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534B1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534B1
KR101464534B1 KR1020080035818A KR20080035818A KR101464534B1 KR 101464534 B1 KR101464534 B1 KR 101464534B1 KR 1020080035818 A KR1020080035818 A KR 1020080035818A KR 20080035818 A KR20080035818 A KR 20080035818A KR 101464534 B1 KR101464534 B1 KR 101464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steps
digital image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171A (ko
Inventor
김원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5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작동 상태 및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여, 위치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메인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 (b)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설정된 시간 내에서 검출되는 걸음수에 해당하는 측정 걸음수를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정 걸음수가 설정된 기준 걸음수보다 많으면 상기 GPS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이를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가 구비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GPS 수신기를 통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현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때, GPS 수신기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이 위치를 측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작동으로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작동 상태 및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여, 위치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메인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 (b)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설정된 시간 내에서 검출되는 걸음수에 해당하는 측정 걸음수를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정 걸음수가 설정된 기준 걸음수보다 많으면 상기 GPS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GPS 전원이 상기 메인 전원과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가, 상기 측정 걸음수와 상기 기준 걸음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걸음수를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GPS의 모드를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GPS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GPS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e) 상기 메인 전원이 오프(OFF)된 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GPS 전원을 오프 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가, 상기 메인 전원이 오프 되는 오프 시간을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오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오프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길면 상기 GPS 전원을 오프 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가, 상기 오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 보다 길지 아니한 경우에, 상기 메인 전원이 온 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f) 상기 측정 걸음수가 상기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경우에,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이동된 이동 거리를 설정된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가, (f1) 상기 측정 걸음수가 상기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아니하고, 상기 GPS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지 아니한 상태로 경과되는 경과 시간이 설정된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에 상기 GPS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f2)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f3) 상기 이동 거리를 설정된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및 (f4) 상기 메인 전원이 오프(OFF)된 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GPS 전원을 오프 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하는 걸음수 감지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및 상기 위성 신호를 입 력받아 상기 본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서 검출되는 걸음수에 해당하는 측정 걸음수에 따라 상기 GPS 수신부에서 상기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주기를 결정하는 GPS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작동 상태 및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여, 위치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셔터 릴리즈 버튼(12), 플래시(13), 모드 다이얼(14), 전원 스위치(15), 마이크(MIC), 스피커(SP), 뷰 파인더(17), 플래시-광량 센서(19), 렌즈부(20), GPS 수신부(110), 및 걸음수 감지부(120)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2)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9)는 플래시(13)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 어기(도 2의 212)를 통하여 제어부(도 2의 520)에 입력시킨다.
모드 다이얼(14)은, 카메라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자동 촬영 모드(AUTO), 프로그램 촬영 모드(PROG), A/S/M 촬영 모드(A/S/M), MySET 촬영 모드(MySET), 음성 녹음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및 장면 촬영 모드(SCENE)를 사용자가 선택 및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2)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12)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한편, GPS 수신부(110), 및 걸음수 감지부(120)는 본체(100a)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GPS 수신부(110)는 본체(100a)에 장착되어,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100a)가 위치되는 현재의 위치 좌표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위치 좌표의 변화로부터 이동 거리를 알 수 있다.
