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590A -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590A
KR20030096590A KR1020020033168A KR20020033168A KR20030096590A KR 20030096590 A KR20030096590 A KR 20030096590A KR 1020020033168 A KR1020020033168 A KR 1020020033168A KR 20020033168 A KR20020033168 A KR 20020033168A KR 20030096590 A KR20030096590 A KR 2003009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dye
composition
black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용
강주석
홍태선
윤우진
명성일
Original Assignee
(주)경인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인양행 filed Critical (주)경인양행
Priority to KR102002003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6590A/ko
Publication of KR2003009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59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46Mixtures of two or more azo dyes
    • C09B67/0055Mixtures of two or more disazo dyes
    • C09B67/0057Mixtures of two or more reactive disazo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58Material containing hydroxyl groups
    • D06P3/60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 D06P3/66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using reactive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 및 2를 포함하는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화학식 1)
(화학식 2)
이러한 염료 조성물은 셀룰로우즈계 섬유재료(목면, 마, 비스코스레이온)에 염색하였을 때 심도있는 흑색을 발현하고, 다양한 염색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제반 견뢰도, 균염성이 우수하고, 타섬유 오염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간의 상용성 또한 우수하다.

Description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Composition of Reactive Black Dyestuffs}
본 발명은 면, 마, 비스코스 레이온 등의 셀룰로우즈 섬유에 염색하였을 때, 심도있는 흑색을 발현하고 다양한 염색법에 사용할 수 있는 염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제반견뢰도, 균염성이 양호하고 타섬유 오염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흑색 염료 조성물에 비해 세탁 견뢰도, 일광 견뢰도가 우수하고, 염색 후 색상의 심도가 높으며, 축적성이 우수한 흑색 염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진한 흑색의 반응성 염료 조성물로는, 일반적으로, 비닐 설폰기를 반응기로 한 하기 화학식의 염료 성분에 오렌지색 염료 성분을 혼합하거나, 또는 오렌지색 염료 성분 및 황색 염료 성분 등을 혼합한 염료 조성물이 사용되고있다.
(여기서, X 는 치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가능 반응기(대표적으로, -SO2Cl)이고, R1,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메톡시기이며, M 은 수소원자, 나트륨, 리튬,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원자이다)
기타 진한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의 제조와 관련하여 몇가지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289868호는 C.I. Reactive Black 5에 하기 화학식의 염료 성분을 혼합한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이 제시되어있다. 그러나, 이들 두 성분으로는 적색미가 강한 진한 흑색을 발현하기가 어렵고 축적성에도 문제가 있다.
(여기서, M 은 수소 원자,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원자이고,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메톡시이며, X 는 치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가능 반응기이고, Y 및 Z 는 수소 또는 설폰산기로서 동시에 수소원자는 아니고 어느 한쪽이 설폰산기이다)
또한, 이들 염료 성분들 이외에, 색상 조절용으로 기타의 반응성 황색 염료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시되어있으나, 색상 조절용으로 사용된 C.I. Reactive Yellow 15와 같은 피라졸론 계통의 황색 염료 성분의 혼합으로는 심도있는 흑색을 발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축적성도 만족스럽지 못하다.
한국특허공개 제1994-24006호, 1992-19883호 등에 C.I. Reactive Black 5에하기 화학식의 비닐설폰형 오렌지색 염료 성분과,
(여기서, M 은 수소원자,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 같은 알칼리금속을 나타낸다)
하기의 화학식의 모노아조 황색 염료 성분, 또는
(여기서, M 은 수소원자,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이고,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메톡시이며, X 는 치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가능 반응기이다)
하기 화학식과 같이 이중 커플링 디스아조 황색 염료 성분을 혼합한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이 제시되어있다.
