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491Y1 -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 - Google Patents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491Y1
KR200315491Y1 KR20-2003-0008534U KR20030008534U KR200315491Y1 KR 200315491 Y1 KR200315491 Y1 KR 200315491Y1 KR 20030008534 U KR20030008534 U KR 20030008534U KR 200315491 Y1 KR200315491 Y1 KR 200315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boiler
supply pipe
burn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곤
Original Assignee
김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곤 filed Critical 김성곤
Priority to KR20-2003-0008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에 관한 것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110)와, 상기 물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원수를 히팅하되 증기공급관(123)을 열교환기(121)의 통공(122)에 연결시켜 공급되는 증기가 2차로 히팅되도록 하여 고온의 증기를 생성 공급하는 보일러실(12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 증기공급관(123)으로부터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13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 열교환기(121)를 히팅시키는 버너(140), 및 상기 버너(140) 등을 컨트롤하는 조작패널(150)로 구성된 스팀오븐에 있어서, 상기 증기공급관(123)의 하부 일측을 밴딩하여 "U"자형상으로 형성하여 공간(125)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 증기공급관을 신축성 있는 구조로 변경하여 고온에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더라도 크랙 등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structure of a boiler for a steam oven}
본 고안은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온의 스팀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각종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스팀오븐의 증기공급관의 신축이 용이하도록 하여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군시설, 대형사업장 등에서 단체 급식을 위하여 스팀을 이용한 조리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시설은 최소 20-30명분을 조리할 수 있는 소형부터 수백명 이상 분을 조리하는 대형화된 시설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팀을 이용한 조리시설은 공급되는 증기의 온도가 아무리 단열을 완벽하게 하더라도 순수 스팀 100℃이상의 온도를 얻기 불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조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증기의 온도 한계로 인하여 조리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각종 찜요리 등의 특정 음식물은 조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스팀을 이용한 조리시설은 대형화하는 경우 증기의 온도 한계로 인한 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스팀을 이용한 조리시설은 증기의 온도 한계로 인하여 조리된 음식물의 맛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조리된 음식물의 품질이 떨어드려 증기로 조리된 음식물에 대한 나쁜 선입관을 가지게 되어 이를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 오븐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 오븐용 보일러구조를 저면에서 나타낸 일부사시도이다.
도 1 과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한 종래의 스팀오븐은 원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110)와, 상기 물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원수를 히팅하되 증기공급관(123)을 열교환기(121)의 통공(122)에 연결시켜 공급되는 증기가 2차로 히팅되도록 하여 고온의 증기를 생성 공급하는 보일러실(12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 증기공급관(123)으로부터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13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 열교환기(121)를 히팅시키는 버너(140), 및 상기 버너(140) 등을 컨트롤하는 조작패널(150)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스팀오븐은 조리할 음식물을 세척하거나 양념하여 조리실(130)에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조리하는 음식물에 따라 증기의 온도, 시간 등을 조작패널(150)을 통하여 선택하고 버너(140)를 점화시키면 버너(140)의 점화로 열교환기(121)가 히팅되고 따라서 보일러실(120)의 원수가 히팅되며, 여기서 보일러실(120)의 원수가 완전히 끓게되면 증기를 발생하게 되어 발생된 초기의 증기는 증기공급관(123)을 통하여 다시 열교환기(121)를 통과하게 되므로 공급되는 증기가 2차로 히팅되므로 고온의 증기가 조리실(130)로 공급되어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팀오븐은 보일러실(120)의 증기공급관(123)과 격벽(124)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상기와 같이 히팅된 증기 조리실(130)로 공급하므로 증기의 고온과 버너(140)로부터 최고의 열에너지를 공급받게 되므로 증기공급관(123)의 수축과 팽창이 크게 발생하고 스팀오븐의 사용 횟수에 따라 격벽(124)와 증기공급관(123)의 용접부분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증기공급관을 신축성 있는 구조로 변경하여 고온에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더라도 크랙 등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팀오븐용 보일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 오븐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팀 오븐용 보일러구조를 저면에서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팀오븐을 나타낸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를 저면에서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의 증기공급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0 : 스팀장치 110 : 물공급부
120 : 보일러실 121 : 열교환기
122 : 통공 123 : 증기공급관
124 : 격벽 125 : 공간
130 : 조리실 131 : 온도감지센서
132 : 드레인관 140 : 버너
141 : 연료공급관 150 : 조작패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히팅하되 증기공급관을 열교환기의 통공에 연결시켜 공급되는 증기가 2차로 히팅되어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실과, 상기 보일러실의 증기공급관으로부터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과, 상기 보일러실의 열교환기를 히팅시키는 버너, 및 상기 버너 등의 제어하는 조작패널로 구성된 스팀 오븐에 있어서, 상기 증기공급관의 일측을 밴딩하여 "U"자형상으로 형성하여 밴딩부분을 보일러실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오븐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오븐용 보일러구조를 저면에서 나타낸 일부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오븐용 보일러구조의 증기공급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110)와, 상기 물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원수를 히팅하되 증기공급관(123)을 열교환기(121)의 통공(122)에 연결시켜 공급되는 증기가 2차로 히팅되도록 하여 고온의 증기를 생성 공급하는 보일러실(12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 증기공급관(123)으로부터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13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 열교환기(121)를 히팅시키는 버너(140), 및 상기 버너(140) 등을 컨트롤하는 조작패널(150)로 구성된 스팀 오븐에 있어서, 상기 증기공급관(123)의 일측을 밴딩하여 "U"자형상으로 형성하여 밴딩부분을 보일러실(120)의 공간(125)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일러실(120)은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121)의 하측으로증기공급관(123)을 설치하되 증기공급관(123)의 일측단이 보일러실(12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게 하고 타측단을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조리실(130)에 연통시켜 보일러실(120)의 내부에서 히팅된 음용수에서 증기가 발생되면 그 증기는 증기공급관(123)의 유입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증기는 증기공급관(123)을 따라 다시 열교환기(121)가 이송되면서 2차 히팅되어 고온의 증기를 조리실(13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13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증기 역시 다양한 구조와 방법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조리실(130)은 상,하 또는 좌,우로 양분하거나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증기의 공급 역시 상측, 하측, 중앙, 후측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실(130)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131)를 설치하여 음식물의 조리에 따른 온도를 설정하여 이를 시간대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너(140)는 통상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냄새 등을 고려하여 연료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연성 가스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패널(150)은 점화라인(151)의 통하여 버너(140)의 점화, 세기,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음식물의 조리에 있어 적정 온도와 시간을 컨트롤하여 최상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리할 음식물을 세척하거나 양념하여 조리실(130)에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조리하는 음식물에 따라 증기의 온도, 시간 등을 조작패널(150)을 통하여 선택하고 버너(140)를 점화시킨다.
