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093A - 기상성장장치 - Google Patents

기상성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093A
KR20030092093A KR10-2003-7013793A KR20037013793A KR20030092093A KR 20030092093 A KR20030092093 A KR 20030092093A KR 20037013793 A KR20037013793 A KR 20037013793A KR 20030092093 A KR20030092093 A KR 20030092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action vessel
pipe
outlet
phase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3886B1 (ko
Inventor
하세베가즈히데
야마모토히로유키
우메하라다카히토
가와카미마사토
Original Assignee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92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63Gas nozzles
    • C23C16/45578Elongated nozzles, tubes with h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supporting substrates in the reaction chamber
    • C23C16/4582Rigid and flat substrates, e.g. plates or discs
    • C23C16/4583Rigid and flat substrates, e.g. plates or discs the substrate being suppor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35/00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the growth, production or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상성장장치는, 내부에 기판이 배치되는 반응용기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1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유기금속함유가스로 이루어진 제 1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1 가스도입부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2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와 반응하는 동시에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보다도 밀도가 작은 제 2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가스도입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와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반응용기내에 배치되는 기판의 바깥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기상성장장치{GASEOUS PHASE GROWING DEVICE}
반도체장치의 제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에 대하여, 여러가지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CVD 등의 기상성장막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의 원료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면 스트론튬(Sr) 및 티타늄(Ti)을 함유한 유기금속함유가스와 산소(O2)가스를 사용하는 CVD에 의하면,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에 SrTiO3으로 이루어진 기상성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기상성장막은, 그 특성 때문에, 예컨대 캐패시터용량 절연막 등으로서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웨이퍼상에의 복수의 원료가스에 의한 기상성장막의 형성은, 통상 내부에 복수의 가스도입관이 설치된 반응용기를 사용하여, 이 반응용기내에 웨이퍼를 배치하고, 해당 가스도입관의 각각으로부터 원료가스를 분출시키면서 가열함으로써, 행하여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상성장장치에서는 가스도입관으로서, 통상 직관형상의 석영제 관체로서, 그 둘레벽에 원형관통구멍에 의한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관체의 둘레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릿형상 관통구멍에 의한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것도 알려져 있다.
종래의 기상성장장치에 있어서는, 원료가스로서 유기금속함유가스를 사용할 경우, 가스도입관에서의 가스분출구의 정면방향이, 원료가스가 웨이퍼의 표면을 따라 해당 웨이퍼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해당 중심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해당 웨이퍼의 표면에 형성되는 기상성장막은, 면내에서의 불균일성이 상당히 크다. 결국, 높은 균일성으로 소기의 특성의 기상성장막을 형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스트론튬(Sr)이나 티타늄(Ti)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함유가스와 산소가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기판의 면내에서 높은 균일성으로 소기의 결정성장을 생기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기상성장막을 형성할 수 없다.
이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그 원인은, 웨이퍼의 면내에서의 유기금속함유가스의 분포에 있어서의 불균일성이 매우 크기 때문인 것이 판명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금속함유가스는 밀도가 높은 가스이다. 이 때문에,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가 원형구인 경우에는, 형성되는 기상성장막에 관해서, 해당 가스분출구의 정면방향(웨이퍼의 지름 R의 방향으로 한다)에서는, 좁은 영역에 어느 정도의 균일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정면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에서는, 상기 가스분출구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막두께가 대폭 감소한다. 즉, 불균일성이 큰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스분출구가 웨이퍼의 면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릿형상 관통구멍에 의해 형성된 가스도입관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해당 가스분출구로부터의 거리가 작은 범위에서는, 가스가 가로방향으로 퍼진다. 이로써, 형성되는 기상성장막에 관하여, 가스분출구의 정면방향(웨이퍼의 지름 R의 방향으로 한다)에 직교하는 가로방향에서는 막두께의 균일성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 그러나, 상기 정면방향에서는, 가스분출구로부터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막두께가 대폭 감소하였다. 결국, 불균일성이 큰 상태가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반도체 웨이퍼 등의 평판형상 또는 면형상의 기판의 표면에, 복수의 원료가스를 사용하여 기상성장막을 형성하기 위한 기상성장장치 및 기상성장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웨이퍼 등의 평판형상의 기판의 표면에, 유기금속함유가스를 함유한 복수의 원료가스에 의한 기상성장막을 높은 균일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기상성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판형상의 기판의 표면에, 유기금속함유가스를 함유한 복수의 원료가스에 의한 기상성장막을 높은 균일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기상성장막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기판이 배치되는 반응용기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1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유기금속함유가스로 이루어진 제 1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1 가스도입부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2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와 반응함과 동시에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보다도 밀도가 작은 제 2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가스도입부를 구비하고,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와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반응용기내에 배치되는 기판의 바깥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가스도입부에 의해서 반응용기내에 공급되는 제 1 가스의 흐름이, 제 2 가스도입부에 의해서 반응용기내에 공급되는 제 2 가스의 흐름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유기금속함유가스로 