(여기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X 는 치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가능 반응기이며, n 은 0 ∼ 3의 정수이다)
이러한 염료 조성물은 심도있는 흑색의 발현이 가능하고 침염, 다양한 염색방법에 사용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상기 오렌지색 염료 성분 때문에, 타섬유로의 오염성이 심하고 세탁 견뢰도에서 다소 불만스러운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985-8685호, 제1989-17319호 등에는 C.I. Reactive Black 5, C.I. Reactive Blue 203, C.I. Reactive Blue 250 등에 디클로로트리아진계 및 비닐설폰계의 오렌지색 염료 성분을 혼합하거나 오렌지색 및 적색 염료 성분 등을 혼합한 흑색 염료 조성물이 제시되어있으나, 하기 화학식의 오렌지색 염료 성분 때문에, 균염성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저장 안정성이 불량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염료가 분해되어 심도가 저하되고, 특히 액상 염료로의 제조가 어려우며, 백색 발염이 되지않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M 은 수소원자,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자이고, Z 는 클로로, 아세틸, 프로피오닐기 등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진한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은 균염성이나 백색 발염, 방염 등이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균염성이나 백색 발염, 방염 등은 만족스럽지만 심도있는 흑색이 발현되지 못한다든지 타섬유의 오염성이 심한 경우도 있고 일부 견뢰도가 불만스러운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후 설명하게 될 화학식 2의 염료 성분을 화학식 1의 염료 성분에 일정량 혼합한 조성물로 셀룰로우즈 등의 섬유재료를 염색할 경우, 심도있는 흑색을 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염, 날염, 방염, 발염, 콜드 배치법 등 다양한 염색방법에 적용가능하며, 세탁, 일광, 땀, 염소수 등에 대한 견뢰도가 우수하고, 균염성이 양호하며, 타섬유로의 오염성이 적은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러한 염료 조성물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저렴한 가격에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염료 성분 50 내지 99 중량% 및 하기 화학식 2의 염료 성분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M 은 수소원자,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이고;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메톡시 또는 설폰산기이고;
X 는 치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가 가능한 기이다. 그러한 에스테르화 가능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SO2Cl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조성물은, 화학식 1로 대표되는 블랙 또는 블루 염료 성분과 화학식 2로 대표되는 적색미가 강한 오렌지색 염료 성분의 조합에 의해, 종래의 염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심도있는 흑색 및 제반 견뢰도를 제공하고, 타섬유로의 오염 방지성 및 균염성면에서 탁월하며, 거의 모든 염색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1의 염료 성분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5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C.I. Reactive Black 5)
[화학식 4]
(C.I. Reactive Blue 203)
[화학식 5]
(C.I. Reactive Blue 250)
화학식 1의 염료 성분이 너무 적게 함유되어있을 때에는, 색상이 탁하고 적색미(Brown)로 변하여 흑색 자체를 낼 수가 없으며 세탁 견뢰도 또한 좋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너무 많이 함유되어있을 때에는, 색상이 파란색미가 나며 흑색의 색깔은 뛰어나지만 심도 있는 흑색을 내지 못하고 열변색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염료 성분은, 디스아조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적색미가 강한오렌지색으로서 균염성 및 제반 견뢰도가 우수하며, 구조상으로 볼 때, 섬유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가 2 개가 있어서, 염착이 우수하고 수세 및 소핑(soaping)시 잔욕이 남지 않으며, 용해도도 우수하므로, 액상 염료 제조시 이용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화학식 2의 염료 성분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6 내지 9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2의 염료 성분이 너무 적게 함유되어있을 때에는, 흑색을 낼 수가 없고 색상이 어두우며 축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너무 많이 함유되어있을 때에는, 심도있는 흑색을 낼 수가 없으며 세탁 견뢰도 또한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화학식 2의 염료 성분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 2 당량을 디아조화한 후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 1 당량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화학식 10]
상기 식에서, R1, R2및 X 는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다.
[화학식 11]
상기 식에서, M 은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다.
