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198A - 고형풀 공급 용기용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고형풀 공급 용기용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198A
KR20030086198A KR1020020041117A KR20020041117A KR20030086198A KR 20030086198 A KR20030086198 A KR 20030086198A KR 1020020041117 A KR1020020041117 A KR 1020020041117A KR 20020041117 A KR20020041117 A KR 20020041117A KR 20030086198 A KR20030086198 A KR 20030086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area
solid
cylinder
solid 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마사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Publication of KR2003008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19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62Stick holding cups with retaining means, e.g.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Toy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풀이 용기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고형풀 공급 용기(2)에 사용되는 슬라이더로서, 나사막대(5)를 관통시키는 판체(8)에 있어서의, 고형풀(7)을 장착시키는 측의 중앙부에, 나사막대(5)를 나사결합시키는 통 형상체(9)를 마련함과 함께, 그 통 형상체(9)에,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걸림 고정돌기(10, 11)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더(12, 13)에 있어서,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도록 상기 걸림 고정돌기(10, 11)를 형성한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로 한다.
식 1 ; SO- SM≥ S1+ S2+……+ Sn
단,
S0; 판체 윗면의 면적(cm2)면적
S1, S2,……,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SM; S1, S2,‥, Sn중 면적이 최대인 것의 면적(cm2)
또한, S0, S1, S2,... ,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Description

고형풀 공급 용기용 슬라이더{SLIDER OF CONTAINER FOR FEEDING SOLID PASTE}
본 발명은 고형풀 공급 용기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고형풀 공급용 용기는, 예를 들면, 일본 특원 평 11-59080호 공보, 일본 특공 평 815502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34943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같은 것은, 도 8에 중앙 종단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01)의 후단에 장착된 꼬리마개(02)의 회전에 의해, 꼬리마개(02)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막대(03)를 통체(01)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해당 나사막대(03)와의 나사결합과, 통체(01) 내주면에 축선방향으로 마련된 안내돌출조(04)에 의한 안내에 의해, 슬라이더(05)를 통체(01) 내를 승강시키는 구조로 하고, 이 슬라이더(05)에 고형풀(06)의 후단을 지지시키고, 그 선단을 통체(01)부터 출몰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또한 부호 07은 캡이다.
그런데 상기 슬라이더(05)는 나사막대(03)가 나사결합하여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05)에는 다음 문제가 있다.
a) 막대 형상의 고형풀(06)의 후단이, 단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슬라이더(05)에 삽입충전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사용중에, 고형풀(06)의 선단을 피도포면에 접착하여 잡아당기면, 고형풀(06)이 슬라이더(05)부터 빠져나가기 쉽다.
b) 고형풀(06)의 전 길이중, 보통, 15% 전후의 후단부분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슬라이더(05)의 내부에 삽입충전되어 있는데, 이 삽입충전된 고형풀 부분은 접착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가 없어서 쓸모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형풀이 슬라이더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도중에서 절단되어 고형풀 공급 용기로부터 빠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고형풀의 사용 잔부를 적게 하여, 가급적 유효하게 접착에 이바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해결된다.
(1) 통체의 한 단에 장착된 꼬리마개의 회전에 의해, 꼬리마개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막대를 통체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그 나사막대와의 나사결합과, 통체 내주면에 축선방향으로 마련된 안내돌출조에 의한 안내에 의해, 통체 내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그 슬라이더에 기둥형상의 고형풀을 장착시켜, 통체로부터 고형풀의 선단을 출몰이 자유롭게 하기 위한 고형풀 공급 용기에 이용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나사막대를 관통시키는 판체에서의 고형풀을 장착시키는 측의 중앙부에 나사막대를 나사결합 시키는 통 형상체를 마련함과 함께, 그 통 형상체에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걸림 고정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도록 상기 걸림 고정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로 한다.
식 1 ; S0- SM≥ S1+ S2+ ‥‥‥ + Sn
단,
S0; 판체 윗면의 면적(cm2)
S1, S2, ‥‥‥,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SM; S1, S2, ‥‥‥, Sn중 면적이 최대인 것의 면적(cm2)
또한, S0, S1, S2, ‥‥‥,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2) 상기 (1)항에 있어서, 상기 식 1과 더불어 하기의 식 2를 만족하도록 상기 걸림 고정돌기를 형성한다.
