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125A -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 Google Patents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125A
KR20150066125A KR1020130151274A KR20130151274A KR20150066125A KR 20150066125 A KR20150066125 A KR 20150066125A KR 1020130151274 A KR1020130151274 A KR 1020130151274A KR 20130151274 A KR20130151274 A KR 20130151274A KR 20150066125 A KR20150066125 A KR 20150066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portion
port
soil
present disclosure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808B1 (ko
Inventor
하덕천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름
Priority to KR102013015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8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는, 황토를 포함하며, 일 측으로 개방되고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식물의 식재를 위한 토양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황토와 혼합 반죽 되어 상기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가 설정된 온도에서 구워질 때 연소 되어 상기 몸체의 일 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연소 부재; 및 상기 연소 부재의 연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통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POT FOR CULTIVATING HYDROPHYTES}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생식물이 식재된 상태로 하천이나 호수의 바닥 토양에 식재할 수 있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인구가 밀집된 도시에서 발생 되는 하수 및 오수 또한 하천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바, 최근 하수처리기술이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했지만 처리되지 않은 많은 양의 하수 및 오수가 여전히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은 물론, 각종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 또한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하천수의 산도(酸度)를 높여 각종 생물의 생존을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는 폐수에 함유된 중금속 성분이 하천 바닥에 퇴적되면서 물고기의 기형을 초래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 되고 있다.
한편, 하천의 바닥면이나 하천주변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은 하천바닥에 쌓이는 퇴적토에 함유된 중금속성 이온물질과 독성을 제거하고, 질소나 인 같은 수중의 영양염류를 정화함과 동시에 어류와 동물성 플랑크톤 등 각종 수생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등 수중환경을 정화하는데 탁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최근 무분별한 하천개발로 인하여 자생적인 수생식물의 군락지가 제거되면서 그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하천의 자정능력 또한 거의 상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급 지방자치단체에서 하천의 개발시 친환경적으로 시공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달뿌리풀, 꽃창포, 터리풀, 갯버들, 노랑꽃창포, 털부처꽃, 흑삼릉, 물억새, 매자기, 큰고랭이, 박하, 이삭물수세미, 큰피막이, 부들, 노랑어리연꽃, 생이가래 같은 수생식물을 별도로 재배한 후 하천바닥이나 하천주변에 옮겨 심어 하천의 자정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깊이가 얕고 유속이 매우 느린 하천주변 토양에 대한 수생식물의 식재는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깊이가 깊고 유속이 빠른 하천바닥의 퇴적토에 수생식물을 식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생식물의 뿌리부분을 감싸고 있는 배양토가 물에 씻겨 유실되기 때문에 투척방식의 식재는 불가능하고, 작업자가 일일이 식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천바닥에 수생식물을 일일이 식재하는 방법은 많은 작업인원이 투입되거나 오랫동안 작업을 해야되기 때문에 인건비가 크게 소요되는 것은 물론, 수생식물의 뿌리부분을 감싸고 있는 배양토가 흐르는 물에 쉽게 씻겨져 유실됨에 따라 착근율 또한 크게 저하되어 식재 후 생존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832336호는 작은 크기로 분쇄된 천연의 식물성 섬유편들을 무정형으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압착하여 형성한 섬유 포트를 공지된 합성수지 포트의 내면에 구비한 후 그 내부에 배양토를 넣고 식물을 식재한 상태에서, 그 뿌리가 섬유 포트를 감쌀 때까지 식물을 생장시켜 섬유 포트와 배양토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한 후 합성수지 포트를 분리하여 수중에 투척하는 섬유 포트를 수생식물의 하천바닥 식재에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는 경우, 식물의 식재시 섬유 포트를 합성수지 포트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므로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투척에 의해 수중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이점을 가지나, 식물의 뿌리가 섬유 포트를 감쌀 때까지 식물을 사전에 생육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고, 섬유 포트가 단단하지 않으므로 투척 시 수중 바닥과의 충격으로 섬유 포트 및 섬유 포트에 수용되는 배양토가 파손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본 개시는, 하천, 호수의 바닥에 고정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수생식물이 식재된 포트를 수심이 깊은 하천, 호수의 바닥에 투척하여 식재할 수 있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는, 황토를 포함하며, 일 측으로 개방되고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식물의 식재를 위한 토양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황토와 혼합 반죽 되어 상기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가 설정된 온도에서 구워질 때 연소 되어 상기 몸체의 일 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연소 부재; 및 상기 연소 부재의 연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통공;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하부로 갈수록 횡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개방된 상면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개방된 상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수용부 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유실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부에 토양이 수용된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있어서, 식물의 식재를 위한 토양이 수용되도록 내부가 비어있으며, 꼭지점이 하부를 향하고, 상면이 개방된 원뿔 형으로 구비되는 식생 포트;로서 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통공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생 포트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식생 포트의 외면과 상기 수용부의 내면 중 어느 일방에는 나선형의 결합 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방에는 상기 결합 홈에 대응되는 