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670B1 -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 Google Patents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670B1
KR102566670B1 KR1020197025868A KR20197025868A KR102566670B1 KR 102566670 B1 KR102566670 B1 KR 102566670B1 KR 1020197025868 A KR1020197025868 A KR 1020197025868A KR 20197025868 A KR20197025868 A KR 20197025868A KR 102566670 B1 KR102566670 B1 KR 10256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mn
skin
pigmentation
acid
d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117A (ko
Inventor
타쯔야 신자토
테쯔로 에노모토
히사타카 야스다
히데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오리엔탈고우보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엔탈고우보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리엔탈고우보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1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고,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β-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용매화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상기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를 함유하고,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기 위해 섭취되는 건강 보조 식품, 및, 상기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의 섭취로 이루어지는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본 발명은,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소재, 그 소재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및 그 소재를 이용한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2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020921호에 기초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피부가 자외선 조사 자극을 받으면, 피부 세포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 색소가 생성된다. 생성된 멜라닌 색소가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자외선이 피부에 깊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멜라닌 색소는 피부 세포를 방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색소이지만, 과잉 생성되면, 피부에 침착되어 기미나 주근깨의 원인이 된다. 미용 측면에서 기미나 주근깨는 기피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미백제에 대한 관심이 높고, 멜라닌 색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는 미백 작용을 갖는 성분의 개발도 활발하다. 예를 들면, 니코틴산 아미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멜라노사이트의 증가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니코틴산 아미드를 경구 섭취함으로써 색소 침착이 예방되어, 기미나 주근깨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악화가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NMN)는, 조효소 NAD+의 생합성 중간 대사 산물이다. 최근, NMN은, 노화 마우스에서의 인슐린 분비능의 개선 효과, 고지방식이나 노화에 의해 발현되는 2형 당뇨병의 마우스 모델에서 인슐린 감수성이나 분비를 극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노화 근육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현저히 높이는 효과를 갖는 것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NMN의 투여에 의해, 비만, 혈중 지질 농도의 상승, 인슐린 감수성의 저하, 기억력 저하, 및 황반변성증 등의 눈기능 열화와 같은 연령 증가에 수반하는 각종 질환의 증상 개선이나 예방에 유용한 것도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NMN을 함유하는 화장수 등의 화장료는 피부 자극이 적어, 피부 트러블의 예방, 개선 효과(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참조)나,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참조)가 있는 것도 보고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0-174049호 공보 특허 문헌 2: 미국 특허 제7737158호 명세서 특허 문헌 3: 국제 공개 제2014/146044호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16-135750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제4614886호 공보
본 발명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고,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β-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β-NMN)가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내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건강 보조 식품, 및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β-NMN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용매화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2] 경구 투여되는, 상기 [1]의 억제제.
[3] 상기 [1] 또는 [2]의 억제제를 함유하고,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기 위해 섭취되는 건강 보조 식품.
[4] 상기 [1] 또는 [2]의 억제제의 섭취로 이루어지는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방법.
[5] 경피 투여되는, 상기 [1]의 억제제.
[6] 상기 [1] 또는 [5]의 억제제를 함유하고,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기 위해 피부에 접촉되는, 화장료.
[7] 상기 [1] 또는 [5]의 억제제의 피부에의 접촉으로 이루어지는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는, 본래 생체내에 존재하는 β-NMN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자외선이나 그 외의 피부 자극 등에 기인하는 피부에서의 멜라닌 등의 색소 침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는,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고,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해, 색소 침착에 관련되는 피부 기미의 예방이나 개선에 유효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β-NMN을 투여한 군(NMN군)과 주사용수를 투여한 군(대조군)의 각 모르모트에 대해, 자외선 조사 부위의 L치의 변화량(ΔL치)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있어서, β-NMN을 경구 투여만 한 군(NMN 경구 투여군), β-NMN을 경피 투여와 경구 투여한 군(NMN 경피 & 경구 투여군), 및 용매를 경피 투여한 군(대조군)의 각 모르모트에 대해, 자외선 조사 부위의 L치의 변화량(ΔL치)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이하,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라고도 한다)는, NMN(화학식: C11H15N2O8P)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NMN을 섭취함으로써, 자외선이나 그 외의 피부 자극 등에 기인하는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는, 멜라닌 색소의 침착에 의한 피부의 칙칙함, 기미, 주근깨 등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자외선 조사에 의한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섭취되는 미백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매우 바람직하다.
