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401B1 - 전위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전위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401B1
KR101250401B1 KR1020087025809A KR20087025809A KR101250401B1 KR 101250401 B1 KR101250401 B1 KR 101250401B1 KR 1020087025809 A KR1020087025809 A KR 1020087025809A KR 20087025809 A KR20087025809 A KR 20087025809A KR 101250401 B1 KR101250401 B1 KR 10125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protective electrode
electrode
subject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260A (ko
Inventor
유키오 오가와
나오후미 후시미
야스토모 스즈키
세이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Publication of KR2009000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0Applying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의 벽이나 전기기기 등에 의한 전계로의 영향을 억제하고,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전위치료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전극(4 ~ 6)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하여 피치료자(C)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의 등전위면(P2)을 따라, 그 등전위면(P2)에서의 전위와 동일한 정도의 전위를 가지는 보호전극(7)을 설치한다. 벽(W) 등이 피치료자(C)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보호전극(7)과 피치료자(C)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등전위면(P1 ~ P2), 즉 피치료자(C)의 근방 주위에 형성된 전계가 보호전극(7)에 의하여 보호되고,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전위치료장치{ELECTRIC POTENTIAL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인체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인체 주위에 전계를 형성하여 치료를 행하기 위한 전위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근방에 벽이나 전기기기 등이 위치하고 있어도, 적정한 치료효과가 얻어지는 전위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위치료장치는, 절연된 인체에 고전압을 주어, 인체 주위에 형성된 전계에의한 생체 자극작용을 이용하여, 치료를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위치료장치에는, 전계강도를 제어하여, 인체의 체간(體幹) 각 부위에 미소한 유도전류를 흘리 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전위치료장치는, 주전극과 대향전극과 유도전류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유도전류제어수단에 의하여, 대향전극과 인체의 체간 표면과의 거리를 조정(가변)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하여, 체간 표면의 전계를 제어하여 인체의 체간을 구성하는 각 부위에 미소량의 유도전류를 흘림으로써, 개인차에 따른 부위의 전위치료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인체 주위의 전계강도를 크게 하여, 치료효과를 높이도록 한 전위치료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 전위치료장치는, 통전도자(전극)를 매설, 내포한 통전용 의자와 다리부의 통전대(전극)로부터, 동시에 고전 압을 인가함으로써, 접촉 임피던스를 체감(遞減)시킨다. 그리고, 인체에 인가되는 전압 및 인체 주위의 전계강도를 증대시켜, 치료효과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17740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등록실용신안 제3083385호 공보
그런데, 벽이나 전기기기 등 대지(어스)전위에 가까운 물체가, 전위치료를 받고 있는 인체의 근방(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정한 치료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즉, 벽 등에 가까운 부위에서는 전계강도가 높아지고, 인체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강도가 인체의 부위에 따라 변화되어(흩어져), 기설정된(적정한) 치료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도 5(c) 참조]. 또, 리모트컨트롤러나 구동기구 등은, 저전압(예를 들면, 12V)으로 작동, 구동하기 때문에 대지전위에 가깝고, 그 경우, 마찬가지로 전계에 영향을 주어, 리모트컨트롤러나 구동기구 등을 인체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은, 치료상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위치료장치에서는, 전계강도를 제어하거나, 인체 주위의 전계강도를 증대시키기도 하나, 인체의 근방에 벽 등이 위치하면, 형성된 전계가 영향을 받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이 때문에, 전계강도를 제어하고, 또는 전계강도를 증대시켰다 하여도, 기설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주위의 벽이나 전기기기 등에 의한 전계로의 영향을 억제하여,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전위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주전극을 구비하는 전위치료기와, 주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전위치료기에 배치된 인체를 고전위로 하여 치료를 행하는 전위치료장치에 있어서, 주전극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하여 인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의 등전위면을 따라, 그 등전위면에서의 전위와 동일한 정도의 전위를 가지는 보호전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보호전극을 인체의 배면측이나 측면측에 설치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계의 등전위면을 따라 동일한 정도의 전위의 보호전극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벽이나 전기기기 등이 인체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인체의 주위에 형성된 전계로의 영향이 억제된다. 