을 각각 감싸는 제1 홀더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 단부 바깥면을 지지하되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홀더 사이에 상기 변위 암 부재가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각각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편에 열을 지어 배치되고,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플러그는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및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높이 방향으로 체결되어 서로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홀드다운과 상기 플러그 홀드다운 간의 계합 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40187144A 2014-12-23 2014-12-23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10201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44A KR102019739B1 (ko) 2014-12-23 2014-12-23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44A KR102019739B1 (ko) 2014-12-23 2014-12-23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733A true KR20160076733A (ko) 2016-07-01
KR102019739B1 KR102019739B1 (ko) 2019-09-09

Family

ID=5650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144A KR102019739B1 (ko) 2014-12-23 2014-12-23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919A (ko) * 2018-07-17 2023-02-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996A (ja) * 2009-02-27 2010-09-09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2012079684A (ja) * 2010-09-08 2012-04-19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996A (ja) * 2009-02-27 2010-09-09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2012079684A (ja) * 2010-09-08 2012-04-19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919A (ko) * 2018-07-17 2023-02-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739B1 (ko) 201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1576B2 (en)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124016B2 (en) Connector with covering wall
US9401550B2 (en) Connector
US11374358B2 (en) Wire to board connector with low height
US20140226295A1 (en) Electronic circuit unit capable of external connection
CN107809021B (zh) 电连接器
US20150056871A1 (en)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TW200908476A (en) Connector and structure of connector terminal
US931885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60089216A (ko) 접속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20140125884A (ko) 기판 커넥터
CN110620316A (zh) 屏蔽连接器和具有端子的屏蔽电缆
US20140094052A1 (en) Wrong insertion preventive structure of connector
US9231352B2 (en) Modul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e and mating connector
US20190103711A1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US8500459B2 (en) Receptacle with a cavity for receiving a plug with a recess for receiving a component
KR101488891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9739B1 (ko)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CN106410541B (zh) 电连接器组件
KR101355575B1 (ko) 쉘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CN109219907B (zh) 具有自动旋转特征的电气触头
KR102177486B1 (ko)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WO2012026287A1 (ja) コネクタ構造
KR20160046173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