이루어진 제 1 가스는 기판상에 충분히 높은 균일성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기판의 표면에, 그 전체에 걸쳐 높은 균일성으로 원하는 기상성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상기 반응용기내에 도입되는 제 1 가스는,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상기 반응용기내에 도입되는 제 2 가스의 흐름의 영향을 받아, 상기 기판의 면을 따라 확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기판의 면에 평행한 방향에 개구하는 슬릿형상 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릿형상 관통구멍은 제 1 가스도입관에 대한 개방각이, 30도 내지 1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기판의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슬릿형상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며, 인접한 슬릿형상부분의 사이에는, 중간벽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원형상 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의 정면방향과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의 정면방향은, 상기 반응용기내에 배치되는 기판의 중심을 향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 및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의 각 정면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4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는, 복수의 기판이 상하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각 기판의 높이에 대응하여 복수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도 각 기판의 높이에 대응하여 복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스 및 제 2 가스는,
(1) Sr〔[(CH3)3CCO]2CH〕2가스 및 O2가스
(2) Ti(OC3H7-i)2〔[(CH3)3CCO]2CH〕2가스 및 O2가스
(3) TiCl4가스 및 NH3가스
(4) Zr〔OC(CH3)34가스 및 O2가스
(5) Ta(OC2H5)5가스 및 O2가스 중의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기판이 배치되는 반응용기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1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유기금속함유가스로 이루어진 제 1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1 가스도입부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2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와 반응하는 동시에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보다도 밀도가 작은 제 2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가스도입부를 구비하고,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와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반응용기내에 배치되는 기판의 바깥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를 사용하여, 기판의 표면에 기상성장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제 1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는 공정과,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에서 제 2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제 1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는 공정과,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제 2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는 공정은 동시에 실시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기상성장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가스도입관을 웨이퍼의 중심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제 1 가스도입관의 부분확대정면도, 도 3(b)는, 도 2의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를 지나는 확대횡단면도이다.
도 4는, 웨이퍼에 대한, 제 1 가스도입관의 슬릿형상 가스분출구 및 제 2 가스도입관의 원형상 가스분출구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가스분출구의 변형예를 가진 제 1 가스도입관의 부분확대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를 지나는 확대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 2 가스도입관을 웨이퍼의 중심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제 2 가스도입관의 부분확대정면도, 도 7(b)는, 도 6의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를 지나는 확대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기상성장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8의 기상성장장치에 있어서의 제 1 가스도입관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8의 기상성장장치에 있어서의 제 2 가스도입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험예 1에서 얻어진, 웨이퍼의 표면상에서의 Sr(DPM)2가스의 분포상황을 나타내는 등밀도곡선도이다.
도 11은, 실험예 1에서 얻어진, 웨이퍼의 표면상에서의 산소가스의 분포상황을 나타내는 등밀도곡선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상성장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기상성장장치(10)는, 뱃치식(batch-type) 종형 기상성장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원통형상의 반응용기(12)를 구비하고 있다. 반응용기(12)는 예를 들면 석영으로 되어 있다. 반응용기(12)의 상부는, 막혀 있다.
원통형상의 스텐레스강으로 이루어진 매니폴드(13)가, 반응용기(1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 매니폴드(13)의 아래쪽에는, 덮개(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덮개(14)는, 보트 엘리베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14)가 상승하면, 매니폴드(13)의 하단의 개구가 막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응용기(12)의 내부에 밀폐된 반응처리실이 형성된다.
덮개(14)상에는, 보온통(15)을 통해, 예를 들면 석영으로 이루어지는 웨이퍼 보트(WB)가 놓여진다. 기상성장막을 형성해야 할 기판은,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웨이퍼(W)이다. 복수매의 반도체 웨이퍼(W)(기판)가, 웨이퍼 보트(WB)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된다. 그리고, 보트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덮개(14)가 상승하면, 웨이퍼 보트(WB)가 반응용기(12)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해당 웨이퍼 보트(WB)에 유지된 웨이퍼(W)가, 반응용기(12)내에서의 처리영역에 배치된다.
반응용기(12)는, 그 내부에 웨이퍼 보트(WB)가 삽입된 상태로, 반응용기(12)의 안쪽면과 웨이퍼 보트(WB) 또는 웨이퍼(W)의 바깥 둘레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원통형상 틈이 형성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원통형상 틈내에, 가스도입관(후술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반응용기(12)의 주위에는, 예를 들면 저항발열체로 이루어진 통형상 히터 (16)가 설치된다. 이 통형상 히터(16)에 의해, 반응용기(12)의 내부 및 웨이퍼 보트(WB) 상에 배치된 웨이퍼(W)가, 소정의 설정온도가 되도록 가열된다.
통형상 히터(16)의 바깥쪽에는, 단열재층(18)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깥쪽 쉘(20)이, 단열재층(18)을 포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반응용기(12)의 위쪽에도 히터가 배치될 수 있다.
반응용기(12)내에 원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복수의 가스공급관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유기금속함유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가스공급관(30)과, 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가스공급관(40)이, 각각, 매니폴드(13)의 측벽을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관통하여 신장하도록 설치된다.
