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742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742A
KR20030090742A KR10-2003-7013476A KR20037013476A KR20030090742A KR 20030090742 A KR20030090742 A KR 20030090742A KR 20037013476 A KR20037013476 A KR 20037013476A KR 20030090742 A KR20030090742 A KR 20030090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oistway
counterweight
driv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105B1 (ko
Inventor
혼다타케노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가 카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내의 상부에서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의 상방에는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가 배치되어 있다. 주삭군은 제1의 카측 반환풀리에 감겨지고, 제1의 주삭접속부에 접속된 제1의 주삭접속부에 접속된 제1의 주삭과 제2의 카측 반환풀리에 감겨져 제2의 주삭접속부에 접속된 제2의 주삭을 가지고 있다.
구동장치 및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와 겹치도록 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종래의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장치나 제어반이 예를들면 승강로 벽과 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39321호 공보에 표시된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박형의 구동장치가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주삭이 감기는 각종 활차의 경이 크고, 또 여러개의 주삭을 배치하기 위해 구동장치와 각종 활차와의 거리를 크게 취할 필요가 있으므로 승강로의 평면적이 커졌었다.
또, 오버헤드 치수를 억제하기 위해 카의 하부에 동활차를 부착해서 2 대 1 로핑으로 하거나 해야 되고, 구성이 복잡화해서 코스트가 높아지는 동시에 승강로 하부의 치수가 커져 버린다.
따라서, 승강로를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승강로내의 상부에 구동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승강로 상부의 구조체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제 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송풀리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송풀리의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아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승강로 상부의 구조체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과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카(4)는 카 가이드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카(4)는 카틀(5)과, 카틀(5)에 지지된 카실(6)을 가지고 있다. 카틀(5)은 한쌍의 세로틀(7)과 세로틀(7)의 하단부간에 고정되고, 카실(6)을 지지하는 아래틀 (8)과 세로틀(7)의 상단부간에 고정되어 있는 위틀(9)을 가지고 있다.
아래틀(8)에는 제1 및 제 2의 주삭접속부(1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는 카(4)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주삭접속부(11)는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 (2)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C보다도 뒤에 제2의 주삭접속부(12)는 직선 C보다도 앞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13)는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또, 균형추(13)는 승차장측에서 보아 카(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부착틀(14)이 배치되어 있다.
부착틀(14)은 카 가이드레일(2)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부착틀(14)에는 카(4) 및 균형추(13)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권양기) (15)가 탑재되어 있다.
구동장치(15)는 구동장치 본체(16)와, 구동장치 본체(1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17)를 소유하고 있다. 또, 구동장치(15)는 구동시브(17)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뻗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 본체(16)는 축방향 치수가 경보다 작은 박형모터를 가지고 있다.
부착틀(14)에는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 (20) 및 방향전환풀리(21)가 탑재되어 있다.
제1의 카측 반환풀리(18)는 그 회전축이 카(4)의 안쪽방향(도 3의 상하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뻗도록 제1의 주삭접속부(1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카측 반환풀리(19)는 그 회전축이 카(4)의 안쪽방향(도 3의 상하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뻗도록 제2의 주삭접속부(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측 반환풀리(20)는 2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균형추(13)의 상방에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15), 제1 및 제2의 카측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20) 및 방향전환풀리(21)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카(4)와 겹치도록 카 (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시브(17)에는 카(4) 및 균형추(13)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주삭군(22)이 감겨 있다. 주삭군(22)은 다수의 제1의 주삭(23)과 다수의 제2의 주삭(24)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제1의 주삭(23)의 계수와 제2의 주삭(24)의 계수가 같다.