나선형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인위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3 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연소 부재는, 왕겨, 볏짚, 갈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물에 비해 밀도가 큰 황토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투척에 의해 수중 바닥에 포트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중 바닥을 구성하는 토양과 동일한 황토가 포트 재질로 사용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황토에 의한 녹조 제거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황토에 혼합 반죽되는 연소 부재가 황토를 굽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연소 되어 통공이 형성되므로, 포트 제조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포트를 꼭지점이 하단에 위치되는 원뿔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수변(水邊)이나 호안(湖岸)에 직접 포트를 꽂아 식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및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4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실시형태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100)는, 몸체(110), 연소 부재(140)의 연소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통공(13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며, 연소 부재(140)가 혼합 및 반죽 되어 형성된다.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므로 수분의 함유가 가능하며, 천연재료 이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녹조 제거에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황토는 물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므로 하천이나 호수 바닥에 가라앉아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몸체(110)는 수생식물의 생육을 위한 토양이 수용되는 수용부(120)를 가지며, 수용부(120)는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수생식물의 식재를 위해 상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몸체(110)는 수중 물살에 의해 황토가 흐트러지거나, 투척 시 충격에 의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온도의 화로에서 구워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100)를 형성하게 되며, 설정된 온도는 몸체(110)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연소 부재(140)는 몸체(110)를 굽는 동안 연소 되어 소멸 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나, 쉽게 구할 수 있고 천연재료인 왕겨, 볏짚, 갈대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소 부재(140)는 몸체(110)가 구워지는 동안 연소 되어, 연소 부재(140)가 있던 곳은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데, 이러한 빈 공간 중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제1 통공(130)이다.
제1 통공(130)을 통해, 수생식물의 뿌리가 몸체(110) 밖으로 뻗어 나올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수생식물이 수중 바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추가하여, 몸체(110)에 인위적으로 형성된 제3 통공(333)이 함께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몸체(110)는 수용부(120)에 토양이 수용된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부의 부피를 더 크게 하는 것, 하부에 질량이 큰 물질을 추가하여 반죽하는 것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투척에 의해 하천이나 호수의 바닥에 가라앉은 몸체(110)의 상면이 위쪽을 향하게 위치될 수 있으므로, 몸체(110)가 경사지게 위치되어 수용부(120)에 수용된 토양이 유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a)는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며, (b)와 (c)는 (a)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2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나, 제2 통공(230)을 가지는 식생 포트(203)가 더 구비되며, 식생 포트(203)가 몸체(110)의 수용부(120)에 결합 되어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식생 포트(203), 식생 포트(203)와 수용부(120)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생 포트(203)는 수생식물의 식재를 위한 토양이 수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뿔 형으로 구비되며, 꼭지점이 하부를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면은 개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식생 포트(203)는 측면에 수생식물의 뿌리가 지날 수 있는 제2 통공(23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원뿔 형의 식생 포트(203)가 별개로 구비되는 것은, 뾰족하게 구비되는 하부를 이용하여 수변(水邊) 또는 호안(湖岸)의 수심이 상대적으로 얕은 지역에 식생 포트(203)를 직접 꽂아서 수생식물을 식재하거나, 몸체(110)와 결합시켜 투척에 의해 수심이 상대적으로 깊은 곳에 식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식생 포트(203)와 몸체(110)의 결합은 식생 포트(203)의 외면과 수용부(120)의 내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결합 홈(160), 나머지 일방에 형성되며 결합 홈(160)에 대응되는 나선형의 결합 돌기(26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110) 형성을 위한 반죽 시, 식생 포트(203)를 이용하여 몸체(110)의 외형을 형성한 후 분리하여 화로에 굽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생 포트(203)는 그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차폐판(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차폐판(250)은 수생식물이 식재된 토양의 유실을 막기 위함이며, 수생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식생 포트(203)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300)는 몸체(310)가 하부로 갈수록 횡 단면적이 작아지며,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300)는 몸체(310)가 앞서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식생 포트(203)와 같이 원뿔 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수변(水邊) 또는 호안(湖岸)의 수심이 상대적으로 얕은 지역에 직접 꽂아서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황토재질로 구비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의 제4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400)는, 앞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와 대부분의 구성이 대동소이하나, 수용부(320)의 개방된 상면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개방된 상면의 둘레를 따라 수용부(320) 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유실 차단부(413)가 몸체(310)에 더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실 차단부(413)에 의하면, 개방된 상면을 통해 수용부(320)에 수용된 토양의 유실을 억제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용이하게 변경, 변형 또는 치환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됨을 밝혀둔다.