제 1 가스공급관(30)은 해당 기상성장장치(10)의 외부에 설치된, 유기금속함유가스로 이루어진 원료가스의 가스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매니폴드 (13)의 내부에 있어서의 제 1 가스공급관(30)의 선단부에는, 반응용기(12)의 안둘레면과 웨이퍼(W)의 바깥둘레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상 틈내에 위치하는, 예를 들면 석영관으로 이루어진 제 1 가스도입관(32)의 하단부가 연이어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제 1 가스도입관(32)을 웨이퍼의 중심에서 본 도면이고, 도 3(a)는 도 2의 제 1 가스도입관(32)의 부분확대정면도, 도 3(b)는 도 2의 제 1 가스도입관 (32)의 가스분출구(35)를 지나는 확대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반응용기내에 배치된 웨이퍼에 대한, 제 1 가스도입관의 슬릿형상가스분출구 및 제 2 가스도입관의 원형상가스분출구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가스도입관(32)은 반응용기(12)내의 원통형상 틈내를 위쪽으로 신장하는 도입관체 부분(32A)과, 이 도입관체 부분(32A)의 상단에서 U자 형상으로 만곡하여 아래쪽으로 신장하는 분출관체 부분(32B)을 가지고 있다. 도입관체 부분(32A)과 분출관체 부분(32B)은, 서로 병행하여 신장하고 있다. 분출관체 부분(32B)과 도입관체 부분(32A)은, 적절한 부분에서 보강용 브릿지부재(3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분출관체 부분(32B)에서는, 각각 관체의 둘레방향{즉, 웨이퍼(W)의 면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릿형상 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된 가스분출구(이하, '슬릿형상분출구'라고 한다)(35)의 다수가, 해당 분출관체 부분(32B)의 길이 방향에서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퍼(W)의 면을 따라 신장하는 각 슬릿형상분출구(35)는, 화살표 X로 나타낸 그 정면방향이, 웨이퍼(W)의 중심(C)을 향하고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도입관체 부분(32A)은 생략되고, 분출관체 부분(32B)이 간략하게 나타나 있다.
제 1 가스도입관(32)의 치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일례를 나타내면, 제 1 가스도입관(32)의 분출관체 부분(32B)의 바깥지름은 16.8∼17.2mm, 안지름은 16.5∼16.6mm, 두께는 0.2∼0.7mm로 될 수 있다. 또한, 슬릿형상분출구(35)의 길이{분출관체 부분(32B)의 관체에서의 둘레방향의 길이}는, 그 개방각 α(도3(b)참조)의 크기가 예를 들어 30∼160도가 되는 길이로 될 수 있다. 또한, 개구폭{분출관체 부분(32B)의 관체의 길이 방향의 폭} d는 0.5∼2.0mm의 범위의 크기로 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슬릿형상분출구(35)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은 도면이다. 도 5로부터도 명백하듯이, 슬릿형상 분출구(35)의 각각은, 단일의 슬릿구멍만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관체의 둘레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복수(도 5의 예에서는 3개)의 슬릿구멍부분(S)으로 형성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5의 경우, 인접한 슬릿구멍부분(S) 사이에 중간벽부분(M)이 잔존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중간벽부분(M)이 잔존하고 있는 것에 의해, 큰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제 2 가스공급관(40)은, 제 1 가스공급관(30)과 마찬가지로, 매니폴드(13)의 둘레벽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가스공급관(40)은, 해당 기상성장장치(10)의 외부에 설치된 산소가스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매니폴드(13)의 내부에서의 제 2 가스공급관(40)의 선단부에는, 반응용기(12)의 안둘레면과 웨이퍼(W)의 바깥둘레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상 틈새내에 위치한, 예를 들어 석영관으로 이루어진 제 2 가스도입관(도 1에서는 나타나 있지 않다)의 하단부가 연이어 통하며 접속되어 있다.
