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289B1 -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289B1
KR100933289B1 KR1020030052904A KR20030052904A KR100933289B1 KR 100933289 B1 KR100933289 B1 KR 100933289B1 KR 1020030052904 A KR1020030052904 A KR 1020030052904A KR 20030052904 A KR20030052904 A KR 20030052904A KR 100933289 B1 KR100933289 B1 KR 10093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ditional information
recording
sig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323A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2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촬영장치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적 신호로 광전변환시킨 후 신호처리하여 생성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영상신호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산출하는 부가정보 산출부,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저장부, 전원공급부,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를 저장부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및 기록신호를 수신하면, 전원공급부가 부가정보 산출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가 저장부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GPS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동안에 GPS유닛의 전력소비를 막아 결과적으로 촬영장치의 사용가능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30052904
GPS, 카메라부, GPS전원제어스위치

Description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Photograp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ing power to GPS unit during recording image signal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지털캠코더의 블럭도,
도 2a 내지 도 2e는 기록/재생모드의 선택방법 및 영상신호,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 설정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지털캠코더의 전원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카메라부 120 : 저장부
131 : 배터리 133 : GPS전원제어스위치
135 : GPS부 140 : 메인제어부
155 : 키입력부 163 : LCD
본 발명은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 위치확인 시스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 촬영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GPS는 고도 약 2만㎞, 주기 약 12시간, 궤도경사각 55도인 6개의 원궤도에 각각 4개씩 발사된 도합 24개의 GPS위성들과 GPS위성들을 관리하는 지상제어국, 이용자의 이동국으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에서, 이용자는 자신의 시계(視界)내에 있는 GPS위성들 중 적당한 4개의 GPS위성을 선택하여, 선택된 GPS위성들로부터 시각(時刻)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거리를 측정한다. 선택된 4개의 GPS위성들의 위치는 알려져 있으므로, 이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도, 경도, 고도의 3차원적 위치와 시각 등을 알 수 있다.
원래, GPS는 1970년대 초에 미국 국방성이 자국의 군사목적을 위하여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가동이 시작되었다. GPS는 시간 및 기상상태에 관계없이 지구전역에서 사용가능한 가장 이상적인 항법시스템으로서 처음에는 군사적인 용도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경제성 및 유용성으로 인해 급속도로 민간용으로 확장되어 현재에는 가장 일반적인 항법시스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디지털캠코더에도 GPS가 적용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었는데, 이는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와 시각을 산출하는 GPS유닛을 디지털캠코더에 내장시켜 구현할 수도 있으나, 부착/탈착이 가능한 악세사리의 형태의 GPS유닛을 별도로 제공하여, GPS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디지털캠코 더의 외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GSP기능의 사용여부를 소비자의 선택에 맞기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지털캠코더에 GPS기능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을 하는 중에 현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촬영한 영상이 기록될때 위치정보도 함께 기록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후에 촬영한 영상을 재생할 때에도 촬영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이 촬영된 장소인 촬영지에 대한 기억이 잔존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촬영지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GPS유닛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디지털캠코더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전원을 소비하게 된다. GPS유닛이 디지털캠코더에 내장되는 경우는 물론이고, 악세사리 형태인 경우에도 GPS유닛에는 전원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GPS유닛은 디지털캠코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디지털캠코더는 휴대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전원장치로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디지털캠코더에 공급되는 전원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GPS유닛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디키털캠코더의 사용가능시간이 단축된다.
디지털캠코더를 이용하여 영상을 기록하는 과정은 두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촬영자가 디지털캠코더를 기록모드로 작동시키면, 촬상된 영상이 LCD에 디스플레이될 뿐이며 촬상된 영상이 기록매체에 기록되지는 않는데, 여기까지가 제1 단계이다. 이후에 촬영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주시하다가 기록을 원하는 순간에 녹화(Rec.)버튼을 누르게 되면, 비로소 촬상된 영상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데, 이 과정이 제2 단계이다.