즉, 보호전극과 벽 등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계는, 벽 등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으나(흩어진다), 보호전극과 인체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계, 즉 인체의 근방 주위에 형성된 전계는 보호전극에 의하여 보호되기(흩어지지 않는다) 때문에, 벽 등에 의한 영향이 억제된다. 이 결과, 벽이나 전기기기 등이 인체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인체 주위에 형성된 전계로의 영향이 억제되어,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기설정된 치료효과를 발휘,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보호전극을 인체의 배면측에 설치함으로써, 인체의 두부(頭部) 윗쪽에 위치되는 주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 등을 의자 등받이의 배면측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구동기구 등을 보호전극의 바깥쪽(인체와 반대측)에 설치함으로써, 구동기구 등에 의하여 전계가 영향받지 않고,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보호전극을 인체의 측면측에 설치함으로써, 리모트컨트롤러 등이 조작하기 쉬운 인체의 측면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진다. 즉, 인체의 측면과 리모트컨트롤러 등과의 사이에 보호전극을 설치함으로써, 리모트컨트롤러 등에 의한 전계로의 영향이 억제되고,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위치료장치에 피치료자가 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위치료장치에 피치료자가 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위치료장치의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위치료장치의 개략 등가회로도,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로서, (a)는 피치료자의 근방에 벽이 위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피치료자의 주위의 등전위면을 나타내는 도, (b)는 피치료자의 근방에 벽이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피치료자의 주위의 등전위면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 (c)는 보호전극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피치료자의 근방에 벽이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피치료자의 주위의 등전위면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위치료장치 2 : 전위치료기
21 : 의자 21a : 자리부
21b : 의자 등받이 21c : 헤드 레스트
21d : 사이드 월 22 : 헤드 커버
23 : 풋 레스트 24 : 구동 아암
25 : 리모트컨트롤러 3 : 고전압 발생장치
31 : 승압 트랜스포머 4 : 자리부 주전극(주전극)
5 : 두부 주전극(주전극) 6 : 어스전극(주전극)
7 : 제 1 보호전극 8 : 제 2 보호전극
C : 피치료자 V : 상용전원
Z1∼Z4 : 안전저항 P1∼Pn : 등전위면
W : 벽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위치료장치(1)의 정면사시도(구성도)이고, 도 2는 그 배면사시도이다. 이 전위치료장치(1)는, 주로, 전위치료기(2)와 고전압발생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전위치료기(2)는, 피치료자(C)가 앉는 의자(21)와 헤드 커버(22)와 풋 레스트(23)를 구비하고 있다. 의자(21)는 절연물로 덮여지고, 그 자리부(21a)에 자리 부 주전극(4)(주전극)이 매설되어 있다. 또, 헤드 커버(22)와 풋 레스트(23)도 절연물로 덮여지고, 헤드 커버(22)에는 두부 주전극(5)(주전극)이 매설되며, 풋 레스트(23)에는 어스전극(6)(주전극)이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자리부 주전극(4)과 두부 주전극(5)은, 뒤에서 설명하는 고전압발생장치(3)의 전압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어스전극(6)은 고전압발생장치(3)의 어스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부호 24는 헤드 커버(2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아암(구동기구)이고, 이 구동 아암(24)은, 의자(21)의 의자 등받이(21b)의 윗쪽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의자 등받이(21b)의 윗쪽에 피치료자(C)의 어깨부에서부터 두부를 덮도록 형성된 헤드 레스트(21c)가 설치되고, 이 헤드 레스트(21c)의 배면측에서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동 아암(2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자리부(21a)의 양쪽(좌우)에는, 피치료자(C)의 하반신 측면측을 덮는 사이드 월(21d)이 설치되고, 한쪽의 사이드 월(21d)의 바깥쪽[자리부(21a)의 반대측]에 리모트컨트롤(25)(리모트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월(21d) 또는 자리부(21a)의 하면에는, 바닥으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다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레스트(21c)와 사이드 월(21d)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제 1 보호전극(7)과 제 2 보호전극(8)이 매설되어 있다. 