또, 제1 및 제2의 주삭(23),(24)으로서는 예를들면 수지피복을 갖는 유연성이 높은 복합재료 로프가 사용된다. 이로써, 구동시브(17), 제1 및 제2의 카측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20) 및 방향전환풀리(21)의 경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제1의 주삭(23)은 제1의 주삭접속부(11)에 접속된 제1의 단부와 균형추 (13)의 상부에 접속된 제2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2의 주삭접속부(12)에 접속된 제1의 단부와 균형추(13)의 상부에 접속된 제2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1의 주삭(23)은 제1의 단부에서 제1의 카측반환풀리(18), 구동시브(17) 및 균형추측 반환풀리(20)의 순으로 감겨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1의 단부에서 제2의 카측 반환풀리(19), 방향전환풀리 (21), 구동시브(17) 및 균형추측 반환풀리(20)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즉, 균형추(13)에 접속된 제1의 주삭(23)과 제2의 주삭(24)은 구동시브(17)로 2방향으로 분기되어 카(4)에 접속되어 있다.
또, 부착틀(14)에는 구동장치(15)등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반(25)이 탑재되어 있다. 구동장치(15)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 (20), 방향전환풀리(21) 및 제어반(25)은 공통의 부착틀(14)에 탑재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방향전환풀리(21)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주삭(24)의 진입각도가 가능한한 작게 되도록 방향전환풀리(21)의 회전축은 수직에 대해 약간 기울게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주삭군(22)을 제1 및 제2의 주삭(23),(24)로 나누고, 카(4)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 (12)에서 매달도록 하였으므로 카(4)를 그의 중심에서 안정되게 매달 수가 있다.
이로써 편하중에 의한 반력이 카가이드 레일(2)에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는 카(4)의 아래틀(8)에 배치되어 있 으므로 카(4)의 상부에는 주삭군(22)의 접속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 (4)의 상부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고, 승강로(1)내의 상부에 구동장치(15)를 배치하고 승강로(1)의 치수의 중대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1:1 로핑에 의해 카(4)를 직접 매달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소화되는 동시에 구동장치(15)의 회전속도를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1)내에구동장치(15)를 배치해도 저진동, 저소음으로 정속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구동시브(17)에서 제1의 카측 반환풀리(18)까지의 거리, 구동시브(17)로부터 방향전환풀리(21)까지의 거리 및 방향전환풀리(21)로부터 제2의 카측 반환풀리(19)까지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므로 구동시브(17)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주삭군(22)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고, 보수비용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또, 구동장치(15)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의 균형추측 반환풀리(20) 및 방향전환풀리(21)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카(4)와 겹치도록 카(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평면적을 작게 해서 승강로(1)를 간소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가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을 연결하는 직선 C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부착틀(14)이나 가이드 레일(2),(3)에 하중을 군등하게 걸 수가 있어 구조를 안정시킬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 2의 카측 반환풀리(18),(19)는 이들의 회전축이 카(4)의 안쪽방향(도 3의 상하방향)에 따라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성을 간단히 하고 조립을 쉽게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카(4)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 2의 측면(4a), (4b)을 가지고 있다. 또, 카(4)는 서로 대각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각부(4c), (4d)를 소유하고 있다.
승강로(1)내에는 카(4)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의 카 가이드레일(31) ,(32)이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카 가이드레일(31)은 제1의 각부(4c)에 대향해서 승강로(1)의 제1의 승강로벽(1a)에 고정되어 있다.
제2의 카 가이드레일(32)은 제2의 각부(4d)에 대향해서 제1의 승강로벽(1a)에 대향하는 제2의 승강로벽(1b)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카(4)의 카 가이드레일(31),(32)과의 계합부(가이드슈)는 제1 및 제2의 각부(4c),(4d)에 배치되어 있다.
카(4)의 아래틀(8)에는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33),(3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33),(34)는 카(4)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되어 있다.
즉, 제1의 주삭접속부(33)는 제1의 각부(4c)에 배치되고, 제2의 주삭접속부 (34)는 제2의 각부(4d)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내의 상부에 배치된 부착틀(14),(도 1)에는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35),(36)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38) 및 방향전환풀리(39)가 탑재되어 있다.
