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500B1 -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500B1
KR100946500B1 KR1020080076460A KR20080076460A KR100946500B1 KR 100946500 B1 KR100946500 B1 KR 100946500B1 KR 1020080076460 A KR1020080076460 A KR 1020080076460A KR 20080076460 A KR20080076460 A KR 20080076460A KR 100946500 B1 KR100946500 B1 KR 10094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side handle
mounting portion
outer panel
han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831A (ko
Inventor
제명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5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아우터 판넬과 연통되도록 상기 도어 아우터 판넬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마운팅부가 형성된 커버 장착부로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커버 장착부에 결합되며, 내측의 끝단에 상기 마운팅부에 장착되는 장착 보스가 돌출 형성된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와; 상기 커버 장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 아우터 판넬의 외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를 상기 도어 아우터 판넬에 밀착시키기 위한 패드와; 상기 커버 장착부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가 상기 장착 보스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커버 장착부에 조립되도록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가 장착 보스를 기준으로 커버 장착부에 회전되면서 조립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 보스와 패드가 간섭되는 일이 없어 패드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OUTSIDE HANDLE UNIT OF 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를 커버 장착부에 조립할 때 패드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아우터 판넬의 외측 및 내측에 조립된다.
종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아우터 판넬(110)과 연통되도록 도어 아우터 판넬(11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베이스(120)와, 도어 아우터 판넬(110)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베이스(120)에 조립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130) 및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로 구성된다.
베이스(120)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130)이 장착되기 위한 그립 장착부(121)와,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가 장착되기 위한 커버 장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그립 장착부(121) 및 커버 장착부(122)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 아우 터 판넬(110)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130) 및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가 각각 그립 장착부(121) 및 커버 장착부(122)에 장착 가능하도록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130)은 그립 장착부(121)에 조립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는 베이스(120)에 형성된 커버 장착부(122)에 조립되며, 이 때 도어 아우터 판넬(110)의 외표면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가 도어 아우터 판넬(110)에 밀착되도록 패드(150)가 마련되어 있다(도 3에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음).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의 내측 끝단에는 베이스(120)에 형성된 마운팅부(125)에 나사(123)로 결합되는 장착 보스(14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내측 중앙부분에는 커버 장착부(122)에 조립될 때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를 안내하는 안내 돌기(161)가 커버 장착부(122)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안내 돌기(161)는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의 내측 상단 및 하단에 직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 장착부(12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안내 홈(162)을 따라 안내되면서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의 조립 방향을 안내한다.
즉,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장착부(122)에 화살표 방향으로 조립되는데, 이 과정에서 장착 보스(145)는 마운팅부(125)를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 방향으로 밀게 되어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130)과 갭이 커질 수 있다. 그런데, 안내 돌기(161)가 안내 홈(162)에 끼워짐 으로써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가 T 방향으로 과대하게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는,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가 커버 장착부(122)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안내 돌기(161)가 안내 홈(162)에 직선 방향으로 끼워지면서 도 2와 같이 조립되기 때문에,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의 장착 보스(145)와 패드(150)가 조립 중에 간섭되므로 장착 보스(145)가 지나가는 위치(M')의 패드(150)의 폭을 최대한 얇게 구성하였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패드(150)의 폭을 얇게 하는 경우라도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를 커버 장착부(122)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패드(150)가 꺾이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에 의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140)와 도어 아우터 판넬(110)이 밀착되지 않아 주행 중 윈드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를 커버 장착부에 조립할 때 패드가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와 도어 아우터 판넬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주행 중 윈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아웃 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따라, 도어 아우터 판넬과 연통되도록 상기 도어 아우터 판넬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마운팅부가 형성된 커버 장착부로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커버 장착부에 결합되며, 내측의 끝단에 상기 마운팅부에 장착되는 장착 보스가 돌출 형성된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와; 상기 커버 장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 아우터 판넬의 외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를 상기 도어 아우터 판넬에 밀착시키기 위한 패드와; 상기 커버 장착부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가 상기 장착 보스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커버 장착부에 조립되도록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커버 장착부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장착 보스를 향해 휜 모양으로 형성된 안내 돌기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 돌기가 안내되도록 휜 모양으로 형성된 안내 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패드 중 상기 마운팅부가 위치하는 곳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가 장착 보스를 기준으로 커버 장착부에 회전되면서 조립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 보스와 패드가 간섭되는 일이 없어 패드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아웃 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마운팅부가 위치하는 곳의 패드의 폭을 최대한 넓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와 도어 아우터 판넬이 밀착되므로 윈드 노이즈를 최대한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아웃 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아우터 판넬(10)과 연통되도록 도어 아우터 판넬(1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베이스(20)와, 도어 아우터 판넬(10)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베이스(20)에 조립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30) 및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로 구성된다.
베이스(20)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30)이 장착되기 위한 그립 장착부(21)와,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가 장착되기 위한 커버 장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그립 장착부(21) 및 커버 장착부(22)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 아우터 판넬(10)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30) 및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가 각각 그립 장착부(21) 및 커버 장착부(22)에 장착 가능하도록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30)은 그립 장착부(21)에 조립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는 베이스(20)에 형성된 커버 장착부(22)에 조립되며, 이 때 도어 아우터 판넬(10)의 외표면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가 도어 아우터 판넬(10)에 밀착되도록 패드(50)가 마련되어 있다(도 7에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음).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의 내측 끝단에는 베이스(20)에 형성된 마운팅부(25)에 나사로 결합되는 장착 보스(45)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중앙부분에는 커버 장착부(22)에 조립될 때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를 회전 안내하는 후술할 안내 돌기(61)가 커버 장착부(22)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커버 장착부(22)와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가 장착 보스(45)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커버 장착부(22)에 조립되도록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안내부(60)에 의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가 장착 보스(45)를 기준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커버 장착부(22)에 조립되기 때문에, 직선 방향으로 조립되었던 종래와 달리 장착 보스(45)에 의해 패드(50)가 꺾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가 커버 장착부(22)에 조립될 때 장착 보 스(45)와 패드(50)가 간섭되지 않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부(25)가 위치하는 곳(M)의 패드(50)의 폭(w)은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을 정도라면 최대한 넓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패드(50)의 폭(w)이 최대한 크게 구성되면 주행 중 윈드 노이즈가 최대한 저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안내부(60)는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의 내측면에 장착 보스(45)를 향해 휜 모양으로 형성된 안내 돌기(61)와, 커버 장착부(22)에 안내 돌기(61)가 안내되도록 휜 모양으로 함몰 형성된 안내 홈(6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안내 돌기(61) 및 안내 홈(62)이 직선 구조로 이루어졌던 종래와 달리 휜 모양으로 구성됨으로써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가 장착 보스(4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커버 장착부(22)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가 장착 보스(45)를 기준으로 커버 장착부에 회전되면서 조립되기 때문에 장착 보스(45)와 패드(50)가 간섭되는 일이 없어 패드(50)가 꺾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40)와 도어 아우터 판넬(10)이 긴밀히 밀착됨으로써, 주행 중 발생하는 윈드 노이즈가 최대한 저감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안내 돌기가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안내 홈이 커버 장착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안내 돌기가 커버 장착부에 형성되고 안내 홈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도 1의 (a)는 종래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 (b)는 (a)의 일부를 A 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를 커버 장착부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에 도시된 패드를 자세히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는 도 4의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를 커버 장착부에 조립하기 위해 마운팅부에 장착 보스를 위치시킨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b)는 (a) 상태를 도어 아우터 판넬의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를 커버 장착부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패드를 자세히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아우터 판넬 20 : 베이스
21 : 그립 장착부 22 : 커버 장착부
25 : 마운팅부 30 : 아웃사이드 핸들 그립
40 :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45 : 장착 보스
50 : 패드 60 : 회전 안내부
61 : 안내 돌기 62 : 안내 홈