종래의 디지털캠코더의 경우, 제1 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GPS유닛은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하게 되며, 산출된 위치정보는 촬상된 영상과 함께 LCD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2 단계에서는, 위치정보에 관한 데이터가 촬상된 영상과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촬상된 영상이 기록매체에 기록되지 않고 단지 LCD에 디스플레이만 되는 제1 단계에도, 촬영자는 GPS유닛이 산출한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 하지만, 디지털캠코더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는, 이미 촬영지가 현재위치가 어디인지를 알고 있는 상태이므로, GPS유닛이 제공하는 위치정보는 불필요하다. GPS유닛이 제공하는 위치정보는 촬영을 마친 후 오랜시간이 흘러 촬영한 영상을 재생시킬때, 촬영자에게 촬영지에 대한 기억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에 필요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GPS정보는 주로 제2 단계에서 필요하므로, 제1 단계에서도 GPS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은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초래하며, 이는 결국 디지털캠코더의 사용가능시간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단계에서 LCD에는 촬상된 영상뿐만 아니라, 현재시간, 촬영시간, 촬영속도, 테이프의 잔량, 및 배터리상태 등도 함께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데, 여기에 GPS유닛이 제공한 위치정보까지 디스플레이된다면, 이로 인하여 촬상된 영상이 가려지는 부분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촬영자는 촬영단계에서의 불필요한 위치정보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고 좁아지는 불편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 위치확인 시스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 촬영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적 신호로 광전변환시킨 후 신호처리하여 생성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신호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산출하는 부가정보 산출부,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저장부, 상기 카메라부, 부가정보 산출부, 및 저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및 상기 기록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위도, 경도, 고도 및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 고,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는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처리하여 생성한 음성데이터를 더 출력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더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를 각각 기록하는 제1 및 제2 기록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제1 및 제2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되고,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제1 및 제2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은, (a)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적 신호로 광전변환시킨 후 신호처리하여 생성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기록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영상신호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산출하는 부가정보 산출부에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부가정보가 산출되는 단계, 및 (d)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위도, 경도, 고도 및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처리하여 생성한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단계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지털캠코더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캠코더는 카메라부(110), 저장부(120), 배터리(131), GPS부(135), 메인제어부(140), 키입력부(155), 및 LCD(163) 등으로 구성된다.
디지털캠코더의 작동모드는 기록모드와 기록된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모드로 나눌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기록모드에서 디지털캠코더의 작동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사용자가 디지털캠코더를 기록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모드선택스위치(미도시)를 기록모드로 조정하여야 힌다. 그리고,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2개의 기록매체선택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촬상된 영상과 부가정보인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를 각각 지정하여야 한다. 한편, 위에 언급한 작동모드선택이나, 기록매체선택은 메뉴화면을 통해 설정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기록/재생모드의 선택방법 및 영상신호,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 설정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메뉴키(미도시)를 누르면, 키입력부(155)는 메인메뉴표시 신호를 메인제어부(140)로 출력하며, 이를 수신한 메인제어부(140)는 표시문자발생부(157)가 메인메뉴항목에 대응하는 문자데이터를 합산부(161)를 거쳐 LCD(163)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항목인 '기록모드', '재생모드', 및 '환경설정'이 LCD(163)에 디스플레이된다. 사 용자는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방향키(미도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고,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확인키(미도시)를 이용하여 커서가 위치한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서를 '기록모드'에 위치시키고 확인키를 누르면, 디지털캠코더는 기록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디지털캠코더에는 기록매체로서 착탈식 IC메모리카드(122)와 VCR카세트테이프(129) 2가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촬상된 영상과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를 각각 선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항목들 중 '환경설정'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사용자가 '환경설정'을 선택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대한 서브메뉴인 '기록매체', '기록속도', '해상도', '자동노출', '색감선택'이 LCD(163)의 맨 앞열에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된 메뉴항목들 중 '기록매체'를 선택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대한 서브메뉴인 '영상', '위치/시각정보'가 LCD(163)의 맨 앞열에 디스플레이 되는데, 전자는 영상신호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항목이며, 후자는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항목이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영상'에 커서를 위치시키면, 오른편에 '메모리카드'와 '테이프'가 디스플레이되며, 방향키를 이용하여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시각정보'에 커서를 위치시키면, 오른편에 '메모리카드'와 '테이프'가 디스플레이되며, 방향키를 이용하여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이 기록되는 기록매체로 '테이프'를 선택하였다면,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는 '메모리카드' 또는 ' 테이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이 기록되는 기록매체로 '메모리카드'를 선택하였다면,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는 '메모리카드'로 자동설정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캠코더가 기록모드로 설정된 경우 카메라부(110)는 촬상된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데, 카메라부(110)는 렌즈부(111), 렌즈구동부(112), CCD(Charge Coupled Device)(113), 카메라신호처리부(115),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 및 마이크(119)로 구성된다.