NMN에는 광학 이성체로서 α, β의 2 종류가 존재하는데,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의 유효 성분이 되는 NMN은 β-NMN(CAS 번호: 1094-61-7)이다. β-NMN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유효 성분으로 하는 β-NMN으로는 어떤 방법으로 조제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화학 합성법, 효소법, 발효법 등에 의해 인공적으로 합성한 β-NMN을 정제한 것을,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β-NMN은 널리 생체에 존재하는 성분이기 때문에, 동물, 식물, 미생물 등의 천연 원료로부터 추출·정제함으로써 얻어진 β-NMN을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정제된 β-NMN을 사용해도 된다.
β-NMN을 합성하는 화학 합성법으로는, 예를 들면 니코틴아미드와 L-리보스 테트라아세테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를 인산화함으로써 β-NMN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효소법으로는, 예를 들면 니코틴아미드와 5'-포스포리보실-1'-피로인산(PRPP)으로부터 니코틴아미드 포스포리보실 트랜스퍼라제(NAMPT)에 의해 β-NMN을 제조할 수 있다. 발효법으로는, 예를 들면 NAMPT를 발현하고 있는 미생물의 대사계를 이용해 니코틴아미드로부터 β-NMN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의 유효 성분으로는, β-NMN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라도 된다. β-NMN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무기산염이어도 되고, 아민과 같은 염기성 부위를 갖는 유기산염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산염을 구성하는 산으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캄포술폰산, 시트르산, 에텐술폰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타민산, 브롬화수소산, 염산, 이세티온산, 락트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점액산(mucic acid), 질산, 팜산(pamoic acid),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인산, 숙신산, 황산, 주석산, p-톨루엔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β-NMN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알칼리염이라도 되고, 카본산과 같은 산성 부위를 갖는 유기염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산염을 구성하는 염기로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이며, 수소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리튬,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아연, 암모니아, 트리메틸 암모니아, 트리에틸 암모니아, 에틸렌 디아민, 리진,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 N,N'-디벤질에틸렌 디아민, 클로로프로 카인, 프로카인, 디에탄올 아민, N-벤질페네틸아민(N-benzylphenethylamine), 디에틸 아민, 피페라진,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수산화 테트라메틸 암모늄 등의 염기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의 유효 성분으로는, 프리 β-NMN 또는 β-NMN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매화물이라도 된다. 당해 용매화물을 형성하는 용매로는, 물,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는, β-NMN에 추가해 그 외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다른 유효 성분으로는, β-NMN에 의한 색소 침착 억제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해 다른 유효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β-NMN 이외의 다른 색소 침착 억제 물질, 색소 침착 억제 작용 이외의 작용을 갖는 기능성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β-NMN 이외의 다른 색소 침착 억제 물질로는, 예를 들면 니코틴산 아미드, 아스코르브산,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 시스테인, 비타민 E, 엘라그산,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리놀레산, 태반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색소 침착 억제 작용 이외의 작용을 갖는 기능성 소재로는, 예를 들면 타우린, 글루타티온(glutathione), 카르니틴(carnitine), 크레아틴, 코엔자임 Q,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글루쿠로놀락톤(glucuronolactone), 고추 추출물, 생강 추출물, 카카오 추출물, 과라나(Guarana) 추출물, 가르시니아 추출물, 테아닌(theanine), γ-아미노부티르산, 캡사이신, 캡시에이트(capsiate), 각종 유기산, 후라보노이드류, 폴리페놀류, 카테킨류, 크산틴 유도체,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등의 난소화성 올리고당,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는, 유효 성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되고,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는, 유효 성분을 의약용 무독 담체와 조합해, 제재상의 관용의 수단에 의해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재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의 제형 중 경구 투여제로는,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소프트 캡슐제 등의 고형제; 용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 동결건조 제재 등을 들 수 있다. 비경구 투여제로는, 주사제 외, 좌제, 경피흡수제, 흡입제, 경비제, 경장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경구 투여제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제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피흡수제로는 액제, 겔제, 연고제, 분무제 등이 바람직하다.
