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838A - 전위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전위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838A
KR20030088838A KR1020020057139A KR20020057139A KR20030088838A KR 20030088838 A KR20030088838 A KR 20030088838A KR 1020020057139 A KR1020020057139 A KR 1020020057139A KR 20020057139 A KR20020057139 A KR 20020057139A KR 20030088838 A KR20030088838 A KR 20030088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human body
sheet
current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341B1 (ko
Inventor
아시하라노리아키
요코야마미츠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쉔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쉔픽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쉔픽스
Publication of KR2003008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위치료기 본체의 사용모드전환, 출력단자의 변경을 실시하지 않고, 자율신경계 및 내분비계의 조정이 이루어지는 전신통전법과, 신체국소조직의 혈행 및 신진대사촉진이 이루어지는 국소통전법의 양쪽의 효과가 동시에 얻어지는 치료법을 제공 사용하는 것이며, 전위치료기 본체로부터 고전압이 유도된 국소통전시트를 인체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치료장치이다.

Description

전위치료장치{ELECTRIC POTENTIAL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고전압을 이용한 전위치료기(인체와 실내의 사이에 전압을 부여하여 인체주위에 전계를 형성하고, 그 전계에 의한 생체자극작용을 이용한 치료기)의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위치료기는 절연된 인체에 고전압(예를 들면 교류 9,000V)을 통전시트 등을 통하여 부여하고, 인체와 실내의 마루, 벽, 천정 등(이들은 대략 대지(大地)의 전위 0V에 가깝다)의 사이에 전계(전장)를 형성하며, 그 전계에 의한 생체자극작용을 이용한 치료기이다.
전위치료기에 의해 인체 주위에 발생한 50㎐ 또는 60㎐의 극초저주파의 전계에 의한 생체자극작용에는 다음의 2종류가 있다(예를 들면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35: EXTREMELY LOW FREQUENCY(ELF) FIELDS」 Genova, 1984 참조).
① 몸 표면에 작용하는 전계에 의한 몸 표면의 감각수용기로의 자극작용.
② 몸 표면의 전계에 의해 신체 내로 유도되는 전류(체내유도전류)에 의한 세포레벨로부터의 작용.
전위치료기의 통전방법에는 상기 ①의 몸 표면의 감각수용기에 의한 작용을 주된 생체기 순서로 하고, 전계를 전신에 빠짐없이 둘러싸는 통전법(이하 「전신통전법」이라 함)과, 상기 ②의 신체 내로 유도되는 전류에 의한 세포레벨로부터의 작용을 주된 생체기 순서로 하고, 전계를 인체국소에 집중시키는 통전법(이하 「국소통전법」이라 함)이 있다.
종래의 전위치료기는 전신통전법과 국소통전법의 사용형태에 따라 출력전압, 출력시간을 따로따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전환을 가지며, 또한 전신통전용과 국소통전용의 출력단자도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었다.
전위치료기에 의해 인체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있을 때의 전기적인 등가회로는 전신통전법, 국소통전법 모두 대략 도 1과 같이 된다. “1”은 전위치료기 본체, “1t”는 고압용 트랜스, “1s”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안전보호저항, “1w”는 고압2차측의 일단과 상용전원의 일단을 연결하여 전위를 안정시키기 위한 저항(경계저항이라 한다.), “2Z”는 고전압을 인체에 부여하기 위한 통전시트 또는 국소통전도자 또는 국소통전시트와 인체의 접촉임피던스, “4Z”는 인체의 등가임피던스, “6Z”는 인체를 마루로부터 절연하고 있는 절연물시트의 임피던스, “7”은 교류상용전원이다(또한 교류상용전원의 일단은 최종적으로 대지에 접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통전시트 또는 국소통전도자 또는 국소통전시트와 인체의 접촉면적이 작으면 접촉임피던스(2Z)는 커지고, 인체(등가임피던스(4Z))에 걸리는 전압은 감소한다. 결과로서 인체주위의 전계강도도 작아진다.
