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399B1 -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399B1
KR100240399B1 KR1019970064599A KR19970064599A KR100240399B1 KR 100240399 B1 KR100240399 B1 KR 100240399B1 KR 1019970064599 A KR1019970064599 A KR 1019970064599A KR 19970064599 A KR19970064599 A KR 19970064599A KR 100240399 B1 KR100240399 B1 KR 100240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bracket
trunk lid
groov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3577A (ko
Inventor
심재관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7006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399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브라켓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힌지의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이 형성된 일측 하부에는 밸런스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홈(12)이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과 설치홈(12)이 형성된 제1힌지브라켓(15)과 제2힌지브라켓(16)으로 분활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브라켓(16)은 제1힌지브라켓(15)에 결합홈(11)과 설치홈(12)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용착되게 구성하여, 일측단부가 트렁크리드에 결합된 힌지(20)의 타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브라켓(10)을 제작시 제1힌지브라켓(15)에 제2힌지브라켓(16)을 각각 프레스성형 함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프레스성형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서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힌지(20)가 회동되도록 하는 포인트를 차량을 조립하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위치를 변경해 가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브라켓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트렁크리드에 일측단부가 결합된 힌지를 회동시키는 브라켓을 차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브라켓의 강성을 향상시켜 트렁크리드를 개폐시 상기 트렁크리드의 개폐감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부에는 소정의 적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공간의 후부 차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스트라이커가 취부되며, 상기 적재공간의 상부에는 힌지브라켓에 일측단부가 결합된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트렁크리드가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리드를 하부로 누르면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트렁크리드가 회동되어 적재공간의 상부에 닫히게 되고, 후크를 트렁크리드로 부터 분리한 후 상기 트렁크리드를 들어올리면 적재공간의 상부가 개구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종래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브라켓구조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힌지(20)의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1)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가 형성된 일측 하부에는 밸런스스프링(30)이 설치되는 설치홈(12)이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는 힌지브라켓(10)의 결합홈(11)에 힌지(20)의 일측단부를 결합시키고, 상기 힌지브라켓(10)의 일측면을 차체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트렁크리드가 힌지(20)의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브라켓구조는 ㄷ자단면의 구조로 형성되는 관계로 강성이 취약하고, 일측단부가 트렁크리드에 결합되는 힌지(20)의 타측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 포인트 설정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부에 힌지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밸런스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홈이 각각 형성된 제1힌지브라켓과 제2힌지브라켓으로 분활 형성하고, 상기 제2힌지브라켓은 제1힌지브라켓에 결합홈과 설치홈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용착되게 구성하여, 힌지의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브라켓의 형상을 단순화시켜 부품을 프레스 강성을 보강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힌지의 타측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브라켓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발명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힌지브라켓 11 : 결합홈
12 : 설치홈 15 : 제1힌지브라켓
16 : 제2힌지브라켓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브라켓구조도 제3도와 제4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힌지(20)의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이 형성된 일측 하부에는 밸런스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홈(12)이 형성되는 것이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결합홈(11)과 설치홈(12)이 형성된 제1힌지브라켓(15)과 제2힌지브라켓(16)으로 분활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브라켓(16)은 제1힌지브라켓(15)에 결합홈(11)과 설치홈(12)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용착되게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2힌지브라켓(16)에 형성된 결합홈(12)은 제1힌지브라켓(15)의 결합홈(12)과 제2힌지브라켓(12)의 설치홈(11)은 제1힌지브라켓(15)의 설치홈(11)에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16)을 제1힌지브라켓(15)에 용착시키는 것에 의해 좌우 양측에 각각의 밸런스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홈(12)이 위치하게 되고, 상부 좌우 양측에도 힌지(20)의 일측단부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11)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일측단부가 트렁크리드에 결합된 힌지(20)의 타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브라켓(10)을 제작시 제1힌지브라켓(15)에 제2힌지브라켓(16)을 각각 프레스성형 함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프레스성형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서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힌지(20)가 회동되도록 하는 포인트를 차량을 조립하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위치를 변경해 가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에 힌지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밸런스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홈이 각각 형성된 제1힌지브라켓과 제2힌지브라켓으로 분활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브라켓는 제1힌지브라켓에 결합홈과 설치홈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용착되게 구성하여, 힌지의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브라켓의 형상을 단순화시켜 부품을 프레스 강성을 보강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힌지의 타측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상부에 힌지의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이 형성된 일측 하부에는 밸런스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홈(12)이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과 설치홈(12)이 형성된 제1힌지브라켓(15)과 제2힌지브라켓(16)으로 분활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브라켓(16)은 제1힌지브라켓(15)에 결합홈(11)과 설치홈(12)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용착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브라켓구조.
KR1019970064599A 1997-11-29 1997-11-29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 KR10024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599A KR100240399B1 (ko) 1997-11-29 1997-11-29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599A KR100240399B1 (ko) 1997-11-29 1997-11-29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577A KR19990043577A (ko) 1999-06-15
KR100240399B1 true KR100240399B1 (ko) 2000-01-15

Family

ID=1952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599A KR100240399B1 (ko) 1997-11-29 1997-11-29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3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577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399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구조
JP2003300405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3794435B2 (ja) 扉錠のケース
KR1003981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용 토션바
JPH02216375A (ja) トラクタのキャビン
JPH09118131A (ja) ドアトリム構造
JP3316968B2 (ja) ブッシュバーの取付構造
KR100307142B1 (ko) 트렁크리드의토숀바
KR100216817B1 (ko) 자동차 도어 첵커의 취부구조
JP3166292B2 (ja) スポイラ付きスクータ型車両
KR100324378B1 (ko) 자동차용 루프몰딩의 후단부 고정구조
KR200182898Y1 (ko) 자동차의테일게이트힌지부구조
US6935676B2 (en) Vehicle with door capable of swinging horizontally
KR200148151Y1 (ko) 차량용필러리드의힌지구조
JP2005119542A (ja) フェンダ上端部の取付構造
KR0111928Y1 (ko) 박스형 자동차의 후드힌지 브라켓구조
JPH06286641A (ja) 自動車のサブフレーム構造
KR0158511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힌지
KR200247120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서포트 패널 보강구조
KR100234673B1 (ko) 폴딩 타입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 브라켓 고정구조
JP2003063333A (ja) 自動車のバンパ補強構造
KR970006760Y1 (ko) 도어 개폐용 스트라이커 취부구조
KR19980045427U (ko) 인너트림의 마운팅 브라켓
KR19980039620U (ko) 자동차의 프론트도아 구조
KR20050060427A (ko) 본네트의 인슐레이터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