화학식 11의 화합물 1 개에 대해 화학식 10의 디아조 화합물 2 개가 커플링되는 반응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순차적인 단계로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디아조화 및 커플링 반응은 공지되어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염료 성분과 화학식 2의 염료 성분에 하기 화학식 12의 염료 성분을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5 중량%로 더 함유시킨다.
[화학식 12]
상기 식에서,
M, R1, R2및 X 는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고;
D 는 수소원자이거나 하기 화학식 13 또는 화학식 14의 그룹이다.
[화학식 13]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고;
M 은 수소원자,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이다.
[화학식 14]
상기 식에서,
M 은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고;
n 은 0 ∼ 3의 정수이다.
화학식 12로 대표되는 황색 염료 성분은 염료 조성물이 더욱 심도있는 흑색의 발현을 가능하게 하고 축적성을 더욱 높여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성분까지 함유된 염료 조성물의 하나의 바람직한 조성은, 화학식 1의 염료 성분 50 내지 80 중량%, 화학식 2의 염료 성분 10 내지 25 중량% 및 화학식 3의 염료 성분 10 내지 25 중량%이다.
화학식 12의 염료 성분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5 및 16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5]
(C.I. Reactive Yellow 201)
[화학식 16]
상기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용화제, 완충제, 빙결방지제 등의 기타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첨가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1 내지 15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다. 가용화제는 염료의 뭉침을 방지하고 용해를 도와 주는 첨가제 성분으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우레아, 티오우레아, 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는 저장 보관시 염료의 분해를 막아주기 위하여 pH를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초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빙결방지제는 액상 냉동보관시 어는 점을 낮춰주어 액상 염료가 얼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다가알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은 섬유재료, 그 중에서도, 면, 마, 비스코스레이온 등의 천연 또는 재생 셀룰로우즈 재료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 폴리에스테르 혼방품, 면/나일론 혼방품, 면/양모 혼방품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조성물은 콜드패드배치, 연속 염색, 침염, 날염, 방·발염 등 여러 염색방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염색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콜드패드배치 염색법으로는, 중성염(예를 들어, 무수 황산나트륨, 식염 등)과 산결합제(예를 들어, 가성소다, 규산소다 등)를 사용하여 패딩 후, 일정온도로 밀폐 포장 재료내에 방치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연속 염색법으로는, 산결합제(예를 들어,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등)를 패딩액에 혼합하고, 공지의 방법으로 패딩하여 건열 또는 증열에 의해 염색하는 일욕 패딩법, 및 염료 패딩 후 무기중성염(예를 들어, 무수황산나트륨, 식염 등)과 산결합제(예를 들어, 가성소다, 규산소다 등)를 패딩액에 혼합하여 패딩하고, 공지의 방법으로 건열 또는 증열에 의해 염색하는 이욕 패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침염법은, 중성염(예를 들어, 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등)의 존재하에서 약 40℃에서 흡수시키고, 산결합제(예를 들어, 탄산소다, 가성소다, 제3인산소다 등)인 알칼리를 첨가하여, 50 ~ 60℃에서 약 1 시간 염색을 행하여 고착시킨 다음, 수세하고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 95 ~ 100℃에서 소핑 처리하여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날염법은, 산결합제(중탄산소다 등)를 함유하는 날염호를 인날 후, 건열 또는 증열에 의해 날염하는 일상 날염법이나, 날염호를 인날 후, 무기 중성염(예를 들어, 식염 등)과 산결합제(예를 들어, 가성소다, 규산소다 등)를 함유한 80℃ 이상의 고온 용액중에 투입하여 날염하는 이상 날염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백색 발염 또는 방염의 경우는, 롱가리트 등으로 발염호를 만들어 처리하거나 크린텍스 PWC 등으로 방염호를 만들어 처리함으로써, 양호한 발염 및 압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아미노벤젠-베타-설페이토에틸설폰 56.2 g을 물 400 g에 넣어 분산시킨 뒤, 탄산나트륨 12 g을 넣어 용해시켰다. 얼음을 가하여 이것을 약 2 ~ 4℃로 냉각시킨 다음, 35% 염산 50 g을 가하고, 30% 아질산나트륨 수용액 48 g을 약 30 분에 걸쳐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디아조화시켰다. 디아조화의 완료를 확인 후, 설파믹산으로 과잉의 아질산을 제거하였다.
