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031A -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가능한 영상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가능한 영상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031A
KR20030082031A KR1020020020535A KR20020020535A KR20030082031A KR 20030082031 A KR20030082031 A KR 20030082031A KR 1020020020535 A KR1020020020535 A KR 1020020020535A KR 20020020535 A KR20020020535 A KR 20020020535A KR 20030082031 A KR20030082031 A KR 20030082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orienta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355B1 (ko
Inventor
하루유키요시오카
마사키오구로
히로시이이즈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355B1/ko
Priority to US10/410,228 priority patent/US7535415B2/en
Publication of KR2003008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easuring, monitoring or signaling apparatus, e.g. for transmitting measured information to a central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Sharing resources, e.g. processing power or memory, with a connected apparatus 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3Position information, e.g. geographical position at time of capture, GPS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amera Data Copying Or Recording (AREA)

Abstract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상기록장치가 개시된다. 영상기록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 지자계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부, 센싱부에 감지된 지자계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방위정보를 산출하는 방위정보산출부, 및 위치정보와 방위정보를 기록부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갖는다. 기록매체를 재생할 때 재생되는 영상과 함께 재생되는 영상이 촬영된 위치 및 방위에 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됨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이 촬영된 위치 및 방위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상기록장치{Image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location that an object is shotted}
본 발명은 디지털 캠코더(digital camcod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를 촬영한 위치 및 방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디지털 캠코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캠코더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일반적인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의 기능과 촬영된 피사체를 녹화하는 비디오 녹화기(video recorder)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캠코더를 이용하여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자기테이프 및 메모리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촬영한 피사체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여 피사체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은 디지털 캠코더에 부착된 액정화면 및 뷰파인더(view finder)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디지털 캠코더를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하여 재생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캠코더의 장점은 무엇보다 야외나 공연장 등 어느 곳이나 원하는 대상을 쉽게 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촬영장치라는 점이다. 그러나, 디지털 캠코더는 기록매체의 재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촬영한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단말기를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촬영한 영상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캠코더로 촬영한 영상의 시간과 휴대용 GPS 단말기를 통해 산출된 위치정보의 시간을 매칭시켜 촬영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촬영할 때마다 휴대용 GPS 단말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휴대용 GPS 단말기를 통해 산출된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휴대용 GPS 단말기에는 충분한 용량의 메모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용 GPS 단말기의 생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GPS 단말기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시간과 디지털 캠코더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의 시간을 매칭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용 컴퓨터 및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시간을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촬영위치확인을 위한 방법은, 각각의 시간을 매칭시켜 촬영한 위치는 확인할 수 있지만 촬영한 위치의 어느 방향을 촬영한 것인지는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한 위치의 지도상의 특정 목표물 등을 통해 촬영 방향을 추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 나침반이 내장된 GPS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나침반 내장형 GPS 단말기를 통해 현재의 위치 및 방위를 계측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촬영된 위치 및 방위를 확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하여 기록매체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시간 및 전자 나침반 내장형 GPS 단말기에서 측정된 위치/방위정보의 시간을 매칭시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촬영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별도의 기록매체에 저장하여 피사체를 촬영한 기록매체를 함께 보관 및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캠코더로 