이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은, 표준적인 체형의 피치료자(C)가 표준적인 자세로 의자(21)에 앉아, 자리부 주전극(4)과 두부 주전극(5)에 고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에, 피치료자(C)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의 기설정된 등전위면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의 전위가, 그 등전위면에서의 전 위와 동전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은, 수지에 그물코형상의 구리선이 짜넣어진 가요성이 높은 도전 시트이고, 제 1 보호전극(7)은, 피치료자(C)의 어깨부에서부터 두부에 걸친 배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의 등전위면을 따르도록 형성(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보호전극(8)은, 피치료자(C)의 하반신측(엉덩이에서부터 무릎에 걸쳐)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의 등전위면을 따르도록 형성(설치)되고, 의자(21)에 피치료자(C)가 앉은 상태에서, 피치료자(C)의 엉덩이에서부터 무릎에 걸친 측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은 고전압발생장치(3)의 전압출력단자에 접속되고, 각 등전위면에서의 전위와 동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뒤에서 설명하는 도 4에 나타내는 고전압발생장치(3)는, 도시 생략한 상용 전원용의 전원 코드와, 전압을 7,000 내지 9,000V로 승압하는 승압 트랜스포머(31)(고압 트랜스포머)와,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승압 트랜스포머(31)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고전압)을 전압출력단자를 거쳐 자리부 주전극(4), 두부 주전극(5) 및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에 인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위치료장치(1)의 개략 등가회로를 도 4에 나타낸다. 도면 중 부호 V는 상용 전원, 부호 3은 고전압발생장치이고, 부호 Z1∼Z4는, 전극(4, 5, 7, 8)에 의한 감전(感電)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력 임피던스를 올리는 안전저항이다. 그리고, 승압 트랜스포머(31)에 의한 전압이, 제 1 안전저항(Z1)을 거쳐 두 부 주전극(5)에 출력되고, 제 2 안전저항(Z2)을 거쳐 제 1 보호전극(7)에 출력되며, 제 3 안전저항(Z3)을 거쳐 제 2 보호전극(8)에 출력되고, 제 4 안전저항(Z4)을 거쳐 자리부 주전극(4)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의 전위가 벽 등에 의하여 영향받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즉,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의 전위가 고전위로 유기된 피치료자(C)의 전위에 의존되 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안전저항(Z2) 및 제 3 안전저항(Z3)의 임피던스는, 제 1 안전저항(Z1) 및 제 4 안전저항(Z4)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또, 리모트컨트롤(25)은, 고전압발생장치(3)의 가동, 정지 등을 원격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전위치료장치(1)의 작동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치료자(C)를 의자(21)에 앉히고, 고전압발생장치(3)를 가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자리부 주전극(4) 및 두부 주전극(5)에 고전압이 인가되고, 피치료자(C)가 고전위가 됨과 동시에, 피치료자(C)의 주위에 전계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전계의 등전위면이 피치료자(C)의 주위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헤드 레스트(21c)에 접하고 있는 피치료자(C)의 상위부(어깨부에서부터 두부에 걸친 부위)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치료자(C)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연륜(年輪)상의 등전위면(P1∼Pn)이 형성된다. 즉, 피치료자(C)가 1,000V로 유기되어 있다고 하면, 피치료자(C)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900V의 등전위면 (P1), 800V의 등전위면(P2), 700V의 등전위면(P3)이 되도록, 차례로 낮은 전위의 등전위면이 형성된다. 또한, 이 등전위면(P1∼Pn)은, 등전위면의 전위가 낮아질수록[피치료 자(C)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등전위면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고, 전계강도가 저하하여 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은, 피치료자(C)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의 기설정된 등전위면을 따르도록 설치되고, 또한,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의 전위가, 그 등전위면에서의 전위와 동전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전위면(P2)을 따르도록 제 1 보호전극(7)이 헤드 레스트(21c) 내에 설치되고, 또한, 그 전위가 800V가 되도록 고전압발생장치(3)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즉, 등전위면(P2)과 제 1 보호전극(7)은, 형상(면)과 전위에서 겹친(일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예를 들면, 대지전위에 가까운 벽(W)이 피치료자(C)[이 경우, 헤드 레스트(21c)]의 근방에 위치하였다고 하면, 벽(W)에 의하여 등전위면(P1∼Pn)이 변화된다(흩어진다). 즉,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0V의 전위를 가지는 벽(W)과 제 1 보호전극(7)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등전위면(P3∼Pn)이 눌러 찌그러져, 그 간격이 좁아지고, 전계강도가 높아진다. 한편, 피치료자(C)와 제 1 보호전극(7)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등전위면(P1∼P2)은, 제 1 보호전극(7)에 의하여 보호되고(흩어지지 않고), 전계강도는 변화되지 않는다. 즉, 제 1 보호전극(7)은 등전위면(P2)을 따르도록 형성(설치)되고, 또한, 등전위면(P2)과 동전위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제 1 보호전극(7)에 의한 등전위면(물리적인 면)이 벽(W)에 의하여 변화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 제 1 보호전극(7)이 등전위면(P1∼P2)을 보 호하는 것이다. 이 결과, 벽(W)이 근방에 위치하였다고 하여도, 피치료자(C)의 근방 주위의 등전위면(P1∼P2) 나아가서는 전계가 변화(영향)되지 않고, 근방에 벽(W) 등이 위치하지 않은 경우의 기설정된 치료효과가 적정하고 또한 안정되게 발휘, 유지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 1 보호전극(7)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등전위면(P1∼Pn)이 벽(W)에 의하여 변화된다. 