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437B1 -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437B1
KR102325437B1 KR1020140144444A KR20140144444A KR102325437B1 KR 102325437 B1 KR102325437 B1 KR 102325437B1 KR 1020140144444 A KR1020140144444 A KR 1020140144444A KR 20140144444 A KR20140144444 A KR 20140144444A KR 102325437 B1 KR102325437 B1 KR 10232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otinic acid
nad
mononucleotide
precurso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914A (ko
Inventor
이현종
강내규
심우선
이설훈
염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4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4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의 전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NAD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NAD를 직접 포함하지 않아 세포 내 NAD의 항상성을 저해하는 부작용이 없으며, 세포 내에 적절한 양의 NAD의 생성을 유도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촉진시키고 ROS의 생성량을 감소시켜 노화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recursor of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본 발명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나이를 먹게 되면서 나타나는 생물학적 노화를 비롯하여 식습관, 스트레스, 일광 노출 등에 의한 외부적 요인과의 복합적인 원인으로부터 노화 현상이 야기된다. 외부적 요인에 의한 노화는 개인의 노력에 따라 충분히 개선 될 수 있지만, 생물학적 노화는 다양한 신체적 현상에 의해 제어되고 있으며 외부적 요인에 의한 노화를 방지하는 것 보다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것은 여전히 건강과 미용상의 큰 관심사이며, 많은 사람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피부를 포함한 신체의 노화에 대한 유력한 메커니즘은 자유 라디칼 생성에 따른 신체의 산화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라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세포에서 자유 에너지가 안정적인 산소와 결합할 때 세포 호흡 과정 중에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성되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에 의해 미토콘드리아나 단백질 등에 손상을 입는 것이다.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항산화제를 활용하여 자유 라디칼과 병합하거나 중화하여 ROS에 의한 손상을 완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최근에 노화는 세포 핵과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신호전달이 원활하지 못하였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원인이 ROS의 영향보다 더 크다고 보고되었다(Ana P. Gomes et al., Cell, 155, 1624-1638, 2013). 보고 된 바에 의하면, 핵과 미토콘드리아 사이의 활동을 조정하는 핵심분자로 신호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화학물질은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이다. NAD는 영양분으로부터 세포가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에너지를 수확하는 핵심적인 분자이다. 또한, NAD는 SIRT1로 불리는 단백질을 활성화 시키는데, SIRT1은 몸 전체에서 건강한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AD를 직접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NAD가 세포막이나 미토콘드리아 막을 통과하는 것이 수동적이지 못하여 능동적 통과를 하기 위해 ATP가 소비되기 때문에 효율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또한 NAD 상태로 직접 제공될 경우에 독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J. Yoshino et al, Cell Metabolism, 14, 528-536, 2011).
NMN(Nicotinamide mononucleotide)은 NAD의 전구체로 NAD 생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노화는 NMN 생성을 감소시키고, 이는 인체의 NAD 생성 둔화와 비정상적인 대사 상태로 이어진다. 노화방지를 위해 NAD를 직접 적용할 경우에는, 최종산물인 NAD가 정상범위를 초과할 수 있어 항상성 유지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반면 NMN을 외부에서 적용할 경우에는 NAD 수준을 높여 정상적인 대사상태를 유도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NMN은 NAD의 전구체이므로 항상성 유지에 혼란을 초래하지 않아 더욱 안전하다.