GPS 수신기(110)는 세 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위성과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GPS 위성에서 송신된 위성 신호와 GPS 수신기(110)에서 수신된 신호의 시간차를 측정하면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때, GPS 위성에서 송신된 위성 신호에는 위성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 따라서, 최소한 세 개의 위성과의 거리와 각 위성의 위치를 알게 되면 삼각측량과 같은 방법을 이용해 GPS 수신기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수신기의 시계가 완전히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네 개 이상의 위성을 이용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걸음수 감지부(120)는 본체(100a)에 장착되어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걸음수 감지부(120)로는 손떨림 보정을 위한 손떨림 감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이 걸음수 감지부(120)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걸음수 감지부(120)에서 통상의 만보계에서와 같은 원리로 걸음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걸음수 감지부(120)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디지털 카메라(100)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걸음수의 측정이 가능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는 영상 입력부(510); 제어부(520); 저장부(530); 표시부(550); 걸음수 감지부(216); 및 GPS 모듈(30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300)은 GPS 수신부(310) 및 GPS 제어부(320)을 구비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는 도 3 및/또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S400, S5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또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 S500)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하고, 자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510)는 외부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되는 입력 영상을 입력받는다. 제어부(520)는 입력 영상을 입력받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530)에는 이미지 파일 및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표시부(550)에는 촬영된 입력 영상과 저장된 입력 영상, 및 편집되는 편집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걸음수 감지부(216)는 본체에 장착되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한다. GPS 수신부(310)는 본체에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한다.
GPS 제어부(320)는 위성 신호를 입력받아 본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서 검출되는 걸음수에 해당하는 측정 걸음수에 따라 GPS 수신부(310)에서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주기를 결정한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는 전원 공급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00)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메인 전원과 GPS 모듈(300)에 공급되는 GPS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GPS 모듈(300)은 GPS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부(510); 제어부(520); 저장부(530); 표시부(550); 걸음수 감지부(216)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메인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다양한 레벨의 전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입력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510)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 소자(2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학계(OPS)에는 줌 렌즈를 포함한 다양한 렌즈들이 포함될 수 있다. CDS-ADC 소자(201)는 렌즈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영상을 받아들이는 촬상 소자에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530)에는 외부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되는 입력 영상 또는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영상 또는 위치 정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거나,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비휘발성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530)에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DRAM(204) 또는 캐시 메모리와, 데이터가 비휘발성으로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30)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 및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가 포함될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에는 제어부(520)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될 수 있다. EEPROM(205)에는 제어부(520)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될 수 있으며, 메모리 카드가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영상 입력부(510); 저장부(530); 표시부(550); 걸음수 감지부(216); GPS 수신부(310); 및 GPS 제어부(320)와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걸음수 감지부(216)는 본체(도 1의 100a)에 장착되어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할 수 있다. 걸음수 감지부(216)는 도 1의 걸음수 감지부(120)가 될 수 있다.
GPS 수신부(310)는 본체(도 1의 100a)에 장착되어,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위치되는 현재의 위치 좌표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위치 좌표의 변화로부터 이동 거리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GPS 수신부(310)는 도 1의 GPS 수신부(110)가 될 수 있다.
GPS 제어부(320)는 GPS 위성 신호를 GPS 수신부(310)를 통하여 입력받아 본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시간 내에서 검출되는 걸음수 감지부(216)를 통하여 측정된 걸음수에 따라 GPS 수신부(310)에서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GPS 수신부(310) 및 GPS 제어부(320)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이 작동되도록 하는 메인 전원과 독립된 전원인 GPS 전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메인 전원이 온(ON) 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초기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GPS 전원이 온(ON) 되면, GPS가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초기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GPS 전원은 메인 전원과 독립적으로 공급되어, 메인 전원과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GPS 전원은 오프 후에 다시 온 하면, GPS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준비 시간이 많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GPS 전원을 메인 전원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메인 전원이 오프 된 후에 상당 시간이 흘러, GPS 작동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GPS 전원을 오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전원을 끄고 난 후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메인 전원을 다시 켜는 경우에는 별도의 GPS 초기화 작업이 필요 없어, 빠른 시간 내에 GPS 작동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GPS 제어부(320)는 측정 걸음수가 설정된 기준 걸음수보다 많으면 GPS 수신부(310)에서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의 변화로부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이동된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경우에, 이동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크고, 메인 전원이 오프(OFF)되어 있지 아니하면, GPS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내에서 측정되는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커지면 GPS 위치를 수신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고, 메인 전원이 오프(OFF)된 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GPS 전원을 오프 시킬 수 있다.