제재화에 사용하는 의약용 무독 담체·조제(助劑)로는, 경구 투여제나 주사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유당, 자당, 과당, 환원 맥아당 등의 당류; 전분, 히드록시에틸 전분, 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결정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의 탄수화물; 만니톨, 에리스리톨(erythritol), 소르비톨, 자일리톨 등의 당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아미노산, 알부민, 카제인, 이산화규소, 물, 생리식염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의 제재화에 있어서는, 제재상의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 윤활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화제, 결합제, 붕괴제, 용제, 용해 보조제, 완충제, 등장화제, 방부제, 교미교취제, 착색제 등의 관용의 첨가제를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경피 투여제의 경우에 이용되는 제재화에 사용하는 의약용 무독 담체·조제(助劑)로는, 통상, 경피제나 피부 외용제에 이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액체 유지, 고체 유지, 밀랍, 유동 파라핀이나 스쿠알렌, 바셀린 등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 실리콘, 각종 계면활성제(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고분자 에멀젼, pH 조제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향료, 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는, 인간이나 인간 이외의 동물에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간 이외의 동물로는, 예를 들면 소, 돼지, 말, 양, 염소, 당나귀,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마우스, 래트, 햄스터, 모르모트 등의 포유동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로는, 인간, 가축, 실험동물, 애완동물에게 투여·섭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간에게 투여·섭취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의 투여·섭취량은, 투여되는 동물의 생물종, 연령, 체중, 피부 상태, 증상, 질환의 정도, 투여 스케줄, 제재 형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결정된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섭취의 경우에는, 성인 1인당 1일량이, β-NMN량으로 0.1㎎∼50g, 바람직하게는 0.5㎎∼35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 g, 한층 바람직하게는 100㎎∼10g이 되도록, 1회 또는 수 차례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경피 투여의 경우에는, 성인의 피부 1㎠당 1일량이, β-NMN량으로 0.01∼10㎎, 바람직하게는 0.02∼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가 되도록, 1회 또는 수 차례로 나누어 피부에 접촉(도포, 분무, 침지 등)시킬 수 있다.
β-NMN은 생체 구성 성분이며, 또한, 식품중에도 포함되어 있는 성분인 것으로부터, 안전성이 높아, 장기간의 계속적인 섭취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색소 침착 억제제는,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기 위해 섭취되는 건강 보조 식품이나, 마찬가지로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기 위해 피부에 접촉되는 화장료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건강 보조 식품은 건강 상태의 유지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영양을 보조하기 위한 음식품으로서,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은, β-NMN 등에 적당한 조제(助劑)를 첨가한 후, 관용의 수단을 이용해 식용에 적합한 형태, 예를 들면 분말상, 과립상, 입자상, 정제, 캡슐제, 소프트 캡슐제, 페이스트상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은, 그대로 식용에 제공해도 되고, 여러 가지 식품이나 음료에 혼합시킨 상태로 식용에 제공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분말상의 건강 보조 식품을 물, 주류, 과즙, 우유, 청량 음료수 등의 음료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상태로 섭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도, 그대로 동물에 섭취시켜도 되고, 다른 고형 사료나 음료수에 혼합시킨 상태로 동물에 섭취시켜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은, 그 외의 식품 