식 2 ; Ca·P·(S1h1+ S2h2+ ‥‥‥ + Snhn)/{(h1+ h2+ ‥‥‥ + hn) + (d1+ d2+ ‥‥‥ + dn)} = Na≥ 20
단,
S0: 판체의 윗면의 면적(cm2)
S1, S2, ‥‥‥,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SM; S1, S2, ‥‥‥, Sn중 면적이 최대인 것의 면적(cm2)
또한, S0, S1, S2, ‥‥‥,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h1, h2, ‥‥‥, h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인접하는 걸림 고정돌기 사이의 거리(cm)
d1, d2, ‥‥‥, d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두께(cm)
P ; 고형풀의 경도(N/cm2)
Ca; 정수
Na; 고형풀이 빠지는힘(N)
(3) 상기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Ca)의 값을 Ca = 11.06 × 105로 한다.
(4) 상기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 고정돌기의 두께가 실용상 모두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경우에, 상기 식 2에 있어서 d1+ d2+ …… + dn= 0으로 한다.
(5) 상기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Ca)의 값을 Ca= 9.49 × 105로 한다.
(6) 통체의 한 단에 장착된 꼬리마개의 회전에 의해, 꼬리마개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막대를 통체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그 나사막대와의 나사결합과, 통체 내주면에 축선방향으로 마련된 안내돌출조에 의한 안내에 의해, 통체 내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그 슬라이더에 기둥형상의 고형풀을 장착시켜, 통체로부터 고형풀의 선단을 출몰이 자유롭게 하기 위한 고형풀 공급 용기에 사용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나사막대를 관통시키는 판체의 고형풀을 장착시키는 측의 중앙부에, 나사막대를 나사결합시키는 통 형상체를 마련하는 동시에, 그 통 형상체에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걸림 고정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하기의 식 3과 식 4를 동시에 만족하도록 상기 걸림 고정돌기를 형성한다.
식 3 : S0- SM< S1+ S2+ ·…·· + Sn
식 4 : Cb·P·(S0- SM) = Nb≥ 20
단,
S0; 판체의 윗면의 면적(cm2)
S1, S2,·…·.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SM; S1, S2,··…·, Sn중 면적이 최대인 것의 면적(cm2)
또한, S0, S1, S2,·····,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P ; 고형풀의 경도(N/cm2)
Cb; 정수
Nb; 고형풀이 빠지는힘(N)
(7) 상기 (6)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Cb)의 값을 Cb= 5.50 × 105로 한다.
(8) 상기 (1)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걸림 고정돌기를 원판형상 또는 다각형상의 동일 형상으로 한다.
(9) 상기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면적(S1, S2, ‥‥‥, Sn)을 동일하게 한다.
(10) 상기 (1)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돌기를 원판형상으로 하고, 상기 통 형상체의 축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판체로부터 먼쪽으로 떨어짐에 따라 차례로 걸림 고정돌기의 지름을 작게 형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슬라이더를 구비한 고형풀 공급 용기의 중앙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슬라이더의 윗측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슬라이더의 중앙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슬라이더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
도 5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슬라이더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
도 6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슬라이더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
도 7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슬라이더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
도 8은 종래의 고형풀 공급 용기의 중앙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2, 13, 22, 23, 05 : 슬라이더
2 : 고형풀 공급용기 3, 01 : 통체
3a : 전단 테두리 4, 02 : 꼬리마개
5, 03 : 나사막대 6, 04 : 안내돌출조
7, 06 : 고형풀 7a : 전단
7b : 후단 7c : 앞 부분
8, 16, 20, 26, 30 : 판체
9, 17, 21, 27, 31 : 통 형상체
10, 11, 14, 15, 18, 19, 24, 25, 28, 29 : 걸림 고정돌기