또한, 걸음수를 비교한 결과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경우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GPS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크면서 메인 전원이 온 상태일 때, GPS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는 제어부(52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경과 시간 측정부(2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경과 시간 측정부(217)는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아니하고, GPS 모듈(300)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지 아니한 상태로 경과되는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20)에서 경과 시간이 설정된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에 GPS 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된 위성 신호로부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경과 시간 측정부(217)는 제어부(520)의 제어를 받아 실시간 클럭(203)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GPS 모듈(300)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지 아니한 상태로 경과되는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GPS 수신 작동에 따른 GPS 전력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2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2)가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져 입력 영상이 축소되어 입력되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져 입력 영상이 확대되어 입력된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auto focusing mode)에는, 주제어기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520)가 마이크로제어기(2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즉,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하여 가장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입력부(510)에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 소자(201)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제어부(520)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실시간 클럭(203)은 제어부(520)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520)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Y 값) 및 색도(R, G, B)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2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입력부(INP)를 통하여 제어부(520)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212)로 입력되어 처리되고, 그에 따라 지정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520)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15)은 제어부(520)의 제어를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5)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는 이미지 파일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부(55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20)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2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2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213)는,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어 부(520)로 입력하거나, 제어부(52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52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520)가 그 내부에 마이크로 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도 2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 및/또는 도 3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3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이 도 2의 저장 수단에 저장되거나 펌웨어(Firmware)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이 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300)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행동을 일정 시간동안 모니터링 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이 GPS 수신 작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GPS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GPS 수신 작동에 따른 GPS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시동 단계(S405, S410); 걸음수 측정단계(S415); 걸음수 비교단계(S420); 및 GPS 위치 측정단계(S430, S435, S440)를 구비할 수 있다.
시동 단계(S405, S410)에는 메인 전원 및 GPS 전원을 온(ON) 시킨다. 걸음수 측정단계(S415)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 걸음수를 검출한다.
걸음수 비교단계(S420)에는 측정 걸음수를 설정된 기준 걸음수와 비교한다. GPS 위치 측정단계(S430, S435, S440)에는 GPS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한다.
시동 단계(S405, S410)에는 메인 전원을 온(On) 시키고,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메인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GPS 전원을 온(ON) 시키고, GPS 모듈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전원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다. 또한, GPS 전원은 GPS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다.
메인 전원이 온(ON) 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초기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GPS 전원이 온(ON) 되면, GPS 모듈이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초기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GPS 전원은 메인 전원과 독립적으로 공급되어, 메인 전원과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GPS 전원은 오프 후에 다시 온 하면, GPS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준비 시간이 많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GPS 전원을 메인 전원과 독립적 으로 제어하여, 메인 전원이 오프 된 후에 상당 시간이 흘러, GPS 작동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GPS 전원을 오프 시킬 수 있다.
즉, 메인 전원을 끄고 난 후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메인 전원을 다시 켜는 경우에는 별도의 GPS 초기화 작업이 필요 없어, 빠른 시간 내에 GPS 작동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걸음수 측정단계(S415)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걸음수를 검출할 수 있다. 걸음수는 센서 등을 통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그 움직임의 패턴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걸음걸이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를 각각의 걸음 수로 인식할 수 있다.
측정 걸음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설정된 시간 내에서 검출되는 걸음수가 될 수 있다.
걸음수 비교단계(S420)에는 측정 걸음수를 설정된 기준 걸음수와 비교할 수 있다. 걸음수 비교단계(S420)에서 걸음수를 비교한 결과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아지면, GPS 위치 측정단계(S430, S435, S44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움직인 걸음수를 측정하여, 걸음수가 설정된 기준 걸음수보다 많아지면,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하면 그에 따라 새로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다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걸음수는 일정한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걸음수는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과 GPS 위치 측정 간격 등을 고려하여 학습을 통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걸음수 비교단계(S420)에서 걸음수를 비교한 결과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아진 경우, GPS 위치 측정단계(S430, S435, S440)의 수행 전 또는 수행 후에 측정 걸음수를 초기화하여(S425), 위치 측정 후에는 새로이 측정 걸음수를 계수할 수 있다.