소재나 여러 가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식품 소재로는, 비타민류, 당질, 단백질, 지질, 식물 섬유, 과즙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B1 유도체,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B13, 비오틴, 판토텐산, 니코틴산, 엽산 등의 비타민 B군; 비타민 E, 비타민 D 또는 그 유도체, 비타민 K1, 비타민 K2, β-카로틴 등의 지용성 비타민; 칼슘, 칼륨, 철, 아연 등의 미네랄; 효모, L-카르니틴, 크레아틴,α-리포산, 글루타티온, 글루쿠론산, 타우린, 콜라겐, 대두 이소플라본, 레시틴, 펩티드, 아미노산, γ-아미노부티르, 디아실글리세롤, DHA, EPA, 캡사이신, 콘드로이틴 황산(chondroitin sulfate), 아가리쿠스버섯 추출물, 당근 추출물, 마늘 추출물, 녹즙, 레시틴, 로열 젤리, 프로폴리스, 옥타코사놀(octacosanol), 플라반제놀(flavangenol), 피크노제놀(pycnogenol), 마카, 키토산, 가르시니아 추출물, 콘드로이친, 글루코사민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로는, 감미료, 유기산 등의 산미료, 안정제, 향료, 착색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β-NMN 등에, 통상, 화장품에 적당한 성분을 첨가하고, 관용의 수단을 이용해, 화장품으로서 적합한 형태,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겔, 크림, 스프레이 등의 형태로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β-NMN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코튼, 부직포, 천 등에 함침시킨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 첨가되는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보습제, 증점제, 각종 계면활성제, 액체 유지, 고체 유지, 킬레이트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고분자 에멀젼, pH 조제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향료,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는, 통상, 화장품에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되는 소재, 예를 들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군,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등의 각종 비타민, 시스테인, 티로시나아제,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태반(placenta), 트라넥삼산, 레티노산(retinoic acid), 코직산, 루시놀(rucinol), 엘라그산, 풀러렌(fullerene), 코엔자임 Q10, 아스타잔틴(astaxanthin) 등을 첨가·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갈색 모르모트]
이후의 실험에 이용한 갈색 모르모트(Kwl: A-1 계통, Kiwa Laboratory Animals로부터 공급)는, 전실험 기간에 걸쳐 SPF 환경하에서 사육했다. 한편, Kwl: A-1 계통의 갈색 모르모트는, 인간과 마찬가지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색소 침착이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전실험 기간에 걸쳐, 고형 사료(LRC4, Oriental Yeast 제품)와 음료수는 자유 섭취시켰다.
[갈색 모르모트로의 자외선 조사]
갈색 모르모트로의 자외선 조사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우선, 갈색 모르모트를 고정판에 무마취로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로 고정하고, 전기 이발기로 등쪽 피부의 털을 깎고 전기 면도기로 면도했다. 등쪽 피부의 면도한 영역 중 자외선 조사 부위 이외의 부위에, 점착성포 신축 붕대(엘라스트포어 No. 50, Nichiban 제품)에 제본용 테이프를 붙여 자외선 조사 부위에 상당하는 영역을 잘라낸 것을 붙여 자외선 조사 부위 이외의 영역을 차광했다. 또한, 당해 모르모트의 눈에도 점착성포 신축 붕대를 이용해 린트포를 붙여 자외선을 차광했다. 그 후, 자외선 조사 장치(Y-798-II, 오리온 전기 제품)에 부착한 SE 램프(파장 250∼350㎚, FL20S·E, 토시바 제품) 5개를 이용해 40㎝의 거리로부터 자외선(UVB) 조사를 실시했다.
[최소 홍반량의 측정]
갈색 모르모트의 최소 홍반량(피부에 홍반이 생기는 최단 자외선 조사 시간)은, 다음과 같이 측정했다.
우선, 1마리의 갈색 모르모트의 등쪽 피부에, 등의 정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2㎝×2㎝ 정사각형의 자외선 조사 부위를 각 3개소씩 합계 6개소 마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방법 대로 자외선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시간은 8, 10, 12, 14, 16, 18분간으로 하고, 다음날,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조사 부위의 피부 반응을 관찰했다.
