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715A - 당 흡수 촉진제 - Google Patents

당 흡수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715A
KR20030089715A KR10-2003-7013286A KR20037013286A KR20030089715A KR 20030089715 A KR20030089715 A KR 20030089715A KR 20037013286 A KR20037013286 A KR 20037013286A KR 20030089715 A KR20030089715 A KR 20030089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ne base
salt
sugar absorption
sug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쿠다히로미치
모리모토치에
가메다겐지
하라노후미키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for specific us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피 세포의 당의 흡수를 활성화하고, 그 결과, 피부에 있어서의 세포 신생이나 신진 대사의 촉진 효과가 기대되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 촉진 방법이다.

Description

당 흡수 촉진제{SUGAR INTAKE PROMOTERS}
피부 표피는 각층(horney layer)에서 기저층을 향해 표피 각화세포(케라티노사이트), 랑게르한스 세포 및 멜라노사이트 등의 각종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표피, 특히 표피 각화세포에서의 당의 흡수는 표피에 있어서의 세포 신생, 세포 분열 및 분화(각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를 활발히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면, 피부의 턴오버(turnover)나 신진 대사를 촉진할 수 있고, 그 결과, 멜라닌 등의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해소, 세포의 활성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표피 각화세포의 자외선 등에 의한 세포 손상의 예방 또는 해소 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피부의 표피 각화세포(케라티노사이트; keratinocytes)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를 촉진하는 작용을 가진 당 흡수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의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를 촉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험예1에서, AMP-2Na(-■-), 아데노신(-▲-) 및 이노신(-○-)에 대해 표피 각화세포로의3H-2-데옥시글루코오스(2-DG)의 흡수 촉진 효과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횡축은 각 퓨린 염기의 농도(logM)를 나타내고, 종축은 세포 단백질 1㎍당3H-2-데옥시글루코오스의흡수량(H-DPM(㎍)/㎍ 단백질)(세포가 흡수한 2-데옥시글루코오스의 양에 대해서, 대조군에 대한 상기량을 1로 한 경우의 비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표피 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표피 세포 중에서도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특히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촉진하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표피 세포로의 글루코오스의 흡수 촉진화에 대해 검토하던 중, 퓨린 염기, 특히 아데노신의 모노인산 에스테르인 아데노신 1인산이 표피 각화세포로의 우수한 글루코오스 흡수 촉진 작용을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견해에 기초하여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태양을 갖는 것이다.
(1)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
(2) 제(1)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가 아데닌, 구아닌,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5'-2인산, 아데노신 5'-3인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및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당 흡수 촉진제.
(3) 제(1)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가 아데노신 1인산인 당 흡수 촉진제.
(4) 제(1)항에 있어서,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 100중량%당,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적어도 O.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당 흡수 촉진제.
(5) 제(1)항에 있어서,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 100중량%당,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0.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당 흡수 촉진제.
(6) 제(1)항에 있어서,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 100중량%당,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0.1∼7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당 흡수 촉진제.
(7) 제(1)항에 있어서, 당이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스, 크실로오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및 프럭토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당 흡수 촉진제.
(8) 제(1)항에 있어서, pH가 2∼8인 당 흡수 촉진제.
(9) 제(1)항에 있어서, 외용 형태를 가지는 당 흡수 촉진제.
(1O)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가 아데닌, 구아닌,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5'-2인산, 아데노신 5'-3인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및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가 아데노신 1인산인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당이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스, 크실로오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및 프럭토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적어도 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0.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0.1∼7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가 2∼8인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8)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의,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의 제조를 위한 사용.
(19)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의,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 촉진을 위한 사용.