제1의 카측 반환풀리(35)는 그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제1의 주삭접속 (3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카측 반환풀리(36)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뻗도록 제2의 주삭접속부(3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38)는 이들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균형추(1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15)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35),(36)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38) 및 방향전환풀리(39)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4)와 겹치도록 카(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시브(17)에는 카(4) 및 균형추(13)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주삭군(22)이 감겨져 있다. 주삭군(22)은 다수의 제1의 주삭(23)과 다수의 제2의 주삭(24)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제1의 주삭(23)의 개수와 제2의 주삭(24)의 개수가 같다.
제1의 주삭(23)은 제1의 주삭접속부(33)에 접속된 제1의 단부와 균형추(13)의 상부에 접속된 제2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2의 주삭접속부(34)에 접속된 제1의 단부와 균형추(13)의 상부에 접속된 제2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1의 주삭(23)은 제1의 단부에서 제1의 카측 반환풀리(35), 구동시브(17) 및 제1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의 순으로 걸리고,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1의 단부에서 제2의 카측 반환풀리(36), 방향전환풀리 (39), 구동시브(17)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8)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방향전환풀리(39)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제2의 주삭(24)의 진입각도가 가능한한 작게 되도록 방향전환풀리(39)의 회전축은 수직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
다음 도 5는 도 4의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38)을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38)의 설치높이는 구동시브 (17)에서 인출되는 제 1 및 제2의 주삭(23),(24)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주삭군(22)을 제1 및 제2의 주삭(23),(24)으로 나누고, 카(4)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33), (34)에서 매달도록 하였으므로 카(4)를 그 중심에서 안정되게 매달을 수가 있다.
이로써, 편 하중에 의한 반격이 카 가이드레일(31),(32)에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33),(34)는 카(4)의 아래틀(8)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4)의 상부에는 주삭군(22)의 접속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4)의 상부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어 승강로(1)내의 상부에 구동장치(15)를 배치하면서 승강로(1)의 높이,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1:1 로핑에 의해 카(4)를 직접 매달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지는 동시에 구동장치(15)의 회전속도를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1)내에 구동장치(15)를 배치해도 저진동, 저소음이고, 정속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구동장치(15)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35),(36)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38) 및 방향전환풀리(39)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4)와 겹치도록 카(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평면적을 작게 해서 승강로(1)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제1의 주삭접속부(33)를 제1의 각부(4c)에 배치하고, 제2의 주삭접속부 (34)를 제2의 각부(4d)에 배치하였으므로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33),(34)를 카 (4)의 외장치수내에 배치할 수가 있으므로 승강로(1)의 평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카(4)의 카 가이드레일(31),(32)과의 계합부도 제1 및 제2의 각부(4c)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계합부가 카(4)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승강로(1)의 평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38)의 설치높이는 구동시브(17)로부터 인출되는 제1 및 제2의 주삭(23),(24)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르므로 구동시브 (17)에의 주삭(23),(24)의 진입각도를 작게 할 수가 있고, 구동시브(17)의 편마모나 주삭(23),(24)의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38)의 높이의 차는 주삭(23), (24)이 하나씩이면 주삭(23),(24)의 중심간 치수대로 하면 된다.
또, 주삭(23),(24)이 2개씩 있으면 서로 인접하는 주삭(23),(24)의 중심간 치수의 2배로 하면 된다. 즉, 여러개의 주삭의 진입각도의 최대치를 가능한한 작게 하면 된다.