Claims (3)

  1. 도어 아우터 판넬과 연통되도록 상기 도어 아우터 판넬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마운팅부가 형성된 커버 장착부로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커버 장착부에 결합되며, 내측의 끝단에 상기 마운팅부에 장착되는 장착 보스가 돌출 형성된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와;
    상기 커버 장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 아우터 판넬의 외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를 상기 도어 아우터 판넬에 밀착시키기 위한 패드와;
    상기 커버 장착부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가 상기 장착 보스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커버 장착부에 조립되도록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커버 장착부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장착 보스를 향해 휜 모양으로 형성된 안내 돌기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 돌기가 안내되도록 휜 모양으로 형성된 안내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3. 삭제
KR1020080076460A 2008-08-05 2008-08-05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094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460A KR100946500B1 (ko) 2008-08-05 2008-08-05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460A KR100946500B1 (ko) 2008-08-05 2008-08-05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831A KR20100016831A (ko) 2010-02-16
KR100946500B1 true KR100946500B1 (ko) 2010-03-10

Family

ID=4208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460A KR100946500B1 (ko) 2008-08-05 2008-08-05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56B1 (ko) 2011-12-08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외부핸들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100B1 (ko) * 2011-09-19 2013-07-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유닛
KR101282575B1 (ko) * 2012-05-31 2013-07-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분실 방지 링크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9348U (ko) 1977-12-23 1979-07-13
JPS54109341U (ko) 1978-01-20 1979-08-01
JP2007132107A (ja) 2005-11-11 2007-05-31 Sakae Riken Kogyo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2007303257A (ja) 2006-05-15 2007-11-22 Tachikawa Blind Mfg Co Ltd 建具用取っ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9348U (ko) 1977-12-23 1979-07-13
JPS54109341U (ko) 1978-01-20 1979-08-01
JP2007132107A (ja) 2005-11-11 2007-05-31 Sakae Riken Kogyo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2007303257A (ja) 2006-05-15 2007-11-22 Tachikawa Blind Mfg Co Ltd 建具用取っ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56B1 (ko) 2011-12-08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외부핸들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831A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357B2 (en) Assist grip
KR100946500B1 (ko)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JP2002281651A (ja) ハーネス弛み吸収装置
WO2014208541A1 (ja) ワイパーアーム
JP3771773B2 (ja) ドアミラー構造
JP7259621B2 (ja) ケース用の開口カバー装置
JP6762840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1276575B1 (ko) 록 백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암 장치
JP2006117054A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JP5199007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US20070047201A1 (en) Fan with an arranging device for cable thereof
JPH1151417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8099499A (ja) 余長吸収装置
KR102612677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070019424A (ko) 냉장고용 힌지어셈블리
JP6104343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7360713B2 (ja) ワイパアームのカバー取付構造
JP5752914B2 (ja) 車両のドア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6920879B2 (ja) ワイヤカバーおよびコネクタ
JP4929505B2 (ja) リレーソケット
JP4669484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3111197U (ja) 線条部材の引張り固定具
KR101316344B1 (ko) 테일게이트용 풀핸들
KR200235589Y1 (ko) 냉장고도어구조
KR101239684B1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