I.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
본 발명의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는,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퓨린 염기란, 퓨린 또는 퓨린핵(purine nucleus)을 골격으로 하는 각종의 유도체의 총칭이며, 이들에는, 아데닌, 구아닌, 및 그들의 탈아미노화물(하이포크산틴, 크산틴), 아데노신, 구아노신, 이노신(inosine), 아데노신의 인산에스테르(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아데노신 5'-인산, 아데노신 5'-2인산, 아데노신 5'-3인산), 구아노신의 인산에스테르(구아노신 3'-인산, 구아노신 5'-인산, 구아노신 5'-2인산, 구아노신 5'-3인산), 아데닐로숙신산, 크산틴산, 이노신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FAD),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등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퓨린 염기로서는, 아데닌, 구아닌, 아데노신 1인산[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아데노신 5'-인산(AMP)], 아데노신 5'-2인산(ADP), 아데노신 5'-3인산(ATP),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FAD) 및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를 적합한 것으로 예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아데노신 1인산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아데노신 5'-인산(AMP)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퓨린 염기를 대신하여, 또는 조합하여, 퓨린 염기의 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퓨린 염기의 염으로서는, 나트륨염이나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및 바륨염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alkaline earth metal salts); 아르기닌이나 리신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암모늄이나 트리시클로헥실암모늄염 등의 암모늄염; 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각종의 알칸올아민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나트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아데노신 1인산 1나트륨 및 아데노신 1인산 2나트륨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한도로 하여 그 조합의 태양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의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은 피부의 표피 세포에 작용하여, 특히 표피 각화세포의 당 흡수 능력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해당 물질은 피부에 적용됨으로써 그 효과를 발휘하고, 그 효과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질은 단독으로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그것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기타 약학용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기제(bases), 담체 또는 첨가물을 배합하여, 당 흡수 촉진 작용을 갖는 화장품이나 외용의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 등의 피부 외용제(당 흡수 촉진제)로서 조제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피부 외용제 중에 배합하는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의 배합 비율은, 본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한도로 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최종 제품인 피부 외용제(당 흡수 촉진제) 100중량% 중에 약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포함되도록 하는 비율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배합 비율의 상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인 당 흡수 촉진 효과를 달성하는 한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중량%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의 배합 비율을, 이러한 상한 및 하한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로 설정하면 되고, 그 일례로서, 최종 제품인 피부 외용제(당 흡수 촉진제) 100중량% 당 0.1∼10중량%, 0.1∼7중량%, 0.5∼10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제품의 안정성이나 타성분과의 배합의 균형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 흡수 촉진제는, 특히 표피 각화세포의 글루코오스 흡수 능력을 촉진시키는데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당으로서는, 글루코오스로 한정하지 않고, 아라비노스, 크실로오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또는 프럭토오스 등의 단당류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당 흡수 촉진제는, 당, 특히 단당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서 표피 각화세포로의 흡수를 촉진하는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이면 좋고, 전체 당에 대해서 흡수를 촉진하는 작용을 가질 필요는 없다. 특히 적합한 당으로서는 글루코오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당 흡수 촉진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외용제에 배합되는 각종의 성분,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가용화 성분, 유지류, 다가 알코올, 증점제, 방부제, 착색제, 분산제, pH조정제 또는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성(amphoteric) 계면활성제 중 어떤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가용화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유지류로서, 구체적으로는, 낙화생유, 참깨유, 대두유, 홍화유, 아보카도유,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채종유, 면실유, 피마자유, 동백유, 야자유, 올리브유, 양귀비유, 카카오유, 호호바유, 우지, 돼지 기름, 양모유 등의 유지류; 바셀린,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α-올레핀 올리고머 등의 탄화수소계 액상유;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팔미트산 세틸, 이소옥탄산 세틸, 미리스틴산 이소세틸, 미리스틴산 n-부틸,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리놀렌산 이소프로필, 리시놀산 프로필, 리시놀산 이소프로필, 리시놀산 이소부틸, 리시놀산 헵틸, 세바신산 디에틸, 아디핀산 디이소프로필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백랍(white beeswax), 고래 기름, 목랍(Japan tallow) 등의 왁스류;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바틸 알코올(batyl alcohol), 키밀알코올(chimyl alcohol) 등의 고급 지방족 알코올; 왁스류;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팔미트산 등의 고급 지방산; 탄소수 12∼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모노-, 디-, 트리-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메틸 폴리실록산,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실리콘;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메틸시클로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 가교형 메틸 폴리실록산 및 가교형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등의 가교형 실리콘;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이나 폴리옥시프로필렌 등으로 변성된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 기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바셀린,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α-올레핀 올리고머 등의 탄화수소계 액상 기름이다. 