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954A -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954A
KR20030094954A KR1020020032431A KR20020032431A KR20030094954A KR 20030094954 A KR20030094954 A KR 20030094954A KR 1020020032431 A KR1020020032431 A KR 1020020032431A KR 20020032431 A KR20020032431 A KR 20020032431A KR 20030094954 A KR20030094954 A KR 2003009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oor
outside handle
door outsid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4954A/ko
Publication of KR2003009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95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부 구조는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구조에 있어 핸들이 장착되는 양 측면부가 도어 아우터 패널이 형성하는 개구의 상하폭을 충분히 덮는 길이 만큼 하부로 더 연장되도록 하고, 나아가 중심바, 상기 양 측면부가 형성하는 빈 공간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장방형의 커버 및 중심바에 회전 축선이 위치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도어 커버구조를 제공하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와 도어 커버 구조가 결합됨으로써 도어 커버 구조에 의하여 함몰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Cover Structure for Door Outside Handle in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부 구조, 특히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함몰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 신규한 핸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를 보이는데, 도 1a는 도어아우터패널(O)에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100)가 장착된 사시도를, 도 1b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100)를 떼어 낸 사시도를, 그리고 도 1c는 도 1b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도어아우터패널(O)의 개구에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100)가 장착되는데, 하부 도어아우터패널(O)의 굴곡진 상부(도 1c의 원호 부분)는 오목한 함몰부(110)로 남아 핸들 작동시 손을 집어 넣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함몰부는 평상시 먼지 및 오물이 잘 쌓이는 공간이며, 세차시에도 청소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 주행시에는 외부 공기 흐름에 교란을 일으키며 장착용 구멍과 틈새를 통하여 내부로의 소음 유입 위험이 커서 차량 성능에 악 영향을 끼치며, 차량의 옆면에 함몰부가 존재하므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의 도어 폐쇄 상태에서 차량의 함몰부를 커버할 수 있는 신규한 구조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부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a는 아우터패널에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가 장착된 사시도, 도 1b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를 떼어 낸 사시도, 그리고 도 1c는 도 1b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의 조립 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와 도어 커버 구조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14) : 핸들
(3) : 스프링 (4) : 중심바 (5) : 도어 아웃사이드 커버
본 발명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부 구조는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구조에 있어 핸들이 장착되는 양 측면부가 도어 아우터 패널이 형성하는 개구의 상하폭을 충분히 덮는 길이 만큼 하부로 더 연장되도록 하고, 나아가 중심바, 상기 양 측면부가 형성하는 빈 공간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장방형의 커버 및 중심바에 회전 축선이 위치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도어 커버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일차적인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와 도어 커버 구조가 결합됨으로써 도어 커버 구조에 의하여 함몰부가 보이지 않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커버의 상단부가 핸들의 하부 내면과 맞닿아 있도록 탄성수단, 바람직하게는 토숀스프링을 도어 아우터 패널과 커버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탄성 지지력을 받는 커버에 의하여 함몰부가 폐쇄되나, 도어 개방시에는 커버를 민 후 핸들을 외부로 잡아 당김으로써 종전과 마찬가지로 원활하게 도어를 개방시키는 작용이 행해지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의 조립 전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외관 구조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게 주변부(12)와 주변부의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14)로 구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주변부(12)의 양 측면부(16)가 도어 아우터 패널(O)이 형성하는 개구의 상하폭을 충분히 커버하는 길이 만큼 하부로 더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양 측면부(16)의 내면에는 삽입공(18)이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커버구조는 스프링(3), 중심바(4) 및 도어 아웃사이드 커버(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스프링(3)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탄성 모멘트를 가하는 토숀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중심바(4)는 로드형을 이루어 상기 삽입공(18)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 긴 장방형의 도어 아웃사이드 커버(5)의 양측단부로부터는 삽입공(52)이 형성된 체결부(51)가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커버(5)의 상단부(53)는 내측으로 굴곡되어 상향하는 모양의 오목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4 참조). 상기 커버(5)는 그 상단부(53)를 제외하면, 주변부(12)의 양 측면부(16)가 형성하는 빈 공간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주변부(12)에의 결합에 필요한 여유를 제외하고는 틈새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커버 구조는 상기 커버(5)의 체결부(51)의 삽입공(52)을 상기 삽입공(18)과 정렬시키고, 스프링(3)의 중심을 통과한 중심바(4)의 양단을 각 삽입공(18,52)에 관통 체결함으로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10)에 장착된다. 장착후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전반의 외관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B-B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어 아우터 패널(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10) 및 커버(5)의 외면은 실질적으로 면일(面一)을 이루어 평평하고 부드러운 외관을 제공한다. 