다음으로, 다른 1마리의 갈색 모르모트를 이용해, 피부 반응이 보여진 최단 시간과 피부 반응이 보이지 않는 최장 시간의 사이를 다시 15초 간격(상기 갈색 모르모트와 같은 방법으로 조사 부위를 8개소 마련했다)으로 조사 시간을 설정하고, 마찬가지로 피부 반응을 관찰해, 피부 반응이 보여진 최단 시간을 최소 홍반량으로 했다. 이 결과, 최소 홍반량은 12분 15초간이었다.
피부 반응의 정도 득점
홍반과 가피(痂皮) 형성
홍반 없음 0
매우 경도의 홍반(겨우 인정되는 정도) 1
분명한 홍반 2
중증도에서 강한 홍반 3
짙은 홍색의 강한 홍반에 가벼운 가피 형성(상처는 심부에) 4
[경구 투여]
경구 투여는, β-NMN(Oriental Yeast 제품)을 주사용수(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제품)에 용해시킨 용액을, 카테터(영양 카테터, JMS 제품)를 부착한 폴리프로필렌제 일회용 주사통(TERUMO 제품)을 이용해 강제 경구 투여했다. 한편, 투여시는, 터치 믹서를 이용해 교반하고, β-NMN 용액이 침전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투여량은, 투여일 또는 투여일에 가까운 날의 체중치로부터 산출해 5 mL/kg으로 했다.
[실시예 1]
갈색 모르모트를 이용해, 자외선 유발에 의한 색소 침착에 대한 β-NMN의 효과를 조사했다.
(β-NMN의 투여)
구체적으로는, 우선, 갈색 모르모트를 6마리씩, β-NMN을 투여하는 군(NMN군)과 주사용수를 투여하는 군(대조군)으로 나누었다. 군 분류를 실시한 날을 투여 0일로 하고, 그 다음날부터 1일 1회, 42일간, 각 군의 모르모트에 대해 β-NMN 용액 또는 주사용액을 경구 투여했다. β-NMN 용액은, β-NMN의 체중당 투여량이 500 ㎎/kg이 되도록 투여했다.
(자외선 조사)
각 군의 모르모트에 대해, β-NMN(대조군에서는 주사용수) 투여 후 15일(첫회 조사일)과, 그 2일 후 및 4일 후의 합계 3회, 자외선 조사를 실시했다. 모르모트로의 자외선 조사는, 자외선 조사 전날에 면도한 것, 자외선 조사 부위를, 모르모트의 등쪽 정중앙선을 사이에 둔 좌우의 어느 1개소의 2㎝×2㎝ 정사각형의 영역으로 한 것 외에는, 상기의 자외선 조사 방법과 같이 실시했다. 조사 시간은 최소 홍반량(12분 15초간)으로 했다. 한편, 자외선 조사일에는 자외선 조사 후에 β-NMN의 투여를 실시했다.
(색소 침착의 측정)
첫회 조사일과, 첫회 조사일로부터 14일 후, 21일 후 및 28일 후에, 각 모르모트의 자외선 조사 부위의 피부의 L치(명도)를, 색채색차계(CR-300, 미놀타 제품)를 이용해 측정했다. 측정 부위는 조사 부위의 중심과 대각선상의 모서리 4개소의 합계 5개소로 하고, 그 평균치를 각 개체의 L치로 했다. L치 측정은, 첫회 조사일, 그 14일 후 및 21일 후에는 자외선 조사전에 실시하고, 첫회 조사일로부터 28일 후에는 오전중에 실시했다.
한편, 각 모르모트는, 첫회 투여일로부터 3일 간격 또는 4일 간격으로 자외선 조사 부위를 전기 이발기와 전기 면도기로 면도했다. 또한, L치 측정일에는, 측정전에, 자외선 조사 부위를 전기 이발기와 전기 면도기로 면도했다.
측정한 L치로부터, ΔL치([첫회 조사일 자외선 조사전의 L치]-[관찰일의 L치])를 구했다.