이때 버너(140)의 점화로 열교환기(121)가 히팅되고 따라서 보일러실(120)의 음용수가 히팅된다.
여기서 보일러실(120)의 음용수가 완전히 끓게되면 증기를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초기의 증기는 증기공급관(123)을 통하여 다시 열교환기(121)를 통과하게 되므로 공급되는 증기가 2차로 히팅되므로 고온의 증기가 조리실(130)로 공급된다.
따라서,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특히 증기공급관(123)은 일측만이 고정되고 타측은 공간(125)에 위치되므로 고열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더라도 신축에 따른 연결부분의 크랙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110)와, 상기 물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원수를 히팅하되 증기공급관(123)을 열교환기(121)의 통공(122)에 연결시켜 공급되는 증기가 2차로 히팅되도록 하여 고온의 증기를 생성 공급하는 보일러실(12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 증기공급관(123)으로부터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13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열교환기(121)를 히팅시키는 버너(140), 및 상기 버너(140) 등을 컨트롤하는 조작패널(150)로 구성된 스팀 오븐에 있어서, 상기 증기공급관(123)의 일측을 밴딩하여 "U"자형상으로 형성하여 공간(125)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 증기공급관을 신축성 갖는 구조로 변경하여 고온에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더라도 크랙 등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110)와, 상기 물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원수를 히팅하되 증기공급관(123)을 열교환기(121)의 통공(122)에 연결시켜 공급되는 증기가 2차로 히팅되도록 하여 고온의 증기를 생성 공급하는 보일러실(12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 증기공급관(123)으로부터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130)과, 상기 보일러실(120)의 열교환기(121)를 히팅시키는 버너(140), 및 상기 버너(140) 등을 컨트롤하는 조작패널(150)로 구성된 스팀 오븐에 있어서, 상기 증기공급관(123)의 일측을 밴딩하여 "U"자형상으로 형성하여 밴딩부분을 보일러실(120)의 공간(125)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오븐용 보일러 구조.
KR20-2003-0008534U 2003-03-21 2003-03-21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 KR200315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534U KR200315491Y1 (ko) 2003-03-21 2003-03-21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534U KR200315491Y1 (ko) 2003-03-21 2003-03-21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491Y1 true KR200315491Y1 (ko) 2003-06-02

Family

ID=4940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534U KR200315491Y1 (ko) 2003-03-21 2003-03-21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4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9533A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EP0698768B1 (en) Combined gas-microwave cooking oven with steam cooking facility
US6776151B2 (en) Positive air flow apparatus for infrared gas broiler
KR200450498Y1 (ko) 증기취사기
KR930000929B1 (ko) 가스가열조리기
KR100411938B1 (ko) 오븐용 스팀장치
KR200315491Y1 (ko) 스팀오븐용 보일러구조
KR200315495Y1 (ko) 오븐용 스팀장치
KR200315494Y1 (ko) 오븐용 스팀장치
KR100411939B1 (ko) 스팀오븐용 조리실 구조
JP2017225580A (ja) 加熱調理器
KR20100123791A (ko) 폐열 회수가 가능한 오덕 세트
KR100910609B1 (ko) 튀김기
KR101379335B1 (ko) 스팀 조리기구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방법
KR200236789Y1 (ko) 브로일러
KR200143542Y1 (ko) 다단조리용 가스오븐레인지
CN2420573Y (zh) 双燃烧机高效节能燃油、燃气蒸炒锅炉
CN204717753U (zh) 蒸炒两用锅炉
CN108131688A (zh) 电热炉和燃气炉组合的多头炉具
KR0138760Y1 (ko) 전자렌지의 가스 그릴장치
KR19990073049A (ko) 가스버너를이용한튀김기
KR200339263Y1 (ko) 중화렌지
KR200166342Y1 (ko) 구이판
KR200317050Y1 (ko) 이중 연소방식 가스밥솥
KR200308600Y1 (ko) 열매체유 가열식 면 증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