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607Y1 -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 Google Patents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607Y1
KR200312607Y1 KR20-2003-0004709U KR20030004709U KR200312607Y1 KR 200312607 Y1 KR200312607 Y1 KR 200312607Y1 KR 20030004709 U KR20030004709 U KR 20030004709U KR 200312607 Y1 KR200312607 Y1 KR 200312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er
guide
container
auxiliary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재회
Original Assignee
구재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재회 filed Critical 구재회
Priority to KR20-2003-0004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6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6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 운반용 크레인의 메인스프레더에 설치되어 오버헤이트 컨테이너를 포함한 각종 컨테이너를 운반시키는 보조스프레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스프레더의 몸체를 이루는 센터가이드의 선단부와, 그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빔의 후단부에 가이드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빔의 선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록크암에는 메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의 결합시 각 스프레더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는 래칫걸이부를 설치하므로서, 가이드빔의 신축 작동시나 컨테이너의 운반시 센터가이드와 가이드빔에 발생하는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보조스프레더의 장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는, 센터가이드(11)의 몸체 양측으로 삽입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신축되는 한 쌍의 가이드빔(12)과, 상기 가이드빔(12)의 선단부에서 가로대(14)에 의하여 가이드빔(12)과 일체로 설치되는 한 쌍의 록크암(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크암(13)의 내부에는 체결부(15a)와 록크핀(15b)을 상,하단부에 구비하는 록킹샤프트(15)가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센터가이드(11)의 양측단에는 롤러케이스(20)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가이드빔(12)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21)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빔(12)의 후단부에는 센터가이드(11)의 내측 상부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16)가 가이드빔(12)의 몸체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각 록크암(13)의 외측 상부에는 메인스프레더(4)의 러그(4b)에 걸리는 걸림단부(31b)와, 록크암(1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지단부(31c)가 형성된 래칫암(31)이 코일스프링(33)에 의하여 브라켓트(32)에 힌지식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기 록크암(13)의 록킹샤프트(15)에는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그 외주면상에 걸리는 플랜지(35)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35)의 일측 외주면에는 록킹샤프트(15)의 잠금작동시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하부로 빠져나가는 절개홈(3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Subsidiary spreader for over-height container}
본 고안은 컨테이너 운반용 크레인의 메인스프레더에 설치되어 오버헤이트 컨테이너를 포함한 각종 컨테이너를 운반시키는 보조스프레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스프레더의 몸체를 이루는 센터가이드의 선단부와, 그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빔의 후단부에 가이드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빔의 선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록크암에는 메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의 결합시 각 스프레더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는 래칫걸이부를 설치하므로서, 가이드빔의 신축 작동시나 컨테이너의 운반시 센터가이드와 가이드빔에 발생하는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보조스프레더의 장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자형 용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일반 잡화 뿐만 아니라 특수한 용도의 화물까지 별도의 외포장 없이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이나 항공기 또는 화물용 기차나 자동차 등에 컨테이너를 적하 및 하역시키는 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 된 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운반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는 저장되는 화물의 단위용량에 따라 20 피트(feet)급 또는 40 피트(feet)급으로 크게 대별되고, 저장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일반용 컨테이너, 액체용 컨테이너, 냉동용 컨테이너, 보온용 컨테이너 등과 같은 여러 종류로 나뉘어지며, 그 형태에 있어서도 자동차나 선박 또는 철도나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에 따라 일반 컨테이너와 오버헤이트(Over-height)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형태로 나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각종 컨테이너를 적하 및 운반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일(8)을 따라 운전실(1)과 함께 이동하는 트롤리(2)의 하측에 컨테이너(5) 운반용 스프레더(Spreader)(4)를 와이어로프(3)로 연결시킨 크레인 장치로서, 상기 트롤리(2)에는 와이어로프(3)의 승하강드럼(6) 및 트롤리(2)의 이동을 위한 트롤리드럼(7)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프레더(4)에는 컨테이너(5)의 크기에 맞도록 스프레더(4) 본체에 대하여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프레임의 단부에는 컨테이너(5)의 상부 모서리에 