07 : 캡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형태의 슬라이더를 구비한 고형풀 공급 용기의 중앙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슬라이더의 윗측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슬라이더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2)는, 통체(3)의 후단에 장착된 꼬리마개(4)의 회전에 의해, 꼬리마개(4)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막대(5)를 통체(3)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그 나사막대(5)와의 나사결합과, 통체(3) 내주면에 축선방향으로 마련된 안내돌출조(6)에 의한 안내에 의해 슬라이더를 통체(3) 내에서 승강시키고,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시킨 기둥형상의 고형풀(7)의 전단(7a)을 출몰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더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막대(5)를 관통시키는 판체(8)에 있어서의 고형풀(7)을 장착시키는 측의 중앙부에 나사막대(5)를 나사결합 시키는 통 형상체(9)를 돌출설치하는 동시에, 이 통 형상체(9)에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걸림 고정돌기(10, 11)를 일체로 마련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1)에 장착된 고형풀(7)(도 3에 있어서는 파선으로 도시한다)은, 그 후단(7b) 중앙에 있어서, 걸림 고정돌기(10, 11)가 고형풀(7)의 축선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끼워들어가 걸려져 있기 때문에, 고형풀(7)이 축선방향의 전방으로 잡아당겨지더라도 보통은 슬라이더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그러나 고형풀(7)이 단지 슬라이더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였을 뿐으로서는 고형풀(7)이 통체(3)부터 빠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슬라이더의 걸림 고정돌기(10, 11)의 지름의 크기 등에 의해 고형풀(7)의 후단(7b)이 슬라이더로부터 빠지기 이전에,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의 윗측의 걸림 고정돌기(11)의 외주테두리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T)에서 고형풀(7)이 찢어져, 그것보다 상부(앞 부분)(7c)의 고형풀(7)이 통체(3)부터 빠진다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 찢어지는 현상은, 복수의 걸림 고정돌기중 가장 아랫면의 면적이 큰 걸림 고정돌기의 외주테두리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형풀(7)의 부분에서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연구한 결과,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도록 걸림 고정돌기(10, 1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고형풀(7)이 슬라이더로부터 빠지기 이전에, 고형풀(7)이 후단(7b) 부근에서 찢어짐이 생겨, 통체(3)부터 빠진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식 1 ; S0- SM≥ S1+ S2+ ‥‥‥ + Sn
단,
S0; 판체(8) 윗면의 면적(cm2)
S1, S2, ‥‥‥,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10, 11)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SM; S1, S2, ‥‥‥, Sn중 면적이 최대인 것의 면적(cm2)
또한, S0, S1, S2, ‥‥‥,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9)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상기 식 1을 만족하도록 걸림 고정돌기(10, 11)를 형성하면, 걸림 고정돌기(10, 11)의 형상이,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판형상 이외에, 예를들면 타원판형상, 다각형상 등이라도, 그 형상과는 관계없이 상기 찢어짐에 의한 빠지는 현상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찢어짐에 의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만으로서는 고형풀(7)의 통체(3)부터의 빠짐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고형풀(7)을 통체(3)로부터 빠지게 하는 원인이 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주로, 하기와 같다. 즉,
a) 사용중에 고형풀(7)의 전단(7a)을 지면 등의 피도포면에 강하게 누른 경우에, 상기 전단(7a)의 지름이 늘어나, 사용후에 고형풀(7)을 통체 내로 수용할 때에, 상기 지름이 늘어난 부분이 통체(3)의 전단테두리(3a)에 걸리고, 그 때문에 꼬리마개(4)를 회전시켜 슬라이더를 통체(3) 내로 후퇴시키면 고형풀(7)이 슬라이더로부터 빠지거나 상기 고형풀(7)이 찢어지는 현상이 생긴다.
b) 마찬가지로 사용중에, 고형풀(7)의 전단(7a)을 지면 등의 피도포면에 강하게 누른 경우에, 상기 전단(7a)이 피도포면에 강하게 접착하여, 상기 전단(7a)을 피도포면로부터 떼어놓을 때에, 상기 강한 접착력이 고형풀(7)을 통체(3)부터 빠지게 하거나 상기 찢어지는 현상을 생기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c) 고형풀(7)의 외주면과 통체(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상응하는 저항이 있어서, 고형풀(7)의 통체(3)부터 공급과 수용을 반복하는 동안에 점차로 고형풀(7)이 슬라이더로부터 빠지거나 상기 찢어지는 현상이 생긴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여러가지의 원인에 의거하여 고형풀(7)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형풀(7)의 찢어지는 현상의 방지와 함께, 고형풀(7)의 슬라이더로의 장착 지지력을 20N(뉴톤) 이상으로 지지하면 유효하다는 새로운 지견을 얻었다.