GPS 위치 측정단계(S430, S435, S440)는 작동모드 전환단계(S430), GPS 위치 수신단계(S435), 및 슬립모드 전환단계(S440)를 구비할 수 있다.
작동모드 전환단계(S430)에는 GPS의 모드를 작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GPS 위치 수신단계(S435)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슬립모드 전환단계(S440)에는 GPS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작동모드 전환단계(S430)에는 GPS 모드를 슬립 모드로부터 GPS 위성 신호 수신이 가능한 작동 모드로 전환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즉, GPS 모드가 작동 모드로 전환되기 전에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고 있어,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GPS 위치 수신단계(S435)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GPS 위치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슬립모드 전환단계(S440)에는 GPS의 모드를 작동 모드에서 최소한의 전원만을 유지하는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GPS 위치 정보의 수신 후에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에서는 메인 전원이 오프(OFF)된 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GPS 전원을 오프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메인 전원 판단단계(S445), 오프시간 초기화 단계(S450), 오프시간 측정단계(S455), 오프시간 판단단계(S460), 메인 전원 검사단계(S465), 및 GPS 전원 오프단계(S470)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전원 판단단계(S445)에는 메인 전원이 오프(OFF)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오프시간 초기화 단계(S450)에는 메인 전원이 오프 되는 오프 시간을 초기화한다. 오프시간 측정단계(S455)에는 오프 시간을 측정한다.
오프시간 판단단계(S460)에는 오프 시간과 설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한다. 메인 전원 검사단계(S465)에는 메인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GPS 전원 오프단계(S470)에는 오프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길면 GPS 전원을 오프 시킨다.
걸음수 비교단계(S420)에서 걸음수를 비교한 결과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으면, GPS 위치 측정단계(S430, S435, S440)를 수행한 후에 메인 전원 판단단계(S445)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걸음수 비교단계(S420)에서 걸음수를 비교한 결과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으면, GPS 위치 측정단계(S430, S435, S440)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메인 전원 판단단계(S445)가 수행될 수 있다.
메인 전원 판단단계(S445)에 메인 전원을 검사하여, 오프(OFF) 상태가 아니면, 걸음수 측정단계(S415)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 음수보다 많지 않으면, 측정 걸음수가 계속적으로 누적하여 계산된다.
메인 전원 판단단계(S445)에 메인 전원을 검사하여, 오프(OFF) 상태이면, 오프시간 초기화 단계(S450)에서 오프 시간을 초기화한 후에, 오프시간 측정단계(S455)에서 오프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오프 시간은 메인 전원이 오프 되어 유지 된 시간에 해당한다.
오프시간 판단단계(S460)에서 오프 시간이 설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오프 시간이 기준 시간을 지나면, GPS 전원 오프단계(S470)에서 GPS 전원을 오프 시킨다. 이때, 오프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길지 아니하면, 메인 전원 검사단계(S465)에서 메인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오프 시간이 기준 시간 보다 길지 아니하고, 메인 전원 검사단계(S465)에서 검사 결과 메인 전원이 오프(OFF) 되어 있는 경우에는 오프시간 측정단계(S455)에서 오프 시간을 계속하여 측정한다.
또한, 오프 시간이 기준 시간 보다 길지 아니하고, 메인 전원 검사단계(S465)에서 검사 결과 메인 전원이 온(ON) 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걸음수 측정단계(S415)가 수행될 수 있다.
기준 시간은 메인 전원이 오프 되고, GPS 전원이 오프 되기 전에 일정 시간동안 메인 전원이 오프 되었는지를 기다리는 시간으로 반복적으로 메인 전원을 온 및 오프 될 때, GPS 전원이 함께 온 및 오프 되는 것이 아니라, GPS 전원을 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기준 시간이다.