그러나, NMN 등을 포함하는 NAD의 전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의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NAD를 직접 포함하는 화장료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낮은 효율성과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동시에, 노화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의 전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NAD의 전구체는 니코틴아미드(Nicotinamide), 모노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Nicotinamide riboside, NR), 니코틴산 모노뉴클레오티드(Nicotinic acid mononucleotide, NaMN),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icotinic acid adenine dinucleotide, NaAD), 및 니코틴산(Nicotinic acid)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AD의 전구체들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내 합성효소, 전이효소 등에 의해 NAD로 효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AD의 전구체는 NM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노화 방지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에서 NAD의 생성 저하로 인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NAD를 화장료에 직접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NAD의 전구체(바람직하게는 NMN)를 노화 방지용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 내에서 자발적으로 NAD를 합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놀라운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화"는 세포 내 NAD 생성 둔화와 비정상적인 대사로 인한 피부 주름 발생, 피부 탄력 저하, 피부 건조, 색소침착, 또는 피부 재생력 저하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화 방지"는 NAD의 전구체를 피부에 직접 처리하여 세포 내에 적절한 양의 NAD의 생성을 유도하여 상기와 같은 현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NAD의 전구체 0.00001~0.1 중량%, 점증용 고분자 0.1~5 중량%, 유상 에몰리언트 1~20 중량%,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10 중량%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수중유분산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NAD의 전구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01~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0.0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0.0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NAD 전구체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노화 방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능을 제공하기 어려우며, 0.1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효과의 증가가 현저하지 않고, 피부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부적절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증용 고분자는 NAD 전구체를 함유함으로 인한 점도 하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잔탄검(xanthan gum),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r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증용 고분자 가운데 카보머(carbomer) 또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r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와 하나 이상의 다른 점증용 고분자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형의 경시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적절한 점도 유지 및 경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점증용 고분자로 잔탄검 및 카보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증용 고분자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증용 고분자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점도 증가 및 경시 안정성 증진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점증용 고분자 분말의 분산 및 용해가 어려워 제조 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는 끈적임, 밀림, 건조함 등의 사용감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디메치콘(dimethicon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쉐어버터(shea butter), 호호바에스터(jojoba esters),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스쿠알란(squal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C5-9애씨드에스터(dipentaerythrityl hexa C5-9 acid esters),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및 헥실데실 에틸헥사노에이트(hexyldecyl ethylhexano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상 화장료의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상 에몰리언트로 쉐어버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밀림 또는 들뜸 현상의 개선이 미미하고, 2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피부 잔류량이 많아 흡수가 더디고 사용감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피이지-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PEG-150 di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에 유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보조유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유화제로는 세테아레스-6올리베이트(ceteareth-6 olivate),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화 안정성이 떨어지고,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습제, 향, 방부제, 또는 산도 조절제 등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스킨, 토너, 에센스, 앰플, 유액, 젤, 클렌징 워터, 팩, 크림, 또는 아이크림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s1) 수상에 NAD의 전구체를 첨가하고 60~80℃로 가온하는 단계; (s2) 유상 성분을 60~80℃로 가온하여 용해하는 단계; (s3) 유상 성분을 수상에 가하고 호모믹서로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노화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NAD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NAD를 직접 포함하지 않아 세포 내 NAD의 항상성을 저해하는 부작용이 없으며, 세포 내에 적절한 양의 NAD의 생성을 유도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촉진시키고 ROS의 생성량을 감소시켜 노화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도 1은 MTT assay를 통한 흡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준대조군으로 SLS사용하여 NMN과 비교하였고, 농도에 따른 상대적인 흡광도를 나타냈다.
도 2는 세포 내 생성 된 ATP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조군으로는 DMEM에 FBS가 혼합 된 용액에서 적은 계대(P5)와 많은 계대(P58)의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고, 비교군으로는 DMEM에 FBS가 혼합 된 용액에 NMN이 농도별로 첨가 된 용액에서 배양하였다.
도 3은 세포 내 생성 된 ROS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조군으로는 DMEM에 FBS가 혼합 된 용액에서 적은 계대(P5)와 많은 계대(P58)의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고, 비교군으로는 DMEM에 FBS가 혼합 된 용액에 NMN이 농도별로 첨가 된 용액에서 배양하였다.
