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490A -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490A
KR20190112490A KR1020180034531A KR20180034531A KR20190112490A KR 20190112490 A KR20190112490 A KR 20190112490A KR 1020180034531 A KR1020180034531 A KR 1020180034531A KR 20180034531 A KR20180034531 A KR 20180034531A KR 20190112490 A KR20190112490 A KR 20190112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unit
negative ions
user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기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주)리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솔 filed Critical (주)리솔
Priority to KR102018003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2490A/ko
Publication of KR2019011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61B5/04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415Measuring direct current [DC] or slowly varying biopotent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0Applying static electri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전위 치료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와 전기를 이용하여 음 이온을 발생하는 전위 발생부; 상기 전위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 이온을 이용한 층을 형성하는 전위 매트; 상기 형성된 음 이온 층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는 전위 센싱부; 및 상기 전위 센싱부가 센싱한 음 이온 층의 전위 강도에 따라 결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위 발생부에서 발생한 음 이온 및 상기 전위 매트 상에 형성된 음 이온 층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사용자의 혈액 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Potential treat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위 감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전위 상태를 표시하고, 소형화 사이즈 및 충전에 의한 구동으로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며, 동작시간과 전위세기를 단계별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위 치료장치는 91년 노벨 의학상을 받은 Erwin Neher, Bert Sakamnn의 이온 채널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것이다.
도 1은 이온 채널을 통한 이온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는 일반적인 세포 내부와 외부 및 세포 막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이온 채널이 폐쇄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c)는 이온 채널이 개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의 이온 채널이란 세포막에 존재하는 것으로 세포내외의 이온의 출입구로서, 이온 채널은 세포의 모든 활동과 관여되어 있다. 세포내외의 전위차가 발생되어야 이온 채널이 열리면서 이온들이 세포 내로 자유롭게 들어올 수 있다.
이온이 자유롭게 흐를 수 있어야 세포의 활동도 원활해지고 혈액 순환 역시 원활해지는데, 전위 치료 장치는 전위를 발생시켜 이온 채널의 활동을 도와줌으로써 이온의 흐름,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여 전신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 기존의 전위치료기는 전위치료기의 전위 기능을 인지하기 힘들어 사용자는 전위 기능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위 감지기를 이용하여야 했다.
이에 따라 전위 작동 확인을 위하여 감지기를 찾아 작동시키고, 전위감지기의 배터리가 소진 된 경우에는 배터리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여행 중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감지기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효율적으로 해소하는 스마트 전위 치료 장치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1250401호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20-0285817호
본 발명은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위 감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전위 상태를 표시하고, 소형화 사이즈 및 충전에 의한 구동으로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며, 동작시간과 전위세기를 단계별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전위 치료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와 전기를 이용하여 음 이온을 발생하는 전위 발생부; 상기 전위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 이온을 이용한 층을 형성하는 전위 매트; 상기 형성된 음 이온 층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는 전위 센싱부; 및 상기 전위 센싱부가 센싱한 음 이온 층의 전위 강도에 따라 결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위 발생부에서 발생한 음 이온 및 상기 전위 매트 상에 형성된 음 이온 층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사용자의 혈액 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위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 가능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위 매트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전위 발생부에서 발생한 음 이온에 의해 사용자의 혈액 순환이 촉진되며, 상기 충전 가능한 전원 공급부를 기초로 상기 전위 치료 장치는 휴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전위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음 이온의 발생 주기 및 강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음 이온의 발생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입력부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부에 대응하여 상기 음 이온의 발생 주기가 결정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결정한 음 이온의 발생 주기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음 이온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음 이온의 강도가 결정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결정한 음 이온의 강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의 주변에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결정한 음 이온의 발생 주기 및 상기 결정한 음 이온의 강도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결정된 제 1 영역이 발광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전위 치료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위 발생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와 전기를 이용하여 음 이온이 발생되는 단계; 전위 매트가 상기 전위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 이온을 이용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위 센싱부가 상기 형성된 음 이온 층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전위 센싱부가 센싱한 음 이온 층의 전위 강도에 따라 결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위 발생부에서 발생한 음 이온 및 상기 전위 매트 상에 형성된 음 이온 층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사용자의 혈액 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위 감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전위 상태를 표시하고, 소형화 사이즈 및 충전에 의한 구동으로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며, 동작시간과 전위세기를 단계별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한 환자에게 노폐물 배출을 촉진하고, 혈압 정상화를 유도하며, 혈액의 알칼리화를 지원하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온 채널을 통한 이온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위 요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 전위 발생을 통한 전위 요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위 치료 장치를 통한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위 치료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충전회로, 배터리, 음전위 발생회로, 음전위 발생회로 구동을 위한 승압회로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제어회로의 일례를 도시한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위치료기 내부에 전위감지기능을 가지고 있어 전위 매트 위에 사용자가 있을 때 사용자의 전위상태를 표시하는 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 7에서 설명한 사용자의 전위상태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위 치료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동작시간을 단계별로 조작하는 일례 및 전위세기를 단계별로 손쉽게 조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전위 치료 방법은, 인체에 인공적인 음전하를 부하 하여 (-)전계를 형성,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시키고 산성화되어가는 혈액(체질)을 약 알칼리로 되돌리는 자연치유법으로 자연 전계로부터 차단된 도시생활자들에게 유익한 요법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위 요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위 치료기의 원리는 수백V ~ 수 천V의 (-)전기를 일정한 절연체를 거쳐 간접적으로 작용시켜, 도체주위에 두꺼운 음 이온 층이 생기고 그 작용에 의해 혈액 속의 미네랄이온 등이 잘 활성화되어 pH완충작용이 정상화된다.