렌즈구동부(112)는 메인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렌즈부(111)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1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렌즈부(1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촬상하고자 하는 피사체는 렌즈부(111)를 통해 입사되며, 렌즈부(111)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은 CCD(113)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되는데, CCD(113)는 동영상의 촬상에 적합한 인터레이스 스캔방식을 사용한다. 카메라신호처리부(115)는 CCD(113)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기능 이외에, 메인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색상, 색의 진함, 밝기, 셔터속도 등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는 카메라신호처리부(115)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를 합산부(161)를 통해 LCD(163)로 전송하여 디지털 동영상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마이크(119)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 환시켜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로 출력하며,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는 마이크(119)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후에, 사용자가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녹화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는 카메라신호처리부(115)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동영상데이터와 마이크(132)의 출력신호를 변환시켜 생성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각각 압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영상이 기록되어지는 기록매체로서 '테이프'가 설정된 경우, 메인제어부(140)는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가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를 DV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고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PCM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도록 제어하며, 제2 경로지정스위치(123)를 제어하여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에서 압축되어 출력되는 2가지의 데이터가 VCR데크(127)를 통해 VCR카세트테이프(129)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영상기록매체로서 '메모리카드'가 설정된 경우, 메인제어부(140)는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가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를 MPEG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고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G.726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도록 제어하며, 제2 경로지정스위치(123)를 제어하여,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에서 압축되어 출력되는 2가지의 데이터가 착탈식 IC메모리카드(122)에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촬영자가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녹화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위에 서술한 동작이 수행됨과 동시에, 메인제어부(140)는 GPS전원제어스위치(133)가 ON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131)로부터 GPS부(13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녹화버튼(미도시)을 다시 한번 누르거나 정지버튼(미도시)을 눌 러 녹화를 중지하면, 메인제어부(140)는 GPS전원제어스위치(133)가 OFF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131)로부터 GPS부(13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도 1에는 배터리(131)가 GPS부(135)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배터리(131)는 렌즈구동부(112), VCR데크구동부(113), 메인제어부(140) 등 전원이 필요한 모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에 대한 경로는 편의상 미도시하였다.
GPS부(135)에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제어부(140)는 GPS부(135)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GPS부(135)는 자신의 시계(視界)내에 있는 GPS위성들 중 선택된 4개의 GPS위성들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위도, 경도, 고도의 3차원적 위치와 시각 등을 산출한다. GPS부(135)에서 산출된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는 메인제어부(140)로 전송되며, 메인제어부(140)는 표시문자발생부(157)가 위치정보와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문자데이터를 생성하여 합산부(161)를 통해 LCD(163)로 전송하도록 제어할뿐만 아니라,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한 기록매체에 저장한다. 즉,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가 '테이프'로 설정된 경우, 메인제어부(140)는 제1 경로지정스위치(121)를 제어하여, 위치정보와 시각정보가 VCR데크(127)를 통해 VCR카세트테이프(129)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가 '메모리카드'로 설정된 경우, 메인제어부(140)는 제1 경로지정스위치(121)를 제어하여, 위치정보와 시각정보가 착탈식 IC메모리카드(122)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디지털캠코더의 또 다른 작동모드인 재생모드에서 디지털캠코더 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디지털캠코더를 재생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모드선택스위치(미도시)를 재생모드로 조정하거나,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디지털캠코더의 동작모드를 재생모드로 설정하여야 하는데, 후자는 도 2a에 도시된 메뉴화면에서, 재생모드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확인키(미도시)를 누름으로써 가능하다.