도 6은 제 2 가스도입관(42)을 웨이퍼의 중심에서 본 도면이고, 도 7(a)는 제 2 가스도입관(42)의 가스분출구(45)부분을 나타내는 확대정면도, 도 7(b)는 제2 가스도입관(42)의 가스분출구(45)를 지나는 확대횡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가스도입관(42)은, 반응용기(12)내의 원통형상 틈새내를 위쪽으로 신장하는 도입관체 부분(42A)과, 이 도입관체 부분 (42A)의 상단에서 U자 형상으로 만곡하여 아래쪽으로 신장하는 분출관체 부분(42B)을 가지고 있다. 도입관체 부분(42A)과 분출관체 부분(42B)은, 서로 병행하여 신장하고 있다. 분출관체 부분(42B)과 도입관체 부분(42A)은, 적절한 부분에서 보강용 브릿지부재(4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분출관체 부분(42B)에서는, 원형상 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된 가스분출구(이하, '원형분출구'라고 한다)(45)의 다수가, 해당 분출관체 부분(42B)의 길이 방향에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분출관체 부분(42B)에서의 각 원형분출구(45)는, 화살표 Y로 나타낸 그 정면방향이, 웨이퍼(W)의 중심 C를 향하고 있다. 한편, 도 4에 있어서는, 도입관체 부분(42A)은 생략되고, 분출관체 부분(42B)이 간략하게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가스도입관(42)의 관체로서는, 기술한 제 1 가스도입관(32)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원형분출구(45)의 크기는,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지름이 0.5∼5.0mm이 된다. 원형분출구(45)는, 예를 들면 관체의 둘레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원형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 1 가스도입관(32)의 분출관체 부분(32B)과, 제 2 가스도입관(42)의 분출관체 부분(42B)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웨이퍼 (W)의 바깥둘레의 방향을 따라서 접근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술한 바와 같이, 그들 가스분출구 즉 슬릿형상분출구(35)와 원형분출구(45)는, 모두 그 정면방향이 웨이퍼(W)의 중심(C)을 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슬릿형상분출구(35)와 원형분출구(45)는, 각각의 정면방향이 이루는 각도, 즉, 도 4에 있어서의 화살표 X와 화살표 Y가 이루는 각도(이하 '분출구 사이각도'라고 한다. ) θ가 작은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로, 이 분출구사이각도 θ의 크기는 45도 이하인 것이 중요하다. 특히 분출구 사이각도 θ가 1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균일성이 극히 높은 기상성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분출구 사이각도 θ의 크기의 하한은, 원리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분출관체 부분(32B)의 관지름 및 분출관체 부분(42B)의 관지름에 의해서 저절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매니폴드(13)에 있어서, 제 1 가스공급관(30) 및 제 2 가스공급관(40)이 관통하는 위치와는 반대쪽 위치에, 배기구(19)가 설치된다. 이 배기구(19)에는 조절 밸브가 끼워 넣어진 배기관을 통해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가스공급관(30)에 의한 가스의 공급, 제 2 가스공급관(40)에 의한 가스의 공급, 통형상 히터(16)의 동작, 및 배기구(19)에 접속된 조절밸브 및 진공펌프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이 제어기구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프로세스 컨트롤러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예정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각 부에 공급하여 제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상성장장치(10)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하여, 웨이퍼의 표면에 기상성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우선, 기상성장막이 형성되어야 하는 기판인 웨이퍼(W)를 유지하는 웨이퍼 보트(WB)가, 하강위치에 있는 덮개(14)상에 재치 된다. 그 후, 도시되지 않은 보트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덮개(14)가 상승된다. 이에 따라, 웨이퍼 보트(WB)가 반응용기(12)내에 삽입되어, 웨이퍼(W)가 반응용기(12)내에 배치된다. 이 때, 덮개 (14)는 매니폴드(13)의 하단의 개구를 막는다. 이에 따라, 반응용기(12)내가 밀폐된 상태가 된다.
한편, 반응용기(12)내는 배기구(19)를 통해, 설정된 감압상태가 된다. 또한, 반응용기(12)내는 통형상 히터(16)에 의해서 가열되어, 설정된 온도상태로 유지된다.
이 감압장태 및 온도상태는, 목적으로 하는 기상성장막의 종류나 사용되는 원료가스의 종류 및 그들 유량, 그 밖의 조건에 의해서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반응용기(12)내의 분위기에 대한 조건의 일례에서는, 압력이 예를 들면 67∼670Pa(0.5∼5.0Torr)이고, 온도는 300∼600℃이다.
그리고, 설정된 감압조건 및 온도조건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 1 가스공급관(30) 및 제 2 가스공급관(40)을 통해 소요량의 원료가스가 공급되어, 기상성장막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제 1 가스공급관(30) 및 제 2 가스공급관(40)을 통해 공급되는 원료가스는, 목적으로 하는 기상성장막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가스공급관(30)에 의한 제 1 가스로서 유기금속함유가스가 사용된다. 한편, 제 2 가스공급관(40)에 의한 제 2 가스로서는, 제 1 가스공급관(30)을 통해 공급되는 유기금속함유가스와 반응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유기금속함유가스보다 밀도가 작은 반응용가스가 사용된다.
각 원료가스의 공급비율은, 목적으로 하는 상태의 기상성장막이 형성되는 조건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기상성장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유기금속함유가스(제 1 가스)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반응용가스(제 2 가스)의 구체적인 조합으로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Sr〔[(CH3)3CCO]2CH〕2가스(이하「Sr(DPM)2가스」라고 한다)와 O2가스와의 조합
이 조합에 의하면, SrO으로 이루어진 기상성장막이 형성된다.
(2) Ti(OC3H7-i)2〔[(CH3)3CCO]2CH〕2가스와 O2가스와의 조합
이 조합에 의하면, TiO2으로 이루어진 기상성장막이 형성된다.
(3) TiCl4가스와 NH3가스와의 조합
이 조합에 의하면, TiN으로 이루어진 기상성장막이 형성된다.
(4) Zr〔OC(CH3)34와의 조합
이 조합에 의하면, ZrO2으로 이루어진 기상성장막이 형성된다.
(5) Ta(OC2H5)5가스와 O2가스와의 조합
이 조합에 의하면, Ta2O5으로 이루어진 기상성장막이 형성된다.
