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554B1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554B1
KR101499554B1 KR1020080115365A KR20080115365A KR101499554B1 KR 101499554 B1 KR101499554 B1 KR 101499554B1 KR 1020080115365 A KR1020080115365 A KR 1020080115365A KR 20080115365 A KR20080115365 A KR 20080115365A KR 101499554 B1 KR101499554 B1 KR 101499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gnet
coil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278A (ko
Inventor
황영재
변광석
김정수
박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5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를 소진한 경우에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는 손떨림 검지부;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한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기전력 유도되고, 상기 기전력에 의한 유도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코일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눌러 원하는 영상을 획득(capture)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특히, 배터리로는 전원을 소모 후에도 다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를 소진한 경우에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는 손떨림 검지부;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한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기전력 유도되고, 상기 기전력에 의한 유도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코일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유도 전류를 정류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브릿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유도 전류를 일시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렌즈부 또는 촬상 소자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이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마그넷이, x 방향으로 이동되는 성분에 의하여 상기 제1 코일에 상기 유도 전류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1 마그넷, 및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성분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일에 상기 유도 전류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넷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에,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상기 마그넷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 및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작동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한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기전력 유도되고, 상기 기전력에 의한 유도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코일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 작동부가,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는 손떨림 검지부, 및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면,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를 소진한 경우에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의 앞면 및 윗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디지털 카메라(10)의 본 체(10a)의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 모듈(3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의 앞면 및 윗면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플래시-광량 센서(13), 원격 수신부(14), 렌즈부(15), 뷰 파인더의 앞면(17), 전원 스위치(23), 셔터 버튼(26), 및 마이크(MIC)가 구비될 수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26)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3)는 플래시(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2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3의 207)에 입력시킨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본체(10a) 내부에는 손떨림 검지부(도 4의 370) 및 손떨림 보정부(도 4의 380)가 구비될 수 있다. 손떨림 검지부(370)에서 본체(10a)의 손떨림을 검지하고, 그에 따라 손떨림 보정부(380)의 작동에 의하여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380)는 VCM(Voice Coil Motor) 등을 포함한 구동부를 작동시켜 손떨림을 보상할 수 있도록 렌즈 또는 촬상 소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손떨림 보정부(380)는 렌즈 모듈(30)에 포함될 수 있다.
본체(10a)의 움직임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손떨림 보정부(380)는 마그넷(32, 34), 및 코일(33, 35)을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넷(32, 34)은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코일(33, 35)은 마그넷(32, 34)의 운동에 의하여 기전력 유도되고, 그 기전력에 의한 유도 전류를 배터리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렌즈 모듈(30)은 렌즈 이동 방식의 손떨림 보정부가 적용된 실시예이다. 렌즈 모듈(30)은 렌즈(31), 마그넷(32, 34), 및 코일(33, 35)을 구비할 수 있다.
손떨림 검지부(도 4의 370)가 홀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센서들로부터 손떨림을 측정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380)는 손떨림에 따라 렌즈(31)를 이동시켜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떨림 보정부(380)에 의하여 렌즈(31)를 좌우 방향(x 방향)과 상하 방향(y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마그넷(32, 34)이 렌즈(31)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되어, 마그넷(32, 34)이 움직여 렌즈(31)를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역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본체(10a)의 움직임에 따라 마그넷(32, 34)이 움직이고, 마그넷(32, 34)의 움직임에 따라 코일(33, 35)에 기전력이 유도되고, 그에 따라 코일(33, 35)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 유도 전류를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마그넷(32, 34)이 렌즈(31)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렌즈(31)와 일체형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33, 35)은 마그넷(32, 24)의 하면 또는 상면에 소정 간격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넷(32, 34)의 움직임에 따라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하여 코일(33, 35)에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코일(33, 35)은 본체(10a)와 일체로 설치되어, 코일(33, 35)에 흐르는 전류 방향에 따라 마그넷(332, 34)을 좌우 방향(x 방향)과 상하 방향(y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마그넷(32, 34)은 제1 마그넷(32) 및 제2 마그넷(34)을 구비하고, 코일(33, 35)은 제1 코일(33) 및 제2 코일(3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2) 및 제2 마그넷(34)이 렌즈(31)와 일체형으로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33)은 제1 마그넷(32)의 하면 또는 상면에 소정 간격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35)은 제2 마그넷(34)의 하면 또는 상면에 소정 간격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넷(32)은 x 방향으로 이동되는 성분에 의하여 제1 코일(33)에 유도 전류가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마그넷(34)은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성분에 의하여 제2 코일(35)에 유도 전류가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380)에는 최소 두 개의 마그넷(32, 34)이 장착되어 두개의 축을 담당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 본체(10a)를 어느 방향으로 흔들더라도, 각각에 대응되는 코일(33, 35)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즉, 충전을 위해 일정한 방향의 흔드는 방향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 카메라를 흔들어도 두 축의 마그넷(32, 34)에 의해 배터리를 상호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또한 강제로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흔들지 않더라도 수동 충전 상태가 온(On)된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다니기만 하여도, 배터리를 조금씩 재충전시킬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380)에 의한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제1 마그넷(32)의 좌우 방향(x 방향) 운동 성분에 의하여, 제1 코일(33)에 기전력이 유도되고 그로 인한 유도 전류가 제1 코일(33)을 통하여 흐를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넷(34)의 상하 방향(y 방향) 운동 성분에 의하여, 제2 코일(35)에 기전력이 유도되고 그로 인한 유도 전류가 제2 코일(35)을 통하여 흐를 수 있다.
