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289A - 다공질 화분 - Google Patents

다공질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289A
KR20030083289A KR1020020021762A KR20020021762A KR20030083289A KR 20030083289 A KR20030083289 A KR 20030083289A KR 1020020021762 A KR1020020021762 A KR 1020020021762A KR 20020021762 A KR20020021762 A KR 20020021762A KR 20030083289 A KR20030083289 A KR 20030083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s
porous
salt
molding
gl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호 filed Critical 한승호
Priority to KR102002002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3289A/ko
Publication of KR2003008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22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obtained by a chemical conversion or reaction other than those relating to the setting or hardening of cement-like material or to the formation of a sol or a gel, e.g. by carbonising or pyrolysing preformed cellular materials based on polymers, organo-metallic or organo-silicon precursors
    • C04B38/0025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obtained by a chemical conversion or reaction other than those relating to the setting or hardening of cement-like material or to the formation of a sol or a gel, e.g. by carbonising or pyrolysing preformed cellular materials based on polymers, organo-metallic or organo-silicon precursors starting from inorganic materials only, e.g. metal foam; Lanxide type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식물재배에 사용되거나 관상용으로 제공되는 다공질 화분에 관한 것으로, 연탄재와 식염을 혼합한 후 상기 식염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연탄재와 식염의 혼합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을 제공하며, 또한 연탄재와 유약을 혼합한 후 상기 유약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연탄재와 유약의 혼합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통기성, 배수성, 흡수성이 우수하여 식물생장조건에 적합하며, 화분 두께의 제한을 받지 않아 다양한 형태로 응용가능하며, 환경보호는 물론 생산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다공질 화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공질 화분 { porous pot }
본 발명은 다공질 화분에 관한 것으로, 상술하면 일반적인 식물재배에 사용되거나 관상용으로 제공되는 다공질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은 점토를 화분 형태의 성형물로 만든 후 초벌구이, 채색 및 시유과정, 본구이의 과정으로 화분을 제작하였다. 이때 초벌구이란 채색 및 시유과정을 위해 쉽고 안전하게 기물을 취급할 수 있도록 기물에 필요한 강도를 주기 위하여 800℃~900℃정도의 낮은 온도로 소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채색 및 시유과정이란 원하는 그림 등을 기물에 그린 후 유약을 기물에 입히는 과정을 말하며 시유에 의해 기물 표면에 광택을 주어 미적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기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물이나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본구이는 초벌구이보다 훨씬 높은 온도(대개 약 1100~1250℃)에서 소성되며, 이것은 점토가 충분히 소결하여 기물이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가지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분은 소성과정에서 점토의 소결로 인해 점토가 본래 가지고 있는 기공마저 사라지게 되며, 따라서 식물생장조건에 중요한 요소인 통기성, 배수성 및 흡수성이 낮은 화분이 된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기물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점토의 소성과정에서 기물내의 온도편차로 인하여 기물에 균열이 발생하므로, 기물의 두께를 일정하게 제한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개 기물의 두께는 약 2cm이하로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기성, 배수성, 흡수성이 우수하여 식물생장조건에 적합하고, 두께의 제한을 받지 않아 다양한 형태로 응용가능한 다공질 화분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도자기 조각2 : 연탄재
3 : 식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번째 구상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분에 있어서, 연탄재와 식염을 혼합한 후 상기 식염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연탄재와 식염의 혼합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을 제공한다.
이하 연탄재는 연소한 후의 연탄을 말하며, 연탄재를 이용한 것은 연탄재가 다공질을 가지고 있고 또한 폐기물인 연탄재를 재활용하기 위함이다.
연탄재 알갱이는 강도가 매우 약하여 쉽게 부서지지만 고온에서 소성하면 연탄재 알갱이의 강도가 상승한다.
순수한 식염의 융해온도는 대기압에서 대략 800℃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염은 주변에서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연탄재와 식염을 혼합할 때, 혼합하는 방법 즉, 기구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직접 혼합하는 방법 등에 따라 혼합기구 또는 손 등에 의해 연탄재는 조금 부스러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입된 식염의 양에 따라 소성과정에서 연탄재가 식염에 녹아들어가는 정도가 달라지므로, 연탄재와 식염을 혼합할 때에 지나치게 연탄재를 잘게 부술 필요는 없고, 만들고자 하는 다공질 화분의 형태에 따라 연탄재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연탄재와 식염의 혼합물을 식염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소성하면, 연탄재가 융해된 식염에 녹아들어가게되어 식염과 연탄재는 마치 용암과 같은 형태를 띄게 된다.