또, 각 시브(17),(35 ~ 39)에의 주삭(23),(24)의 진입 각도는 1.5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실시의 형태 2에서는 2개의 균형추측 반환풀리(37),(38)을 사용하였으나 3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3.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균형추(13)는 카(4)의 제1의 측면(4a)에 대향하도록 카(4)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실시의 형태 2와 역으로 제2의 각부(4d)에 제1의 주삭접속부(33)가 배치되고, 제1의 각부(4c)에 제2의 주삭접속부(34)가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카측 반환풀리(35)는 제1의 주삭접속부(3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카측 반환풀리(36)는 제2의 주삭접속부(3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13)의 상방에는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41),(42)가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15)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35),(36),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41),(42) 및 방향전환풀리(39)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4)와 겹치도록 카(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41),(42)의 단면도이다.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41),(42)는 수평으로 배치된 공통의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하고, 각각 독립해서 회전된다.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41), (42)의 경은 구동시브(17)에서 인출되는 제1 및 제2의 주삭(23),(24)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균형추(13)가 카(4)의 측방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라도 주삭군(22)을 제1 및 제2의 주삭(23),(24)으로 나눔으로써 실시의 형태 2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41),(42)의 경은 구동시브(17)로부터 인출되는 제1 및 제2의 주삭(23),(24)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르므로 주삭(23),(24)의 구동시브(17)에의 진입각도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3에서는 2개의 균형추측 반환풀리(41),(42)를 사용하였으나 3개 이상도 가능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구성을 간단하게 할 뿐 아니라 승강로를 간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장치 본체와, 수직방향을 따라 뻗는 회전축을 중심으로해서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구동시브에 감겨있는 주삭군, 주삭군에 의해 승강로내에 매달리고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를 구비하고, 카에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를 끼듯이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승강로내의 상부에서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의 상방에는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가 배치되고, 주삭군은 제1의 카측 반환풀리에 감겨져 제1의 주삭접속부에 접속된 제1의 주삭과 제2의 카측 반환풀리에 감겨져 제2의 주삭접속부에 접속된 제2의 주삭을 소유하고 있고, 구동장치 및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와 겹치도록 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장치 본체와 수직방향을 따라 뻗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구동시브에 감겨있는 주삭군 및 주삭군에 의해 승강로내에 매달리고,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를 구비하고, 승강로내의 상부에서 균형추의 상방에는 제1 및 제2의 균형추 반송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주삭군은 제1의 균형추측 반송풀리에 감겨 균형추에 접속된 제1의 주삭과 제2의 균형추측 반송풀리에 감겨져 제2의 주삭접속부에 접속된 제2의 주삭을 가지고 있고,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송풀리의 설치 높이는 구동시브로부터 인출되는 제1 및 제2의 주삭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또, 승강로,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장치 본체와 수직방향을 따라 뻗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구동시브에 감겨있는 주삭군 및 주삭군에 의해 승강로내에 매달리고,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를 구비하고, 승강로내의 상부에서 균형추의 상방에는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주삭군은 제1의 균형추측 반송풀리에 감겨져 균형추에 접속된 제1의 주삭과 제2의 균형추측 반송풀리에 감겨 제2의 주삭접속부에 접속된 제2의 주삭을 가지고 있고,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의 경은 구동시브로부터 인출되는 제1 및 제2의 주삭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Claims (3)

  1. 승강로,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장치 본체와 수직방향을 따라 뻗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시브에 감기는 주삭군 및 상기 주삭군에 의해 상기 승강로내에 매달려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 상기 카에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상기 카를 잡도록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의 상방에는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삭군은 상기 제1의 카측 반환풀리에 감겨지고, 상기 제1의 주삭접속부에 접속된 제1의 주삭과, 상기 제2의 카측 반환풀리에 감기고, 상기 제2의 주삭접속부에 접속된 제2의 주삭을 가지고 있고,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상기 카와 겹치도록 상기 카의 상방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장치.
  2. 승강로,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장치 본체와 수직방향을 따라 뻗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시브에 감겨있는 주삭군 및 상기 주삭군에 의해 상기 승강로내에 매달리고,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서 상기 균형추의 상방에는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삭군은 상기 제1의 균형추측 반환풀리에 감겨지고, 상기 균형추측에 접속된 제1의 주삭과 상기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에 감겨져 상기 균형추에 접속된 제2의 주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의 설치높이는 상기 구동시브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제1 및 제2의 주삭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장치.