따라서, 혈액의 산성화를 막고 건강에 바람직한 약 알칼리 체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혈액의 산성화를 막는 것은 건강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전계란 거리에 대한 전위의 강도(V/m)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연 전계의 응용의 일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즉, 전리층(+)과 지구(-)사이에는 항상적인 전계가 존재하고(지상 1m 당 100-250V), 현대화 도시화로 자연 전계로부터 차단되어 있으므로, 자연 전계의 부족함을 메우고, 적극적으로 만들어서 활용하려는 것이 전위 요법이라고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 전위 발생을 통한 전위 요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자연 전계를 응용하여 인위적인 자연 전계의 기능을 하는 음 전위발생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위 치료 장치를 통한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위 치료 장치는 사용한 환자에게 노폐물 배출을 촉진하고, 혈압 정상화를 유도하며, 혈액의 알칼리화를 지원하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pH 완충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혈액의 산성화 과정은 질병 발생시 칼슘 이온량의 저하/세포외액인 혈청 속의 무기인 증가, 질병의 만성화 시 마그네슘 이온이 증가, 세포 내액에 존재하여야 하는 마그네슘의 세포 외액 내 증가는 세포의 노화 및 파괴의 증거, 마그네슘 이온증가 시 인산효소의 활동 증가로 무기인 증가, 혈액의 산성화의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위 치료기를 적용하는 경우, 알칼리성이며 무기질인 칼슘, 나트륨, 칼륨 등에 의해 산성화 방지 및 혈액의 pH를 일정(7.36~7.44 [pH])하게 유지함으로써, 혈액의 알칼리화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위 요법의 특성으로, 직류에 의한 전기적 작용은 일정한 현상을 억제하거나 촉진시키는 일방의 작용밖에는 하지 못하나, 교류에 의한 극성의 변화로 몸 속의 하전 입자도 전계의 변화에 따라 그 전기적 방향을 바꾸므로 적당한 운동효과가 전신에 주어지고 생체의 미묘한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류 전계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상호효과에 의한 중용작용을 하며 생체의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높은 전압을 가지고 있으나 흐르는 전류는 수 mA로 느끼지 못하며 안전하다
또한, 전류를 몸에 흐르게 하거나 방사하는 것이 아니므로 전기 특유의 찌릿찌릿한 자각증상이 없다
또한, 특정한 부분에 전계의 부하를 실시하여도 유효작용이 인정되는데, 국부적용 시 저주파치료기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한다.
또한, 고전압이 저전압에 비해 그리고, 장시간 부하할 때가 효과가 크다
또한, 전계부하 후 4시간정도 그 효과를 유지하며, 24시간이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나, 매일 반복하면 그 변동율이 적어지며 결국 일정한 수준에서 안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생체 항상성 작용을 향상시키고, 혈액순환 개선 및 정화가 가능하며, 세포의 활성화가 가능하고, 면역강화 작용이 있다.
또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을 회복하고, 통증 완화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위 치료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위 치료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위 치료 시스템(100)는 무선 통신부(110), 전위 발생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전위 매트(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전위 치료 시스템(100)에서 전위 매트(170)는 필수적 구성이 아니라 선택적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전위 치료 시스템(100) 중 전위 매트(170)를 제외한 무선 통신부(110), 전위 발생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는 구성을 전위 치료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전위 매트(170)를 구비하여 전위 치료 장치와 함께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전위 치료 시스템(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위 치료 시스템(100)과 전위 치료 시스템(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전위 치료 시스템(100),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신호, 영상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 동작할 수도 있고,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다음으로, 도 5을 참조하면, 전위 발생부(120)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전술한 전위를 발생시키는 모듈이다.
