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526Y1 -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 Google Patents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526Y1
KR200387526Y1 KR20-2005-0009312U KR20050009312U KR200387526Y1 KR 200387526 Y1 KR200387526 Y1 KR 200387526Y1 KR 20050009312 U KR20050009312 U KR 20050009312U KR 200387526 Y1 KR200387526 Y1 KR 200387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alt
boulder
souvenir
heat treatment
gl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수
강상청
양경식
Original Assignee
양윤수
강상청
양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수, 강상청, 양경식 filed Critical 양윤수
Priority to KR20-2005-0009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5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7/00Preserving paintings, e.g. by varnishing

Landscapes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무암을 사용하기에 편리한 일정 규격의 판상으로 절단하거나 자연형태 그대로의 현무암 돌맹이를 구비하고, 이렇게 절단한 현무암 돌판이나 현무암 돌맹이의 한쪽면에 소정의 형상을 조각한 후 그 위를 유약 처리한 다음 이것을 적정 온도 및 시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파손되거나 퇴색되지 않으면서 오랜 기간 깨끗하고 양호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모든 자연석이 이에 해당되나, 특히 제주도의 현무암이 주재료로 사용되고 돌판 상면 조각부위는 다양한 색채의 유약으로 코팅되어 흙가마나 전기로에서 적정온도 및 시간 동안 열처리되므로서, 제품에 다양한 색채 구현으로 외관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색채 또한 변하지 않으므로 오랫동안 기념품으로서의 화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기공 속에 스며드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므로 오랜 기간 동안 깨끗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등 예술적, 친환경적 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Heat treatment souvenir using basalt}
본 고안은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작한 기념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당한 크기의 현무암 돌맹이를 구비하거나 현무암을 사용하기에 편리한 일정 규격의 판상으로 절단하고, 이렇게 절단한 현무암 돌판이나 현무암 돌맹이의 한쪽면에 소정의 형상을 조각한 후 그 위를 유약 처리한 다음 이것을 적정 온도 및 시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파손되거나 퇴색되지 않으면서 오랜 기간 깨끗하고 양호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무암으로 제작된 토산품, 기념품들은 오랜 세월 동안 변함없이 색채가 없고 기공이 많은 원석 그대로를 가공한 제품으로서, 모양이나 표정이 일률적인 것이 대부분이며, 또한 돌가루와 접착제를 반죽하여 주물제작한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이렇게 제작한 제품들은 많은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제품은 해녀상, 돌하르방, 물허먹상, 초가집 등이다.
이러한 토산품, 기념품들은 현무암 중 일부 조면암이 있지만 송이석 등 가공이 쉬운 원석 그대로를 가공하여 그대로 제품화함으로써 색채가 없는 단조로움과 많은 기공 속에 먼지나 이물질이 스며들어 실내의 방이나 거실 등에 장식품으로 놓일 경우 친환경적이 아니며, 자주 먼지 등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돌가루와 접착제를 반죽한 후 압축 성형하여 주물제작한 제품은 토산품이나 기념품으로서 가치가 떨어지고 열에 약하므로 질적인 면에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현무암을 이용한 토산품, 기념품들은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통상적인 방법, 즉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는 제품들로서 예술적, 환경적 가치가 미비하고, 돌가루와 접착제를 반죽하여 주물제작한 제품들은 쉽게 퇴색하고 파손의 우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모든 자연석이 이에 해당되나, 특히 제주도의 현무암이 주재료로 사용되고 현무암 돌판이나 현무암 돌맹이 상면 조각부위는 다양한 색채의 유약으로 코팅되어 흙가마나 전기로에서 적정온도 및 시간 동안 열처리되므로서, 제품에 다양한 색채 구현으로 외관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색채 또한 변하지 않으므로 오랫동안 기념품으로서의 화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기공 속에 스며드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므로 오랜 기간 동안 깨끗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등 예술적, 친환경적 제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규격의 판상으로 절단된 현무암 돌판의 상면에 소정형상의 조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각부의 상면은 유약으로 코팅 처리되며, 이것이 노 내에서 800∼1,200℃의 온도로 적어도 20분 이상 소성가열되어서, 주재료인 현무암 돌판상의 조각부에 유약층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무암 돌판상의 조각부에 코팅되는 유약층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무암 돌판상의 조각부는 해녀상, 돌하르방, 물허먹상, 초가집 등 제주도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연 그대로의 현무암 돌맹이의 상면에 소정형상의 조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각부의 상면은 유약으로 코팅 처리되며, 이것이 노 내에서 800∼1,200℃의 온도로 적어도 20분 이상 소성가열되어서, 주재료인 현무암 돌맹이상의 조각부에 유약층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은 현무암 특유의 질감 위에 다양한 형상, 예를 들면 해녀상, 돌하르방, 물허먹상, 초가집 등 제주도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표현하고, 이를 유약 코팅 처리 및 열처리 함으로써, 천연재료인 현무암 사용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유약으로 코팅 처리한 후 열처리함에 따라 퇴색되거나 변질되지 않고 오랜 기간 깨끗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어 기념품으로서의 가치를 소장가치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현무암 돌판의 표면에 코팅되는 유약층의 경우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이 가능하므로 기념품의 소비자로 하여금 새로운 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등 그 제품의 외관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본 고안의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현무암 원석(40)을 사용하기에 편리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판상으로 절단한다.