실험에 의하면 식염의 농도에 따라 연탄재가 식염에 녹아들어가는 정도는 달라진다. 즉, 연탄재에 비해 혼합된 식염의 양이 많아질수록 소성과정에서 연탄재는 식염에 매우 잘 녹아들어가는 반면, 연탄재에 비해 혼합된 식염의 양이 적어질수록 소성과정에서 연탄재는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소성과정을 거친 연탄재와 식염의 혼합물은 온도가 하강하면서 단단한 구조체가 생성된다. 이때 연탄재는 고유의 다공질을 그대로 보유한 채 식염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정으로 제작된 다공질 화분은 통기성, 배수성, 흡수성이 매우 우수하다. 연탄재가 보유한 다공질에 의한 무수한 기공은 공기의 유통으로 뿌리와 토양에 산소공급을 원활히 하고, 기공을 통해 화분안의 수분을 증발시켜 배수작용을 도와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며, 기공에 필요한 수분이 저장될 수 있어 식물의 수분요구정도에 맞게 적당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으로 제작된 다공질 화분은 연탄재가 식염에 의해 결합된 형태이므로, 기물의 두께에 대한 제한이 없다. 그리고 연탄재와 식염의 결합은 독특한 색상과 질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으로 제작된 다공질 화분은 연탄재와 식염의 혼합으로 일반적인 시유과정을 대신하게 되어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연탄재와 식염을 혼합하는 방법의 하나로써, 식염을 물에 녹여 식염수로 만든 후 상기 식염수를 상기 연탄재에 침투시키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식염을 식염수상태로 만들면, 식염수는 크기가 큰 연탄재에도 비교적 쉽게 침투되며, 식염과 연탄재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식염의 농도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식염을 식염수상태로 만들면, 부분적으로 연탄재에 혼합된 식염의 농도를 달리하여 하나의 다공질 화분내에서도 연탄재의 형상을 다르게 나타나도록 할수 있다. 이경우 붓 등을 통해 연탄재에 식염수를 찍어바르는 것도 상정될 수 있다.
본 발명 다공질 화분에 색다른 미감을 주기위하여, 식염에 산화철, 망간, 크롬, 코발트 등의 발색첨가제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이 제안될 수 있다. 식염에 첨가된 발색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을 가진 다공질 화분이 제작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자기 제조 과정, 특히 초벌구이, 본구이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파손되거나 불량인 도자기들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폐도자기 조각들을 이용하여 다공질 화분을 제작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다수의 폐도자기 조각과 상기 폐도자기 조각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식염수가 침투된 연탄재로 구성되는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 후, 상기 식염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성형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폐도자기 조각을 이용함으로써, 폐도자기에 대한 처리비는 물론 식염에 대한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폐도자기 조각을 다공질 화분의 기본적인 골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수의 폐도자기 조각과 상기 폐도자기 조각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식염수가 침투된 연탄재로 구성되는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드는 과정은, 종래의 도자기 제조과정에 비해 사실상 성형과정이 생략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폐도자기 조각을 얼기설기 조합하여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드는 과정은 매우 간단한 공정이며, 또한 폐도자기 조각 사이에 상기 식염수가 침투된 연탄재를 설치하는 과정도 매우 간단한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염수가 침투된 연탄재는 폐도자기 조각의 조합과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고, 폐도자기 조각의 조합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소성온도는 식염의 융해를 위해 식염의 융해온도보다도 높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 1에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폐도자기 조각(1)으로 대강의 골격을 이루며, 연탄재(2)와 식염(3)이 소성후 냉각되어 결합된 형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연탄재와 점토를 먼저 혼합하여 성형물을 만들고, 식염을 상기 성형물에 침투시키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연탄재와 상기 연탄재보다 부피가 작은 점토를 혼합하여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 후, 상기 성형물에 상기 식염수를 침투시킨 후, 상기 식염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성형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토의 가소성을 이용하여 성형물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하였고, 연탄재와 연탄재의 부피보다 작은 점토를 혼합하여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다. 점토의 부피를 연탄재보다 작게 한 것은, 점토를 다공질 화분의 기본적인 골격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연탄재 고유의 다공질의 장점을 그대로 보유하기 위함이다.
만일 점토의 부피가 연탄재보다 많아지게 되면 점토에 의해 다공질 화분 전체의 통기성이 나빠지게 되며, 점토의 소성과정에서 다공질 화분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성형물을 만든 후, 성형물을 필요에 따라 초벌구이할 수도 있다.
초벌구이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은, 만들어진 성형물에 식염수를 침투시킨다.식염수는 성형물을 만들 때 침투시킬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만들어진 성형물에 식염수를 침투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다공질 화분의 형상을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연탄재의 형상이 다르게 표현되는 다공질 화분을 만들려면 성형물을 만든 후 붓칠 등에 의해 다공질 화분의 부분마다 침투되는 식염의 농도를 다르게 하기 위함이다.
소성온도는 식염의 융해를 위해 식염의 융해온도보다도 높아야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두번째 구상을 설명한다.