또한, 오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 보다 길지 아니하고, 메인 전원이 온 되 어 있는 경우에 걸음수 측정단계(S415)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에서는 일정 시간 내에서 측정되는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커지면 GPS 위치 수신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고, 메인 전원이 오프(OFF)된 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GPS 전원을 오프 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GPS 수신 작동에 따른 GPS 전력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500)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500)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경우에,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이동된 이동 거리를 설정된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S540)가 수행되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음수 비교단계(S420)에서 걸음수를 비교한 결과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경우에는 GPS 위치 측정단계(S430, S435, S440)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메인 전원 판단단계(S445)가 수행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서는 걸음수 비교단계(S420)에서 걸음수를 비교한 결과 측 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경우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GPS 위치를 측정하고,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이동된 이동 거리를 설정된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S54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500)에서 이동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크고, 메인 전원이 오프 되어 있지 아니하면, GPS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500)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에 대하여, 경과시간 비교단계(S510); GPS 위치 측정단계(S520, S525, S530); 이동거리 비교단계(S540); 메인 전원 판단단계(S545, S560); 및 오프시간 비교단계(S5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경과시간 비교단계(S510)에는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상태에서 경과된 경과 시간을 설정된 설정 시간과 비교한다. GPS 위치 측정단계(S525)에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때, 경과 시간이 설정 시간을 지난 것은, 걸음수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일정 시간동안 일정한 걸음수를 움직이지 아니하여, 적어도 한번은 GPS 위치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시점을 넘긴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상태에서 경과된 경과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GPS 위치를 측정하여, 이동 거리가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이동거리 비교단계(S540)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이동 거리를 설정된 기준 거리와 비교한다. 메인 전원 판단단계(S545)에는 메인 전원이 오프(OFF) 상태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오프시간 비교단계(S555)에는 메인 전원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 오프 시간이 설정된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걸음수 비교단계(S420)에서 걸음수를 비교한 결과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으면, 경과시간 측정단계(S505)에서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작은 상태에서 경과된 경과 시간을 측정한다.
경과시간 비교단계(S510)에서 비교한 결과 경과 시간을 설정된 설정 시간을 경과되지 아니하면, 다시 메인 전원 판단단계(S445)가 수행된다. 경과시간 비교단계(S510)에서 비교한 결과 경과 시간을 설정된 설정 시간을 경과되면, 경과시간 초기화 단계(S515)에서 경과 시간을 초기화하여, 경과 시간을 다시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GPS 위치 측정단계(S520, S525, S530)에서 GPS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를 위하여, GPS 위치 측정단계(S520, S525, S530)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모드 전환단계(S520), GPS 위치 수신단계(S525), 및 슬립모드 전환단계(S530)를 구비할 수 있다.
작동모드 전환단계(S520)에는 GPS의 모드를 작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GPS 위치 수신단계(S525)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슬립모드 전환단계(S530)에는 GPS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동거리 비교단계(S540)를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이동거리 계산단계(S535)에서 이동 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 이동거리 계산단계(S535)에서 이동 거리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GPS에 의하여 연속되어 측정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의 차이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이동거리 비교단계(S540)에서 비교 결과, 이동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으면 다시 메인 전원 판단단계(S445)가 수행될 수 있다. 이동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크거나 같으면, 메인 전원 판단단계(S545)가 수행될 수 있다.
메인 전원 판단단계(S545)에는 메인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전원이 오프 상태가 아니면, 다시 GPS 위치 측정단계(S520, S525, S530)가 수행될 수 있다. 메인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오프시간 측정단계(S550)에서 메인 전원이 오프 되어 경과된 시간이 측정될 수 있다.