또한, 기름 성분이 고형인 경우에는 보조 용해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로서,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중합도 2∼10의 폴리글리세린(예를 들면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등),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타디올, 소르비톨, 말티톨, 프럭토오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 흡수 촉진제는, 상기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에,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임의의 성분을 배합하여 혼합하고, 더욱 필요에 따라 기타의 용매나 통상 사용되는 외용제의 기제 또는 담체 등을 배합함으로써, 페이스트상, 무스상, 젤상, 액상, 유액상, 현탁액상, 크림상, 연고상, 시트상, 에어로졸상, 스프레이상 등의 각종의 원하는 외용제의 형태로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 흡수 촉진제는, 통상 pH가 2∼8인 것이 좋지만, 피부나 점막에 대한 저자극성 및 좋은 피부 사용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pH 2∼7,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7,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7의 약산성∼중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당 흡수 촉진제는, 화장료, 피부 외용 의약품 또는 피부 외용 의약부외품 등 피부에 적용되는 것으로 조제되는 한, 그 구체적 형태 및 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 연지, 립스틱, 마스카라, 아이셰도우, 아이라이너, 페이스 파우더, 아이브로우 펜슬 및 네일 케어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에멀젼, 크림, 로션, 오일 및 팩 등의 기초 화장료; 세안료나 클렌싱, 보디 세정료 등의 세정료; 이발제, 양모제 등의 두발용 화장료; 창상 치유제, 세척제, 청정제, 미백제, 자외선 방어제, 목욕제 등 각종의 외용 조성물로서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용도, 피부 환부의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 적당량 또는 적당 횟수로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당 흡수 촉진제는, 피부에 도포, 부착 또는 분무하여 사용함으로써, 표피 각화세포의 당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피부의 턴오버를 촉진하고,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장해, 피부 노화 등을 예방하고 개선하는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피부 질환 및 피부 장해에는, 기미, 주근깨, 붉은 반점, 햇볕에 탐, 그을음 등의 색소(멜라닌) 침착, 주름 등이 포함된다.
II.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를 촉진하는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은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여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를 촉진하는 방법은,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그대로, 또는 이러한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으로서는 상기의 당 흡수 촉진제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흡수의 대상이 되는 당으로서도 상기의 당 흡수 촉진제에서 흡수 대상이 되는 당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으로서는,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이 대상으로 하는 피부 부분에 접촉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단독으로, 또는 이러한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기타 약학용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기재, 담체 또는 첨가물을 배합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분무해도 좋고, 부착제의 형태로 하여 피부에 붙일 수도 있다.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에 배합하는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의 배합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것을 한도로 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 상기 조성물 100중량% 중에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이 약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약 0.5중량% 이상 포함되는 비율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그 배합 비율의 상한은, 본 발명의 효과인 당 흡수 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중량%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의 배합 비율로서, 이러한 상한 및 하한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로 설정하면 좋고, 그 일례로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 당 0.1∼10중량%, 0.1∼7중량%, 0.5∼10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pH로서는, 통상 2∼8의 범위이면 좋지만, 피부나 점막에 대한 저자극성 및 좋은 사용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pH 2∼7,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7,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7의 약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으로서는,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배합한 각종 외용 조성물(예를 들면, 파운데이션, 연지, 립스틱, 마스카라, 아이셰도우, 아이라이너, 페이스 파우더, 아이브로우 펜슬 및 네일 케어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에멀젼, 크림, 로션, 오일 및 팩 등의 기초 화장료; 세안료나 클렌싱, 보디 세정료 등의 세정료; 이발제, 양모제 등의 두발용 화장료; 창상 치유제, 세척제, 청정제, 미백제, 자외선 방어제, 목욕제 등)을 사용하여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도포하는 양 및 횟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의 종류,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용도, 피부 환부의 증상의 정도, 도포 형태 등에 따라, 적당량의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처방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은 중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실험예 1
표피 각화세포의 글루코오스 흡수에 미치는 퓨린 염기의 영향을 조사했다. 시험 물질로서 아데노신 5'-인산·2Na(AMP-2Na), 아데노신 및 이노신을 사용하고, 또한 대조군으로서 시험 물질을 배합하지 않은 계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행했다.
<시약 등의 조제 방법>
1. 인간 표피 각화세포의 조제
인간 표피 각화세포(정상적인 인간 신생아 유래의 포피(foreskin) 표피 각화세포, NHEK(F), 쿠라보사 제)를 10cm의 샬레에서 1회 배양하고, 사용할 때까지 동결시켜 보존했다. 사용시에는 해당 동결 보존 세포를 24-웰 플레이트(24-well plate)에서 약 6∼7일간 배양하고, 70∼80% 융합된 시점에서 본 실험에 사용했다.
2. 1% BSA/글루코오스 비함유 배지(pH 7.4)의 조제
표피 각화세포 증식용 무혈청 배지(Humedia-KG2 특별주문 배지, 쿠라보사 제)에, 상기 배지 제품에 부속된 칼슘 용액 1㎖와 페놀 레드(phenol red) 0.1㎖를첨가하여 글루코오스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를 조제했다. 이 배지에 활성탄을 처리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소혈청 알부민(BSA)을 1%의 농도가 될 때까지 첨가하고, NaOH로 pH를 7.4로 조정했다.