이상의 조합의 각각은, 그것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1)과 (2)의 조합을 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Sr (DPM)2가스 및 Ti(OC3H7-i)2〔[(CH3)3CCO]2CH〕2가스의 혼합가스와, 산소가스를 사용함으로써, SrTiO3으로 이루어진 기상성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1)의 조합을 사용하여 기상성장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1 가스공급관(30)에는, Sr(DPM)2가스가 예컨대 0.3∼1.0slm의 비율로 공급되고, 제 2 가스공급관(40)에는 산소가스가 예컨대 1.0∼10.0slm의 비율로 공급되며, 반응용기(12)내는, 67∼670Pa(0.5∼5.0Torr)의 감압상태 및 300∼600℃의 온도상태로 유지된다.
성막에 요하는 시간은, 목적으로 하는 막두께의 크기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면 10∼40분간이다. 이에 따라, 막두께가 예를 들어 5∼20nm의 기상성장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기상성장막의 형성에 있어서는, 제 1 가스공급관(30)으로부터 공급된 유기금속함유가스가, 반응용기(12)내의 제 1 가스도입관(32)의 분출관체 부분(32B)에 도달하고, 해당 분출관체 부분(32B)에 형성된 슬릿형상분출구(35)의 각각으로부터, 웨이퍼(W)의 면을 따라, 또한, 웨이퍼(W)의 중심(C)을 향하여 분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가스공급관(40)으로부터 공급된 산소가스가, 반응용기 (12)내의 제 2 가스도입관(42)의 분출관체 부분(42B)에 도달하고, 해당 분출관체 부분(42B)에 형성된 원형분출구(45)의 각각으로부터, 웨이퍼(W)의 면을 따라, 또한, 웨이퍼(W)의 중심(C)을 향하여 분출된다.
슬릿형상분출구(35)가 웨이퍼(W)의 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릿형상관통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슬릿형상관통구멍(35)으로부터 분출된 유기금속함유가스는, 웨이퍼(W)의 면을 따라, 화살표방향 X(정면방향)와 직교하는 방향(가로방향)으로도 크게 확산하게 된다.
그러나, 유기금속함유가스는, 그 조성에 있어서 금속원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밀도가 높고 무거운 것이다. 따라서, 유기금속함유가스는 해당 슬릿형상분출구(35)로부터 X방향에서 멀리까지 확산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X방향에서의 막두께의 불균일성을 억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분출관체 부분(32B)에서 유기금속함유가스가 분출될 때에, 제 2 가스도입관(42)의 원형분출구(45)로부터 산소가스가 분출된다. 산소가스는, 그 밀도가 낮고 가벼운 것이다. 이 때문에, 분출구의 형상에 의하지 않고서, 즉, 해당 분출구가 원형이더라도, 산소가스는 웨이퍼(W)의 표면을 따라 크게 퍼져 높은 균일성으로 확산한다.
한편, 산소가스의 분출구인 원형분출구(45)와 유기금속함유가스의 분출구인슬릿형상분출구(35)는, 웨이퍼(W)의 바깥둘레방향을 따라서 서로 접근하여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릿형상분출구(35)로부터 토출되는 유기금속함유가스는, 산소가스의 흐름의 작용을 받아, 즉, 산소가스의 확산작용에 의해 전개하여 확산하게 된다. 그 결과, X방향에서도, 큰 거리의 범위에 있어서 막두께가 높은 균일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결과, 웨이퍼(W)의 표면에서는, 유기금속함유가스 및 산소가스가 양쪽 모두 높은 균일성으로 확산하게 된다. 따라서, 그 막두께에 있어서도, 또한 막질에 있어서도, 높은 균일성의 기상성장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상의 기상성장장치(10)에 있어서는, 각 가스도입관{제 1 가스도입관(32) 및 제 2 가스도입관(42)}이, 모두 반응용기(12)내에서, 위쪽으로 신장하는 도입관체 부분(32A 및 42A)과, 이 도입관체 부분의 상단에서 U자형상으로 만곡하여 아래쪽으로 신장하는 분출관체 부분(32B 및 42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응용기(12)가 소위 단일관구조로서, 해당 반응용기(12)내를 감압하기 위한 배기가 하부의 배기구(19)를 통해 행하여진다. 따라서, 아래쪽으로 신장하는 분출관체 부분(32B 및 42B)을 사용함으로써, 그 길이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된 각 분출구의 레벨의 차에 의한 분출압력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성이 높은 분출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상성장장치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기상성장장치에 있어서의 제 1 가스도입관 및 제 2 가스도입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기상성장장치(50)는 기본적으로는, 도 1의 기상성장장치(10)와 같은 구성을 갖지만, 다음 점에서 다르다. 즉, 기상성장장치(50)에 있어서는, 반응용기 (12)의 안둘레벽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내관(52)이 설치된다(2중관형). 이에 따라 해당 내관(52)과 반응용기(12)의 사이에 고리형상 공간(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형상 공간(54)의 하부에, 배기구(1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스공급관(30)에 접속되는 제 1 가스도입관(56)은, 단순히 위쪽으로 신장하는 직관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다. 제 1 가스도입관(56)에는, 슬릿형상분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가스공급관(40)에 접속되는 제 2 가스도입관(58)도 마찬가지로, 단순히 위쪽으로 신장하는 직관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다. 제 2 가스도입관 (58)에는, 원형상분출구(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2중관형의 구성에서는, 고리형상 공간(54)을 통해 반응용기(12)내의 위쪽부분으로부터 배기가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직관형상의 가스도입관(56 및 58)을 사용함에 따라, 이미 설명한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에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된 각 분출구의 레벨의 차에 의한 분출압력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성이 높은 분출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상성장장치 및 기상성장막 형성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의 실시형태에는,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기상성장장치는 뱃치식인 것이지만, 낱장식의 기상성장장치로서 구성할 수 있다.