2-아미노-5-나프톨-7-술폰산(일명, "J산") 47.8 g을 물 450 g에 분산시키고 25% 가성소다 23 g을 가하여 용해시킨 뒤, 상기 디아조액에 서서히 가하고 교반하여, 1차 커플링 반응을 완료하였다. 온도는 10℃ 이하를 유지하였으며, pH는 1 ~ 2를 유지하였다. 1차 커플링 반응의 완료 확인은 J산이 없어질 때까지로 하였다. J산이 사라졌을 때, 온도를 20 ~ 30℃로 서서히 올려주고 pH를 6으로 3 시간 이상 유지시켜, 2차 커플링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액을 분무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의 오렌지색 염료를 140 g을 얻었다.
4-아미노벤젠-베타-설페이토에틸설폰 28.1 g을 물 200 g에 넣어 분산시키고,탄산나트륨 6 g을 넣어 용해시켰다. 얼음을 가하여 이것을 약 2 ~ 4℃로 냉각시킨 다음, 35% 염산 25 g을 가하고, 30% 아질산나트륨 수용액 24 g을 약 30 분에 걸쳐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디아조화시켰다. 다아조화 완료 후, 설파믹산으로 과잉의 아질산을 제거하였다. 메타-페닐렌디아민-4-설폰산 18.8 g을 물 150 g에 분산시키고 탄산나트륨 6 g을 가하여 용해시킨 뒤 상기 디아조액에 가한 뒤, 약 7 ~ 9℃에서 탄산나트륨 15 g을 가하여 중화시켜 커플링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완료 후 분무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의 황색 염료 65 g을 얻었다.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C.I. Reactive Black 5 분말과 상기 오렌지색 염료 분말, 상기 황색 염료 분말을 중량비 64 : 19 : 17의 비율로 혼합하여 염료 조성물 200 g을 제조한 뒤, 이를 셀룰로우즈계 섬유에 하기 침염, 날염, 콜드패드배치 및 연속 염색법으로 각각 염색하였고, 그 결과, 심도있는 흑색을 얻어졌다.
침염법
중성염(황산나트륨) 5 g을 물 100 ℓ에 용해시킨 용액에 염료 조성물 0.15 g과 함께 5 g의 목면을 투입하고 약 30℃에서 20 분간 흡수시킨 뒤, 1.5℃/분의 속도로 60℃까지 서서히 승온시켰다. 60℃에 이르렀을 때 알칼리(탄산소다) 2 g을 첨가하여, 약 60℃에서 1 시간동안 염색을 행하여 고착시킨 다음, 염색된 천을 찬물에 수세하였다. 수세 후, 염색 잔액을 제거하고자 소핑제 1 ㎖를 물 250 ㎖에넣은 용액을 95 ~ 97℃에서 약 10 분간 소핑 처리한 후 건조하였다.
날염법
우레아 10 g, 소디움메타니트로벤젠설폰산 10 g, 중조 20 g 및 소디움알지네이트 55 g를 물 815 ℓ에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만들고, 이 중 46 g을 취하여 상기 혼합물 4 g을 부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100 매시 프린트 스크린을 이용하여 레이온 및 셀룰로오즈에 날염을 하였다. 날염된 염색물을 고착시키기 위해서 100℃에서 2 분 30 초간 건조하고, 건조된 천을 스팀을 이용하여 102 내지 105℃에서 10 분간 스팀처리하였다. 고착된 염색물을 냉수 및 온수를 이용하여 교대로 3회 이상 세척 후 소핑을 하여 건조하였다.