3. 3 H-2-데옥시글루코오스 용액의 조제
10mM의 2-데옥시글루코오스 1㎖, 250μCi/250㎕의3H-2-데옥시글루코오스 60㎕ 및 1%의 BSA/글루코오스 비함유 배지(pH 7.4) 940㎕를 혼합했다.
<실험 방법>
24-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표피 각화세포를 PBS(-)(Ca2+, Mg2+비함유 인산염 완충액)로 3회 세정하고, 이것에 표피 각화세포 증식용 무혈청 배지(Humedia-KG2 특별 주문 배지, 쿠라보사 제; 증식 첨가제 무첨가)를 첨가한 후, 2시간 배양했다. 2시간 후, PBS(-)로 3회 세정하고, 시험 물질(표1 참조)을 용해한 1%의 BSA/글루코오스 비함유 배지(pH 7.4)를 1㎖ 첨가하여 30분간 배양했다. 30분 후,3H-2-데옥시글루코오스 용액을 배지 1㎖ 당 20㎕ 첨가하고, 10분간 방치한 후, 빙냉한 글루코오스를 포함하는 PBS(-)로 3회 세정했다. 0.1%의 SDS를 포함하는 0.1N NaOH를 0.5㎖ 첨가하고, 2시간 이상 정치시켜 세포를 용해했다. 0.1%의 SDS를 포함하는 0.11N HCl을 0.5㎖ 첨가하여 세포 용해액을 산성으로 했다. 80㎕을 단백질 정량(DC Protein Assay, Bio-Rad사 제)으로 사용하고, 750㎕를 유리병에 옮겼다. 액체 섬광 계수기용의 칵테일(liquid scintillation cocktail, ACS-II, Amersham사제)을 20㎖ 첨가하고, 가볍게 교반한 후, 액체 섬광 계수기로 방사 활성을 측정했다. 수득한 방사 활성으로부터, 단위 단백량 당 방사 활성을 구하고, 비특이적인3H-2-데옥시글루코오스의 흡수에 의한 방사 활성을 차감하여,3H-2-데옥시글루코오스의 흡수량(H-DPM(㎍)/㎍ 단백질)을 산출했다.
<결과>
상기 실험을 2회 행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대조군과 비교하기 위해, 대조군에 있어서 세포가 흡수한3H-2-데옥시글루코오스량을 1로 한 경우의 각 비율을 산출했다. 결과를 도1에 도시한다. 도1 중에서, 횡축은 각 퓨린 염기(AMP-2Na, 아데노신, 이노신)의 농도(logM)를 나타내고, 종축은 세포가 흡수한 2-데옥시글루코오스량(H-DPM(㎍)/㎍ 단백질)에 대해서 대조군을 1로 한 경우의 비율을 나타낸다. 도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첫번째 실험에서, AMP-2Na는 대조군(시험 물질 무첨가)에 비해 글루코오스 흡수량을 10-6M 농도에서 약 1.48배, 10-5M 농도에서 약 1.61배의 비율로 촉진했다. 두번째 실험에서도 마찬가지로, 대조군에 비해 글루코오스 흡수량을 10-6M 농도에서 약 1.48배, 10-5M 농도에서 약 1.43배의 비율로 촉진했다.
또한, 아데노신 및 이노신에 대해서도 AMP-2Na와 마찬가지로 표피 각화세포의 글루코오스 흡수를 촉진하는 작용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도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같은 농도에서 아데노신과 AMP-2Na의 표피 각화세포에 대한 글루코오스 흡수 촉진 작용을 비교하면, AMP-2Na가 저농도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촉진하고, 10-6M에 있어서는 첫번째 실험에서 AMP-2Na가 아데노신의 약 1.16배, 두번째 실험에서는 약 1.32배로 촉진 효과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첫번째 실험: p<0.05, 두번째 실험: p<0.05). 또한, 이노신에 대해서도, AMP-2Na가 저농도(10-7M)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촉진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AMP-2Na, 아데노신 및 이노신 등의 퓨린 염기에는 표피 각화세포의 글루코오스 흡수 능력 촉진 작용이 있고, 특히 AMP-2Na는 보다 저농도에서 그 작용이 확인되며, 글루코오스 흡수 능력의 촉진 작용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유액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0.3 (%)
AMP-2Na1.5
모노미리스틴산 데카글리세린2.0
스쿠알렌5.0
정제 글리세린6.0
pH 조정제pH 7로 조정
방부제적량
정제수 잔여량
합계100.0 %
실시예 2화장수
폴리옥시에틸렌(E.O.60) 경화 피마자유0.7 (%)
AMP-2Na3.0
에탄올5.0
글리세린2.0
pH조정제pH 7로 조정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정제수 잔여량
합계100.0 %
실시예 3양모제
살리실산0.1 (%)
AMP-2Na10.0
에탄올20.0
글리세린2.0
pH 조정제pH 7로 조정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정제수 잔여량
합계100.0 %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의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 능력을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피부의 턴오버나 신진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 흡수 촉진제는 잔주름을 방지하고, 피부에 탄력성을 주며, 색소의 침착을 방지하고, 피부의 미백화를 유지 및 촉진하는 등의, 피부의 노화 방지나 피부 미화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는 피부 화장료, 외용 의약품 또는 외용 의약부외품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9)

  1.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
  2. 제1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는 아데닌, 구아닌,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5'-2인산, 아데노신 5'-3인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및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당 흡수 촉진제.