일반적인 전신통전법의 양상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1”은 전위치료기 본체, “1a”는 전위치료기 본체(1)의 전신통전용 고전압출력단자, “2A”는 전위치료기 본체(1)에 발생한 교류고전압(예를 들면 5,000V∼9,000V)을 후술의 인체(4)에 인가하기 위한 전신통전용 통전시트(고전압이 유도되는 통전도자가 내포되어 있다), “3A”는 고전압출력을 통전시트(2A)로 유도하기 위한 고내압코드, “4”는 인체, “5”는 의자, “6”은 인체(4) 및 의자(5)를 마루로부터 절연하기 위한 시트형상의 절연물이다. 의자(5)의 위에 놓은 통전시트(2A)의 위에 인체(4)가 앉으며, 통전시트(2A)와 인체(4)가 접촉한다. 이 경우 접촉하는 면적이 크므로 전기적으로 대략 도체로 보여지는 인체(4)에는 고전압출력단자(1a)와 대략 동일레벨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인체(4)의 주위에 전계가 발생한다. 이 전계에 의해 몸 표면의 감각수용기가 자극됨으로써 결과로서 간뇌(間腦)의 시상(視床) 하부가 부활화(賦活化)되어서 자율신경계나 내분비계가 조정되어 간다. 이 경우 체내유도전류도 흐르는데 인체 전체에 분산되어 있어 국소적으로 전류밀도가 커지는 일은 없다.
이 전신통전법에 의한 인체(4) 주위의 전기력선 및 인체(4)내로 유도되는 전류의 양상은 대략 도 3과 같이 된다. 도 3에 있어서, “1E”는 전위치료기 본체 (1)의 전신통전모드 때의 등가회로, “1a”는 전신통전용 고전압출력단자. “2A”는 전신통전용 통전시트, “3A”는 고전압출력을 통전시트(2A)로 유도하는 고내압코드, “4”는 전위치료를 받고 있는 인체, “6”은 인체(4) 및 통전시트(2A)를 마루로부터 절연하기 위한 시트형상의 절연물, “8”은 마루, 벽, 천정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9”는 인체(4)와 실내(8) 사이에 형성된 전계의 전기력선, “10”은 인체(4)내로 유도되는 전류를 나타낸다. 전기력선(9)과 체내유도전류(10)는 전신에 빠짐없이 분포하고 있다.
일반적인 국소통전법의 양상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도 2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1b”는 전위치료기 본체(1)의 국소통전용 출력단자, “2B”는 전위치료기 본체(1)에 발생한 국소통전용 출력(예를 들면 교류 800V∼1500V)을 인체(4)에 인가하기 위한 국소통전단자(국소통전용 전압이 출력되는 전극(2Ba)이 돌기하고 있다), “3B”는 국소통전용 출력을 국소통전단자(2B)로 유도하기 위한 내압코드이다.
이 국소통전도자(2B)를 이동하는 동시에 해당 도자의 전극(2Ba)을 인체(4)의 일부에 접촉 또는 방전상태로 함으로써 체내유도전류가 인체에 흐른다. 이 체내유도전류에 의해 세포레벨의 작용(예를 들면 세포막의 물질투과성의 변화나, 세포내미트콘드리아의 ATP[아데노신 3린산] 생산의 촉진 등)이 일어나고, 결과로서 세포나 조직의 신진대사가 촉진된다. 이 경우에도 감각수용기는 자극되는데, 국소통전도자에 의한 자극부위가 주이고, 인체에 인가되는 전압은 국소통전용 출력자체가 비교적 낮은 전압인데다 국소통전도자(2B)도 인체의 접촉임피던스(2Z)가 크기 때문에 크게 체감되므로 자극부위 이외의 전계는 매우 작아져 감각수용기의 자극도 극단으로 약해진다.