설치된 코너 캐스팅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트위스트 록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프레더(4)를 크레인 장치에 설치하여 컨테이너(5)를 운반시킬 경우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운반에는 별다른 지장을 초래하지 않지만, 컨테이너의 상부면이 높게 형성되는 오버헤이트 컨테이너(특수 컨테이너의 일종)(5)를 상기 스프레더(4)만으로 운반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레인에 설치되는 스프레더를 메인스프레더(4)로 하여 그 메인스프레더(4)의 하측에 보조스프레더(1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오버헤이트 컨테이너를 포함한 각종 컨테이너(5)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조스프레더(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빔 형태의 센터가이드(11)와, 상기 센터가이드(11)의 몸체 양측으로 삽입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신축되는 한 쌍의 가이드빔(12)과, 상기 가이드빔(12)의 선단부 양측에서 가로대(14)에 의하여 가이드빔(12)과 일체로 설치되는 한 쌍의 록크암(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크암(13)의 내부에는 메인스프레더(4)의 트위스트 록크장치와 컨테이너(5) 상부 모서리의 코너 캐스팅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15a)와 록크핀(15b)을 상,하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록킹샤프트(15)가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스프레더(4)의 록킹장치 하단부가 보조스프레더(10)의 록크암(13) 상단 체결부(15a)에 삽입됨과 동시에 보조스프레더(10)의 록크암(13) 하단 록크핀(15b)이 컨테이너(5)의 코너 캐스팅에 삽입되도록 메인스프레더(4)를 보조스프레더(10)와 함께 컨테이너(5)의 상면에 올려 놓은 다음 메인스프레더(4)의 록킹장치를 잠그게 되면, 메인스프레더(4)의 록킹장치가 보조스프레더(10)의 체결부(15a) 및 록킹샤프트(15)와 함께 회전하여 각 스프레더(4)(10)가 일체로 결합됨과 동시에 록킹샤프트(15)의 회전에 따라 그 하단 록크핀(15b)이 컨테이너(5)의 코너 캐스팅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여 보조스프레더(10)와 컨테이너(5) 또한 일체로 결합되므로서, 오버헤이트 컨테이너를 포함한 일반적인 컨테이너(5)까지 크레인 장치로 운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조스프레더(10)는 가이드빔(12)의 신축시 센터가이드(11)와 가이드빔(12)의 마찰로 인한 마모와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40 피트(feet)급 컨테이너와 같이 그 폭이 비교적 넓게 되는 컨테이너(5)를 운반하기 위하여 가이드빔(12)을 최대로 신장시킬 경우, 센터가이드(11)의 양측단부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가이드빔(12)이 쉽게 휘어질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센터가이드(11)의 양측단부와 가이드빔(12)의 후단부에서 컨테이너(5)의 하중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컨테이너 하역장에 설치된 각종 설비와 작업인의 안전에 커다란 위험요소로 작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빔(12)의 신축작동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이드빔(12)의 후단부와 센터가이드(11)의 선단 내측에 강화섬유 재질의 완충패드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완충패드만으로는 가이드빔(12)의 신축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이나 마찰 뿐만 아니라 가이드빔(12)의 최대 신장시 센터가이드(11)의 양측단부에서 작용하는 국부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조스프레더(10)를 컨테이너(5)와 함께 메인스프레더(4)에 결합시킨상태에서 컨테이너(5)를 적하 또는 하역시킨 다음 메인스프레더(4)의 록킹장치를 풀게 되면, 컨테이너(5) 뿐만 아니라 보조스프레더(10) 또한 메인스프레더(4)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스프레더(4)와 보조스프레더(10)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데, 이러한 와이어의 연결작업이 대부분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메인스프레더(4)에 보조스프레더(1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에 과도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는 그 몸체를 이루는 센터가이드의 선단부와, 그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빔의 후단부에 가이드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빔의 선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록크암에는 메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의 결합시 각 스프레더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는 래칫걸이부를 설치하므로서, 가이드빔의 신축 작동시나 컨테이너의 운반시 센터가이드와 가이드빔에 발생하는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보조스프레더의 장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센터가이드의 몸체 양측으로 삽입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신축되는 한 쌍의 가이드빔과, 상기 가이드빔의 선단부에서 가로대에 의하여 가이드빔과 일체로 설치되는 한 쌍의 록크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크암의 내부에는 체결부와 록크핀을 상,하단부에 구비하는 록킹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센터가이드의 양측단에는 롤러케이스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가이드빔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빔의 후단부에는 센터가이드의 내측 상부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빔의 몸체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각 록크암의 외측 상부에는 메인스프레더의 러그에 걸리는 걸림단부와, 록크암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지단부가 형성된 래칫암이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브라켓트에 힌지식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기 록크암의 록킹샤프트에는 래칫암의 지지단부가 그 외주면상에 걸리는 플랜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의 일측 외주면에는 록킹샤프트의 잠금작동시 래칫암의 지지단부가 하부로 빠져나가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운반용 크레인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장치도.