  3. 제1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가 아데노신 1인산인
    당 흡수 촉진제.
  4. 제1항에 있어서,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 100중량% 당,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적어도 O.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당 흡수 촉진제.
  5. 제1항에 있어서,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 100중량% 당,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0.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당 흡수 촉진제.
  6. 제1항에 있어서,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 100중량% 당,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0.1∼7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당 흡수 촉진제.
  7. 제1항에 있어서,
    당이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스, 크실로오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및 프럭토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당 흡수 촉진제.
  8. 제1항에 있어서,
    pH가 2∼8인
    당 흡수 촉진제.
  9. 제1항에 있어서,
    외용 형태를 가지는
    당 흡수 촉진제.
  10.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는 아데닌, 구아닌,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5'-2인산, 아데노신 5'-3인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및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가 아데노신 1인산인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당이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스, 크실로오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및 프럭토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적어도 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0.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을 0.1∼7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가 2∼8인
    당의 흡수 촉진 방법.
  18.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의,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 흡수 촉진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
  19. 퓨린 염기 또는 그의 염의, 표피 각화세포에 있어서의 당의 흡수 촉진을 위한 용도.
KR10-2003-7013286A 2001-04-13 2002-03-20 당 흡수 촉진제 KR200300897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5870 2001-04-13
JP2001115870 2001-04-13
PCT/JP2002/002638 WO2002083087A1 (fr) 2001-04-13 2002-03-20 Promoteurs d'apport de suc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651A Division KR20080070782A (ko) 2001-04-13 2002-03-20 당 흡수 촉진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715A true KR20030089715A (ko) 2003-11-22

Family

ID=189666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651A KR20080070782A (ko) 2001-04-13 2002-03-20 당 흡수 촉진제
KR10-2003-7013286A KR20030089715A (ko) 2001-04-13 2002-03-20 당 흡수 촉진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651A KR20080070782A (ko) 2001-04-13 2002-03-20 당 흡수 촉진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820636B2 (ko)
EP (1) EP1378224B8 (ko)
KR (2) KR20080070782A (ko)
CN (1) CN1305460C (ko)
AU (1) AU2002238988B2 (ko)
BR (1) BR0208886A (ko)
CA (1) CA2442809C (ko)
ES (1) ES2420104T3 (ko)
HK (1) HK1063604A1 (ko)
TW (1) TWI324932B (ko)
WO (1) WO20020830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60B1 (ko) * 2007-11-17 2009-10-2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퓨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14405T3 (es) * 2002-04-09 2017-05-31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ción para proliferación celular
EP1512405B1 (en) * 2002-05-20 2013-08-14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adenosine monophosphate for treating melasma
DK1509301T3 (da) * 2002-05-31 2007-03-19 Accentus Plc Fremstilling af krystalmateriale under brug af höjintens ultralyd
US8518856B2 (en) * 2003-05-30 2013-08-27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Solid-state hydrogen storage media and catalytic hydrogen recharging thereof
TW200514575A (en) * 2003-10-08 2005-05-01 Otsuka Pharma Co Ltd Promoting composition for collagen producing