이 지견에 의거하여 연구한 결과, 상기 걸림 고정돌기(10, 11)를 하기의 식 2를 만족하도록 형성하면 좋은 것이 판명되었다. 즉,
식 2 ; Ca·P·(S1h1+ S2h2+ ‥‥‥ + Snhn)/{(h1+ h2+ ‥‥‥ + hn) + (d1+ d2+ ‥‥‥ + dn)} = Na≥ 20
단,
S1, S2, ‥‥‥,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또한, S1, S2, ‥‥‥,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h1, h2, ‥‥‥, h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인접하는 걸림 고정돌기 사이의 거리(cm)
d1, d2, ‥‥‥, d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두께(cm)
P ; 고형풀의 경도(N/cm2)
Ca; 정수
Na; 고형풀이 빠지는힘(N)
상기 정수(Ca)는, 고형풀(7)의 외주면과 통체(3)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저항, 통체(3)의 길이 등에 의해 다소 변화되지만, 일반적으로는 Ca= 11.06 × 105가 된다.
또한 식 2에 있어서, 각 걸림 고정돌기(10, 11)의 두께가, 실용상 모두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경우, d1+ d2+ ‥‥‥ + dn= 0으로 계산할 수도 있다.
보통, 인접하는 걸림 고정돌기(10, 11) 사이의 이간 거리의 5분의 1 이하 정도면, 실용상 걸림 고정돌기(10, 11)의 두께를 무시하더라도 지장 없다.
식 2에 있어서, d1+ d2+ ‥‥‥ + dn= 0으로 한 경우의 상기 정수(Ca)의 값은, 마찬가지로 고형풀(7)의 외주면과 통체(3)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저항 등에따라 다소 변화되지만, 보통은 Ca= 9.49 × 105로서 계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형풀(7)이 찢어짐에 의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는 식 1을 만족하도록 걸림 고정돌기(10, 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형풀(7)의 경도에 따라서는, 상기 식 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고형풀(7)이 찢어짐에 의한 빠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 4, 도 5는, 식 1을 만족하지 않는 슬라이더(12, 13)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슬라이더(12)는, 상하의 걸림 고정돌기(14, 15)중, 아랫측의 걸림 고정돌기(14)의 면적(S1)이 윗측의 걸림 고정돌기(15)의 면적(S2)보다 크고, 판체(16)의 면적(S0)과의 관계에서 상기 식 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이다.
도 5에 도시한 슬라이더(13)는, 상하의 걸림 고정돌기(18, 19)중, 윗측의 걸림 고정돌기(19)의 면적(S2)가 아랫측의 걸림 고정돌기(18)의 면적(S1)보다 크고, 판체(20)의 면적(S0)와의 관계에서 상기 식 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이다.
또한 도 4, 도 5에 있어서, 부호 17, 21은 통체를 나타낸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 1을 만족하지 않는 조건하, 즉 후기하는 식 3을 만족하는 조건하에 있어서는, 통체(3)로부터의 고형풀(7)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식 4를 만족하도록 걸림 고정돌기(14, 15, 18, 19)를 형성하면좋다. 즉,
식 3 : S0- SM< S1+ S2+ ·…·· + Sn
식 4 : Cb·P·(S0- SM) = Nb≥ 20
단,
S0; 판체의 윗면의 면적(cm2)
S1, S2,·…·.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SM; S1, S2,··…·, Sn중 면적이 최대인 것의 면적(cm2)
또한, S0, S1, S2,·····,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P ; 고형풀의 경도(N/cm2)
Cb; 정수
Nb; 고형풀이 빠지는힘(N)
상기 정수(Cb)는 상기 정수(Ca)의 경우와 같이, 고형풀(7)의 외주면과 통체(3)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저항 등에 따라 다소 변화되지만, 보통은, Cb= 5.50 × 105로 하면 좋다.