도 4는 세포 내 합성효소, 전이효소 등에 의한 NAD 전구체의 NAD로의 전환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NMN의 세포독성 평가
NMN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화장품 평가/분석법: 평-14에 근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V79-4 cells(Chinese Hamster, CCL of lung tissue fibroblast)를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으로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 FBS(Fetal bovine serum)을 3 중량% 첨가된 용액이 사용되었으며, NMN을 0.1 중량%이하로 10배씩 희석하여 배양액에 첨가하여 함께 배양하였다. 표준대조군으로 SLS(Sodium lauryl sulfate)가 사용되었으며, 마찬가지로 0.1 중량%이하로 10배씩 희석하여 배양액에 첨가하여 함께 배양하였다. 각각 24시간 배양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해 MTT assay를 진행하였고, 세포 생존 및 활성에 비례하는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도를 결정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MN의 바람직한 유효량의 범위인 10-5 내지 0.1 중량%에서 MTT assay를 통한 흡광도가 유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결과를 근거로 NMN이 바람직한 유효량의 범위 내에서 세포독성이 존재하지 않아 세포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세포 내 ATP(adenosine triphosphate) 측정
미토콘드리아의 주 기능은 ATP합성으로, 세포 내에 존재하는 ATP를 측정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TP를 측정하기 위해 Beetle Luciferin을 사용하였다. Beetle Luciferin은 세포 내에 ATP와 반응하여 Oxyluciferin을 생성하며, 동시에 빛을 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실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DMEM에 FBS가 혼합된 용액에서 적은 계대(P5)와 많은 계대(P58)의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고, 비교군으로는 DMEM에 FBS가 혼합 된 용액에 NMN이 농도별로 첨가 된 용액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MN을 세포에 첨가해 주었을 때, 전체적으로 ATP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NMN의 농도에 따라 ATP생성이 전반적으로 비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많은 계대(P58)의 섬유아세포에서 ATP의 생성이 대조군에 비해 115 내지 140 % 임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적은 계대(P5)의 섬유아세포에서의 104 내지 111 % 보다 큰 증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많은 계대(P58)의 섬유아세포에게 더 큰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OS(Reactive oxygen species) 측정
ROS는 일반적인 산소보다 활성이 크고 불안정하면 높은 에너지를 갖는 산소를 의미한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산소를 이용해 호흡을 하면서 일부 물이 아닌 라디칼 상태가 되는데, 체내 호흡과정에 주로 생기는 ROS가 생성된다. 즉 ROS의 활발한 생성은 미토콘드리아의 활발한 호흡 활동을 동반하며 활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ROS를 측정하기 위해 CM-H2DCFDA(5-(and-6)-chloromethyl-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acetyl ester)를 사용하였으며, 이 물질은 활성산소와의 반응을 통해 아세테이트 그룹이 절단되고, 형광을 띄는 DCF(dichlorodihydrofluorescein)를 생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실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DMEM에 FBS가 혼합된 용액에서 적은 계대(P5)와 많은 계대(P58)의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고, 비교군으로는 DMEM에 FBS가 혼합 된 용액에 NMN이 농도별로 첨가 된 용액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MN을 세포에게 첨가 해 주었을 때, NMN의 농도에 비례하여 ROS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MN은 미토콘드리아를 활성화시켜 호흡을 증가시켜 ROS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의 효율을 증가시켜 호흡량 대비 ROS의 생성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한다. 실시예 2에서 알 수 있듯이 NMN의 첨가에 따른 호흡량이 증가하여 ATP생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ROS의 생성은 NMN의 첨가와 반비례함을 통해서,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은 증가시키지만 ROS 억제 효율은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크림제 (100g)
정제수에 보습제와 NMN을 가하고 70℃로 가열, 조정하였다. 유성분들을 가열 용해 후, 유화제, 방부제 등을 가하고 70℃로 조정하였다. 이것을 앞의 수상에 가하고 호모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화한 다음, 탈기포, 여과, 냉각시켰다. 하기 표 1에 크림제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주성분 NMN 0.001 g
유성분 세로스테아릴알코올 6.0 g
스테아린산 2.0 g
라놀린 4.0 g
스쿠알란 9.0 g
옥틸도데카놀 10.0 g
보습제 1,3-부틸렌글리콜 3.0 g
글리세린 2.0 g
유화제 POE(25)세틸알코올에테르 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g
향 및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량
로션제 (100g)
정제수에 NMN과 보습제를 가하고 70℃로 가열, 조정하였다. 유성분들을 가열 용해 후, 유화제, 방부제 등을 가하고 70℃로 조정하였다. 이것을 앞의 수상에 가하고 호모믹서로 유화시킨 다음, 호모믹서로 균질하게 혼합한 후, 탈기포, 여과, 냉각시켰다. 하기 표 2에 로션제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주성분 NMN 0.001 g
유성분 세로스테아릴알코올 1.0 g
밀납 0.5 g
바세린 2.0 g
스쿠알란 6.0 g
디메틸롤리실록산 2.0 g
보습제 1,3-부틸렌글리콜 4.0 g