본발명은 화분에 있어서, 연탄재와 유약을 혼합한 후 상기 유약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연탄재와 유약의 혼합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에 관한 것이다.
유약은 종류가 무수히 많지만, 대개 장석, 규석, 석회석, 카오린 등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유약은 식염과 달리 가격이 매우 고가이지만, 식염과 마찬가지로 고온에서 융해한 후 굳어지면 연탄재와 결합된다. 유약의 융해온도는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변화하며, 대개 1100℃이상이면 융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탄재와 유약을 혼합할 때, 혼합하는 방법 즉, 기구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직접 혼합하는 방법 등에 따라 혼합기구 또는 손 등에 의해 연탄재는 조금 부스러진다.
실험에 의하면 유약은 식염과는 달리 소성과정에서 연탄재가 유약에 녹아들어가지는 않으며, 연탄재는 소성전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유약이 융해된 후 냉각되면 연탄재는 유약과 결합되어 다공질 화분을 형성하나, 투입된 유약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유약 자체가 일정한 막을 형성하게 되어 다공질 화분의 기능이 저하되므로 투입되는 유약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물론 상기 과정으로 제작된 다공질 화분은 연탄재가 유약에 의해 결합된 형태이므로, 기물의 두께에 대한 제한이 없다. 그리고 연탄재와 유약의 결합은 독특한 색상과 질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으로 제작된 다공질 화분은 연탄재와 유약의 혼합으로 일반적인 시유과정을 대신하게 되어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다수의 폐도자기 조각과 상기 폐도자기 조각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연탄재와 유약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 후, 상기 유약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성형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폐도자기 조각을 이용함으로써, 폐도자기에 대한 처리비는 물론 식염에 대한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폐도자기 조각을 다공질 화분의 기본적인 골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수의 폐도자기 조각과 상기 폐도자기 조각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연탄재와 유약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드는 과정은, 종래의 도자기 제조과정에 비해 사실상 성형과정이 생략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폐도자기 조각을 얼기설기 조합하여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드는 과정은 매우 간단한 공정이며, 또한 폐도자기 조각 사이에 상기 연탄재와 유약의 혼합물을 설치하는 과정도 매우 간단한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탄재와 유약의 혼합물은 폐도자기 조각의 조합과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고, 폐도자기 조각의 조합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소성온도는 유약의 융해를 위해 유약의 융해온도보다도 높아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연탄재와 상기 연탄재보다 부피가 작은 점토를 혼합하여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 후, 상기 성형물에 상기 유약을 바른 후, 상기 유약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성형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토의 가소성을 이용하여 성형물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하였고, 연탄재와 연탄재의 부피보다 작은 점토를 혼합하여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다. 점토의 부피를 연탄재보다 작게 한 것은, 점토를 다공질 화분의 기본적인 골격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연탄재 고유의 다공질의 장점을 그대로 보유하기 위함이다.
만일 점토의 부피가 연탄재보다 많아지게 되면 점토에 의해 다공질 화분 전체의 통기성이 나빠지게 되며, 점토의 소성과정에서 다공질 화분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성형물을 만든 후, 성형물을 필요에 따라 초벌구이할 수도 있다.
초벌구이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은, 만들어진 성형물에 유약을 바른다. 유약은 성형물을 만들 때 혼합시킬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만들어진 성형물에 유약을 바르는 것으로 하였다. 다공질 화분의 형상을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붓칠 등에 의해 다공질 화분의 부분마다 다른 형태를 표현하기 위함이다.
소성온도는 유약의 융해를 위해 유약의 융해온도보다도 높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통기성, 배수성, 흡수성이 우수하여 식물생장조건에 적합한 다공질 화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화분 두께의 제한을 받지 않아 다양한 형태로 응용가능한 다공질 화분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분의 형태상의 응용범위를 확대하여 식물과 어울릴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감상자로 하여금 자연에 대한 심리적 향수를 유발시켜 실내장식품으로써의 관상 가치를 부여한 디자인으로 개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연탄재 및 폐도자기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산업공해와 폐기물 처리비용을 절감을 통한 환경보호차원은 물론이고 자재비 절감 및 생산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다공질 화분을 제공한다.