Claims (8)

  1. 황토를 포함하며, 일 측으로 개방되고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식물의 식재를 위한 토양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황토와 혼합 반죽 되어 상기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가 설정된 온도에서 구워질 때 연소 되어 상기 몸체의 일 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연소 부재; 및
    상기 연소 부재의 연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통공;을 포함하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하부로 갈수록 횡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개방된 상면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개방된 상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수용부 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유실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부에 토양이 수용된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식물의 식재를 위한 토양이 수용되도록 내부가 비어있으며, 꼭지점이 하부를 향하고, 상면이 개방된 원뿔 형으로 구비되는 식생 포트;로서 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통공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생 포트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생 포트의 외면과 상기 수용부의 내면 중 어느 일방에는 나선형의 결합 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방에는 상기 결합 홈에 대응되는 나선형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인위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3 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부재는, 왕겨, 볏짚, 갈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KR1020130151274A 2013-12-06 2013-12-06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KR101579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74A KR101579808B1 (ko) 2013-12-06 2013-12-06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74A KR101579808B1 (ko) 2013-12-06 2013-12-06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125A true KR20150066125A (ko) 2015-06-16
KR101579808B1 KR101579808B1 (ko) 2015-12-24

Family

ID=5351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274A KR101579808B1 (ko) 2013-12-06 2013-12-06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4477S1 (en) 2020-09-29 2023-11-14 Gerald Johnson Adaptor for a planter
USD983085S1 (en) 2020-09-29 2023-04-11 Gerald Johnson Receptacle for adapting outdoor planter to ind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289A (ko) * 2002-04-20 2003-10-30 한승호 다공질 화분
KR20030089620A (ko) * 2002-05-16 2003-11-22 이용수 황토 화분의 제조방법
KR100832336B1 (ko) * 2007-03-21 2008-05-26 김인한 섬유포트를 수생식물의 하천바닥 식재에 이용하는 방법
KR20130042184A (ko) *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식생포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289A (ko) * 2002-04-20 2003-10-30 한승호 다공질 화분
KR20030089620A (ko) * 2002-05-16 2003-11-22 이용수 황토 화분의 제조방법
KR100832336B1 (ko) * 2007-03-21 2008-05-26 김인한 섬유포트를 수생식물의 하천바닥 식재에 이용하는 방법
KR20130042184A (ko) *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식생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808B1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riptsova et al. Laboratory experiment to determine the potential of two macroalgae from the Russian Far-East as biofilters for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IMTA)
KR101579808B1 (ko)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Dahlgren et al. Can different vegetative states in shallow coastal bays of the Baltic Sea be linked to internal nutrient levels and external nutrient load?
CN102498910A (zh) 沉水植被斑块的制备方法
Takeda et al. The effects of burrowing of Helice tridens (De Haan) on the soil of a salt-marsh habitat
CN105800792B (zh) 水体修复方法
KR101101343B1 (ko) 잘피의 용이한 안착을 도모하는 잘피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이식방법
KR101543202B1 (ko) 내파성 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CN110506689B (zh) 一种用于虾苗培育的池底环沟结构
CN110447578A (zh) 一种模拟自然演替的废弃虾塘生态修复方法
Kashyap et al. Effect of media on hardening of in vitro multiplied plantlets of gloxinia and saintpaulia under low cost polytunnels
CN102498836B (zh) 利用本地植物阻控外来杂草胜红蓟生长的方法
Cook et al. Introducing bryozoans
KR101747531B1 (ko) 조립식 패류, 어류, 해조류 서식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2002058382A (ja) 海藻類育成用人工礁
KR100832336B1 (ko) 섬유포트를 수생식물의 하천바닥 식재에 이용하는 방법
Ausich et al. New Tethyan Apiocrinitidae (Crinoidea, Articulata) from the Jurassic of Israel
CN106006977B (zh) 水体修复方法
Ramesh et al. Biodiversity of the fungi in extreme marine environments
CN208402897U (zh) 玻璃钢鲍鱼或海参养殖笼
JP2012044961A (ja) 礫耕栽培方法及び来待石粉体製容器の製造方法
Prasad et al. The genus Thalassiosira (Bacillariophyta): T. cedarkeyensis, a new marine benthic diatom from the Florida coast of the Gulf of Mexico
KR101933958B1 (ko) 연안 복합생물 서식지, 및 이에 의한 생물 복원 방법
CN109081448A (zh) 一种阶梯式种植有机香水莲花的方法
Pears The formation of anthropogenic soils across three marginal landscapes on Fair Isle and in The Netherlands and Ire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