글리세린 4.0 g
유화제 POE(10)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1.0 g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 2.0 g
향 및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량
젤제 (100g)
정제수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융해하고, NMN 첨가하여 가온 용해시킨다. 이것을 약 50℃로 냉각하여, 교반하면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에 폴리옥시에틸렌세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약 50℃로 가온한 것을 첨가한다. 또한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고, pH를 약 6.8이 되도록 조제한다. 약 40℃로 냉각한 후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약 25℃로 냉각 후 적당한 용기에 채취한다. 하기 표 3에 젤제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NMN 0.001 g
폴리에틸렌글리콜 8.0 g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5 g
메틸 셀룰로오스 0.2 g
프로필렌글리콜 5.0 g
글리세린 2.0 g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세틸 에테르 1.0 g
이소프로판올 5.0 g
수산화나트륨 적당량
정제수 잔량
영양크림 (100g)
정제수에 보습제와 NMN을 가하고 70℃로 가열, 조정하였다. 유성분들을 가열 용해 후, 유화제, 방부제 등을 가하고 70℃로 조정하였다. 이것을 앞의 수상에 가하고 호모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화한 다음, 탈기포, 여과, 냉각시켰다. 하기 표 4에 영양크림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NMN 0.0005 g
스테아릴알콜 6.0 g
스테아린산 2.0 g
농글리세린 1.0 g
스쿠알란 9.0 g
1, 3-부틸렌글리콜 6.0 g
폴리소르베이트 60 1.5 g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4.0 g
경화 라놀린 4.0 g
옥틸 도데카놀 10.0 g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8 g
트리에탄올아민 0.5 g
방부제 및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Claims (9)

  1.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의 전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NAD의 전구체는 모노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Nicotinamide riboside, NR), 니코틴산 모노뉴클레오티드(Nicotinic acid mononucleotide, NaMN),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icotinic acid adenine dinucleotide, NaAD), 및 니코틴산(Nicoti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ATP의 생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ROS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NAD의 전구체 0.00001~0.1 중량%, 점증용 고분자 0.1~5 중량%, 유상 에몰리언트 1~20 중량%,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용 고분자는 잔탄검(xanthan gum),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r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는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디메치콘(dimethicon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쉐어버터(shea butter), 호호바에스터(jojoba esters),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스쿠알란(squal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C5-9애씨드에스터(dipentaerythrityl hexa C5-9 acid esters),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및 헥실데실 에틸헥사노에이트(hexyldecyl ethylhexan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피이지-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PEG-150 di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세테아레스-6올리베이트(ceteareth-6 olivate),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s1) 수상에 NAD의 전구체를 첨가하고 60~80℃로 가온하는 단계;
    (s2) 유상 성분을 60~80℃로 가온하여 용해하는 단계;
    (s3) 유상 성분을 수상에 가하고 호모믹서로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AD의 전구체는 모노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Nicotinamide riboside, NR), 니코틴산 모노뉴클레오티드(Nicotinic acid mononucleotide, NaMN),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icotinic acid adenine dinucleotide, NaAD), 및 니코틴산(Nicoti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ATP의 생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ROS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NAD의 전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노화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NAD의 전구체는 모노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Nicotinamide riboside, NR), 니코틴산 모노뉴클레오티드(Nicotinic acid mononucleotide, NaMN),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icotinic acid adenine dinucleotide, NaAD), 및 니코틴산(Nicoti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ATP의 생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ROS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노화를 방지하는 방법.