즉, 모든 등전위면(P1∼Pn)이 눌러 찌그러져, 그 간격이 좁아지고, 전계강도가 높아진다. 이 결과, 피치료자(C)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강도가 인체의 부위에 따라 변화되어 (흩어져), 기설정된(적정한) 치료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전위치료장치(1)에 의하면, 벽(W) 등이 근방에 위치하였다고 하여도, 피치료자(C)의 근방 주위의 전계가 변화되지 않아,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진다. 즉, 주변에 벽(W) 등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기설정된 치료효과가 안정되게 얻어진다. 또, 헤드 레스트(21c)의 배면측, 즉 제 1 보호전극(7)의 바깥쪽[피치료자(C)와 반대측]에 구동 아암(2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아암(24)이 대지전위에 가까운 경우이어도, 상기한 벽(W)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치료자(C)의 근방 주위의 전계가 변화되지 않아,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사이드 월(21d)의 바깥쪽, 즉 제 2 보호전극(8)의 바깥쪽[피치료자(C)와 반대측]에 리모트컨트롤(2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모트컨트롤(25)에 의하여 피치료자(C)의 근방 주위의 전계가 변화되지 않아,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헤드 레스트(21c) 내에 제 1 보호전극(7)이 설치되고, 사이드 월(21d) 내에 제 2 보호전극(8)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치료효과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헤드 레스트(21c)의 배면측에 구동 아암(24) 등을 설치하거나, 사이드 월(21d)의 바깥쪽에 리모트컨트롤(25) 등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전위치료장치(1)의 기능(부속 기기) 추가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외에, 의자(21) 자체의 골조를 금속재료로 구성할 수 있어, 강도적으로 유리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의 전위가 그 등전위면에서의 전위와 동전위가 되도록, 예를 들면, 제 1 보호전극(7)의 전위가 800V[등전위면(P2)의 전위]가 되도록, 고전압발생장치(3)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나, 그 등전위면에서의 전위와 동전위가 아니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의 전위가 그 등전위면에서의 전위와 동일한 정도의 전위이면, 피치료자(C)와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등전위면 나아가서는 전계가 크게 변화되지 않아, 기설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제 1 보호전극(7)의 경우, 그 전위가 700V이어도, 등전위면(P1∼P2)이 보호되어(크게 변화되지 않아), 기설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은, 표준적인 피치료자(C)의 표준적인 자세에 의거하여 설치(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의 피치료자(C)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의 등전위면과는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표준적인 등전위면에서의 전위와 동전위에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의 전위를 설정하였다고 하여도, 적어도 일부에서, 전위가 일치하지 않는[등전위면과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피치료자(C)와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등전위면을 보호하는 작용(효과)은 가지고, 피치료자(C)의 근방 주위의 전계가 크게 변화되지 않아, 기설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의 형상(설치상태)과 그 전위는, 등전위면의 형상과 그 전위에 완전 일치하고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동일한 정도이어도 동일한 작용(효과)이 얻어진다. 따라서,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의 형상과 그 전위는, 표준적인 피치료자(C)의 체형(體型), 설치하는 부위, 설치하는 수, 효과의 정도 등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위치료기(2)가 의자형의 전위치료장치(1)이나, 전위치료기가 베드형의 전위치료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제 1 보호전극(7), 제 2 보호전극(8)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위치료장치는, 피치료자의 인체의 근방에 벽이나 전기기기 등이 위치하고 있어도, 적정하고 또한 안정된 치료효과가 얻어지는 장치로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하나 또는 복수의 주전극을 구비하는 전위치료기(電位治療器)와, 상기 주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위치료기에 배치된 인체를 고전위로 하여 치료를 행하는 전위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발생장치는, 상기 주전극에 인가하는 전압과는 다른 전압을 출력가능하고,
    상기 주전극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하여 상기 인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계(電界)의 등전위면을 따라, 보호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전극은,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등전위면에서의 전위와 동일한 정도의 전위가 되도록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치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전극을 상기 인체의 배면(背面) 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치료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전극을 상기 인체의 측면(側面) 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치료장치.