(사진 촬영)
각 군 중 1예에 대해, L치 측정 후에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 촬영을 실시했다.
(체중 측정)
각 모르모트에 대해, 첫회 투여일로부터 1주에 1회, 오전중에 체중을 전자천칭으로 측정했다. 한편, 자외선 조사일에는 조사전에, β-NMN 투여일은 투여전에 실시했다.
(결과)
각 군의 측정 결과에서의 ΔL치를 도 1에, 체중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각각 나타냈다. 이 결과, 양군 모두 체중에는 그다지 차이가 없었다. 이에 비해, NMN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 부위의 ΔL치가 작은 것이 확인되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조군의 ΔL치는 첫회 조사 후 14일에 9.47, 첫회 조사 후 21일에 11.71, 첫회 조사 후 28일에 12.01이 되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첫회 조사 후 14일부터 급격하게 ΔL치가 저하해 색소 침착이 진행되었다. NMN군의 ΔL치는, 첫회 조사 후 14일에 8.28, 첫회 조사 후 21일에 8.99, 첫회 조사 후 28일에 9.55가 되어, 대조군에 비해 색소 침착이 억제되고 있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β-NMN을 경구 섭취함으로써, 자외선 조사에 의한 색소 침착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첫회 투여일로부터의 일수(일) 대조군(g) NMN군(g)
0 405±15 405±22
1 408±13 408±23
8 444±22 431±23
15 462±24 462±33
22 497±26 497±34
29 531±27 529±29
36 555±32 551±35
43 595±32 584±33
[실시예 2]
갈색 모르모트를 이용해, 자외선 유발에 의한 색소 침착에 대한 β-NMN의 효과를 조사했다.
(외용제)
에탄올(로트 번호: DSM5187, Wako Chemical 제품), 1,3-부탄디올(로트 번호: TWQ6672, Wako Pure Chemical 제품), 주사용수(로트 번호: K5F71,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제품)를 1:1:8(용량비)의 비율로 혼합해, 이것을 용매로 했다. 이 용매에 β-NMN을 0.5 질량%의 농도로 용해한 용액을, β-NMN 함유 외용제로 했다.
(β-NMN의 투여)
구체적으로는, 우선, 갈색 모르모트를 6마리씩, β-NMN을 경구 투여하는 군과 경구 투여를 실시하지 않는 군으로 나누었다. β-NMN을 경구 투여하는 군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β-NMN 용액을 경구 투여하고, 또한, 각 개체의 도포 부위를 나눔으로써, 외용제의 용매만을 경피 투여하는 군(NMN 경구 투여군), β-NMN 함유 외용제를 경피 투여하는 군(NMN 경피 & 경구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또한, 경구 투여를 실시하지 않는 군은, 외용제의 용매만을 경피 투여하는 군(대조군)으로 했다. 경피 투여시, β-NMN 함유 외용제 또는 용매를 도포하는 부위는 미리 설정해 두고 매회 같은 부위에 도포했다. 군 분류를 실시한 날을 투여 0일로 하고, 그 다음날부터 1일 1회, 42일간, 각 군의 모르모트에 대해 β-NMN 용액을 경구 투여하고, 또한, 용매 또는 β-NMN 함유 외용제를 경피 투여했다.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β-NMN 용액을 체중당 β-NMN의 투여량이 500 ㎎/kg이 되도록 투여하고, 경피 투여의 경우에는, 도포 부위 1개소당 β-NMN 함유 외용제 또는 용매를 0.05 mL 도포했다.
(자외선 조사)
각 군의 모르모트에 대해, 투여 개시 후 15일(첫회 조사일)과, 그 2일 후 및 4일 후의 합계 3회, 자외선 조사를 실시했다. 모르모트로의 자외선 조사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조사 시간은 최소 홍반량(12분 15초간)으로 했다. 한편, 자외선 조사일에는 자외선 조사 후에 β-NMN 함유 외용제 또는 용매의 투여를 실시했다.