재생모드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키입력부(155)나 메뉴화면을 통하여 재생시키고자 하는 기록매체를 선택한 후,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재생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메인제어부(140)는 제1 경로지정스위치(121) 및 제2 경로지정스위치(123)를 제어하여, 압축되어 기록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로 전송되어지도록 제어하며, 전송된 신호들은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에서 압축해제되어, 합산부(161)를 통해 LCD(163)로 전송되어진 후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메인제어부(140)는 제1 경로지정스위치(121)를 제어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에 대한 위치정보 및 시각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122,129)로부터 위치정보 및 시각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140)는 표시문자발생부(157)가 위치정보와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문자데이터를 생성하여 합산부(161)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합산부(161)로 전송된 위치정보와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문자는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압축해제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들과 결합되어 LCD(163)로 전송되므로, 재생되는 영상 및 음성 이외에 위치정보와 시각정보가 LCD(163)에 함께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한편, 1394인터페이스부(151)는 DV입출력단자(153)를 통해 외부의 다른 디바 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며, 주로 PC와 인터페이스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디지털캠코더의 영상데이터는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에서 1394인터페이스부(151) 및 DV입출력단자(153)를 통해 외부의 PC로 전송되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PC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는 DV입출력단자(153) 및 1394인터페이스부(151)를 통해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로 전송되어져, 기록매체(122,129)에 기록되거나 LCD(163)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지털캠코더의 전원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캠코더의 동작모드가 기록모드인 경우, 렌즈부(111)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이 CCD(113)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되며, 음성신호는 마이크(119)로 입력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S311).
카메라신호처리부(115)는 CCD(113)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로 변환시키고,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는 마이크(119)로부터 수신한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시킨다(S313).
그리고,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는 카메라신호처리부(115)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를 합산부(161)를 통해 LCD(163)로 전송하여 디지털 동영상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315).
사용자가 키입력부(155)에 마련된 녹화버튼(미도시)을 누르면(S321), 메인제어부(140)는 GPS전원제어스위치(133)가 ON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131)로부터 GPS부(13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S323). 그리고, GPS부(135)는 전원을 공급받 은 후 메인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4개의 GPS위성들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산출하여 메인제어부(140)로 전송한다(S325).
이후에, 메인제어부(140)는 촬상된 동영상이 기록되는 기록매체가 테이프와 메모리카드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31). S331에서 동영상의 기록매체가 테이프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40)는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가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는 DV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고 디지털 음성데이터는 PCM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도록 제어한다(S333).
그리고, 메인제어부(140)는 위치/시각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가 테이프와 메모리카드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35), S335에서 위치/시각정보의 기록매체가 테이프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40)는 제1 및 제2 경로지정스위치(121,123)를 제어하여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에서 출력되는 DV포맷의 데이터, PCM포맷의 데이터와 메인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위치/시각정보가 VCR데크부(127)를 통해 VCR카세트테이프(129)에 저장되도록 한다(S337).
한편, S335에서 위치/시각정보의 기록매체가 메모리카드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40)는 제2 경로지정스위치(123)를 제어하여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에서 출력되는 DV포맷의 데이터와 PCM포맷의 데이터가 VCR데크부(127)를 통해 VCR카세트테이프(129)에 기록되도록 하며, 제1 경로지정스위치(121)를 제어하여 메인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위치/시각정보가 착탈식 IC메모리카드에 기록되도록 한다(S339).