US20070183995A1 (en) * 2006-02-09 2007-08-09 Conopco, Inc., D/B/A Unilever Compounds useful as agonists of A2A adenosine receptors, cosmetic compositions with A2A agonists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ES2647770T3 (es) * 2008-01-11 2017-12-26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ción para aplicación externa
CN101959495A (zh) * 2008-02-29 2011-01-26 宝洁公司 毛发护理组合物和增加毛发直径的方法
ES2959848T3 (es) * 2008-06-09 2024-02-28 Otsuka Pharma Co Ltd Composición para uso externo
FR2960426B1 (fr) * 2010-05-27 2013-02-15 Oreal Utilisation de la guanosine pour maintenir et/ou restaurer les proprietes biomecaniques de la peau
WO2013143822A1 (en) 2012-03-26 2013-10-03 Imax Discovery Gmbh Adenosine as sweetness enhancer for certain sugars
EP2964763B1 (en) * 2013-03-08 2019-09-18 Yal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skin pigmentation
EP2996775A1 (en) 2013-05-16 2016-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thick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03989698A (zh) * 2014-06-06 2014-08-20 温军海 一种延缓皮肤衰老的组合药剂
KR102566670B1 (ko) 2017-02-08 2023-08-11 오리엔탈고우보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7347Y2 (ko) * 1971-04-20 1978-09-09
JPS59134706A (ja) 1983-01-19 1984-08-02 Kobayashi Kooc:Kk 化粧料
EP0256472A3 (en) * 1986-08-11 1988-09-07 Lion Corporation Cosmetic agent for application to skin
JPS63152309A (ja) * 1986-08-11 1988-06-24 Lion Corp 皮膚外用剤
CA2108369C (en) * 1991-05-16 2003-01-28 Suresh I. S. Rattan Method and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the adverse effects of aging
JP2775154B2 (ja) * 1988-04-26 1998-07-16 株式会社資生堂 肌荒れ防止剤および老化防止剤
US5254331A (en) * 1991-09-12 1993-10-19 Chanel, Inc. Skin cream composition
JPH07233037A (ja) 1993-12-29 1995-09-05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化粧料
CA2167104A1 (en) * 1995-01-17 1996-07-18 Joerg G.D. Birkmayer Nadh and nadph therapeutic agents for nasal, sublingual, rectal and dermal administration
JPH08291018A (ja) * 1995-04-18 1996-11-05 Kanebo Ltd 化粧品用保湿剤
JP3483988B2 (ja) * 1995-06-01 2004-01-06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H09295915A (ja) * 1996-04-26 1997-11-18 Kikkoman Corp 皮膚化粧料
JPH10182412A (ja) * 1996-12-27 1998-07-07 Kose Corp 外用剤
GB2333041A (en) * 1998-01-13 1999-07-14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Wound Composition
JP2001031549A (ja) 1999-07-14 2001-02-06 Pola Chem Ind Inc 真皮コラーゲン線維束再構築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60B1 (ko) * 2007-11-17 2009-10-2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퓨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20104T3 (es) 2013-08-22
CN1305460C (zh) 2007-03-21
EP1378224A4 (en) 2004-07-07
WO2002083087A1 (fr) 2002-10-24
CN1503655A (zh) 2004-06-09
TWI324932B (en) 2010-05-21
BR0208886A (pt) 2004-06-29
US20040116373A1 (en) 2004-06-17
AU2002238988B2 (en) 2006-11-16
KR20080070782A (ko) 2008-07-30
US7820636B2 (en) 2010-10-26
HK1063604A1 (en) 2005-01-07
CA2442809A1 (en) 2002-10-24
EP1378224B1 (en) 2013-05-08
EP1378224A1 (en) 2004-01-07
CA2442809C (en) 2011-02-01
EP1378224B8 (en)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9715A (ko) 당 흡수 촉진제
KR101100915B1 (ko) 노화 방지용 조성물
AU617466B2 (en) Treatment of skin disorders
JP7300988B2 (ja) 外用組成物
JPH0822813B2 (ja) 皮膚老化を防止する化粧品用組成物
JPH10182412A (ja) 外用剤
JP4425127B2 (ja) 肝斑改善用組成物及びくすみ改善用組成物
JP2005306831A (ja) 皮膚外用剤
KR101951283B1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3933B1 (ko) 외용 조성물
JP2002370986A (ja) 糖取込促進剤
JP2006225271A (ja) シワの予防又は改善剤
JP2000109419A (ja) 保湿用の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の組成物
JP2000063255A (ja) 皮膚外用剤
JPH1179935A (ja) 抗色素沈着剤、美白剤及び美白用皮膚外用剤
KR20240073879A (ko)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의 이용, 그리고 피부 외용 조성물 원료
JP2004307415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20

Effective date: 2009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