본체(10a)의 움직임에 의하여 마그넷(32, 34)이 움직이고, 마그넷(32, 34)의 움직임에 의하여 코일(33, 35)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여, 유도 전류가 코일(33, 35)에 연결된 배터리에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의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의 본체(10a) 내부에는 별도의 충전 작동부(도 5의 4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a)의 움직임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작동부(도 5의 470)는 마그넷, 및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넷은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코일은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기전력 유도되고, 그 기전력에 의한 유도 전류를 배터리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의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배터리 충전기가 없더라도 본체(10a)의 상하 또는 좌우 진동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에도 소량의 사진을 촬영하는 등 디지털 카메라(1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 메뉴-OK 버튼,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 망원(Telephoto)-줌(Zoom) 버튼,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방향 버튼에는 상향 버튼, 하향 버튼, 좌향 버튼, 우향 버튼의 총 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과 메뉴-OK 버튼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이다.
광각-줌 버튼 또는 망원-줌 버튼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진다.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광각-줌 버튼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지고, 망원-줌 버튼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를 통하여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되어 녹음된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앞면과 뒷면에는 뷰 파인더(17)의 앞면 및 뒷면 각각에는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26)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 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2)가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auto focusing mode)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2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때,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하여 가장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실시간 클럭(2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 털 신호 처리기(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Y 값) 및 색도(R, G, B)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2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W) 및 망원-줌 버튼(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2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2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212)를 내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213)는,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손떨림 검지부(216)는 본체(도 1의 10a)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본체(도 1의 10a)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217)는 손떨림 검지부(216)에 의하여 검지된 손떨림에 따라 렌즈부 또는 촬상 소자를 이동시켜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212)는 도 4 또는 도 5의 제어부(320, 420)에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손떨림 검지부(216) 및 손떨림 보정부(217)는 각각 도 4의 손떨림 검지부(370) 및 손떨림 보정부(38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손떨림 보정부(380)의 작동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는 전원 공급부(220)는 도 4 및 도 5의 전원 공급부(390, 490)에 대응될 수 있다.
DRAM(204), EEPROM(205), 및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를 통하여 인식되는 메모리 카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도 4 및 도 5의 저장부(330, 43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3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300)의 손떨림 보정부(600)와 전원 공급부(7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300)는 영상 입력부(310); 제어 부(320); 저장부(330); 표시부(350); 사용자 조작부(360); 손떨림 검지부(370); 손떨림 보정부(380); 및 전원 공급부(390)를 구비할 수 있다.
손떨림 검지부(370)에서 본체(10a)의 손떨림을 검지하고, 그에 따라 손떨림 보정부(380)의 작동에 의하여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380)는 VCM(Voice Coil Motor) 등을 포함한 구동부를 작동시켜 손떨림을 보상할 수 있도록 렌즈 또는 촬상 소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렌즈 이동 방식의 손떨림 보정부(380)에서는 렌즈를 손떨림 검지부(370)에서 검지된 손떨림 량에 따라 손떨림 보정부(380)에 의하여 렌즈를 이동시켜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300)에서는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손떨림 보정부(380)에서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전원 공급부(390)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손떨림 보정부(380)는 마그넷 및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손떨림 보정부(380)에 포함되는 마그넷 및 코일은 각각 도 6의 마그넷(610), 및 코일(62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전원 공급부(390)는 도 6의 전원 공급부(700)에 대응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00)는 배터리(710) 및 브릿지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넷(610)은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코일(620)은 마그넷(610)의 운동에 의하여 기전력 유도되고, 그 기전력에 의한 유도 전류를 배터리(710)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710)에는 전원 공급부(7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되고, 코 일(6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브릿지부(720)는 코일(620)에 연결되어, 코일(620)로부터 공급되는 유도 전류를 정류하여 배터리(7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브릿지부(720)는 통상의 정류 회로인 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700)는 유도 전류를 일시 충전하고, 배터리(710)로 공급하는 충전 커패시터(7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620)로부터 공급되는 유도 전류를 먼저 충전 커패시터(730)에 충전하여 저장하고, 이를 배터리(710)에 다시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영상 입력부(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표시부(350); 사용자 조작부(360); 손떨림 검지부(370); 손떨림 보정부(380); 및 전원 공급부(390)를 제어하여,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유도 전류가 전원 공급부(390)에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배터리(710)의 충전 시에는, 본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마그넷(610)이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그넷(610)의 고정을 풀어주어 본체의 흔들림에 따라 마그넷(610)이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근거하여 마그넷(610)이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코일(620)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코일(620)과 배터리(710)가 연계되어 발생된 기전력으로 배터리(710)가 충전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상 및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310)는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조작부(360)를 통하여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원하는 지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310)는 도 2에 도시된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 소자(2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360)는 도 1의 셔터 릴리즈 버튼(26) 및 전원 스위치(28) 등 및/또는 도 3의 사용자 입력부(IN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50)는 도 2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 및 디스플레이 패널(2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배터리 충전기가 없더라도 본체의 상하 또는 좌우 진동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에도 소량의 사진을 촬영하는 등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의 충전 작동부(600)와 전원 공급부(7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300)에 대하여 별도의 충전 작동부(470)를 구비하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300)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는 별도의 충전 작동부(470)를 구비하고, 충전 작동부(470)에 포함되는 마그넷과 코일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490)에 포함되는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는 영상 입력부(410); 제어부(420); 표시부(450); 저장부(430); 사용자 조작부(460); 충전 작동부(470); 및 전원 공급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에서 전원 공급부(490)는 도 6의 전원 공급부(70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에서 충전 작동부(470)는 도 6의 충전 작동부(600)에 대응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710)를 구비한다. 