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028A -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셀프 영상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셀프 영상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028A
KR20080055028A KR1020060127850A KR20060127850A KR20080055028A KR 20080055028 A KR20080055028 A KR 20080055028A KR 1020060127850 A KR1020060127850 A KR 1020060127850A KR 20060127850 A KR20060127850 A KR 20060127850A KR 20080055028 A KR20080055028 A KR 2008005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sture
self
support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5028A/ko
Publication of KR2008005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각대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확하게 셀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공간적 자세 상태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자세 감지부; 상기 자세 감지부로부터의 신호가 일정 시간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를 계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정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기울여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는 제 1 모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셀프 영상 촬영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ttitude thereof and method of photographing self-imag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한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본체 14: 지지부
16: 연결부 18: 제 2 모터
33: 자세 감지부 35: 제 1 모터
본 발명은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셀프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대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확하게 셀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셀프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는 CCD 등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의 압축/복원 동작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출력 장치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실행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기존의 일반 카메라처럼 별도의 필름을 이용할 필요 없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 등에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 기능 모드로서 셀프 촬영 모드를 제공한다. 셀프 촬영 모드는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누르면 일정 시간 후에 자동으로 셔터가 동작하는 모드이다.
상기 셀프 촬영 모드를 이용하여 셀프 사진을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 접 한 손에 카메라를 들고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촬영할 수 있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뒷배경이 촬영되지 않는 완전하지 않은 사진을 얻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삼각대가 주로 이용된다. 하지만, 여행이 아닌 일상 생활에서 삼각대를 항상 휴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삼각대를 이용한다고 해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카메라의 자세를 맞추기 때문에 카메라의 완전한 수평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삼각대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 카메라를 임의의 물체 상에 올려 놓고 셀프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물체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아 카메라의 자세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완전한 셀프 사진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삼각대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확하게 셀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공간적 자세 상태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자세 감지부; 상기 자세 감지부로부터의 신호가 일정 시간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를 계산하는 제 어부; 및 상기 보정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기울여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는 제 1 모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자세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본체 및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 물질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이격 및 접촉시키는 제 2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셀프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셀프 촬영 모드 선택시 상기 자세 감지부 및 제 1 모터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본체의 공간적 자세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자세가 일정 시간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세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대해 기울여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은 상기 본체의 자세 상태 감지 단계 이전에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은 상기 보정 각도의 계산 단계 이후에 상기 본체 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은 상기 본체의 수평 조절 단계 이후에 셀프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본체(12), 지지부(14) 및 연결부(16)를 포함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본체(12)의 앞쪽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1), 플래시(13), 뷰 파인더의 대물렌즈(15a), 전원 스위치(17) 및 렌즈부(19)가 구비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플래시(13)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및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뷰 파인더의 대물렌즈부(15a)는 촬영할 피사체를 보고 구도를 설정하기 위한 카메라의 작은 창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지지부(14)는 본체(12)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2)를 지지한다.
연결부(16)는 본체(12) 및 지지부(14) 사이에 개재되고, 본체(12)가 지지부(14)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 물질로 형성된다. 연결부(16)를 구성하는 신축성 물질은 본체(12) 및 지지부(14) 사이의 공간을 모두 차지할 수도 있고, 상기 공간의 테두리 부분에만 형성되어 가운데 부분은 비어 있을 수도 있다.
신축성 물질은 본체(12)가 수평으로 되기 위하여 본체(12)를 지지부(14)에 대해 기울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신축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예컨대, 신축성 물질로서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에는 뷰파인더의 접안렌즈부(15b),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wide angle zoom button)(23w), 망원-줌 버튼(telephoto zoom button)(23t), 기능 버튼(function button)(23), 디스플레이 패널(25) 및 스피커(SP)가 구비된다.