도 6,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22, 23)를 도시하며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실시형태는, 상하의 원판형상의 걸림 고정돌기(24, 25)의 지름을 판체(26)로부터 먼쪽으로 떨어짐에 따라 차례로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부호 27은 통 형상체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상하의 원판형상의 걸림 고정돌기(28, 29)의 지름을 판체(30)부터 먼쪽으로 떨어짐에 따라 차례로 작게 하는 동시에, 통 형상체(31)를 원추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식 1 내지 식 4는, 통 형상체(9, 17, 21, 27, 31)의 지름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경우에 양호하게 적용되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형상인 경우도 실용상 거의 지장 없이 적응시킬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3에 도시한 슬라이더(1)에 관해,
S0= πR0 2- πr2
S1= πR1 2- πr2, S2= πR2 2- πr2
S1= S2= SM, Ca= 11.06 × 105로 하고,
식 1 및 식 2(단 Na= 21N으로 한다)를 만족하도록
P = 0.000055N/cm2, r = 0.3cm, R0= 0.785cm
R1= R2= 0.5cm, S0= πR0 2- πr2= 1.65cm2
S1= S2= πR1 2- πr2= 0.5cm2
h1= h2= 0.3cm
d1= d2= 0.05cm로 하여
걸림 고정돌기(10, 11)를 설계하여 슬라이더(1)를 5개 제작하였다, 이 5개의 각 슬라이더에, 상기한 경도 P = 0.000055N/cm2의 고형풀(7)을 장착하고, 각 고형풀(7)에 슬라이더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인발력 20N을 부하하였지만, 어느것이나 고형풀(7)의 찢어지는 현상도 없고 또한 슬라이더(1)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것도 없었다.
비교예 1
도 3에 도시한 슬라이더(1)에 관해,
S0= πR0 2- πr2
S1= πR1 2- πr2, S2= πR2 2- πr2
S1= S2= SM, Ca= 11.06 × 105로 하고,
식 1 만을 만족하고, 식 2(단 Na= 16N으로 한다)를 만족하지 않도록
P = 0.000055N/cm2, r = 0.3cm, R0= 0.785cm
R1= R2= 0.43cm, S0= πR0 2- πr2= 1.65cm2
S1= S2= πR1 2- πr2= 0.31cm2
h1= h2= 0.3cm
d1= d2= 0.05cm로 하여,
걸림 고정돌기(10, 11)를 설계하여 슬라이더(1)를 5개 제작하였다. 이 5개의 각 슬라이더(1)에, 상기한 경도 P = 0.000055N/cm2의 고형풀(7)을 장착하고, 각 고형풀(7)에 슬라이더(1)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방향의 인발력을 부하하였다.
인발력은 10N으로부터 점차 증대시킨 바, 평균하여 거의 17N의 부하 시점에서 고형풀(7)의 걸림 고정돌기(10, 11) 사이 및 걸림 고정돌기(10)와 판체(8) 사이에 끼워들어가 있는 부분이 파손되어 고형풀(7)이 슬라이더(1)로부터 빠져 떨어졌다.
실시예 2
도 4에 도시한 슬라이더(12)에 관해,
S0= πR0 2- πr2
S1= πR1 2- πr2, S2= πR2 2- πr2
S1= SM, Ca= 5.50 × 105로 하고,
식 3 및 식 4(단 Na= 21N으로 한다)를 만족하도록
P = 0.000065N/cm2, r = 0.3cm, R0= 0.785cm
R1= 0.63cm, R2= 0.46cm, S0= πR0 2- πr2= 1.65cm2
S1= πR1 2- πr2= 1.0cm2, S2= πR2 2- πr2= 0.4cm2,
h1= h2= 0.3cm로 하여,
걸림 고정돌기(14, 15)를 설계하여 슬라이더(12)를 5개 제작하였다, 이 5개의 각 슬라이더(12)에 상기한 경도 P = 0.000065N/cm2의 고형풀(7)을 장착하고, 각 고형풀(7)에 슬라이더(12)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인발력 19N을 부하하였지만, 어느것이나 고형풀(7)의 찢어지는 현상도 없고 또한 슬라이더(12)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것도 없었다.