이 국소통전법에 의한 인체주위의 전기력선 및 인체내로 유도되는 전류의 양상은 대략 도 5와 같이 된다. 도 5에 있어서 도 3과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1’E”는 전위치료기 본체(1)의 국소통전모드 때의 등가회로, “1b”는 국소통전용출력단자, “2B”는 국소통전도자, “3B”는 국소통전용 출력을 국소통전도자(2B)로 유도하기 위한 내압코드이다.
국소통전도자(2B)와 접촉하는 인체부위의 체내유도전류밀도는 현저하게 커지는데 도자(2B)와 인체(4)의 접촉이 점접촉이고, 접촉임피던스가 커지기 때문에 인체에 걸리는 전압은 크게 체감되어 인체주위에 발생하는 전계는 매우 작아진다.
이상과 같이 전신통전법은 몸 표면의 감각수용기를 자극함으로써 인체의 자율신경계 및 내분비계를 서서히 조정하여 가는 효과는 있는데, 사용체감이나 즉효성에 부족하고, 판매상의 결점으로도 되어 있었다. 한편 국소통전법은 국소통전도자(2B)에 의해 자극부위의 근육 등의 뭉침이나 통증을 완화하므로 사용체감과 즉효성을 소구(訴求)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었는데, 도자를 항상 이동하여 자극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체내유도전류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자극감이 예리하고, 때로는 불괘감을 부여하거나 사용시간이 길어지면 화상의 위험성도 있었다. 그로 인해 국소통전용 전압은 교류로 800V에서 1,500V 정도 밖에 출력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종래의 전위치료기는 통상 전신통전법과 국소통전법의 양쪽의 사용형태에 적용하기 위해 출력전압, 출력시간을 따로 따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전환을 가지며, 또한 전신통전용과 국소통전용의 출력단자도 따로 따로 설치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고, 전신통전법과 국소통전법을 전위치료기 본체(1)에 있어서의 사용모드의 전환 및 출력단자의 변경없이 동시에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국소통전도자의 사용에 의한 결점을 제거한 전위치료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전대(2A)의 면적(예를 들면 2,000㎠)을 인체에 장작하기 쉽고 또한 전계강도를 늘리도록 약 10분의 1의 면적(예를 들면 200㎠)으로 한 국소통전시트를 이용하며, 적어도 5,000V 이상의 교류고전압을 해당 국소통전시트로 유도하여 인체에 장착하며, 장착부위의 체내유도전류의 전류밀도를 크게 하여 사용체감과 즉효성을 높인다. 이 경우 국소통전시트와 인체의 접촉면적이 알맞기 때문에 접촉임피던스는 그 정도로 체감하지 않고 인체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인체주위 전체에 전계가 발생하여 몸 표면의 감각수용기가 자극되어 결과로서 자율신경계나 내분비계도 조정되어 간다.
또한 국소통전으로서 해당 국소통전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국소통전 때에 국소통전도자를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 및 불괘한 자극감이나 화상의 위험성이 없어져 장시간의 국소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 교류고전압을 2 이상의 국소통전시트로 유도하고, 2개소 이상의 치료해야할 인체의 부위에 따로따로 장착하면 보다 치료효과와 치료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해당 2 이상의 국소통전시트를 벨트 등으로 연결 일체화하면 국소통전시트의 인체로의 배치·장착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사용자 자신이 혼자서 국소통전시트를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치료해야 할 인체의 부위에 단단하게 장착·고정되므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인체에 전신통전용 고전압 또는 국소통전용 전압을 인가하고 있을 때의 대략의 전기적회로도.
도 2는 전위치료기의 통전방법(전신통전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전신통전법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전기력선 및 체내유도전류의 대략의 분포도.
도 4는 전위치료기의 통전방법(국소통전도자를 사용한 통전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국소통전도자를 사용한 통전법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전기력선 및 체내유도전류의 대략의 분포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위치료장치의 통전방법(국소용 통전시트를 사용한 통전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국소용 통전시트를 사용한 통전법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전기력선 및 변위전류의 대략의 분포도.