촬영한 영상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촬영할 때마다 전자 나침반 내장형 GPS 단말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디지털 캠코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나침반 내장형 GPS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자 나침반 내장형 GPS 단말기 및 기록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를 연결하여 각각의 시간을 매칭시켜 촬영된 영상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캠코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한 영상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영상기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연결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위치정보산출부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전송부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의 촬상부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6은 도 1의 기록부의 예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위치/방위 측정장치 110 : 수신부
120 : 전원부 130 : 위치정보산출부
132 : 증폭부 134 : 동기증폭부
136 : 고주파신호처리부 138 : 위치계산부
150 : 센싱부 170 : 방위정보산출부
190 : 전송부 192 : 출력제어부
194 : 저장부 196 : 표시소자
198 : 인터페이스부 200 : 기록계
220 : 촬상부 221 : 렌즈
223 : CCD 225 : 제1영상처리부
227 : 영상제어부 229 : 압축처리부
240 : 기록부 242 : 제2영상처리부
244 : 합성부 246 : 제3영상처리부
248 : 헤드 300 : 연결부
320 : 제1 고정부 340 : 제2 고정부
360 : 제1 연결단자 380 : 제2 연결단자
상기와 같은 목적은,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에 수신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 지자계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부, 센싱부에 감지된 지자계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방위정보를 산출하는 방위정보산출부,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며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단자를 구비한 연결부, 및 위치정보산출부와 방위정보산출부에서 각각 산출된 위치정보와 방위정보를 전송단자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위치/방위 측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위치/방위 측정장치는 위치정보산출부 및 방위정보산출부에서 각각 산출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갖는다. 또한, 위치/방위 측정장치는 수신부, 위치정보산출부, 센싱부, 방위정보산출부, 및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정용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 지자계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부, 센싱부에 감지된 지자계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방위정보를 산출하는 방위정보산출부, 및 위치정보와 방위정보를 기록부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영상기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기록부는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가 수신되면, 피사체에 대응되는 영상을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와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영상기록장치는 고정부 및 전송단자를 갖는 연결부를 더 갖는다. 고정부는, 수신부, 위치정보산출부, 센싱부, 방위정보산출부와 전송부가 수용된 제1케이싱, 및 촬상부와 기록부가 수용된 제2케이싱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전송단자는, 제1케이싱에서 출력되는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기록부에 전송한다. 이때, 전송단자는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부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기록부에 전송된다. 본 실시예의 영상기록장치는, 위치정보산출부 및 방위정보산출부에서 각각 산출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갖는다. 또한, 영상기록장치는, 수신부, 위치정보산출부, 센싱부, 방위정보산출부, 및 전송부에 전원을 별로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갖는다. 이때, 본 실시예의 영상기록장치는 디지털 캠코더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매체를 재생할 때 재생되는 영상과 함께 재생되는 영상이 촬영된 위치 및 방위에 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됨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이촬영된 위치 및 방위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한 영상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영상기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기록장치의 예로서 디지털 캠코더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도면의 영상기록장치는,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산출하는 위치/방위 측정장치(100),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과 위치/방위 측정장치(10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연계시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계(200), 및 위치/방위 측정장치(100)와 기록계(200)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고 위치/방위 측정장치(10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기록계(200)에 전송하기 위한 연결부(300)를 갖는다.
이에 따라, 기록계(200)는 촬영한 영상과 연결부(300)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따라서, 기록매체를 재생할 때, 재생되는 영상이 기록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방위 측정장치(100)로 GPS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위치/방위 측정장치(100)는, 수신부(110), 위치정보산출부(130), 센싱부(150), 방위정보산출부(170), 전송부(190), 및 전원부(120)를 갖는다. 수신부(110)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한다. 위치정보산출부(130)는 수신부(110)에 수신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센싱부(150)는 전자 나침반을 이용하여지자계 방향을 감지한다. 방위정보산출부(170)는 센싱부(150)에 감지된 지자계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방위정보를 산출한다.