오프 시간이 측정되고, 오프시간 비교단계(S555)가 수행될 수 있다. 오프시간 비교단계(S555)에서 메인 전원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 오프 시간이 설정된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오프시간 비교단계(S555)에서 비교 결과, 메인 전원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 오프 시간이 설정된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GPS 전원 오프단계(S47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전원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 오프 시간이 설정된 기준 시간을 경과되지 아니하면, 메인 전원 판단단계(S560)에서 메인 전원이 오프 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메인 전원 판단단계(S560)에서 판단 결과 메인 전원이 오프 되어 있으면, 오프시간 측정단계(S550)를 다시 수행하여, 메인 전원이 오프 된 상태에서 경과된 시간을 계속하여 측정한다.
메인 전원 판단단계(S560)에서 판단 결과 메인 전원이 오프 되어 있지 않으면, 오프 시간 초기화 단계(S570)에서 오프 시간을 초기화하여, 오프 시간을 다시 새롭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GPS 위치 측정단계(S520, S525, S53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에서는 일정 시간 내에서 측정되는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커지면 GPS 위치 수신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고, 메인 전원이 오프(OFF)된 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GPS 전원을 오프 시킨다.
또한, 걸음수를 비교한 결과 측정 걸음수가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경우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GPS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크면서 메인 전원이 온 상태일 때, GPS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GPS 수신 작동에 따른 GPS 전력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9)

  1. (a)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메인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
    (b)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전원을 온(ON) 시키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설정된 시간 내에서 검출되는 걸음수에 해당하는 측정 걸음수를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정 걸음수가 설정된 기준 걸음수보다 많으면 상기 GPS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 전원이 상기 메인 전원과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메인 전원이 오프(OFF)된 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GPS 전원을 오프 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측정 걸음수가 상기 기준 걸음수보다 많지 않은 경우에,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이동된 이동 거리를 설정된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이동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크고, 상기 메인 전원이 오프 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GPS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하는 걸음수 감지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및
    상기 위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본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서 검출되는 걸음수에 해당하는 측정 걸음수에 따라 상기 GPS 수신부에서 상기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주기를 결정하는 GPS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부 및 상기 GPS 제어부가 상기 본체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작동하는 메인 전원과 독립된 전원인 GPS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걸음수가 설정된 기준 걸음수보다 많으면 상기 GPS 수신부에서 상기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이 오프(OFF)된 후에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GPS 전원이 오프(OFF)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20080035818A 2008-04-17 2008-04-17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4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818A KR101464534B1 (ko) 2008-04-17 2008-04-17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818A KR101464534B1 (ko) 2008-04-17 2008-04-17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171A KR20090110171A (ko) 2009-10-21
KR101464534B1 true KR101464534B1 (ko) 2014-11-24

Family

ID=4153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818A KR101464534B1 (ko) 2008-04-17 2008-04-17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517A (ko) * 2018-03-30 2019-10-10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323A (ko) * 2003-07-30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JP2007155577A (ja) 2005-12-07 2007-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323A (ko) * 2003-07-30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에만 gps유닛에 전원을공급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전원제어방법
JP2007155577A (ja) 2005-12-07 2007-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517A (ko) * 2018-03-30 2019-10-10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35594B1 (ko) * 2018-03-30 2019-10-24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171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40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8553095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perform a photographing preparation operation in response to a photographing mo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9847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80036904A1 (en) Digital camera
TW200810534A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control method
US20080310830A1 (en) Image taking apparatus and image taking method
JP2004191674A (ja) 自動合焦装置及び撮影装置
JP2007258785A (ja) 画像記録装置
KR10146453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995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JP2012185343A (ja) 撮影装置
KR20090042594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7664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9634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55028A (ko)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셀프 영상 촬영 방법
KR1015644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85338B2 (ja) 撮像装置
KR101176178B1 (ko) 스트로보 장치,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및 스트로보 충전제어방법
KR10159988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6235B1 (ko) 자동 포커싱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자세 감지방법 및 장치
KR10137082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4769507B2 (ja) 撮像装置
KR20100070055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110056102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208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