도 8은 2개소로 분기한 국소통전시트.
도 9는 2개소로 분기한 국소통전시트를 벨트에 의해 연결 일체화하고, 인체에 장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위치료기 본체
1E: 전위치료기 본체(전신통전모드)에 있어서의 등가회로
1'E: 전위치료기 본체(국소통전모드)에 있어서의 등가회로
1a: 전위치료기의 고전압 출력단자
1b: 전위치료기의 국소통전용 출력단자
1t: 고압용 트랜스
1s: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안전보호저항
1w: 고압2차측의 일단과 상용전원의 일단을 연결하여 전위를 안정시키기 위한 저항(경계저항)
2A: 통전시트
2B: 국소통전도자
2Ba: 국소통전도자의 전극부
2C: 국소통전시트
2Z: 통전시트 또는 국소통전도자 또는 국소통전시트와 인체의 접촉임피던스
3A: 전위치료기 본체로부터 고전압을 통전시트에 유도하는 고내압코드.
3B: 전위치료기 본체로부터 국소통전용 전압을 국소통전도자에 유도하는 내압코드
3C: 전위치료기 본체로부터 고전압을 국소통전시트에 유도하는 고내압코드
4: 인체
4Z: 인체의 등가임피던스
5: 의자
6: 인체 및 의자를 마루로부터 절연하는 시트형상의 절연물
6Z: 인체 및 의자를 마루로부터 절연하고 있는 시트형상의 절연물의 임피던스
7: 교류상용전원
8: 마루, 벽, 천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9: 전기력선
10: 체내유도전류
도 6은 본 발명의 국소통전시트를 사용하여 전신통전법과 국소통전법을 동시에 실시하는 전위치료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2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2C”는 인체에 장착된 국소통전시트, “3C”는 교류고전압(종래의 전신통전용에 이용되고 있었던 5,000V 이상의 전압)을 국소통전시트로 유도하는 고내압코드이다. 여기에서 전신통전법 때와 마찬가지로 전위치료기 본체(1)에서 발생한 고전압은 고전압출력단자(1a)로부터 고내압코드(3C)에 의해 국소통전시트(2C)로 유도되어 인체에 인가되고 있다.
국소통전시트가 장착된 인체부위는 체내유도전류의 밀도가 크고, 근육 등의 근처조직의 혈행(血行)과 신진대사의 촉진이 도모된다. 한편 국소통전시트와 인체의 접촉임피던스도 그 정도 커지지 않으므로 고전압이 인체에 인가되어 인체주위에 전계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몸 표면의 감각수용기도 자극되어 결과로서 자율신경계 및 내분비계가 조정되어 가는 것으로 된다.
또한 국소통전시트의 자극은 국소통전도자와 같이 날카롭고 불쾌한 자극은없는데 사용체감(국소통전시트와 인체의 접촉면 틈에 강력한 전계가 발생하고, 그것이 감각수용기를 자극하여 체감이 발생한다)과 즉효성은 있으며, 또 국소통전도자와 같이 항상 이동시킬 필요는 없으며 일단 장착하면 면자극이 얻어지고, 또한 장시간의 자극에도 화상의 위험성은 없어진다.
이 경우, 국소통전시트를 수㎜ 두께의 천 등으로 쌈으로써 국소통전시트와 접촉하는 몸 표면에 틈이 발생하여 감각수용기로의 자극과 체감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사지기와 마찬가지의 작용기순서로 체벽반사가 발생하여 장착부위의 혈행이 촉진되게 된다. 이 국소통전시트를 장착한 통전법의 경우, 여러 가지의 임상실험 결과, 인가되는 교류전압은 5,000V 이상이 아니면 사용체감, 즉효성도 함께 현저히 나빠진다.