실시예 3
도 5에 도시한 슬라이더(12)에 관해,
S0= πR0 2- πr2
S1= πR1 2- πr2, S2= πR2 2- πr2
S1= SM, Cb= 5.50 × 105로 하고,
식 3 및 식 4(단 Nb= 21N으로 한다)를 만족하도록
P = 0.000065N/cm2, r = 0.3cm, R0= 0.785cm
R1= 0.46cm, R2= 0.63cm, S0= πR0 2- πr2= 1.65cm2,
S1= πR1 2- πr2= 0.4cm2, S2= πR2 2- πr2= 1.0cm2,
h1= h2= 0.3cm로 하여,
걸림 고정돌기(18, 19)를 설계하여 슬라이더(13)를 5개 제작하였다. 이 5개의 각 슬라이더(13)에, 상기한 경도 P = 0.000065N/cm2의 고형풀(7)을 장착하고, 각 고형풀(7)에, 슬라이더(13)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인발력 19N을 부하하였지만, 어느것이나 고형풀(7)의 찢어지는 현상도 없고 또한 슬라이더(13)부터 빠져 떨어지는 것도 없었다.
비교예 2
도 4에 도시한 슬라이더(12)에 관해,
S0= πR0 2- πr2
S1= πR1 2- πr2, S2= πR2 2- πr2
S1= SM, Cb= 5.50 × 105로 하고,
식 3만을 만족하고, 식 4를 만족하지 않도록
P = 0.000065N/cm2, r = 0.3cm, R0= 0.785cm,
R1= 0.67cm, R2= 0.43cm, S0= πR0 2- πr2= 1.65cm2,
S1= πR1 2- πr2= 1.15cm2, S2= πR2 2- πr2= 0.29cm2,
h1= h2= 0.3cm로 하여,
걸림 고정돌기(14, 15)를 설계하여 슬라이더(12)를 5개 제작하였다,
이 5개의 각 슬라이더(12)에, 상기한 경도 P = 0,000065N/cm2의 고형풀(7)을 장착하고, 각 고형풀(7)에 슬라이더(12)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인발력을 부하하였다.
인발력은, 10N으로부터 점차 증대시킨 바, 평균하여 거의 18N의 부하 시점에서 고형풀(7)의, 걸림 고정돌기(14, 15) 사이 및 걸림 고정돌기(14)와 판체(12) 사이에 끼워들어가 있는 부분이 파손되어 고형풀(7)이 슬라이더(12)로부터 빠져 떨어졌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1)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더에 장착된 고형풀은 그 후단의 외주면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고형풀의 사용 잔부를 적게 하여 가급적 유효하게 접착용으로 이바지할 수 있는 동시에, 고형풀의 후단 부근이 찢어짐에 의해 고형풀이 공급 용기로부터 빠져 떨어진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2)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고형풀이 사용중에 피도포면에 강하게 접착된 경우 또는 사용 후에 고형풀을 통체에 수용할 때 등에, 고형풀의 후단중, 슬라이더의 걸림 고정돌기 사이 또는 걸림 고정돌기와 판체 사이에 끼워들어가 있는 부분이 파괴되어, 고형풀이 슬라이더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3)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2)항의 효과를 이루는 슬라이더를 용이하게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4) 제 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실용상, 상 기(2)항에 기재된 효과를 이루는 슬라이더를 얻을 수 있다.
(5) 제 5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4)항에 기재된 효과를 이루는 슬라이더를 용이하게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6) 제 6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2)항에 기재와 같은 효과를 이루는 슬라이더를 얻을 수 있다.
(7) 제 7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6)항에 기재된 효과를 이루는 슬라이더를 용이하게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8) 제 8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1)항 내지 (7)항에 기재된 효과를 유효히 이루는 슬라이더를 얻을 수 있다.
(9) 제 9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히 이루어지고 제작이 용이하다.