이때, 사용되는 현무암 원석(40)으로는 제주 현무암 자연석, 구체적으로는 조면암, 송이석, 부석 등 화산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절단한 현무암 돌판(10)은 사각판, 원판 등 다양한 형태 및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폭과 길이가 각기 다른 사각형, 즉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300mm와 200mm 이하의 사각형의 판상구조를 적당한 기준(예를 들면, 100mm 간격으로)을 가지고 대,중,소로 구별하고, 그 두께가 15∼60mm가 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원형의 경우에도 지름 300mm 이하로 대,중,소로 구분하면서 그 두께가 15∼60mm가 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제작된 판상의 현무암 돌판(10)의 상면에 여러 형태의 조각부(20)를 양각방식으로 조각하고, 계속해서 이렇게 형성한 조각부(20)에 다양한 칼라의 유약층(30)을 형태에 따라 5mm 정도 이내의 두께로 코팅 처리한다.
이때의 유약층(30)의 코팅은 조각부(20)에만 한정하지 않고 조각부 주변의 상면 전체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유약층(30)은 도자기 등의 표면에 도포되는 얇은 유리층으로서, 이렇게 다양한 칼라의 유약층(30)이 코팅처리된 현무암 돌판(10)은 다양한 색채 구현으로 외관을 높일 수 있고, 기공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스며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현무암 돌판(10)의 상면 조각부(20)에 코팅한 다양한 칼라의 유약층(30)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흙가마나 전기로 등에 넣고 일정 온도와 시간 동안 열을 가해 굽는다.
이때, 도자기 제조용 흙가마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800∼1,200℃에서 7∼8시간 동안 열처리하고, 전기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현무암의 질에 따라 적정 가열온도인 800∼1,200℃에서 20분 내지 1시간 동안 소성 가열한다.
여기서, 흙가마를 이용한 가열시 7시간 보다 짧게 가열하면 원석과 유약층이 일체감이 없고 다양한 색채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8시간 이상을 가열하게 되면 원석이 휘거나 녹아버리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기로를 이용한 가열시 1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원석이 휘거나 녹아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유약층 정착을 위한 위의 온도범위 이하이거나 이상이면 각각 유약층이 덜 녹아 원석과의 일체감이 없으며 원석이 휘거나 녹아버리는 문제가 있어 위의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의 과정(현무암 돌판 제작, 조각, 유약층 코팅처리, 열처리)을 모두 수행하게 되면 하나의 완성된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토산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무암 돌판(10)의 조각부(20)에 유약을 도포한 후 열처리를 하면 유약 성분이 돌판 표면에 융착되어 표면을 매끄러운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 다양한 칼라의 유약층(30)의 표면에 연출되므로 기념품으로서의 외관을 높일 수 있고, 또 현무암 재질이 갖는 많은 기공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스며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로서, 인위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적당한 크기의 자연 그대로의 현무암 돌맹이를 이용하여 기념품, 토산품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현무암 돌맹이는 하천이나 바닷가 등에 널리 분포되어 쉽게 구할 수 있는 원형이나 타원형태의 현무암 돌맹이로서, 현무암 돌판과 마찬가지로 표면에 많은 기공이 있으며, 표면이 거친 현무암 돌판에 비해 약간 매끈한 표면을 갖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현무암 돌맹이를 기념품이나 토산품으로 활용시 직경이 5∼15cm 정도의 크기와 1∼5c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현무암 돌맹이의 경우에도 한쪽면에 조각부를 형성한 후 현무암 돌판의 경우와 동일한 조건으로 유약처리나 열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기념품이나 토산품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유약층을 가지면서 열처리됨에 따라 우수한 외관성 및 보존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현무암을 사용하기에 편리한 여러 형태의 규격의 판상으로 절단하거나 적당한 크기의 자연 그대로의 현무암 돌맹이를 구비하고, 이 절단된 돌판이나 현무암 돌맹이의 상면 조각부위를 다양한 색채의 유약으로 코팅 처리한 후 이를 적정 온도 및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주재료인 현무암 돌판이나 현무암 돌맹이의 상면에 칼라 유약층을 형성하여서 된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토산품을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현무암을 주재료로 여러 형태의 돌판이나 현무암 돌맹이 상면 조각부위에 다양한 색채의 유약을 코팅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기존 제품보다 외관성, 친환경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2) 유약층 코팅으로 돌판 상면 기공에 먼지 등 이물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돌판 상면에 다양한 색채 구현으로 외관성을 높임으로써 예술적 심미감을 줄 수 있다.
4) 적정한 온도와 시간으로 열처리함으로써 색채가 변지 않고 오래도록 기념화할 수 있다.
5) 기존 제품은 형태나 표정이 한가지로 단조로운데 반해, 스마일 등 다양한 표정과 모습으로 연출(조각)할 수 있어 한층 친밀감을 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의 제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무암 돌판 20 : 조각부
30 : 유약층 40 : 현무암 원석