전송부(190)는 위치정보산출부(130) 및 방위정보산출부(170)에서 각각 산출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연결부(300)를 통해 기록계(200)로 전송한다. 전원부(120)는 위치/방위 측정장치(100)가 연결부(300)를 통해 기록계(200)와의 연결 여부에 상관없이 위치/방위 측정장치(100)에 독립전원을 공급한다. 즉, 전원부(120)는 수신부(110), 위치정보산출부(130), 센싱부(150), 방위정보산출부(170), 및 전송부(190)에 독립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기록계(200)는, 촬상부(220) 및 기록부(240)를 갖는다. 촬상부(220)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기록부(240)는 촬상부(220)에서 출력된 영상과 연결부(300)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합성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도 2는 도 1의 연결부(300)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연결부(300)는, 제1고정부(320)와 제2고정부(340), 및 제1전송단자(360)와 제2전송단자(380)를 갖는다. 이때, 제1고정부(320)와 제1전송단자(360)는 위치/방위 측정장치(100)의 케이싱의 일부위에 마련된다. 또한, 제2고정부(340)와 제2전송단자(380)는 기록계(300)의 케이싱의 일부위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고정부(340)와 제2전송단자(380)는 기록계(200)를 이용하여 촬영에 필요한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공통의 규격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320)와 제2고정부(340)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전송단자(360)와 제2전송단자(380)는 제1고정부(320)와 제2고정부(34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위치/방위 측정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기록계(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재생하면 재생되는 영상과 함께 재생되는 영상이 촬영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됨에 따라, 촬영한 영상의 위치 및 방위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방위 측정장치(100)를 컴퓨터 등에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위치정보산출부(130)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위치정보산출부(130)는, 증폭부(132), 동기증폭부(134), 고주파신호처리부(136), 및 위치계산부(138)를 갖는다. 증폭부(132)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10)인 안테나(110)에 수신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아날로그 증폭한다. 동기증폭부(134)는 증폭부(132)에서 증폭된 위치측정용 데이터의 동기신호를 제공한다. 고주파신호처리부(136)는 동기증폭부(134)에서 제공된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증폭부(132)에서 증폭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고주파신호처리한다. 위치계산부(138)는 동기증폭부(134)에서 제공된 동기신호 및 고주파신호처리부(136)에서 출력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근거로 현재의 위치를 계산한다.
도 4는 도 1의 전송부(190)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 따른 전송부(190)는, 출력제어부(192), 저장부(194), 표시소자(196), 및 인터페이스부(198)를 갖는다. 출력제어부(192)는 위치계산부(138) 및 방위정보산출부(17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설정된 프로세싱에 따라 데이터전송버스를 출력한다.저장부(194)는 출력제어부(192)에서 출력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저장한다. 표시소자(196)는 출력제어부(192)로부터 출력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LCD(미도시) 등에 디스플레이한다. 인터페이스부(198)는 출력제어부(192)에서 출력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출력제어부(192)는 위치/방위 측정장치(100)가 연결부(300)를 통해 기록계(200)와 연결된 경우, 위치계산부(138) 및 방위정보산출부(17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기록계(200)에 전송한다. 또한, 출력제어부(192)는 위치/방위 측정장치(100)가 연결부(300)를 통해 기록계(200)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위치계산부(138) 및 방위정보산출부(17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저장부(194)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부(194)는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저장한다.
도 5는 도 1의 촬상부(220)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촬상부(220)는, 렌즈(221), CCD(charge coupled device)(223), 제1영상처리부(225), 영상제어부(227), 및 압축처리부(229)를 갖는다. 렌즈(221)는 피사체를 촬상한다. CCD(223)는 렌즈(221)에서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축적 및 축적된 영상을 전송한다. 제1영상처리부(225)는 CCD(223)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기록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제어부(227)는 제1영상처리부(225)의 신호 변환 동작을 제어한다. 압축처리부(229)는 제1영상처리부(225)에서 변환된 영상을 기록계(200)에 설정된 영상의 기록 포맷에 따라 압축 처리한다.