본 발명의 국소통전시트에 의한 통전법의 경우에 인체주위에 발생하는 전기력선 및 체내유도전류의 양상은 대략 도 7에 나타내어진다. 도 7에 있어서 도 3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2C”는 국소통전시트, “3C”는 고전압을 국소통전시트로 유도하기 위한 고내압코드이다.
국소통전시트(2C)와 접촉하는 인체부위의 전계강도와 체내유도전류밀도는 커지고, 사용체감과 즉효성이 얻어진다. 한편 국소통전시트(2B)와 인체(4)의 접촉은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으므로 접촉임피던스는 그 정도 커지지 않고 인체에도 고전압이 걸리며, 인체주위에 전계가 발생하여 몸 표면의 감각수용기가 자극되어 결과로서 자율신경계나 내분비계가 조정되어 간다. 단 도 2의 「전신통전법」의 경우에 비교하여 국소통전시트를 장착한 부위 이외의 인체의 감각수용기로의 자극은 약해진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교류고전압을 2 이상의 국소통전시트에 유도하고, 2개소 이상의 치료해야할 인체의 부위에 따로 따로 배치·장착하면 보다 치료효과와 치료효율이 높아진다. 예를 들면 양쪽 어깨와 같이 치료해야할 부위가 조금 떨어진 경우, 자극하지 않아도 좋은 경추·척추의 부위는 피하여 양 어깨에만 국소통전시트를 배치·장착함으로써 전계와 체내유도전류를 집중시켜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또 좌우의 대퇴부 등 떨어진 부위를 동시에 자극할 수 있는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2인 이상에 국소통전시트를 장착하면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도 8은 교류고전압을 2개소로 분기하여 인가하는 국소통전시트를 나타낸다.
또한 해당 2 이상의 국소통전시트를 벨트 등으로 연결 일체화하면 국소통전시트의 인체로의 배치·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사용자 자신이 혼자서 해당 국소통전시트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무릎부나 대퇴부 등의 치료해야할 부위를 국소통전시트로 끼우도록 단단히 장착·고정하는 것으로 전계와 체내유도전류를 보다더 집중할 수 있으므로 보다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교류고전압을 2개소로 분기하여 인가하는 국소통전시트를 벨트로 연결일체화하여 인체에 장착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① 전위치료기 본체의 사용모드의 전환과 출력단자의 변경을 실시하지 않고,자율신경계 및 내분비계의 조정이 이루어지는 전신통전법과, 인체국소조직의 혈행 및 신진대사촉진이 이루어지는 국소통전법의 양쪽의 효과가 동시에 얻어지는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② 국소통전시트를 장착한 인체부위의 근처조직에 있어서, 사용체감과 즉효성이 얻어지는 동시에 불괘한 자극감이 없고, 면자극이 가능하며, 장시간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화상의 위험성이 없는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③ 교류고전압을 2 이상의 국소통전시트에 유도하고, 치료해야할 인체의 부위에 따로따로 배치·장착하면 전계와 체내유도전류를 집중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가 높은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인체의 떨어진 부위를 동시에 자극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④ 상기 ③의 2 이상의 국소통전시트를 벨트 등으로 연결 일체화하면 국소통전시트의 인체로의 배치·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사용자 자신이 혼자서 해당 국소통전시트를 장착할 수 있으며, 또 치료해야할 부위를 국소통전시트로 끼우도록 단단히 장착·고정하는 것으로 전계와 체내유도전류를 보다 집중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가 높은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전위치료기 본체로부터 적어도 5,000V 이상의 교류고전압을 전극으로 유도하고, 해당 전극을 인체의 임의의 부위에 장착하여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치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위치료기 본체로부터의 교류고전압을 2 이상의 전극으로 유도하고, 해당 2 이상의 전극을 인체의 임의의 부위에 장착하여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치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전위치료기 본체로부터의 교류고전압을 2개 이상으로 분기하여 전극으로 유도하고, 해당 2 이상의 전극을 벨트에 의해 연결 일체화하여 인체의 임의의 부위에 장착하여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치료장치.