도 2는 종래의 보조스프레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의 가이드롤러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의 가이드롤러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평단면도.
도 6의 (가) 내지 (라)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에 설치된 래칫걸이부의 작용상태도.
도 7의 (가) 및 (나)는 록킹샤프트에 설치되는 플랜지의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전실 2 : 트롤리 3 : 와이어로프
4 : 메인스프레더 5 : 컨테이너 6 : 승하강드럼
7 : 트롤리드럼 8 : 레일 10 : 보조스프레더
11 : 센터가이드 12 : 가이드빔 13 : 록크암
14 : 가로대 15 : 록킹샤프트 15a : 체결부
15b : 록크핀 16,21 : 가이드롤러 17,22 : 롤러축
18,23 : 롤러베어링 20 : 롤러케이스 30 : 래칫걸이부
31 : 래칫암 31a : 힌지결합부 31b : 걸림단부
31c : 지지단부 32,34 : 브라켓트 33 : 코일스프링
33a : 지지대 33b : 완충구 35 : 플랜지
35a : 절개홈 36 : 막대봉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의 가이드롤러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며, 도 6의 (가) 내지 (라)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에 설치된 래칫걸이부의 작용상태도이고, 도 7의 (가) 및 (나) 록킹샤프트에 설치되는 플랜지의 작용상태도이며,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된 부호 4b는 메인스프레더의 러그(Lug), 12a 및 20a는 롤러홈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빔 형태의 센터가이드(11)와, 상기 센터가이드(11)의 몸체 양측으로 삽입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신축되는 한 쌍의 가이드빔(12)과, 상기 가이드빔(12)의 선단부 양측에서 가로대(14)에 의하여 가이드빔(12)과 일체로 설치되는 한 쌍의 록크암(13)으로 이루어지진다.
또한, 상기 센터가이드(11)의 몸체 양측에는 가이드롤러가 그 내부로 삽입되는 롤러케이스(20)가 돌출 형성되고, 각 록크암(13)의 외측 상부에는 래칫암(31)을 구비하는 래칫걸이부(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록크암(13)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메인스프레더의 트위스트 록크장치와 컨테이너 상부 모서리의 코너 캐스팅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15a)와 록크핀(15b)을 상,하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록킹샤프트(15)가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10)의 전체적인 구성중 가이드롤러와 래칫걸이부(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종래의 보조스프레더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은 종래 기술란에서 이미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고안의 요부에 해당하는 가이드롤러와 래칫걸이부(30)에 대한 구성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10)의 가이드롤러(16)(2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터가이드(11)의 양측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롤러케이스(20)의 내측면과, 센터가이드(11)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빔(12)의 후단부에 각각의 가이드롤러(16)(21)가 삽입될 수 있는 롤러홈(12a)(20a)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각 롤러홈(12a)(20a)으로 삽입되어 가이드빔(12)과 롤러케이스(20)의 몸체에 고정되는 롤러축(17)(22)상에 롤러베어링(18)(23)을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가이드롤러(16)(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가이드롤러(16)(21)중 롤러케이스(20)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21)는 가이드빔(12)의 신축작동시 가이드빔(12)의 외측 상부면과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고, 가이드빔(12)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6)는 가이드빔(12)의 신축작동시 센터가이드(11)의 내측 상부면과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빔(12)의 신축작용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이드빔(12)의 최대신장시 센터가이드(11)의 양측단에 작용하는 국부하중을 2점 지지에 의하여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롤러(16)(21)의 설치위치는 센터가이드(11)의 선단부와 가이드빔(12)의 후단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10)의 래칫걸이부(3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록크암(13)의 외측 상부에 한 쌍의 브라켓트(32)(34)가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고, 그 하측 브라켓트(32)의 선단부에는 "ㄴ"형태로 절곡된 래칫암(31)의 절곡부분이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래칫암(31)의 수직단부에는 메인스프레더(4)의 러그(4b)에 걸리는 걸림단부(31b)가 절곡 형성되고, 그 수평단부에는 록크암(13)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단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래칫암(31)이 결합된 브라켓트(32) 상부의 다른 브라켓트(34)에는 래칫암(31)의 수평부를 하부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33)이 설치되며, 상기 코일스프링(33)은 해당 브라켓트(34)의 선단부에 고정된 지지대(33a)의 하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에 래칫암(31)과 코일스프링(33)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완충구(33b)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크암(13)의 