방향 버튼(21)은 상향 버튼(↑)(21-1), 하향 버튼(↓)(21-2), 좌향 버튼(←)(21-3), 우향 버튼(→)(21-4) 및 OK버튼(21-5)을 포함하여 총 5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 방향 버튼(21)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로 특히, 노출을 제어할 수 있는 노출영역을 활성화 또는 선택하거나 노출영역을 이동시킬 때 입력하는 키이다.
기능 버튼(23)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버튼으로서, 예컨대, 정지영상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트리 밍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기능 버튼(23)은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셀프 모드 선택부로 사용될 수 있다.
광각-줌 버튼(23w) 또는 망원-줌 버튼(23t)은 실행 모드에 따라 그 기능을 달리한다. 촬영 모드에서 광각-줌 버튼(23w) 및 망원-줌 버튼(23t)은 렌즈의 화각을 변경하기 위해 입력된다. 즉, 광각-줌 버튼(23w)을 입력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멀리 떨어져 보이고, 망원-줌 버튼(23t)을 입력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가깝게 보인다. 재생 모드에서 광각-줌 버튼(23w)을 입력하면 이미지가 축소되어 디스플레이 되며, 망원-줌 버튼(23t)을 입력하면 이미지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연결부(16)를 포함하지 않고, 지지부(14)가 직접 본체(12)에 접촉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2) 및 지지부(14)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는 제 2 모터(18)가 연결되어 있다.
제 2 모터(18)는 지지부(14)로부터 본체(12)를 이격 및 접촉시킨다. 예컨대 셀프 촬영 모드에서, 본체(12)의 자세 정보를 감지하고 그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를 계산한 후에 제 2 모터(18)는 지지부(14)로부터 본체(12)를 이격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본체(12)가 수평으로 되기 위하여 본체(12)를 지지부(14)에 대해 기울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 2 모터(18)는 지지부(14)로부터 본체(12)를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특별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능을 위하여 당업자에 의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 2 모터(18)를 포함하지 않는 대신에 연결부(16)를 포함한다는 점이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따라서, 도 5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원용될 수 있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23w) 또는 망원-줌 버튼(23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3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312)가 렌즈 구동부(3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 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25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25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여기서, 줌 렌즈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3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3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화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는 타이밍 회로(302)를 제어 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3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3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는 CDS-ADC 소자(3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에 내장된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3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셔터 릴리즈 버튼(11),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23w), 망원-줌 버튼(23t) 및 기능 버튼(23)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기능 버튼(23)은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셀프 모드 선택부로 사용될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3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3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3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부(3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3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309) 및 비데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하고 있다.
오디오 처리기(3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자세 감지부(33)는 도 3 및 도 4의 본체(12) 내부에 장착되어 본체(12)의 공간적 자세 상태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로 출력한다. 자세 감지부(33)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자세 감지부(33)로부터의 신호가 일정 시간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를 기초로 도 3 및 도 4의 본체(12)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를 계산한다.
제어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307)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마이크로 제어기(312)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일정 시간은 사용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예컨대, 3초일 수 있다.
제 1 모터(35)는 보정 각도를 기초로 본체(12)를 지지부(14)에 대해 기울여 본체(12)를 수평으로 조절한다. 제 1 모터(35)는 본체(12) 내부, 지지부(14) 내부 및 본체(12)와 지지부(14) 사이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 1 모터(35)는 본체(12)를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특별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능을 위하여 당업자에 의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 2 모터(18)는 지지부(14)로부터 본체(12)를 이격 및 접촉시킨다. 예컨대 셀프 촬영 모드에서, 본체(12)의 자세 정보를 감지하고 그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를 계산한 후에 제 2 모터(18)는 지지부(14)로부터 본체(12)를 이격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본체(12)가 수평으로 되기 위하여 본체(12)를 지지부(14)에 대해 기울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 2 모터(18)는 지지부(14)로부터 본체(12)를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특별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능을 위하여 당업자에 의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INP)의 셀프 모드 선택부(23)를 통해 셀프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자세 감지부(33) 및 제 1 모터(35)에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이 인가되면 자세 감지부(33)는 실시간으로 본체(12)의 공간적 자세 상태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만약 3초 동안 자세가 변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그 자세 정보를 최종 자세로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 를 계산한다.