KR10-2002-0057139A 2002-05-13 2002-09-19 전위치료장치 KR100514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7428 2002-05-13
JP2002137428A JP2003325678A (ja) 2002-05-13 2002-05-13 電位治療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838A true KR20030088838A (ko) 2003-11-20
KR100514341B1 KR100514341B1 (ko) 2005-09-13

Family

ID=2954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139A KR100514341B1 (ko) 2002-05-13 2002-09-19 전위치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325678A (ko)
KR (1) KR100514341B1 (ko)
CN (1) CN1457903A (ko)
TW (1) TW5610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0475A1 (ja) * 2005-02-25 2006-08-31 Hakuju Institute For Health Science Co., Ltd. 電位治療装置
JP4678585B2 (ja) * 2005-04-08 2011-04-27 株式会社白寿生科学研究所 患部治療具
CN103040599B (zh) * 2011-10-11 2015-01-07 艾子逊 具有高压电场隔离能力的温热理疗仪
KR101508690B1 (ko) 2012-05-15 2015-04-07 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정전위를 이용한 관절염 및 동통증치료장치
KR102009377B1 (ko) * 2019-02-12 2019-10-21 세익메디칼(주) 멀티전극 전위발생 치료장치
KR20220120280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세라젬 전위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위치료 장치
JP7138885B1 (ja) 2021-09-07 2022-09-20 滋 田丸 Atp増量装置
KR20240052510A (ko)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미브레스 안면 자극용 전위치료장치
KR20240052504A (ko)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미브레스 두부 자극용 전위치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300B2 (ja) * 1979-06-15 1985-08-20 松下電工株式会社 低周波兼陰電位治療器
JPS6013485Y2 (ja) * 1980-04-30 1985-04-30 松下電工株式会社 低周波兼陰電位治療器
JP2521311Y2 (ja) * 1993-01-28 1996-12-25 株式会社白寿生科学研究所 電位治療器
JPH10314319A (ja) * 1997-05-20 1998-12-02 Nobuo Oda 電気治療器
JP3385506B2 (ja) * 1998-10-22 2003-03-10 址岩 相崎 直流交流電位治療器
JP2000217932A (ja) * 1999-02-02 2000-08-08 Sankyo Denki:Kk 電位治療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57903A (zh) 2003-11-26
TW561062B (en) 2003-11-11
JP2003325678A (ja) 2003-11-18
KR100514341B1 (ko) 200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56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treatment
USRE41463E1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living tissue
EP1319422A2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KR100514341B1 (ko) 전위치료장치
KR20100007576A (ko)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기
JPH09276418A (ja) 尿失禁治療装置
KR101250401B1 (ko) 전위치료장치
KR200355189Y1 (ko) 고주파 전기치료기
JP3217111U (ja) 電気刺激装置
KR200357817Y1 (ko) 온열기능이 구비된 저주파 마사지기
JPH10234870A (ja) 磁気刺激式尿失禁治療用コイル装置
KR100843249B1 (ko) 마이크로커런트 펄스 자극장치
JP3120775U (ja) 電位治療装置
CN104394928B (zh) 电位治疗仪
JP2002345976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ゼ用装置
JP3083385U (ja) 電位治療装置
JPH1119223A (ja) 尿失禁治療装置
KR100191415B1 (ko) 전위치료기의 전기장 증강체
CN215135956U (zh) 带低频脉冲按摩功能的按摩椅
US20020193861A1 (en) A.C.-powered, user-manipulate-able electrodes for stimulating living tissue
KR200348523Y1 (ko) 온수를 이용한 전위치료기
CN2391586Y (zh) 热敷电疗装置
JPH0246910Y2 (ko)
KR20120094170A (ko) 저주파 자극기가 구비된 변기시트
KR20030040298A (ko) 비만 치료용 피부자극기구 및 그 자극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