내부에 설치된 록킹샤프트(15)에는 도 7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그 외주면상에 걸리게 되는 플랜지(35)가 록킹샤프트(15)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35)의 일측 외주면에는 도 7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을 록크암(13) 선단 체결부(15a)에 삽입하여 록크핀(4a)을 잠글 경우,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코일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절개홈(35a)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10)를 메인스프레더(4)에 결합시키기 이전의 최초 상태는 도 4 및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가이드빔(12)이 센터가이드(1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됨과 동시에 래칫걸이부(30)를 이루는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플랜지(35)의 외주면에 걸리게 되어 래칫암(31)의 걸림단부(31b)가 외곽으로 밀려나가도록 세팅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세팅상태로 유지되는 보조스프레더(10)는 약 20 피트(feet)의 폭을 가지는 도시되지 않은 보관대를 사용하여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스프레더(10)를 별도의 보관대에 보관시켜 놓은 상태에서, 메인스프레더(4)를 사용하여 오버헤이트 컨테이너를 포함한 각종 컨테이너를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조스프레더(10)를 보관하는 보관대 자체를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하역장소로 운반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보관대와 함께 운반된 보조스프레더(10)를 메인스프레더(4)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스프레더(10)를 메인스프레더(4)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스프레더(4)의 하단 록크핀(4a)이 보조스프레더(10)의 록크암(13) 상단 체결부(15a)로 삽입되도록 메인스프레더(4)를 보조스프레더(10)의 상면에 올려 놓은 다음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을 잠금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이 삽입된 체결부(15a)가 록킹샤프트(15)와 함께 잠금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샤프트(15)가 잠금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록킹샤프트(15)에 고정된 플랜지(35)가 록킹샤프트(15)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서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코일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랜지(35)의 절개홈(35a)을 통하여 하부로 빠져 나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 5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칫암(31)이 힌지결합부(31a)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래칫암(31)의 걸림단부(31b)가 메인스프레더(4)의 러그(4b) 직상부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상태는 메인스프레더(4)와 보조스프레더(10)가 록킹장치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고, 래칫암(31)의 걸림단부(31b)와 메인스프레더(4)의 러그(4b)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크레인 장치를 사용하여 메인스프레더(4)를 보조스프레더(10)와 함께 들어올리게 되면, 보조스프레더(10)가 보관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므로서 메인스프레더(4)와 보조스프레더(10)의 장착이 간단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스프레더(4)에 대한 보조스프레더(10)의 장착을 기계적인 작업으로 매우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를 사용하여 약 20분 동안 각 스프레더(4)(10)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연결하였던 종래의 장착작업을 약 40초 정도로 단축시키므로서 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스프레더(4)(10)의 장착시 크레인 운전자만이 크레인을 조작하면 되기 때문에 인건비의 절감과 함께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스프레더(4)와 보조스프레더(10)의 장착을 완료시킨 다음, 운반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폭에 맞도록 메인스프레더(4)의 텔레스코픽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면, 보조스프레더(10)의 가이드빔(12)이 메인스프레더(4)의 프레임과 함께 신축되는 데, 이와 같은 가이드빔(12)의 신축과정에서 각각의 가이드롤러(16)(21)가 가이드빔(12)의 신축작동을 마찰없이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와 같이 가이드빔(12)의 신축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이나 보조스프레더(10)의 마모 및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가이드빔(12)의 최대신장시에도 센터가이드(11)의 양측단에 작용하는 국부하중을 가이드롤러(16)(21)에 의한 2점 지지로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운반시 발생하는 가이드빔(12)의 휨 현상이나 보조스프레더(10)의 파손현상 및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운반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폭에 맞도록 보조스프레더(10)의 가이드빔(12)을 신축시킨 다음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을 풀림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이 삽입된 보조스프레더(10)의 체결부(15a)가 