콜드패드배치법
염료 용해액과 알칼리 용해액의 비율을 80 대 20으로 염액을 제조하였다. 염료 용해액은 염료 조성물과 우레아 100 g/ℓ를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알칼리 용해액은 소디움실리케이트 7 g과 수산화나트륨(32.5% 용액) 2 g에 물 39 ℓ를 혼합하여 만들었다. 뱃치 시간은 6 내지 12 시간으로 하였고, 20 내지 25℃를 유지한 후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각의 성분들을 실시예 1의 혼합 비율로 액상으로 혼합한 후, 역삼투막 장치 등을 사용하여 탈염 및 농축한 액 955 g에, 가용화제로서 우레아 10 g, 완충제로서 인산나트륨 20 g, 빙결방지제로서 에틸렌글리콜 15 g을 넣고 잘 혼합하여, 1000 g의 액상 흑색 염료 조성물을 얻었다. 이러한 염료 조성물을 셀룰로우즈계 섬유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침염, 날염, 콜드패드 배치 및 연속 염색법으로 각각 염색한 바, 심도있는 흑색을 얻어졌다.
[실시예 3 내지 8]
염료 성분들의 종류와 함량을 하기 표 1 및 2에서와 같이 변화시켜 염료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이들을 각각 셀룰로우즈계 섬유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침염, 날염, 콜드패드배치 및 연속염색법으로 염색한 바 결과, 심도있는 흑색을 얻어졌다.
[표 1]
실시예 화학식 함량(중량%) 색상
3 64.0 흑색
20.0
16.0
4 67.0 흑색
18.0
15.0
5 60.0 흑색
20.0
20.0
[표 2]
실시예 화학식 함량(중량%) 색상
6 60.0 흑색
22.0
18.0
7 58.0 흑색
22.0
20.0
8 58.0 흑색
24.0
18.0
[비교예]
본 발명에 따른 염료 조성물과 종래의 염료 조성물의 물성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기 화학식 A와 하기 화학식 B의 염료 성분들과 표 3의 각각의 비교예에 따른 오렌지색 염료 성분을 혼합하여 염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B)
[표 3]
비교예 화학식 색상
1 오렌지
2 오렌지
3 스칼렛
4 오렌지
상기 각각의 비교예들로부터의 염료 조성물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염료 조성물에 대하여 염색력과 각종 견뢰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우선, 염색력은 상기 침염법에 의해 농도를 변화시켜 염색한 천을 완전건조 후, 천의 앞면과 뒷면을 맥베스 7000A 측색기를 이용해 골고루 8번 이상씩 측정한 값을 평균하여, 비교예 1을 기준(100)으로 한 상대값으로 변환하여 표시하였다.
[표 4]
o.w.f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3
6% 100 102.3 105.7 98.3 112.9
12% 100 107.2 97.8 104.4 117.2
20% 100 96.6 100.3 99.9 102.5
표 4에서의 %는 염색천에 대한 염료 조성물의 사용 중량%를 의미한다.
각종 견뢰도는 하기 설명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일광 견뢰도: ISO 105-B02 규정에 의해 실험, 총 8 등급으로 구분
(2)땀견뢰도: ISO 105-E04 규정에 의해 실험, 총 5 등급으로 구분.
(3)산땀: L-Histidine 염산염 0.5 g/ℓ에 NaH2PO4와 NaCl을 혼합하여 pH 5.5로 맞추고, 유리판 사이에 천을 넣어, 규정압으로 38℃의 건조기에서 4 시간 동안 유지한 후, 60℃이하에서 건조, 총 5 등급으로 구분.
(4)알칼리 땀: L-Histidine 0.5 g/ℓ에 Na2HPO4와 NaCl를 혼합하여 pH 8로 맞추고, 산땀과 동일하게 실험, 총 5 등급으로 구분.