(10) 제 10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고형풀의 후단 외주부의 부분을 가급적 유효하게 접착용으로 이바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통체의 한 단에 장착된 꼬리마개의 회전에 의해, 꼬리마개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막대를 통체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그 나사막대와의 나사결합과, 통체 내주면에 축선방향으로 마련된 안내돌출조에 의한 안내에 의해, 통체 내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그 슬라이더에 기둥형상의 고형풀을 장착시켜, 통체로부터 고형풀의 선단을 출몰이 자유롭게 하기 위한 고형풀 공급 용기에 이용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나사막대를 관통시키는 판체에서의 고형풀을 장착시키는 측의 중앙부에 나사막대를 나사결합 시키는 통 형상체를 마련함과 함께, 그 통 형상체에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걸림 고정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도록 상기 걸림 고정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식 1 ; S0- SM≥ S1+ S2+ ‥‥‥ + Sn
    단,
    S0; 판체 윗면의 면적(cm2)
    S1, S2, ‥‥‥,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SM; S1, S2, ‥‥‥, Sn중 면적이 최대인 것의 면적(cm2)
    또한, S0, S1, S2, ‥‥‥,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 1과 더불어, 하기의 식 2를 만족하도록 상기 걸림 고정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식 2 ; Ca·P·(S1h1+ S2h2+ ‥‥‥ + Snhn)/{(h1+ h2+ ‥‥‥ + hn) + (d1+ d2+ ‥‥‥ + dn)} = Na≥ 20
    단,
    S0: 판체의 윗면의 면적(cm2)
    S1, S2, ‥‥‥,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SM; S1, S2, ‥‥‥, Sn중 면적이 최대인 것의 면적(cm2)
    또한, S0, S1, S2, ‥‥‥,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h1, h2, ‥‥‥, h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인접하는 걸림 고정돌기 사이의 거리(cm)
    d1, d2, ‥‥‥, d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두께(cm)
    P ; 고형풀의 경도(N/cm2)
    Ca; 정수
    Na; 고형풀이 빠지는힘(N)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Ca)의 값을 Ca= 11.06 ×105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 고정돌기의 두께가, 실용상 모두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경우에, 상기 식 2에 있어서 d1+ d2+ ‥‥‥ + dn= 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Ca)의 값을 Ca= 9.49 ×105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6. 통체의 한 단에 장착된 꼬리마개의 회전에 의해, 꼬리마개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막대를 통체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그 나사막대와의 나사결합과, 통체 내주면에 축선방향으로 마련된 안내돌출조에 의한 안내에 의해, 통체 내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그 슬라이더에 기둥형상의 고형풀을 장착시켜, 통체로부터 고형풀의 선단을 출몰이 자유롭게 하기 위한 고형풀 공급 용기에 사용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나사막대를 관통시키는 판체의 고형풀을 장착시키는 측의 중앙부에 나사막대를 나사결합시키는 통 형상체를 마련하는 동시에, 그 통 형상체에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걸림 고정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하기의 식 3 과 식 4를 동시에 만족하도록 상기 걸림 고정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식 3 : S0- SM< S1+ S2+ ‥‥‥ + Sn
    식 4 : Cb·P·(S0- SM) = Nb≥ 20
    단,
    S0; 판체의 윗면의 면적(cm2)
    S1, S2, ‥‥‥, Sn; n개의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cm2)
    SM; S1, S2, ‥‥‥, Sn중 면적이 최대인 것의 면적(cm2)
    또한, S0, S1, S2, ‥‥‥, Sn의 면적은 통 형상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다.
    P ; 고형풀의 경도(N/cm2)
    Cb; 정수
    Nb; 고형풀이 빠지는힘(N)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Cb)의 값을 Cb= 5.50 × 105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걸림 고정돌기를 원판형상 또는 다각형상의 동일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걸림 고정돌기의 각각의 아랫면의 면적(S1, S2, ‥‥‥, Sn)을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돌기를 원판형상으로 하여 상기 통 형상체의 축방향에 복수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판체로부터 먼쪽으로 떨어짐에 따라 차례로 걸림 고정돌기의 지름을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풀 공급 용기용의 슬라이더.