Claims (8)

  1. 화분에 있어서,
    연탄재와 식염을 혼합한 후 상기 식염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연탄재와 식염의 혼합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탄재와 식염을 혼합하는 방법이 상기 식염을 물에 녹여 식염수로 만든 후 상기 식염수를 상기 연탄재에 침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폐도자기 조각 및 상기 폐도자기 조각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식염수가 침투된 연탄재로 구성되는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 후, 상기 식염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성형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탄재와 상기 연탄재보다 부피가 작은 점토를 혼합하여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 후, 상기 성형물에 상기 식염수를 침투시킨 후, 상기 상기 식염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성형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에 발색첨가제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
  6. 화분에 있어서,
    연탄재와 유약을 혼합한 후 상기 유약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연탄재와 유약의 혼합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
  7. 제6항에 있어서, 다수의 폐도자기 조각 및 상기 폐도자기 조각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연탄재와 유약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 후, 상기 유약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성형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탄재와 상기 연탄재보다 부피가 작은 점토를 혼합하여 화분형태의 성형물을 만든 후, 상기 성형물에 상기 유약을 바른 후, 상기 유약의 융해온도 이상에서 상기 성형물을 소성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화분
KR1020020021762A 2002-04-20 2002-04-20 다공질 화분 KR20030083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762A KR20030083289A (ko) 2002-04-20 2002-04-20 다공질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762A KR20030083289A (ko) 2002-04-20 2002-04-20 다공질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289A true KR20030083289A (ko) 2003-10-30

Family

ID=3237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762A KR20030083289A (ko) 2002-04-20 2002-04-20 다공질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32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125A (ko)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거름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KR101653285B1 (ko) * 2016-02-15 2016-09-01 박윤정 연탄재와 커피슬러지를 주재로 한 경량 내화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043A (ko) * 1983-03-02 1984-10-06 서승석, (외 1)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KR840008793A (ko) * 1983-05-17 1984-12-19 이해문 (외 1) 폐기물을 이용한 다용도 물질의 제법
KR870001288A (ko) * 1985-07-04 1987-03-12 허창 분말 방수제
KR900007837A (ko) * 1988-11-22 1990-06-02 더터 라우디엔, 루돌프 호프만 퀴누클리딘, 약제로서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1668A (ko) * 1993-06-29 1995-01-03 이헌조 멀티시스템의 엑스(x)-거리 보정장치
JPH1081558A (ja) * 1996-09-04 1998-03-31 Teijin Ltd セラミックス成形物の製造方法
JP2001181019A (ja) * 1999-12-27 2001-07-03 Ishikawa Pref Gov 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84892A (ja) * 2000-09-18 2002-03-26 Toshio Hoshino 植木鉢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043A (ko) * 1983-03-02 1984-10-06 서승석, (외 1)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KR840008793A (ko) * 1983-05-17 1984-12-19 이해문 (외 1) 폐기물을 이용한 다용도 물질의 제법
KR870001288A (ko) * 1985-07-04 1987-03-12 허창 분말 방수제
KR900007837A (ko) * 1988-11-22 1990-06-02 더터 라우디엔, 루돌프 호프만 퀴누클리딘, 약제로서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1668A (ko) * 1993-06-29 1995-01-03 이헌조 멀티시스템의 엑스(x)-거리 보정장치
JPH1081558A (ja) * 1996-09-04 1998-03-31 Teijin Ltd セラミックス成形物の製造方法
JP2001181019A (ja) * 1999-12-27 2001-07-03 Ishikawa Pref Gov 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84892A (ja) * 2000-09-18 2002-03-26 Toshio Hoshino 植木鉢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125A (ko)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거름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KR101653285B1 (ko) * 2016-02-15 2016-09-01 박윤정 연탄재와 커피슬러지를 주재로 한 경량 내화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24230B (zh) 黑金花釉料及具有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CN101362645B (zh) 黄陶的制备方法
US20130108855A1 (en) Porous Glass Articles Formed Using Cold Work Process
CN101343171A (zh) 黑陶的制备方法
CN110436782B (zh) 一种多彩色熔岩釉陶瓷产品及其高温烧制方法
CN103588507A (zh) 白点立体装饰釉陶瓷制品及其制备方法
EP1541538A4 (en)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CERAMIC ARTICLE
CN110078474A (zh) 建水紫陶白泥料器件表面凹凸画面雕刻成形方法
Rachna et al. Khmer ceramic technology: a case study from Thnal Mrech kiln site, Phnom Kulen
CN106365448A (zh) 多孔隙仿石釉瓷器及制备工艺
KR20070005816A (ko) 표면처리가 된 점토 벽돌 제조방법
JP2003327484A (ja) 来待石用釉薬
KR20030083289A (ko) 다공질 화분
CN106830881A (zh) 日用陶瓷窑变色釉产品的生产方法
KR101628034B1 (ko) 꺼먹이 소성기법을 이용한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분
CN102040397B (zh) 一种自挥发盐釉料的施釉方法
JP4246961B2 (ja) 来待石陶土及び陶器の製造方法
KR101050413B1 (ko)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KR200387526Y1 (ko)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KR100311183B1 (ko) 현무암인공제조법
KR19980081924A (ko) 키토산 성분이 포함된 인공상토의 제조법
CN110642597A (zh) 一种紫陶水缸的制作方法
KR100790205B1 (ko) 인조 현무암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현무암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35090Y1 (ko) 도자칠보
KR20040058820A (ko) 도자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