유기금속함유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에 대해서는, 해당 유기금속함유가스가 가로방향에서 충분히 크게 확산하도록 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한 바와 같이, 슬릿형상 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서는, 원형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한편, 유기금속함유가스가 아닌 원료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에 관해서는, 그것이 원형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되더라도, 충분히 넓어지는 확산상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멍은, 슬릿형상 관통구멍일 필요는 없지만, 그렇게 형성되더라도 좋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가 슬릿형상이고,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가 원형분출구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의 조합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도 1에 나타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기상성장장치를 사용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에 따라서, 지름 8인치의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에 기상성장막을 형성하는 실험을 하였다.
[표 1]
〔기상성장장치〕
(1)제 1 가스도입관(32)의 분출관체 부분(32B)의 바깥지름 : 17.0mm
안지름 : 14.0mm
슬릿형상분출구(35)의 개방각 α: 123도
개구폭 d : 0.24mm
(2)제 2 가스도입관(42)의 분출관체 부분(42B)의 바깥지름 : 17.0mm
안지름 : 14.0mm
원형분출구(45)의 지름 : 2.0mm
(3)분출구사이각도θ: 10도
〔기상성장막의 형성〕
(1)유기금속함유가스 (종류) Sr(DPM)2가스
(유량) 0.6slm
(2)산소가스 (유량)5.Oslm
(3)산소가스 : 기상성장의 조건
반응용기(12)내의 압력100Pa
온도 475℃
도 10은, 상기의 실험에서 측정된, 웨이퍼의 표면상에서의 Sr(DPM)2가스의 분포상황을 나타내는 등밀도곡선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원형이 웨이퍼의 바깥둘레윤곽이다. a∼d의 숫자는 해당 Sr(DPM)2가스의 분포의 정도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 구체적인 값은, 이하와 같다.
a : 2.40∼2.00(kg/m2)
b : 2.00∼1.60(kg/m2)
c : 1.60∼1.20(kg/m2)
d : 1.20∼0.80(kg/m2)
즉, 도 10의 상태에서는, 최고밀도의 a단계와 최저밀도의 d단계의 사이의 차는, 최대로도 1.60(kg/m2)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11과 마찬가지로, 산소가스의 분포상황을 나타내는 등밀도곡선도이다. 도 11에 있어서의 a∼e의 각 범위는, 이하와 같다.
a : 2.90∼2.85(kg/m2)
b : 2.85∼2.80(kg/m2)
c : 2.80∼2.75(kg/m2)
d : 2.75∼2.70(kg/m2)
e : 2.70∼2.65(kg/m2)
실험예 2
분출구 사이각도 θ를 40도로 변경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 실험예 1과 완전히 같은 조건으로, 기상성장막의 형성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Sr (DPM)2가스의 등밀도곡선도에 있어서의 분포상황은, 이하의 6단계였다. 실험예 1의 경우보다도 균일성이 낮지만, 실용상 충분히 높은 균일성의 기상성장막이 형성되었다.
(1) 3.20∼2.80(kg/m2)
(2) 2.80∼2.40(kg/m2)
(3) 2.40∼2.00(kg/m2)
(4) 2.00∼1.60(kg/m2)
(5) 1.60∼1.20(kg/m2)
(6) 1.20∼0.80(kg/m2)
이 실험예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출구 사이각도 θ의 크기가 40도이더라도, 소기의 비교적 균일한 기상성장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실험예 1과 실험예 2의 대비로부터, 분출구 사이각도θ가 예컨대 10도 이하와 같이 작은 경우에, 보다 높은 균일성의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비교실험예
한편, 비교를 위해, 산소가스의 공급을 정지하여 Sr(DPM)2가스만을 공급하는실험이 행하여졌다. 그 이외에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실험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Sr(DPM)2가스의 등밀도곡선도에 있어서의 분포상황은, 최고밀도의 단계 4.00∼3.60(kg/m2)에서부터 최저밀도의 단계 0.40∼0.00(kg/m2)까지의 1O단계였다. 즉, 최고밀도의 단계와 최저밀도의 단계와의 사이의 차는 최대 3.60(kg/m2)으로 극히 광범위하고, 불규일성이 큰 것이었다.