  3. 승강로,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장치 본체와 수직방향에 따라 뻗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구동체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시브에 감겨있는 주삭군 및 상기 주삭군에 의해 상기 승강로내에 매달려지고,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및 균형추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로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서 상기 균형추의 상방에는 제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삭군은 상기 제1의 균형추측 반환풀리에 감겨지고, 상기 균형추에 접속된 제1의 주삭과 상기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에 감겨지고, 상기 균형추에 접속된 제2의 주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2의 균형추측 반환풀리의 경은 상기 구동시브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1 및 제2의 주삭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3-7013476A 2002-03-01 2002-03-01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24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1927 WO2003074409A1 (fr) 2002-03-01 2002-03-01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742A true KR20030090742A (ko) 2003-11-28
KR100524105B1 KR100524105B1 (ko) 2005-10-26

Family

ID=2777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476A KR100524105B1 (ko) 2002-03-01 2002-03-01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81935A4 (ko)
JP (1) JP4110096B2 (ko)
KR (1) KR100524105B1 (ko)
CN (1) CN1232435C (ko)
WO (1) WO20030744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079B1 (ko) * 2007-04-24 2009-08-0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86882C (zh) * 2003-12-09 2009-05-1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00532234C (zh) * 2004-10-13 2009-08-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938212B (zh) * 2004-12-27 2011-02-0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01891097B (zh) * 2004-12-27 2011-11-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742606B2 (ja) * 2005-02-18 2011-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CN100542931C (zh) * 2005-03-04 2009-09-2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770241B2 (ja) * 2005-04-05 2011-09-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321656A (ja) * 2005-05-19 2006-11-30 Inventio Ag エレベータ用偏向モジュール
JPWO2007010589A1 (ja) * 2005-07-15 2009-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07039926A1 (ja) * 2005-09-30 2007-04-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7129385A1 (ja) * 2006-05-01 2009-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0766654B1 (ko) * 2006-06-23 2007-10-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00417583C (zh) * 2006-08-11 2008-09-10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无机房电梯
EP2154099B1 (en) 2007-06-01 201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WO2012035599A1 (ja) * 2010-09-13 2012-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6545203A (zh) * 2017-01-16 2017-03-29 深圳市中科利亨车库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1834A (en) * 1931-02-26 1933-05-30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JPS62197672U (ko) * 1986-06-03 1987-12-16
JPH01261189A (ja) * 1988-04-08 1989-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小形エレベーター装置
ES2227012T3 (es) * 1996-11-11 2005-04-01 Inventio Ag Instalacion de ascensor con unidad motriz dispuesta en la caja de ascensor.
PT1056679E (pt) * 1998-02-26 2003-11-28 Otis Elevator Co Sistema de elevador sem casa de maquinas com uma maquina de elevador montada numa cabina de elevador
FI109468B (fi) * 1998-11-05 2002-08-15 Kone Corp Vetopyörähissi
JP4253394B2 (ja) * 1999-03-15 2009-04-0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巻胴式エレベーター
JP4493759B2 (ja) * 1999-09-13 2010-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079B1 (ko) * 2007-04-24 2009-08-0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74409A1 (fr) 2003-09-12
EP1481935A4 (en) 2010-09-01
EP1481935A1 (en) 2004-12-01
JP4110096B2 (ja) 2008-07-02
JPWO2003074409A1 (ja) 2005-06-23
KR100524105B1 (ko) 2005-10-26
CN1496329A (zh) 2004-05-12
CN1232435C (zh)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1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712938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0052478A (ko) 기계실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JP200104845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0706931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JPWO200202248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5496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5121008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505645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369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20050002816A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40505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3961718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47501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10565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80095841A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512100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101419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40289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6038256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0010737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