록킹샤프트(15)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 6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이 보조스프레더(10)의 록크암(13)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과정에서 보조스프레더(10)의 래칫암(31)이 메인스프레더(4)의 러그(4b)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이 보조스프레더(10)의 록크암(13)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각 스프레더(4)(10)간의 실질적인 연결은 래칫암(31)의 걸림단부(31b)와 메인스프레더(4)의 러그(4b)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므로서, 각각의 스프레더(4)(10)를 분리하더라도 보조스프레더(10)가 래칫암(31)에 의하여 메인스프레더(4)상에 흔들림없이 지지됨과 동시에 각 스프레더(4)(10)의 록킹부가 서로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크레인 장치로서 각 스프레더(4)(10)를 운반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상부에 안전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스프레더(4)와 보조스프레더(10)를 운반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상에 올려 놓게 되면,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이 보조스프레더(10)의 록크암(13) 상단 체결부(15a)에 삽입됨과 동시에 보조스프레더(10)의 록크암(13) 하단록크핀(15b)이 도시되지 않은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에 삽입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을 잠금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록크암(13) 내부의 록킹샤프트(15)에 의하여 각 스프레더(4)(10)와 컨테이너가 일체로 연결되므로서 크레인 장치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요구하는 위치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10)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일정장소로 운반시킨 다음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을 풀림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이 삽입된 보조스프레더(10)의 체결부(15a)가 록킹샤프트(15)와 함께 풀림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록킹샤프트(15)의 하단 록크핀(15b)이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서 컨테이너는 보조스프레더(10)로부터 분리되지만, 보조스프레더(10) 자체는 그 래칫암(31)이 메인스프레더(4)의 러그(4b)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므로서 메인스프레더(4)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각 스프레더(4)(10)에 의한 컨테이너의 지속적인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10)를 사용하여 컨테이너의 적하 및 하역작업을 완료시킨 다음에는, 크레인 장치와 메인스프레더(4)를 사용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프레더(10)를 보관대에 다시 보관하게 되는 데, 이를 위하여 메인스프레더(4)를 보조스프레더(10)와 함께 보관대로 내려 놓고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을 잠금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6의 (나)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막대봉(36)을 사용하여 래칫암(31)의 수평부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면,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플랜지(35)의 절개홈(35a)을 통하여 상부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메인스프레더(4)의 록크핀(4a)을 풀림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플랜지(35)의 외주면에 걸리는 초기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보조스프레더(10)를 보관대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메인스프레더(4)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는 그 몸체를 이루는 센터가이드의 선단부와, 그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빔의 후단부에 가이드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므로서, 각각의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빔의 신축작동을 마찰없이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빔의 신축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이나 보조스프레더의 마모 및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가이드빔의 최대신장시에는 센터가이드의 양측단에 작용하는 국부하중을 가이드롤러에 의한 2점 지지로 보다 안전하게 지지하여 컨테이너의 운반시 발생하는 가이드빔의 휨 현상이나 보조스프레더의 파손현상 및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빔의 선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록크암에는 메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의 결합시 각 스프레더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는 래칫걸이부를 설치하므로서, 메인스프레더에 대한 보조스프레더의 장착을 기계적인 작업으로 매우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보조스프레더의 장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각각의 스프레더를 풀림상태로 조작하더라도 보조스프레더가 래칫암에 의하여 메인스프레더상에 흔들림없이 지지되므로서 각 스프레더를 운반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상부에 안전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센터가이드(11)의 몸체 