[산업상 이용분야]
이상으로부터, 슬릿형상분출구와 함께 배치된 원형분출구로부터 산소가스가 분출되는 것에 의해, Sr(DPM)2가스가 웨이퍼(W)의 표면을 따라 크게 확산되고, 그 결과 충분히 높은 균일성으로 기상성장막이 형성되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13)

  1. 내부에 기판이 배치되는 반응용기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1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유기금속함유가스로 이루어진 제 1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1 가스도입부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2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와 반응하는 동시에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보다도 밀도가 작은 제 2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가스도입부를 구비하고,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와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반응용기내에 배치되는 기판의 바깥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상기 반응용기내에 도입되는 제 1 가스는,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상기 반응용기내에 도입되는 제 2 가스의 흐름의 영향을 받아, 상기 기판의 면을 따라 확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기판의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하는 슬릿형상 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상관통구멍은, 제 1 가스도입관에 대한 개방각이 30도 내지 1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기판의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슬릿형상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며, 인접한 슬릿형상부분의 사이에는, 중간벽부분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원형상 관통구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의 정면방향과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의 정면방향은, 상기 반응용기내에 배치되는 기판의 중심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 및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의 각 정면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는, 복수의 기판이 상하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각 기판의 높이에 대응하여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도 각 기판의 높이에 대응하여 복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가스 및 제 2 가스는,
    (1) Sr〔[(CH3)3CCO]2CH〕2가스 및 O2가스
    (2) Ti(OC3H7-i)2〔[(CH3)3CCO]2CH〕2가스 및 O2가스
    (3) TiCl4가스 및 NH3가스
    (4) Zr〔OC(CH3)34가스 및 O2가스
    (5) Ta(OC2H5)5가스 및 O2가스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
  11. 내부에 기판이 배치되는 반응용기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1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유기금속함유가스로 이루어진 제 1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1 가스도입부와,
    상기 반응용기내에서 개구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 제 2 가스도입관을 가지며,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와 반응하는 동시에 상기 유기금속함유가스보다도 밀도가 작은 제 2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가스도입부를 구비하고,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와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는, 상기 반응용기내에 배치되는 기판의 바깥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성장장치를 사용하여, 기판의 표면에 기상성장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제 1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는 공정과,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제 2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제 1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는 공정과, 제 2 가스도입관의 가스분출구로부터 제 2 가스를 상기 반응용기내에 공급하는 공정은 동시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가스 및 제 2 가스는,
    (1) Sr〔[(CH3)3CCO]2CH〕2가스 및 O2가스
    (2) Ti(OC3H7-i)2〔[(CH3)3CCO]2CH〕2가스 및 O2가스
    (3) TiCl4가스 및 NH3가스
    (4) Zr〔OC(CH3)34가스 및 O2가스
    (5) Ta(OC2H5)5가스 및 O2가스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13793A 2001-04-25 2002-03-13 기상성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상성장막 형성방법 KR100853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8068 2001-04-25
JP2001128068A JP3980840B2 (ja) 2001-04-25 2001-04-25 気相成長装置および気相成長膜形成方法
PCT/JP2002/002378 WO2002091448A1 (fr) 2001-04-25 2002-03-13 Dispositif de croissance a phase gaze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093A true KR20030092093A (ko) 2003-12-03
KR100853886B1 KR100853886B1 (ko) 2008-08-25

Family

ID=1897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793A KR100853886B1 (ko) 2001-04-25 2002-03-13 기상성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상성장막 형성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30186560A1 (ko)
EP (1) EP1383160B1 (ko)
JP (1) JP3980840B2 (ko)
KR (1) KR100853886B1 (ko)
CN (1) CN100399517C (ko)
DE (1) DE60232143D1 (ko)
WO (1) WO2002091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77755A1 (en) * 2000-08-11 2002-02-25 Tokyo Electron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JP2004296659A (ja) * 2003-03-26 2004-10-2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基板処理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460945B2 (en) 2003-09-30 2013-06-11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for monitoring status of system components
KR100636037B1 (ko) * 2004-11-19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티타늄 질화막 형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0636036B1 (ko) * 2004-11-19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티타늄 질화막 형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0693890B1 (ko) * 2005-04-21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응 장벽막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038632A (ko) 2010-10-14 2012-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JP5702657B2 (ja) * 2011-04-18 2015-04-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
JP6128969B2 (ja) * 2013-06-03 2017-05-1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処理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13626B2 (ja) * 2013-10-21 2017-04-1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JP6435967B2 (ja) * 2015-03-31 2018-12-1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縦型熱処理装置