KR1020020041117A 2002-05-02 2002-07-15 고형풀 공급 용기용 슬라이더 KR200300861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0924 2002-05-02
JP2002130924A JP2003320794A (ja) 2002-05-02 2002-05-02 固形糊繰出容器用のスライダ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198A true KR20030086198A (ko) 2003-11-07

Family

ID=2920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117A KR20030086198A (ko) 2002-05-02 2002-07-15 고형풀 공급 용기용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69208B2 (ko)
EP (1) EP1358817B1 (ko)
JP (1) JP2003320794A (ko)
KR (1) KR20030086198A (ko)
CN (1) CN1187203C (ko)
AU (1) AU2003203899B2 (ko)
DE (1) DE60316215T2 (ko)
ES (1) ES2290375T3 (ko)
HK (1) HK1060339A1 (ko)
TW (1) TWI2211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8276B2 (en) * 2005-03-30 2008-03-25 Fujitsu, Limited Fabrication process of semiconductor device and polishing method
CN101155571B (zh) * 2005-04-11 2012-07-18 株式会社资生堂 棒状固体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070068971A (ko) * 2005-12-27 2007-07-02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고형풀 조출용 용기
KR200453925Y1 (ko) 2011-03-17 2011-06-02 주식회사모나미 봉상물 출납부재
USD946362S1 (en) * 2020-01-13 2022-03-22 Kokubo & Co., Ltd. Butter spread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7539U (ko) * 1973-09-05 1975-05-29
JPH0858293A (ja) * 1994-08-18 1996-03-05 Uhu Gmbh スティック型接着剤の詰め替えカートリッジ
JPH1159080A (ja) * 1997-06-12 1999-03-02 Tombow Pencil Co Ltd 糊容器のスライダー
JP2000025853A (ja) * 1990-11-15 2000-01-25 Henkel Kgaa スティックのリフィル方法およびリフィル・カ―トリッジ
JP2000335193A (ja) * 1999-05-28 2000-12-05 Tombow Pencil Co Ltd 糊容器のスライダ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9044A (en) * 1962-05-02 1965-11-23 Bau Robert Gordon Cosmetic make-up device
US3612705A (en) * 1969-09-03 1971-10-12 Gillette Co Dispensing container
DE3118893A1 (de) * 1981-04-16 1982-11-11 Alfred Von 4178 Kevelaer Schuckmann Huelle fuer insbesondere deodorantstif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7539U (ko) * 1973-09-05 1975-05-29
JP2000025853A (ja) * 1990-11-15 2000-01-25 Henkel Kgaa スティックのリフィル方法およびリフィル・カ―トリッジ
JPH0858293A (ja) * 1994-08-18 1996-03-05 Uhu Gmbh スティック型接着剤の詰め替えカートリッジ
JPH1159080A (ja) * 1997-06-12 1999-03-02 Tombow Pencil Co Ltd 糊容器のスライダー
JP2000335193A (ja) * 1999-05-28 2000-12-05 Tombow Pencil Co Ltd 糊容器のスライ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90375T3 (es) 2008-02-16
EP1358817A2 (en) 2003-11-05
CN1454822A (zh) 2003-11-12
US20030206764A1 (en) 2003-11-06
DE60316215T2 (de) 2008-01-17
JP2003320794A (ja) 2003-11-11
US6969208B2 (en) 2005-11-29
AU2003203899B2 (en) 2007-04-26
EP1358817B1 (en) 2007-09-12
CN1187203C (zh) 2005-02-02
AU2003203899A1 (en) 2003-11-20
DE60316215D1 (de) 2007-10-25
EP1358817A3 (en) 2004-03-03
TWI221141B (en) 2004-09-21
HK1060339A1 (en) 200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2775A (en) Note paper-holding pen
KR20030086198A (ko) 고형풀 공급 용기용 슬라이더
WO2007078364B1 (en) Force distributing dental implant assembly
KR20070068971A (ko) 고형풀 조출용 용기
EP0114953B1 (de) Skistock sowie Schneeauflagekörper für einen Skistock
US20060204314A1 (en) Solid paste dispenser and a slider for use therewith
US8382412B2 (en) Apparatus for fastening single and multiple sheets and method for using same
DE69815373T2 (de) Stollen für schuhe
EP2602405B1 (fr) Ensemble de plot de fondation à visser pour constructions extérieures légères
EP3337358B1 (de) Haltevorrichtung zur klebenden befestigung an einer oberfläche mit einem zugeordneten befestigungselement
CN209915441U (zh) 一种新型静音销
JPH0724064Y2 (ja) うきアダプター
JP2000335193A (ja) 糊容器のスライダー
CN206871278U (zh) 自行车前叉立管的迫紧装置
JP4284672B2 (ja) 集魚用まき餌入れ容器
US6416241B1 (en) Pencil having a rotatable ferrule for exposing the eraser
CN108457537A (zh) 一种一次性手铐
CN214057473U (zh) 一种农业种植施肥机
US11124985B1 (en) Umbrella anchoring system
JP2003289755A (ja) 玉網の柄
US20210068516A1 (en) Container for perfume, essential oils and the like
JPS6119523Y2 (ko)
GB2623588A (en) A peg for securing matting to the ground
JP2004270385A (ja) 定着用クサビ
EP1760330A1 (de) Befestigungselement für harte Untergrü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