(5)염소수 견뢰도: ISO-E03에 의해 실험, 총 5 등급으로 구분.
(6)유효염소 20 ㎖/ℓ, pH 8.5에서 1 시간(RT) 동안 처리, 총 5 등급으로 구분.
(7)마찰 견뢰도 : ISO 105-X12에 의해 실험, 총 5 등급으로 구분.
(8)마른포(건마찰), 100% 습윤포(습마찰)를 900 g 하중을 가한 배면포에서 10초 간 10 회 왕복 마찰 후 판정, 총 5 등급으로 구분.
(9)세탁견뢰도: 염색포와 백포를 비누액 5 g/ℓ, 소다회 2 g/ℓ에서 steal ball 10 개를 넣고, 60℃에서 30분간 작동, 총 5 등급으로 구분,
[표 5]
일광 땀일광 염소수 땀견뢰도 수세 마찰
Acid(12%) Alkali(12%) 20%
6.0% 20% Acid Alkali 20ppm 변퇴색 오염포 변퇴색 오염포 wash-ing stain-ing 건마찰 습마찰
비교예1 2 4 2 2 3-4 4-5 4-5 4-5 4-5 4-5 4 5 2
비교예2 3 6 3 3 3-4 4-5 4-5 4-5 4-5 4-5 4-5 5 2
비교예3 4 5 3 2 3 4-5 4-5 4-5 4-5 4-5 4 5 2-3
비교예4 3 5 3 3 3-4 4-5 4-5 4-5 4-5 4-5 4-5 5 2
실시예3 5 6 4 3-4 4-5 5 5 5 5 5 5 5 3
※ 각 등급중 4-5등급은 4등급과 5등급 사이임을 의미함.
표 4와 표 5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료 조성물(실시예 3)은 종래의 염료 조성물(비교예 1 ∼ 4)과 비교하여 모든 범위에서 염색력이 우수하고 견뢰도 또한 다른 비교예들과 비교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염료 조성물은 셀룰로우즈계 섬유재료(목면, 마, 비스코스레이온)에 염색하였을 때 심도있는 흑색을 발현하고, 침염, 날염, 콜드패드배치, 연속염색, 방ㆍ발염 등 다양한 염색법에 이용할 수 있으며, 제반 견뢰도, 균염성이 우수하고 타섬유 오염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간의 상용성 또한 우수하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염료 성분 50 내지 99 중량% 및 하기 화학식 2의 염료 성분 1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1)
    (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M 은 수소원자,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이고;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메톡시, 또는 설폰산기이고;
    X 는 치환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가 가능한 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 내지 5의 화합물 중의 하나이고,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 내지 9의 화합물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3)
    (4)
    (5)
    (6)
    (7)
    (8)
    (9)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염료 성분은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 2 당량을 디아조화한 후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 1 당량과 커플링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10)
    상기 식에서, R1, R2및 X 는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다.
    (11)
    상기 식에서, M 은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12의 염료 성분을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5 중량%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12)
    상기 식에서,
    M, R1, R2및 X 는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고;
    D 는 수소원자이거나 하기 화학식 13 또는 화학식 14의 그룹이다.
    (13)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고;
    M 은 수소원자,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이다.