KR1020140144444A 2014-10-23 2014-10-23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44A KR102325437B1 (ko) 2014-10-23 2014-10-23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44A KR102325437B1 (ko) 2014-10-23 2014-10-23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14A KR20160047914A (ko) 2016-05-03
KR102325437B1 true KR102325437B1 (ko) 2021-11-10

Family

ID=5602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44A KR102325437B1 (ko) 2014-10-23 2014-10-23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39A (ko) 2022-02-10 2023-08-17 제너럴바이오(주) Nr 및 nad를 함유한 발효효모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효모조성물
KR20240000152A (ko) 2022-06-23 2024-01-02 제너럴바이오(주) Nr, nmn 및 nad를 함유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9632B2 (en) 2017-02-08 2022-01-11 Oriental Yeast Co., Ltd. Skin pigmentation inhibitor
JP7210459B2 (ja) * 2017-09-14 2023-01-23 めぐみ 田中 老化防止剤及び老化防止方法
EP3698771A4 (en) * 2017-10-16 2021-08-25 Megumi Tanak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ICOTINAMIDE MONONUCLEOTIDE
KR20210153027A (ko) * 2018-09-14 2021-12-16 메구미 타나카 노화방지제 및 노화방지방법
CN111973485B (zh) * 2019-05-23 2021-10-22 珀莱雅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眼部的祛皱组合物凝胶及其制备方法
KR102315139B1 (ko) 2019-12-17 2021-10-20 주식회사 휴메딕스 지방아민 컨쥬게이션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 유도체
CN112791008B (zh) * 2021-01-29 2022-06-21 中粮集团有限公司 辅酶在抗衰老美容护肤品中的应用及含辅酶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12842960A (zh) * 2021-02-03 2021-05-28 北京健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同时具有抗紫外线、美白、抗衰老的化妆品组合物
CN115089602A (zh) * 2022-05-31 2022-09-23 长沙创新药物工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β-烟酰胺单核苷酸乳膏的制备与质量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13B1 (ko) * 2001-11-02 2007-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코틴아미드 함유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39A (ko) 2022-02-10 2023-08-17 제너럴바이오(주) Nr 및 nad를 함유한 발효효모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효모조성물
KR20240000152A (ko) 2022-06-23 2024-01-02 제너럴바이오(주) Nr, nmn 및 nad를 함유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14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437B1 (ko)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41684A (ko) 안정화제로서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레티노이드 및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자가 태닝 조성물
KR101817765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9013100A (ja) 水中油乳化剤形の皮膚外用剤
KR20190081232A (ko) 곤충(귀뚜라미)의 단백질과 산야초 추출물의 혼합물를 피부 미백, 세포재생, 보습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023041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8908B1 (ko) 항노화 및 주름개선에 활성을 갖는 대추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및 향장 원료
CN116637042A (zh) 一种祛皱抗衰护肤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1278783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EP2218441B1 (en)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age spots
WO2015011750A1 (ja) 保湿剤
JPH1029922A (ja) 皮膚外用剤
JP2002145754A (ja) 皮膚化粧料
KR20110006890A (ko) 필라그린 생성촉진을 위한 조성물
KR20200136194A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150179A (ja) 保湿用の化粧料
KR100774550B1 (ko) 세균성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 조성물
US20180185256A1 (en) Moisturizer and cosmetic including the same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0306B1 (ko) 피부미백제
US11452681B2 (en) Cosmetic compositions to prevent and/or ameliorate skin aging and methods of applications
WO1992006667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JP2012254957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93708B1 (ko) 침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