(색소 침착의 측정)
첫회 조사일과, 첫회 조사일로부터 28일 후에, 각 모르모트의 자외선 조사 부위의 피부의 L치(명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L치 측정은, 첫회 조사일에는 자외선 조사전에 실시하고, 첫회 조사일로부터 28일 후에는 오전중에 실시했다.
한편, 각 모르모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면도했다.
측정한 L치로부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ΔL치를 구했다.
(사진 촬영)
각 군 중 1예에 대해, L치 측정 후에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 촬영을 실시했다.
(결과)
각 군의 측정 결과에서의 ΔL치를 도 2에 나타냈다. NMN 경구 투여군 및 NMN 경피 & 경구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 부위의 ΔL치가 작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NMN 경피 & 경구 투여군에서는 NMN 경구 투여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 부위의 ΔL치가 더 작은 것이 확인되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조군의 ΔL치는 8.07, NMN 경구 투여군의 ΔL치는 6.01, NMN 경피 & 경구 투여군의 ΔL치는 5.20이 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NMN을 경구 투여함으로써 색소 침착이 억제되고, 경구 투여에 경피 투여도 추가함으로써 경구 투여만의 경우보다 색소 침착이 더욱 억제되고 있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β-NMN을 경구 섭취하는 것에 더해, 피부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자외선 조사에 의한 색소 침착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5)

  1. β-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경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2. 삭제
  3. 제1항에 기재된 억제제를 함유하고,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기 위해 섭취되는 건강 보조 식품.
  4. 삭제
  5. β-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경구 투여제와,
    β-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경피 투여제를 포함하는 키트.
KR1020197025868A 2017-02-08 2018-02-08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KR102566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0921 2017-02-08
JP2017020921 2017-02-08
PCT/JP2018/004459 WO2018147385A1 (ja) 2017-02-08 2018-02-08 皮膚色素沈着抑制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117A KR20190112117A (ko) 2019-10-02
KR102566670B1 true KR102566670B1 (ko) 2023-08-11

Family

ID=6310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868A KR102566670B1 (ko) 2017-02-08 2018-02-08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9632B2 (ko)
EP (1) EP3581187A4 (ko)
JP (2) JP7374585B2 (ko)
KR (1) KR102566670B1 (ko)
CN (1) CN110461339A (ko)
WO (1) WO2018147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9078177A1 (ja) * 2017-10-16 2020-11-05 めぐみ 田中 ニコチンアミドモノヌクレオチドを含む化粧品組成物
CN111166760A (zh) * 2019-12-17 2020-05-19 浙江安赛新材料科技有限公司 β-烟酰胺单核苷酸或其前体的组合物及制备方法、应用
CN111395004A (zh) * 2020-05-09 2020-07-10 徐建平 一种烟酰胺单核苷酸生物酶纺织面料的制备方法和应用
WO2022047779A1 (zh) * 2020-09-07 2022-03-10 音芙医药科技(上海)有限公司 烟酰胺单核苷酸在制备提高损伤皮肤肌膜中Na+-K+-ATP酶水平试剂中的应用
WO2022150948A1 (zh) * 2021-01-12 2022-07-21 中国医学科学院放射医学研究所 烟酰胺单核苷酸在制备抵抗辐射伤害制剂中的应用
CN112618400A (zh) * 2021-01-29 2021-04-09 山东华熙海御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改善肤色的组合物及美白化妆品
CN113262237A (zh) * 2021-06-09 2021-08-17 云南维他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agnm组合物及其制剂与应用
JP7236668B1 (ja) 2022-03-25 2023-03-10 万里 坂井 医薬組成物
JP7195498B1 (ja) * 2022-03-25 2022-12-26 エリジオンサイエンス株式会社 医薬組成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629A (ja) 2002-12-26 2004-08-05 Kanebo Ltd 美白剤及びビタミン混合組成物
US20070082373A1 (en) 2005-10-11 2007-04-12 Washington University Processes for regulating blood glucose in a mammal and novel polypeptides useful in NAD biosynthesis
JP2013523721A (ja) 2010-03-31 2013-06-17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メラニン色素生成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N104771330A (zh) * 2015-03-16 2015-07-15 邦泰生物工程(深圳)有限公司 一种含烟酰胺单核苷酸抗衰老美容护肤品组合物
JP2016135750A (ja) 2015-01-23 2016-07-28 株式会社ベスビオ 化粧料
WO2016210232A1 (en) 2015-06-25 2016-12-29 N.V. Perricone Llc Niacinamide mononucleotide formulations for skin ag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782A (ko) 2001-04-13 2008-07-30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당 흡수 촉진제