토숀스프링(3)의 한쪽 팁바(31)는 아우터패널(O)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다른 쪽 팁바(32)는 커버(5)의 내면을 가압하여 커버(5)의 상단부(53)가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2)의 핸들(14)하부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을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통상적인 도어 폐쇄시에는 도4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어 개방시에는 손으로 커버(5)를 밀면 스프링(3)의 팁바(32;tip bar)부근이 가압되면서 커버(5)의 상부가 스프링(3)의 축선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동하여 커버(5)의 상단부(53)가 핸들(14)에서 충분히 이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격된 공간 사이로 손을 넣어 핸들(14)을 당김으로써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은 차량의 핸들부 구조에 존재하던 함몰부가 커버에 의하여 덮히도록 하고 있으므로, 함몰부에 먼지나 오물이 쌓이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주행시 내부로의 소음 유입을 차단하며, 세차시의 편리함등 고객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차량의 외관이 개선되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폭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1.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부 구조로서, 상기 구조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측면부가 도어 아우터 패널이 형성하는 개구의 상하폭을 충분히 덮는 길이 만큼 하부로 더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양 측면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주변부 및 주변부의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로 이루어진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중심바, 상기 양 측면부가 형성하는 빈 공간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장방형을 이루며, 그 양측단부로부터 삽입공이 형성된 체결부가 차량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 커버 및 상기 중심바에 회전 축선이 위치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도어 커버구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굴곡되어 상향하는 모양의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토숀스프링으로서 일팁바가 도어 아우터 패널에 지지되며, 다른 팁바가 상기 커버의 내면을 탄성 가압함으로써 도어의 폐쇄시 상기 커버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핸들의 하부 내면과 맞닿아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부 구조.
KR1020020032431A 2002-06-11 2002-06-1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 KR20030094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431A KR20030094954A (ko) 2002-06-11 2002-06-1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431A KR20030094954A (ko) 2002-06-11 2002-06-1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954A true KR20030094954A (ko) 2003-12-18

Family

ID=3238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431A KR20030094954A (ko) 2002-06-11 2002-06-1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49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34B1 (ko) * 2011-12-06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WO2015143868A1 (zh) * 2014-03-25 2015-10-0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把手遮盖装置及具有其的车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216U (ko) * 1985-12-28 1987-07-15
JPS6337767U (ko) * 1986-08-28 1988-03-11
JPS6396925U (ko) * 1986-12-16 1988-06-23
KR910007081Y1 (ko) * 1988-05-25 1991-09-20 이정민 병마개를 부설한 유출구
KR19980025660U (ko) * 1996-11-05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
KR0172213B1 (ko) * 1996-05-14 1999-02-18 김영귀 풍절음 방지용 차량 도어 외부손잡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216U (ko) * 1985-12-28 1987-07-15
JPS6337767U (ko) * 1986-08-28 1988-03-11
JPS6396925U (ko) * 1986-12-16 1988-06-23
KR910007081Y1 (ko) * 1988-05-25 1991-09-20 이정민 병마개를 부설한 유출구
KR0172213B1 (ko) * 1996-05-14 1999-02-18 김영귀 풍절음 방지용 차량 도어 외부손잡이
KR19980025660U (ko) * 1996-11-05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34B1 (ko) * 2011-12-06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WO2015143868A1 (zh) * 2014-03-25 2015-10-0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把手遮盖装置及具有其的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090B2 (en) Automobile handle device
US6581243B2 (en) Hinge with built-in door stop
JP4147633B2 (ja) バックドア開閉機構および組立方法
KR20030094954A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구조
KR100802925B1 (ko)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
KR100946500B1 (ko)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1246308B1 (ko) 자동차의 스위치 노브
JPH0116853Y2 (ko)
JP3506637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461412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JP4322493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ロッキングノブ構造
JP3685378B2 (ja) 開閉カバーを有する筐体
KR100536380B1 (ko) 버스 루프의 환기구 링크 구조물
KR200268752Y1 (ko) 테일게이트 결합구조
KR200169655Y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수납구조
JP2010235092A (ja) 自動車のドア
JPH11303490A (ja) リッド装置
KR970002717Y1 (ko) 카 오디오 메인새시와 커버 조립구조
KR200141962Y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 고정용 구조
KR100201472B1 (ko) 백도어의 힌지 취부구조
KR100298741B1 (ko) 차량의리어도어델타커버장착구조
KR100534886B1 (ko) 차량용 도어 커튼 손잡이 구조
KR200142191Y1 (ko) 자동차의 에어크리너커버 체결구조
KR100240399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
JPS5916961Y2 (ja) ダストカバ−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