한편, S331에서 동영상의 기록매체가 메모리카드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40)는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가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를 MPEG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고,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G.726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도록 제어한다(S341). 그리고, 메인제어부(140)는 제1 및 제2 경로지정스위치(121,123)를 제어하여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부(117)에서 출력되는 MPEG포맷의 데이터, G.726포맷의 데이터와 메인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위치/시각정보가 착탈식 IC메모리카드에 기록되도록 한다(S34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이 촬상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는 GPS유닛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다가, 영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 공급하여 GPS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GPS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동안에 GPS유닛의 전력소비를 막아 결과적으로 촬영장치의 사용가능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GPS정보는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주로 필요한 것임을 감안할 때, 촬영자는 기록단계에서 불필요한 위치정보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고 좁아지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적 신호로 광전변환시킨 후 신호처리하여 생성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신호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산출하는 부가정보 산출부;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저장부;
    상기 카메라부, 부가정보 산출부, 및 저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녹화 명령 및 녹화중지 명령을 입력받는 키입력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기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녹화중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기록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녹화중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위도, 경도, 고도 및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는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처리하여 생성한 음성데이터를 더 출력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를 각각 기록하는 제1 및 제2 기록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제1 및 제2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되고,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제1 및 제2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7. (a)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적 신호로 광전변환시킨 후 신호처리하여 생성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신호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산출하는 부가정보 산출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부가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c) 녹화중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영상신호 및 부가정보 기록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전원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산출부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위도, 경도, 고도 및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전원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처리하여 생성한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전원제어방법.
KR1020030052904A 2003-07-30 2003-07-30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KR100933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904A KR100933289B1 (ko) 2003-07-30 2003-07-30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904A KR100933289B1 (ko) 2003-07-30 2003-07-30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323A KR20050014323A (ko) 2005-02-07
KR100933289B1 true KR100933289B1 (ko) 2009-12-22

Family

ID=3722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904A KR100933289B1 (ko) 2003-07-30 2003-07-30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565B1 (ko) * 2007-01-04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2950B1 (ko) * 2007-04-20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정보 처리하는 영상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4534B1 (ko) * 2008-04-17 2014-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375A (ja) * 1997-01-27 1998-10-0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JPH11202041A (ja) 1998-01-19 1999-07-30 Nikon Corp 間歇的に受信するgps装置、これを備えた撮影位置を記録する撮影装置
JPH11282076A (ja) 1998-03-31 1999-10-15 Canon Inc カメラ
JP2001228527A (ja) * 2000-02-18 2001-08-24 Canon Inc Gpsを用いた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375A (ja) * 1997-01-27 1998-10-0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JPH11202041A (ja) 1998-01-19 1999-07-30 Nikon Corp 間歇的に受信するgps装置、これを備えた撮影位置を記録する撮影装置
JPH11282076A (ja) 1998-03-31 1999-10-15 Canon Inc カメラ
JP2001228527A (ja) * 2000-02-18 2001-08-24 Canon Inc Gpsを用いた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323A (ko) 200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7295B2 (en) System and method of photography using digital camera capable of detecting information on a photographed site
US6809774B1 (en) Wrist-carried camera and watch-type information equipment
JP5187399B2 (ja) 撮影装置
US795262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laying method, image pick-up apparatus, and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use in displaying image data
CN101296294B (zh) 数字照相机以及控制数字照相机的控制方法
JP2002374447A (ja) 情報機器用クレードル、デジタルカメラ用クレードル及びカメラシステム
US20080174679A1 (en) Portable device
US20100253801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digital camera
US7046275B1 (en) Digital camera and imaging method
JP4298387B2 (ja) データ記録装置
US7218345B2 (en) Notifying available capacity of image-data recording medium
US20080154492A1 (en) Portable device
US20070268397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control method
US7394495B2 (en) Display changeover control in image sensing apparatus
KR100933289B1 (ko)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CN100498929C (zh) 图像显示装置和图像显示方法
JPH09219806A (ja) 撮影装置
JP2008301231A (ja) 撮影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撮影支援システム
JP2011049653A (ja) 撮像装置
JP4818158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207843A (ja) 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29538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200305198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100808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支援方法並びにメモリ媒体
JP2004297298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