도 6은 도 1의 기록부(240)의 예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기록부(240)는, 제2영상처리부(242), 합성부(244), 제3영상처리부(246), 및 헤드(248)를 갖는다. 제2영상처리부(242)는 연결부(300)를 통해 전송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합성부(244)는 압축처리부(229)로부터 출력된 압축된 영상과 제2영상처리부(242)로부터 출력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하나의 신호로 합성한다. 제3영상처리부(246)는 합성부(244)에서 영상,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가 합성된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헤드(248)는 제3영상처리부(246)에서 기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때, 헤드(248)를 통해 기록되는 기록매체는 자기테이프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제3영상처리부(246)에서 기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신호는 스카트 카드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방위 측정장치(100)가 연결부(300)를 통해 기록계(200)와 상호 착탈 가능한 별도의 케이싱 구조를 갖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위치/방위 측정장치(100)와 동일하게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촬영하는 방위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기록계(200)의 소정 부위에 내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을 기록할 때 위치/방위 측정장치(10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를 기록할 영상과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영상이 촬영된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가 영상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함께 기록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기록매체를 재생할 때 재생되는 영상과 함께 재생되는 영상이 촬영된 위치 및 방위에 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됨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이 촬영된 위치 및 방위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8)

  1.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
    지자계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감지된 상기 지자계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방위정보를 산출하는 방위정보산출부;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단자를 구비한 연결부; 및
    상기 위치정보산출부 및 상기 방위정보산출부에서 각각 산출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를 상기 전송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방위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방위 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산출부 및 상기 방위정보산출부에서 각각 산출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방위 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상기 위치정보산출부, 상기 센싱부, 상기 방위정보산출부, 및 상기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방위 측정장치.
  5.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
    지자계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감지된 상기 지자계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방위정보를 산출하는 방위정보산출부; 및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를 상기 기록부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을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와 함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상기 위치정보산출부, 상기 센싱부, 상기 방위정보산출부와 상기 전송부가 수용된 제1케이싱 및 상기 촬상부와 상기 기록부가 수용된 제2케이싱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제1케이싱에서 출력되는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를 상기 기록부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자는 상기 제1케이싱 및 상기 제2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상기 기록부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산출부 및 상기 방위정보산출부에서 각각 산출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상기 위치정보산출부, 상기 센싱부, 상기 방위정보산출부, 및 상기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2.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를 통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위치측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산출부;
    지자계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감지된 상기 지자계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방위정보를 산출하는 방위정보산출부; 및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를 상기 기록부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코더.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을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와 함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코더.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상기 위치정보산출부, 상기 센싱부, 상기 방위정보산출부와 상기 전송부가 수용된 제1케이싱 및 상기 촬상부와 상기 기록부가 수용된 제2케이싱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제1케이싱에서 출력되는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를 상기 기록부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코더.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자는 상기 제1케이싱 및 상기 제2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코더.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상기 기록부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코더.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산출부 및 상기 방위정보산출부에서 각각 산출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방위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코더.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상기 위치정보산출부, 상기 센싱부, 상기 방위정보산출부, 및 상기 전송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캠코더.
KR1020020020535A 2002-04-16 2002-04-16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가능한 영상기록장치 KR100831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535A KR100831355B1 (ko) 2002-04-16 2002-04-16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가능한 영상기록장치