제 1 모터(35)는 상기 보정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기울여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한다. 수평 조절 후 셀프 타이머를 작동시켜 일정 시간, 예컨대 3초 후에 자동으로 셔터가 작동한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INP)의 셀프 모드 선택부(23)를 통해 셀프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자세 감지부(33), 제 1 모터(35) 및 제 2 모터(18)에 전원이 인가된다.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어부가 보정 각도를 계산한 후에 제 2 모터(18)가 작동하여 지지부(14)로부터 본체(12)를 이격시켜 본체가 기울어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후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한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한다(61). 셀프 촬영 모드의 선택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사용자 입력부의 셀프 모드 선택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본체의 공간적 자세 상태를 감지한다(62). 본 단계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공간적 자세 상태를 감지하 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자세 감지부, 예컨대 자이로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의 자세가 일정 시간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세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를 계산한다(63). 보정 각도의 계산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312)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정 각도의 계산 단계 이후에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시킨다(65). 상기 이격은 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지지부에 대해 본체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본체 및 지지부가 이미 이격되어 있는 경우 본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정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대해 기울여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한다(66). 본체의 수평 조절은 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의 수평 조절 단계 이후에 셀프 타이머를 작동시킨다(67). 그에 의해 일정한 시간, 예컨대 3초 후에 자동으로 셔터가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영상 촬영 방법의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정보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셀프 영상 촬영 방법에 따르면 삼각대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확하게 셀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렌즈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공간적 자세 상태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자세 감지부;
    상기 자세 감지부로부터의 신호가 일정 시간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를 계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정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기울여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는 제 1 모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 물질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본체를 이격 및 접촉시키는 제 2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셀프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셀프 촬영 모드 선택시 상기 자세 감지부 및 제 1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본체의 공간적 자세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자세가 일정 시간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세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보정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본체를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대해 기울여 상기 본체를 수평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프 영상 촬영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자세 상태 감지 단계 이전에 셀프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영상 촬영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각도의 계산 단계 이후에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영상 촬영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평 조절 단계 이후에 셀프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영상 촬영 방법.
KR1020060127850A 2006-12-14 2006-12-14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셀프 영상 촬영 방법 KR20080055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850A KR20080055028A (ko) 2006-12-14 2006-12-14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셀프 영상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850A KR20080055028A (ko) 2006-12-14 2006-12-14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셀프 영상 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028A true KR20080055028A (ko) 2008-06-19

Family

ID=3980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850A KR20080055028A (ko) 2006-12-14 2006-12-14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셀프 영상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50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4703A (zh) * 2016-12-26 2017-03-2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追拍系统
CN113030724A (zh) * 2021-03-17 2021-06-25 东莞市鸿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测试多极电机启动死角的方法以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4703A (zh) * 2016-12-26 2017-03-2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追拍系统
CN113030724A (zh) * 2021-03-17 2021-06-25 东莞市鸿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测试多极电机启动死角的方法以及装置
CN113030724B (zh) * 2021-03-17 2023-11-21 东莞市鸿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测试多极电机启动死角的方法以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7430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47754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9847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1391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359743B2 (ja) カメラの制御方法及びカメラ
KR20080055028A (ko) 자세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셀프 영상 촬영 방법
KR10118469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3029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090042594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6235B1 (ko) 자동 포커싱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자세 감지방법 및 장치
KR1015644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9633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453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01877A (ja) 撮影装置
KR10163075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85959B1 (ko) 전원 on 또는 off 시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특정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45206A (ko)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 방법
KR2009007748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0055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51010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8891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56865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6102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4512A (ko) 영상 자동보정장치와 방법
KR20110065857A (ko)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