명세서의 간명화를 위해 전위 발생부(120)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개폐 상태,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방위,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위 센싱부(141)는 전위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전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전위 센싱부(141)에서 감지한 전위의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전위 매트(170)를 이용하는 경우, 전위 매트(170)에 전위가 발생되고 있는지를 인지하기 어려운데, 상기 전위 센싱부(141)에서 전위 매트(170) 상에 전위가 발생되고 있는지를 감지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보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위 치료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전위 치료 시스템(100)이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전위 치료 시스템(100)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전위 치료 시스템(100)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위 치료 시스템(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영상 출력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전위 치료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위 치료 시스템(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위 매트(170)는 무선 통신부(110), 전위 발생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는 전위 치료 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이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전위 매트(170)는 전위 치료 장치의 전위 발생부(120)에서 생성한 전위를 전달받아 매트(170)의 적어도 일부에 전위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소형의 전위 치료 장치를 통한 효과 이외 전위 매트(170)의 넓은 범위 상의 전위 치료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전위 매트(170)에서 발생되는 전위는 사용자가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전위 센싱부(141)를 통해 전위 발생 사실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전위 치료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화 사이즈 및 충전에 의한 구동으로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전위치료기는 AC전원과 수천V의 절연트랜스를 사용하여 전위를 발생하고, 이 경우 전위 치료기가 대형화, 중량화되어 가격이 비싸고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이동이 가능한 치료기로 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경량으로 전위를 발생 할 수 있는 전위치료기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충전회로, 배터리, 음전위 발생회로, 음전위 발생회로 구동을 위한 승압회로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제어회로의 일례를 도시한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전위 치료기(100)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기 동작을 위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회로(191), 배터리(192), 음전위 발생회로(121), 음전위 발생회로 구동을 위한 승압회로(182)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30) 및 제어회로(18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에 의한 전원을 사용하므로 누전에 대한 우려가 없고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사용 할 수 있으며, 소형화되어 여행 중에도 사용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전위 감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전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기존의 전위치료기는 전위치료기의 전위 기능을 인지하기 힘들어 사용자는 전위 기능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위 감지기를 이용하여야 했다.
이에 따라 전위 작동 확인을 위하여 감지기를 찾아 작동시키고, 전위감지기의 배터리가 소진 된 경우에는 배터리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여행 중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감지기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위 치료기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위치료기 내부에 전위감지기능을 가지고 있어 전위 매트위에 사용자가 있을 때 사용자의 전위상태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위치료기 내부에 전위감지기능을 가지고 있어 전위 매트 위에 사용자가 있을 때 사용자의 전위상태를 표시하는 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위 감치 회로(151a)가 감지된 전위 레벨에 따라 전위 표시 회로(151b)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가 전위 레벨을 표시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 7에서 설명한 사용자의 전위상태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위 매트(170) 상으로 전위 치료기를 이동시키는 경우, 전위 감지 센서(141)가 전위 매트 (170) 상에 전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전위 감지 센서(141)가 감지한 전위의 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다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시간과 전위세기를 단계별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위 치료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는 전위 치료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전위 매트(17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c)는 전위 치료 장치의 일 측면에 전위 매트(170)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동작시간을 단계별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위 세기를 단계별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동작시간을 단계별로 조작할 수 있는 제 1 조작부(300)와 전위 세기를 단계별로 조작할 수 있는 제 2 조작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동작시간을 단계별로 조작하는 일례 및 전위세기를 단계별로 손쉽게 조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조작부(300) 상의 제 1 입력부(310)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15분의 전위 발생 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 1 조작부(300) 상의 제 2 입력부(320)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30분의 전위 발생 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 1 조작부(300) 상의 제 3 입력부(330)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45분의 전위 발생 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 1 조작부(300) 상의 제 4 입력부(340)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60분의 전위 발생 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복수의 구간으로 발광부를 나누고, 각 구간의 LED 색상을 달리 표시하여 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조작부(400)를 선택할 수 있고, 한번 클릭하는 경우,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은 강도 1의 전위 발생 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조작부(400)를 한번 더 클릭하는 경우,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좀 더 큰 강도의 강도 2의 전위 발생 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조작부(400)를 한번 더 클릭하는 경우,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더 큰 강도의 강도 3의 전위 발생 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조작부(400)를 한번 더 클릭하는 경우,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더 큰 강도의 강도 4의 전위 발생 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복수의 구간으로 발광부를 나누고, 각 구간의 LED 색상을 달리 표시하여 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표식 중앙에 센서(터치 타입)가 표시되고, 전위 진행여부 표기 확인 센서로 활용되며, 사운드 및 LED로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센서를 터치(누름) 때 마다 전위세기가 변경되고, 표식(타임)의 LED 표시 등이 늘어난다(예: 1번 - LED 1개 … 4번 LED 등 4개가 다 표시됨).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표식 중앙센서에 손을 터치할 경우 전위세기가 표시된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은 전위 감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전위 상태를 표시하고, 소형화 사이즈 및 충전에 의한 구동으로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며, 동작시간과 전위세기를 단계별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한 환자에게 노폐물 배출을 촉진하고, 혈압 정상화를 유도하며, 혈액의 알칼리화를 지원하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와 전기를 이용하여 음 이온을 발생하는 전위 발생부;