KR1020087025809A 2006-03-27 2006-03-27 전위치료장치 KR101250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6151 WO2007110911A1 (ja) 2006-03-27 2006-03-27 電位治療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260A KR20090008260A (ko) 2009-01-21
KR101250401B1 true KR101250401B1 (ko) 2013-04-05

Family

ID=3854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809A KR101250401B1 (ko) 2006-03-27 2006-03-27 전위치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50401B1 (ko)
CN (1) CN101389375B (ko)
WO (1) WO200711091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90A (ko) 2018-03-26 2019-10-07 (주)리솔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09377B1 (ko) * 2019-02-12 2019-10-21 세익메디칼(주) 멀티전극 전위발생 치료장치
KR20200000483U (ko) 2020-02-17 2020-03-03 (주)리솔 전위 치료 장치
KR20220128824A (ko) 2021-03-15 2022-09-22 (주)리솔 전위 치료시스템이 삽입된 척추보정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5388B1 (ja) * 2009-07-24 2010-09-29 株式会社白寿生科学研究所 電位治療装置
JP5204331B1 (ja) * 2012-06-26 2013-06-05 株式会社白寿生科学研究所 電位治療装置
WO2015111656A1 (ja) * 2014-01-24 2015-07-30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電界検知出力装置、電界調整システム及び電界調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886A (ja) 2002-05-31 2004-02-19 Hakuju Inst For Health Science Co Ltd 電位治療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3175A (ja) * 1982-04-20 1983-10-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位治療器組込み座具
CN1586661A (zh) * 2004-09-03 2005-03-02 张宏生 多头电极及其在耳穴治疗仪和手足穴位治疗仪中的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886A (ja) 2002-05-31 2004-02-19 Hakuju Inst For Health Science Co Ltd 電位治療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490A (ko) 2018-03-26 2019-10-07 (주)리솔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09377B1 (ko) * 2019-02-12 2019-10-21 세익메디칼(주) 멀티전극 전위발생 치료장치
KR20200000483U (ko) 2020-02-17 2020-03-03 (주)리솔 전위 치료 장치
KR20220128824A (ko) 2021-03-15 2022-09-22 (주)리솔 전위 치료시스템이 삽입된 척추보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0911A1 (ja) 2007-10-04
KR20090008260A (ko) 2009-01-21
CN101389375B (zh) 2012-03-21
CN101389375A (zh)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401B1 (ko) 전위치료장치
KR101528195B1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JP2008522706A (ja) 経皮的な神経および/または筋肉刺激のための電極システム
US72004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acupuncture
EP1216725A2 (en) Electric potential therap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ptimal dose amount for human body area
KR100514341B1 (ko) 전위치료장치
KR102120383B1 (ko) 전위 치료 장치
JP4697523B2 (ja) 電位治療装置
KR101555951B1 (ko) 와상식 전위치료장치
JP4555388B1 (ja) 電位治療装置
TWI364303B (ko)
KR102411297B1 (ko) 사용상 안전장치가 내장된 일체형 전위발생기
JP3083385U (ja) 電位治療装置
JP2008183070A (ja) 生命体の治癒力向上装置
JP2005087427A (ja) 電位治療器
WO2003041794A1 (fr) Unite de traitement potentiel et procede de regulation du courant d'induction
JP3120775U (ja) 電位治療装置
KR200317889Y1 (ko) 저주파 장갑
KR20150114742A (ko) 고주파 심부열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06090475A1 (ja) 電位治療装置
KR100763104B1 (ko) 전기자극 장치
WO2003039658A1 (fr) Unite de traitement par potentiel et procede de commande de courant d'induction
WO2006109720A1 (ja) 患部治療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