충전 작동부(470)는 본체에 장착되어 배터리(710)를 충전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 작동부(600)는 마그넷(610) 및 코일(620)을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넷(610)은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코일(620)은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기전력 유도되고, 기전력에 의한 유도 전류를 배터리(7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코일(620)은 본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0)는 별도의 충전 작동부(600)를 구비하여, 충전 작동부(600)에 포함되는 마그넷(610)과 코일(620)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700)에 포함되는 배터리(710)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별도의 충전 작동부(600)에 의하여 배터리(710)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작동부(600)는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는 손떨림 검지부, 및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를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 및 윗면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전원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310: 영상 입력부,
320: 제어부, 350: 표시부,
370: 손떨림 검지부, 380: 손떨림 보정부,
390: 전원 공급부.

Claims (12)

  1.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는 손떨림 검지부;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한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기전력 유도되고, 상기 기전력에 의한 유도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코일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유도 전류를 정류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브릿지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유도 전류를 일시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렌즈부 또는 촬상 소자가 함께 운동하는 디지 털 영상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마그넷이,
    x 방향으로 이동되는 성분에 의하여 상기 제1 코일에 상기 유도 전류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1 마그넷, 및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성분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일에 상기 유도 전류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넷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에,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상기 마그넷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7.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 및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작동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한 마그넷,
    상기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기전력 유도되고, 상기 기전력에 의한 유도 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코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는 손떨림 검지부, 및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유도 전류를 정류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브릿지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유도 전류를 일시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의 운동에 의하여 렌즈부 또는 촬상 소자가 함께 운동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마그넷이,
    x 방향으로 이동되는 성분에 의하여 상기 제1 코일에 상기 유도 전류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1 마그넷, 및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성분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일에 상기 유도 전류가 유도 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넷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2. 삭제
KR1020080115365A 2008-11-19 2008-11-1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499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65A KR101499554B1 (ko) 2008-11-19 2008-11-1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65A KR101499554B1 (ko) 2008-11-19 2008-11-1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78A KR20100056278A (ko) 2010-05-27
KR101499554B1 true KR101499554B1 (ko) 2015-03-06

Family

ID=4228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365A KR101499554B1 (ko) 2008-11-19 2008-11-1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545A1 (ko) * 2020-12-11 2022-06-16 한밭대학교산학협력단 방열팬 고장 표시 장치
KR102435698B1 (ko) * 2020-12-11 2022-08-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열팬 고장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52A (ko) * 1998-08-12 2000-03-06 신민규 휴대 자가 발전충전기
KR200392651Y1 (ko) * 2005-05-10 2005-08-17 오현택 무전원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KR20060093888A (ko) * 2005-02-23 2006-08-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자가 발전 촬상 장치
KR100772382B1 (ko) * 2005-08-03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 흔들림 보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52A (ko) * 1998-08-12 2000-03-06 신민규 휴대 자가 발전충전기
KR20060093888A (ko) * 2005-02-23 2006-08-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자가 발전 촬상 장치
KR200392651Y1 (ko) * 2005-05-10 2005-08-17 오현택 무전원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KR100772382B1 (ko) * 2005-08-03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 흔들림 보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78A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20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7754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1391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995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090042594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6671B1 (ko)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644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9988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9633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10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9988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952634B2 (ja) 録音装置
KR20110056102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0055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38740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33692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276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69507B2 (ja) 撮像装置
KR10128403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780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US20100220201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70051387A (ko) 스트로보 장치,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및 스트로보 충전제어방법
KR20100056279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0045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44114A (ko) 손떨림을 방지한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