US10/410,228 US7535415B2 (en) 2002-04-16 2003-04-10 Image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object of shoo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535A KR100831355B1 (ko) 2002-04-16 2002-04-16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가능한 영상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031A true KR20030082031A (ko) 2003-10-22
KR100831355B1 KR100831355B1 (ko) 2008-05-21

Family

ID=2878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535A KR100831355B1 (ko) 2002-04-16 2002-04-16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가능한 영상기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35415B2 (ko)
KR (1) KR1008313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24B1 (ko) * 2006-02-03 2007-06-21 주식회사 띠앗정보통신 지능형 원격제어기
KR101019185B1 (ko) * 2009-05-14 2011-03-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카메라
KR101028492B1 (ko) * 2009-05-14 2011-04-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 플래쉬 단자에 부착 가능한 지리정보 획득장치
KR101314565B1 (ko) * 2007-01-04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7308A1 (en) * 2004-07-12 2006-01-12 Ide Curtis E Environmentally aware, intelligent surveillance device
KR100796045B1 (ko) * 2007-02-08 2008-01-21 (주)올라웍스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지오 태깅 방법 및 이를 위한 지리적명칭 정보 제공 방법
TWI661723B (zh) * 2008-08-08 2019-06-01 日商尼康股份有限公司 攜帶資訊機器及資訊取得系統
KR101038918B1 (ko) * 2008-09-08 2011-06-03 주식회사 지티에스이엔씨건축사사무소 촬영대상의 벡터정보 생성 장치와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KR101561913B1 (ko) 2009-04-17 201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TWI401963B (zh) * 2009-06-25 2013-07-11 Pixart Imaging Inc Dynamic image compression method for face detection
TWI487381B (zh) * 2011-05-19 2015-06-01 Nat Univ Chung Cheng Predictive Coding Method for Multimedia Image Texture
TWI504270B (zh) * 2011-10-12 2015-10-1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視訊通信即時螢幕互動裝置、方法及系統
GB2511679B (en) * 2011-12-08 2016-06-08 Canon Kk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CN104423840B (zh) * 2013-09-04 2019-04-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进度指示条的实现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416A (ja) * 1995-11-08 1997-05-20 Kyocera Corp 被写体位置及び撮影位置を記録再生可能なスチル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JPH09312825A (ja) * 1996-05-20 1997-12-02 Sony Corp 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記録媒体、再生システム、および再生装置
JPH1169280A (ja) * 1998-04-16 1999-03-09 Toshiba Corp 方位情報を記録可能なスチルカメラおよび再生方法
JP4240619B2 (ja) * 1998-12-28 2009-03-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及び画像記録方法、付加情報記録システム
JP2001128052A (ja) * 1999-10-28 2001-05-11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カメラ装置における被写体位置計算方法
JP4236372B2 (ja) * 2000-09-25 2009-03-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空間情報利用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システム
JP4649050B2 (ja) * 2001-03-13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7382405B2 (en) * 2001-12-03 2008-06-03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user identification function and user identification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24B1 (ko) * 2006-02-03 2007-06-21 주식회사 띠앗정보통신 지능형 원격제어기
KR101314565B1 (ko) * 2007-01-04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19185B1 (ko) * 2009-05-14 2011-03-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카메라
KR101028492B1 (ko) * 2009-05-14 2011-04-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 플래쉬 단자에 부착 가능한 지리정보 획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355B1 (ko) 2008-05-21
US20030194203A1 (en) 2003-10-16
US7535415B2 (en)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355B1 (ko)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가능한 영상기록장치
KR100397810B1 (ko) 카메라, 카메라시스템, 정보기록시스템, 시계 및 카메라와 시계장치의 링크시스템 및 카메라와 시계의 링크방법
US7477295B2 (en) System and method of photography using digital camera capable of detecting information on a photographed site
US81704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position information in captured image
US200901352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position information into image
US20110292202A1 (en)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50078195A1 (en) Mobile digital surveillance system
JP200135897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機器、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314346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534455A (ja) 測位ナビゲーション情報と画像情報を結合した持運びデジタル撮影システム
KR100777458B1 (ko) 영상기록장치에 착탈 가능한 위치정보출력장치 및 이를구비한 영상기록장치
JP2008288745A (ja) 映像情報処理装置
KR100806395B1 (ko) 영상 및 위치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영상기록장치
JPH0927937A (ja) 撮影地点名称記録装置
JPH08154228A (ja) カメラ一体型vtr
US8102420B2 (en) Portable digital photographing system combining position navigation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JP2004297298A (ja) 画像表示装置
JPH1169280A (ja) 方位情報を記録可能なスチルカメラおよび再生方法
KR100933289B1 (ko)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JP3158672B2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400490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229276A (ja) 通信装置、撮像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3324640A (ja) 電子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308917A (ja) 位置情報記録機能付き録画再生装置
JP2006352480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対象案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