    상기 전위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 이온을 이용한 층을 형성하는 전위 매트;
    상기 형성된 음 이온 층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는 전위 센싱부; 및
    상기 전위 센싱부가 센싱한 음 이온 층의 전위 강도에 따라 결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위 발생부에서 발생한 음 이온 및 상기 전위 매트 상에 형성된 음 이온 층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사용자의 혈액 순환이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 치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 가능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위 매트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전위 발생부에서 발생한 음 이온에 의해 사용자의 혈액 순환이 촉진되며,
    상기 충전 가능한 전원 공급부를 기초로 상기 전위 치료 장치는 휴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 치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전위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음 이온의 발생 주기 및 강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 치료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음 이온의 발생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입력부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부에 대응하여 상기 음 이온의 발생 주기가 결정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결정한 음 이온의 발생 주기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 치료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음 이온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음 이온의 강도가 결정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결정한 음 이온의 강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 치료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주변에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결정한 음 이온의 발생 주기 및 상기 결정한 음 이온의 강도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결정된 제 1 영역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 치료 장치.
  7. 전위 발생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와 전기를 이용하여 음 이온이 발생되는 단계;
    전위 매트가 상기 전위 발생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 이온을 이용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위 센싱부가 상기 형성된 음 이온 층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전위 센싱부가 센싱한 음 이온 층의 전위 강도에 따라 결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위 발생부에서 발생한 음 이온 및 상기 전위 매트 상에 형성된 음 이온 층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사용자의 혈액 순환이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 치료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034531A 2018-03-26 2018-03-26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112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531A KR20190112490A (ko) 2018-03-26 2018-03-26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531A KR20190112490A (ko) 2018-03-26 2018-03-26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561U Division KR200493589Y1 (ko) 2020-02-17 2020-02-17 전위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90A true KR20190112490A (ko) 2019-10-07

Family

ID=6842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531A KR20190112490A (ko) 2018-03-26 2018-03-26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249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817Y1 (ko) 2001-07-13 2002-08-14 가부시키가이샤 쉔픽스 전위치료장치
KR101250401B1 (ko) 2006-03-27 2013-04-05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전위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817Y1 (ko) 2001-07-13 2002-08-14 가부시키가이샤 쉔픽스 전위치료장치
KR101250401B1 (ko) 2006-03-27 2013-04-05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전위치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ggi et al. A wearable mobility aid for the visually impaired based on embedded 3D vision and deep learning
CN206214373U (zh) 用于向盲人提供视觉信息的物体检测、分析及提示系统
CN105765639B (zh) 辅助设备和系统
KR101707808B1 (ko) 동력공급형 안과용 렌즈의 부품들의 활성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7060746A (ja) フィードバックを与えるためのゴーグル、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10228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defibrillator
RU2016142323A (ru) Кодированный индикатор состояния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наружных дефибрилляторов
CN103919664A (zh) 一种盲人专用导航鞋
CN106714902A (zh) 听力设备的用户接口
KR200493589Y1 (ko) 전위 치료 장치
CN203776229U (zh) 一种盲人专用鞋
JP6367742B2 (ja) 情報伝達システム
Kumar et al. Real time assistive sho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101978784B1 (ko)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기능성 안대
CN106161794B (zh) 一种智能设备保护套的使用提醒方法、系统及电路
CN106125919B (zh) 一种状态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190112490A (ko) 전위 치료 장치 및 제어방법
US20200173783A1 (en) Wearabl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CN112731176A (zh) 电量提示方法、装置、可穿戴按摩设备及存储介质
KR102063800B1 (ko) 수소수 생성용 IoT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음용 관리 및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00008700A1 (en) Device of development of concentrations of eternal life prk-1u is of three-modes
JPH08191853A (ja) 個体認識による案内装置
KR102596580B1 (ko) 전위 치료시스템이 삽입된 척추보정기구
JP2012221481A (ja)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
WO20211220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obility management using haptic guid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