Claims (4)

  1. 일정규격의 판상으로 절단된 현무암 돌판(10)의 상면에 소정형상의 조각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조각부(20)의 상면은 유약으로 코팅 처리되며, 이것이 노 내에서 800∼1,200℃의 온도로 적어도 20분 이상 소성가열되어서, 주재료인 현무암 돌판(10)상의 조각부(20)에 유약층(30)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무암 돌판(10)상의 조각부(20)에 코팅되는 유약층(30)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현무암 돌판(10)상의 조각부(20)는 해녀상, 돌하르방, 물허먹상, 초가집 등 제주도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4. 자연 그대로의 현무암 돌맹이의 상면에 소정형상의 조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각부의 상면은 유약으로 코팅 처리되며, 이것이 노 내에서 800∼1,200℃의 온도로 적어도 20분 이상 소성가열되어서, 주재료인 현무암 돌맹이상의 조각부에 유약층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KR20-2005-0009312U 2005-04-06 2005-04-06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KR200387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12U KR200387526Y1 (ko) 2005-04-06 2005-04-06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12U KR200387526Y1 (ko) 2005-04-06 2005-04-06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526Y1 true KR200387526Y1 (ko) 2005-06-17

Family

ID=4368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12U KR200387526Y1 (ko) 2005-04-06 2005-04-06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5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129B1 (ko) 2008-05-07 2010-06-16 양경식 생선회 받침용 현무암 돌판 및 제조방법
KR101201241B1 (ko) * 2010-05-27 2012-11-14 김정수 현무암의 가공방법
KR101241437B1 (ko) * 2012-07-18 2013-03-11 송봉섭 도화 판석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129B1 (ko) 2008-05-07 2010-06-16 양경식 생선회 받침용 현무암 돌판 및 제조방법
KR101201241B1 (ko) * 2010-05-27 2012-11-14 김정수 현무암의 가공방법
KR101241437B1 (ko) * 2012-07-18 2013-03-11 송봉섭 도화 판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24230B (zh) 黑金花釉料及具有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CN100372798C (zh) 陶瓷高温釉下彩工艺
CN110317084A (zh) 一种珍珠气泡釉陶瓷及其制备方法
KR200387526Y1 (ko)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CN110078474A (zh) 建水紫陶白泥料器件表面凹凸画面雕刻成形方法
CN102372480B (zh) 一种建水紫陶饰品的制作方法
KR101348080B1 (ko)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가진 띠가 구현된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20100138750A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JP5021787B2 (ja) 陶磁器における稲わらによる施釉方法。
JP5244057B2 (ja) 人造星砂等の飾りをちりばめた陶磁器の製造方法
KR101092559B1 (ko) 창문투시효과를 갖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N110642597A (zh) 一种紫陶水缸的制作方法
CN106007811B (zh) 一种微晶金刚石瓷砖的制备方法
KR100194902B1 (ko) 석재의 가공방법
KR101628137B1 (ko) 한지 질감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2634792B1 (ko)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CN102795889A (zh) 刻瓷赋彩产品的制备工艺
KR101705953B1 (ko)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
KR20040058820A (ko)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30083289A (ko) 다공질 화분
KR20180131204A (ko) 도자기 제조방법
JP2651360B2 (ja) ぼかし模様を有するセラミックタイルの製造方法
KR200364423Y1 (ko) 판넬 형상의 유리타일.
JPH05309636A (ja) 宝石をはめ込んだ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058672U (ja) いぶし柄付き釉薬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