    (14)
    상기 식에서,
    M 은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하고;
    n 은 0 ∼ 3의 정수이다.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성분의 조성은 화학식 1의 염료 성분이 50 내지 80 중량%이고, 화학식 2의 염료 성분이 10 내지 25 중량%이며, 화학식 3의 염료 성분이 10 내지 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6. 제 1 내지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1 내지 5 중량%의 범위내에서 가용화제, 완충제, 빙결방지제 등의 기타 성분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KR1020020033168A 2002-06-14 2002-06-14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KR20030096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168A KR20030096590A (ko) 2002-06-14 2002-06-14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168A KR20030096590A (ko) 2002-06-14 2002-06-14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590A true KR20030096590A (ko) 2003-12-31

Family

ID=3238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168A KR20030096590A (ko) 2002-06-14 2002-06-14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65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187B1 (ko) * 2005-03-15 2007-01-02 오영산업주식회사 반응성 흑색염료 조성물
CN104073024A (zh) * 2014-07-10 2014-10-01 浙江瑞华化工有限公司 一种黑色活性染料组合物和其的用途
KR20170139280A (ko) * 2016-06-09 2017-12-19 주식회사 오영 반응성 염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9868A (ja) * 1988-05-17 1989-11-21 Kiwa Kagaku Kogyo Kk ジスアゾ染料とその製法及び黒色反応染料混合物
KR19990076017A (ko) * 1998-03-26 1999-10-15 김충섭 셀룰로스 섬유용 검정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KR20000013131A (ko) * 1998-08-05 2000-03-06 박평치 반응성 흑색 염료 조성물
KR20020021802A (ko) * 2002-02-19 2002-03-22 김만길 반응성 흑색 염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9868A (ja) * 1988-05-17 1989-11-21 Kiwa Kagaku Kogyo Kk ジスアゾ染料とその製法及び黒色反応染料混合物
KR19990076017A (ko) * 1998-03-26 1999-10-15 김충섭 셀룰로스 섬유용 검정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KR20000013131A (ko) * 1998-08-05 2000-03-06 박평치 반응성 흑색 염료 조성물
KR20020021802A (ko) * 2002-02-19 2002-03-22 김만길 반응성 흑색 염료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187B1 (ko) * 2005-03-15 2007-01-02 오영산업주식회사 반응성 흑색염료 조성물
CN104073024A (zh) * 2014-07-10 2014-10-01 浙江瑞华化工有限公司 一种黑色活性染料组合物和其的用途
CN104073024B (zh) * 2014-07-10 2016-07-06 浙江瑞华化工有限公司 一种黑色活性染料组合物和其的用途
KR20170139280A (ko) * 2016-06-09 2017-12-19 주식회사 오영 반응성 염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6026B1 (en) Reactive dye composition and dyeing or printing process using the same
JPH0539433A (ja) 反応染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繊維材料の染色または捺染方法
US4584367A (en) Reactive disazo compound
KR100790467B1 (ko) 디스아조 화합물, 반응성 염료 조성물, 및 셀룰로오스또는 셀룰로오스-함유 섬유의 염색방법
JP2003526726A (ja) 繊維反応性ディスアゾ化合物
KR100320639B1 (ko) 적색계반응성염료,그의조성물및이를사용한염색법
JP2762640B2 (ja) 反応染料混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繊維材料の染色方法
KR20030096590A (ko)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JPH01308460A (ja) 反応性染料及びそれを用いる染色法
KR20000013131A (ko) 반응성 흑색 염료 조성물
KR100510246B1 (ko) 반응성 흑색 염료 조성물
KR100686978B1 (ko) 반응성 염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
US5942011A (en) Process for dyeing textiles containing polyester fibers and dyeing auxiliaries
JP5194477B2 (ja) 反応染料組成物及び染色法
EP0013996B1 (en) Reactive azo compound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for dyeing fibers and textiles
JPS6354025B2 (ko)
KR100843102B1 (ko) 반응성 염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
EP0241821B1 (en) Water-soluble yellow monoazo dyestuff mixtures and their use for dyeing carbonamide and/or hydroxy groups containing materials
JPH09169922A (ja) 反応染料混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染色または捺染法
JP2006052249A (ja) 反応染料組成物及び染色法
KR0124474B1 (ko) 흑색 반응성 염료 조성물
US5463033A (en) Fiber reactive monoazo yellow dye
JPS6344868B2 (ko)
JPH07247440A (ja) 水溶性染料混合物及びセルロース繊維材料の染色又は捺染法
KR840001858B1 (ko) 반응성 디스아조 화합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25

Effective date: 200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