JP2010174049A (ja) 2002-12-26 2010-08-12 Kracie Seiyaku Kk 美白剤及びビタミン混合組成物
AU2004279248B2 (en) 2003-10-08 2011-05-1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for promoting collagen production
EP2968306B1 (en) 2013-03-15 2023-06-07 Washington University Administration of nicotinamide mononucleotide in the treatment of dry eye
KR102325437B1 (ko) * 2014-10-23 2021-1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6539134B2 (ja) 2015-07-13 2019-07-03 日置電機株式会社 クランプセンサ
JP6920071B2 (ja) * 2017-02-16 2021-08-18 ワシントン・ユニバーシティWashington University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向上剤
US11219590B2 (en) * 2017-09-14 2022-01-11 Megumi Tanaka Anti-aging agent and anti-aging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629A (ja) 2002-12-26 2004-08-05 Kanebo Ltd 美白剤及びビタミン混合組成物
US20070082373A1 (en) 2005-10-11 2007-04-12 Washington University Processes for regulating blood glucose in a mammal and novel polypeptides useful in NAD biosynthesis
JP2013523721A (ja) 2010-03-31 2013-06-17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メラニン色素生成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16135750A (ja) 2015-01-23 2016-07-28 株式会社ベスビオ 化粧料
CN104771330A (zh) * 2015-03-16 2015-07-15 邦泰生物工程(深圳)有限公司 一种含烟酰胺单核苷酸抗衰老美容护肤品组合物
WO2016210232A1 (en) 2015-06-25 2016-12-29 N.V. Perricone Llc Niacinamide mononucleotide formulations for skin 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4585B2 (ja) 2023-11-07
JPWO2018147385A1 (ja) 2019-12-12
CN110461339A (zh) 2019-11-15
US11219632B2 (en) 2022-01-11
EP3581187A1 (en) 2019-12-18
US20200016183A1 (en) 2020-01-16
JP7428767B2 (ja) 2024-02-06
WO2018147385A1 (ja) 2018-08-16
EP3581187A4 (en) 2020-11-04
JP2022180453A (ja) 2022-12-06
KR20190112117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670B1 (ko) 피부 색소 침착 억제제
KR101277180B1 (ko) 콜라겐 산생 증강제와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CN102355884A (zh) 由晚期糖基化终末产物的蓄积引起的皮肤老化的预防、抑制或改善剂
KR20130083776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50057916A (ko)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US10137070B2 (en) Composition including ionone or sal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and having effect of enhancing skin moisturizing, exfoliating skin, improving skin elasticity, inhibit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or alleviating skin photoaging
US8153692B2 (en) Oral prepara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kin dryness
KR101721022B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KR1021188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및 셀룰라이트 감소용 조성물
TWI566772B (zh) 美白劑及黑色素生成抑制劑
KR102348707B1 (ko) 도세탁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0478021B1 (ko) 수용성이개선된프로폴리스추출물
KR102293926B1 (ko) 페이미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65412B1 (ko) 그라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93927B1 (ko) 팡키놀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65411B1 (ko) 아세틸아코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65413B1 (ko) Prim-O-글루코실시미푸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182973B1 (ko) 시티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93928B1 (ko) 우고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37297B1 (ko) 소포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70138754A (ko) 카다베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138263B1 (ko)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50121492A (ko)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63764B1 (ko) 세팔로만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77524B1 (ko) 4'-데메틸에피포도필로톡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