JP6578243B2 (ja) * 2015-07-17 2019-09-18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ガス供給ノズル、基板処理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356289B (zh) * 2015-07-17 2020-03-03 株式会社国际电气 气体供给喷嘴、衬底处理装置及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JP6441494B2 (ja) * 2015-09-28 2018-12-19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462161B2 (ja) * 2016-02-09 2019-01-30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基板処理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710149B2 (ja) * 2016-11-21 2020-06-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JP6924614B2 (ja) * 2017-05-18 2021-08-25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基板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6511A (en) * 1971-02-02 1973-09-04 Kogyo Kaihatsu Kenyusho Nozzle and torch for plasma jet
JPS52149064A (en) * 1976-06-07 1977-1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Device for ipitaxial growth
US4263872A (en) * 1980-01-31 1981-04-28 Rca Corporation Radiation heated reactor for chemical vapor deposition on substrates
US4807562A (en) * 1987-01-05 1989-02-28 Norman Sandys Reactor for heating semiconductor substrates
JPH01235236A (ja) 1988-03-15 1989-09-20 Nec Corp 気相成長装置
EP0308946B1 (en) * 1987-09-22 1993-11-24 Nec Corpora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for obtaining high quality epitaxial layer with uniform film thickness
JPH01150319A (ja) * 1987-12-07 1989-06-13 Fujitsu Ltd 半導体薄膜形成装置
US5015330A (en) * 1989-02-28 1991-05-14 Kabushiki Kaisha Toshiba Film forming method and film forming device
US5383984A (en) * 1992-06-17 1995-01-24 Tokyo Electron Limite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etching tunnel-type
JP3024449B2 (ja) * 1993-07-24 2000-03-21 ヤマハ株式会社 縦型熱処理炉及び熱処理方法
JP3373990B2 (ja) * 1995-10-30 2003-02-0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成膜装置及びその方法
JP2973971B2 (ja) * 1997-06-05 1999-11-08 日本電気株式会社 熱処理装置及び薄膜の形成方法
US6003152A (en) 1997-06-30 1999-12-14 Sun Microsystems, Inc. System for N-bit part failure detection using n-bit error detecting codes where n less than N
US20030049372A1 (en) * 1997-08-11 2003-03-13 Cook Robert C. High rate deposition at low pressures in a small batch reactor
US6204194B1 (en) * 1998-01-16 2001-03-20 F.T.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device
JP4083331B2 (ja) 1998-01-16 2008-04-30 株式会社エフティーエル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WO2000031261A2 (en) * 1998-11-25 2000-06-02 Cadus Pharmaceutical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dentifying effectors of the formyl peptide receptor like-1 (fprl-1) receptor
JP4426671B2 (ja) * 1998-11-27 2010-03-0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US6383300B1 (en) * 1998-11-27 2002-05-07 Tokyo Electron Ltd.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
JP3823597B2 (ja) 1999-04-09 2006-09-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0294511A (ja) * 1999-04-09 2000-10-20 Ftl:Kk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JP2000311862A (ja) * 1999-04-28 2000-11-07 Kokusai Electric Co Ltd 基板処理装置
KR100394571B1 (ko) * 1999-09-17 200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학기상증착용 튜브
KR100360401B1 (ko) * 2000-03-17 2002-1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릿형 공정가스 인입부와 다공구조의 폐가스 배출부를포함하는 공정튜브 및 반도체 소자 제조장치
JP2001274107A (ja) * 2000-03-28 2001-10-05 Nec Kyushu Ltd 拡散炉
KR100458982B1 (ko) * 2000-08-09 2004-12-03 주성엔지니어링(주) 회전형 가스분사기를 가지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이를이용한 박막증착방법
US6435865B1 (en) * 2001-07-30 2002-08-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gas injectors in a vertical furnace
US20030164143A1 (en) * 2002-01-10 2003-09-0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Batch-type remote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86560A1 (en) 2003-10-02
KR100853886B1 (ko) 2008-08-25
US20060257568A1 (en) 2006-11-16
WO2002091448A1 (fr) 2002-11-14
EP1383160A4 (en) 2005-11-16
EP1383160B1 (en) 2009-04-29
CN100399517C (zh) 2008-07-02
JP3980840B2 (ja) 2007-09-26
EP1383160A1 (en) 2004-01-21
DE60232143D1 (de) 2009-06-10
JP2002324788A (ja) 2002-11-08
CN1526160A (zh) 2004-09-01
US7651733B2 (en)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886B1 (ko) 기상성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상성장막 형성방법
KR101022684B1 (ko) 혼합기, 박막 제조 장치 및 박막 제조 방법
KR100481441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제조장치
KR100614648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에 사용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0870807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6444262B1 (en) Thermal processing unit and thermal processing method
KR100560867B1 (ko) 산화방법 및 산화시스템
US5458685A (en)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KR101160788B1 (ko) 반도체 처리용 종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
US20070272154A1 (en) Shower Head and Film-Forming Device Using the Same
US11111580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KR20030013303A (ko) 기판 처리 장치
US7462245B2 (en) Single-wafer-processing type CVD apparatus
US10472719B2 (en) Nozzle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ing same
JP2000277509A (ja) 基板処理装置
JP2010219421A (ja) 気化器、基板処理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220081771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US11851752B2 (en) Method for forming silicon film and processing apparatus
US20230416917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0301927B1 (ko) 고밀도화학기상증착장치
KR100957456B1 (ko) 원자층증착방법을 이용한 박막증착장치
JP2023113354A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JPH11345777A (ja) 成膜装置
KR20030016908A (ko) 반도체 제조용 화학기상증착장치
KR20040108031A (ko) 반도체 제조용 종형 확산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