양측으로 삽입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신축되는 한 쌍의 가이드빔(12)과, 상기 가이드빔(12)의 선단부에서 가로대(14)에 의하여 가이드빔(12)과 일체로 설치되는 한 쌍의 록크암(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크암(13)의 내부에는 체결부(15a)와 록크핀(15b)을 상,하단부에 구비하는 록킹샤프트(15)가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센터가이드(11)의 양측단에는 롤러케이스(20)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가이드빔(12)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21)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빔(12)의 후단부에는 센터가이드(11)의 내측 상부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16)가 가이드빔(12)의 몸체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각 록크암(13)의 외측 상부에는 메인스프레더(4)의 러그(4b)에 걸리는 걸림단부(31b)와, 록크암(1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지단부(31c)가 형성된 래칫암(31)이 코일스프링(33)에 의하여 브라켓트(32)에 힌지식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기 록크암(13)의 록킹샤프트(15)에는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그 외주면상에 걸리는 플랜지(35)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35)의 일측 외주면에는 록킹샤프트(15)의 잠금작동시 래칫암(31)의 지지단부(31c)가 하부로 빠져나가는 절개홈(3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KR20-2003-0004709U 2003-02-18 2003-02-18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KR200312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709U KR200312607Y1 (ko) 2003-02-18 2003-02-18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709U KR200312607Y1 (ko) 2003-02-18 2003-02-18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607Y1 true KR200312607Y1 (ko) 2003-05-12

Family

ID=4940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709U KR200312607Y1 (ko) 2003-02-18 2003-02-18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60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286B1 (ko) 2008-05-29 2010-11-01 구재회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CN108584717A (zh) * 2018-05-22 2018-09-28 张家港凯斯机械有限公司 一种顶吊式集装箱搬运机
CN109368483A (zh) * 2018-11-23 2019-02-22 湖南德沃普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箱变起吊的起吊辅助装置及箱变
CN109969953B (zh) * 2019-04-29 2023-09-01 西南交通大学 自动机械锁定箱体的压力组件以及箱体的吊运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286B1 (ko) 2008-05-29 2010-11-01 구재회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CN108584717A (zh) * 2018-05-22 2018-09-28 张家港凯斯机械有限公司 一种顶吊式集装箱搬运机
CN108584717B (zh) * 2018-05-22 2023-10-10 江苏凯斯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顶吊式集装箱搬运机
CN109368483A (zh) * 2018-11-23 2019-02-22 湖南德沃普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箱变起吊的起吊辅助装置及箱变
CN109969953B (zh) * 2019-04-29 2023-09-01 西南交通大学 自动机械锁定箱体的压力组件以及箱体的吊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25753B (zh) 货物运载器
US8651795B2 (en) System for load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KR200312607Y1 (ko)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EP0619211A1 (en) Railway basket car for transporting semitrailers
US6032809A (en) Apparatus for reducing the axle load of a multiaxle movable telescopic crane
FI74430C (fi) Lastvaexlare med stoedarm.
US3456820A (en) Movabl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JPH11301966A (ja) 入出荷用の荷物吊り上げ装置
CN2228860Y (zh) 快换车厢的车辆
JP2001334862A (ja) 脱着車両の荷箱固縛装置
CN209795289U (zh) 一种拉臂钩钩臂和倾卸架锁止装置
KR102500230B1 (ko) 크레인이 부설된 화물차량
EP1080022B1 (en) Open-sided cargo freight container
JP3851102B2 (ja) ホースカー荷役装置
JP4969195B2 (ja) 搭載式車両運搬車
CN113844908B (zh) 一种用于汽车货运的货物装卸设备
KR20070021716A (ko) 화물트럭의 트럭 데크
CN214167187U (zh) 一种车载吊具
SU1344643A1 (ru) Погруз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CN213862477U (zh) 一种新型平板拖车
KR0124980B1 (ko) 트레일러
CN217099790U (zh) 一种便于折叠尾板开门的装置
US20220315395A1 (en) Mobile crane, mobile crane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and removing guying equipment to and from a mobile crane
KR100197002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로프 고정고리
JP3871574B2 (ja) 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