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142A -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142A
KR20030077142A KR1020020016082A KR20020016082A KR20030077142A KR 20030077142 A KR20030077142 A KR 20030077142A KR 1020020016082 A KR1020020016082 A KR 1020020016082A KR 20020016082 A KR20020016082 A KR 20020016082A KR 20030077142 A KR20030077142 A KR 20030077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fingers
bridge
fitting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원
Original Assignee
박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원 filed Critical 박대원
Priority to KR102002001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142A/ko
Publication of KR2003007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14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온도변화 등에 의한 교량 구조물의 신축을 허용하면서도 차량통과 시 두 상판 사이의 틈새로 인한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주보는 신축이음쇠 저면에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고 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를 갖는 레일부재, 신축이음쇠와 레일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기구 및 레일부재의 저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신축이음쇠를 상판의 구조물에 연결하여주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공하기가 매우 쉽고, 방수성능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도 신축이음쇠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Flexible linking apparatus for bridges}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상판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온도변화 등에 의한 교량 구조물의 신축을 허용하면서도 차량통과시 두 상판 사이의 틈새로 인한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은 온도변화 등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의 상판은 상판의 수축과 팽창을 고려하여 이웃하는 상판과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의 상판간에는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을 좋게 하고, 이물질이나 빗물이 그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등의 목적으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신축 이음장치와 관련된 것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으며, 그 중의 하나로 핑거 조인트(finger joint)라는 것이 있다. 이는 다수 개의 핑거와 홈이 파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신축이음쇠가 마주보고 배치되어 일측의 각 핑거가 타측의 각 홈에 삽입되어, 교량 상판이 수축되어 상판 간의 틈새가 커지더라도 차량이 원활하게 그 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는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209803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이하, 선출원 등록고안이라 함)가 있다.
이는 신축이음쇠에 짧은 핑거 2∼8개마다 긴 핑거가 한 개씩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긴 핑거의 근원부 일측에는 긴 핑거와 동일한 길이로 깊은 골이 깊게 형성되도록 하여,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하강하여 교량의 상판이 수축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합된 양측 핑거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인접한 긴 핑거가 깊은 골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양측 신축이음쇠의 하측에는 거푸집 역할을 하며 콘크리트가 양생된 뒤에 교량 상판의 말단 이음부를 커버하여 교량 상판의 말단 이음부를 보호하는 콘크리트 마감 및 보호판이 Y자 형태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위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고안의 신축이음장치는 동절기에 기온이 하강하여 교량의 상판이 수축 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합된 한 쌍의 신축이음쇠의 간격이 벌어졌을 때, 길게 형성된 긴 핑거에 의해 서로 형합된 상태가 되어 차량의 중량이 양측 신축이음쇠에 개별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양측 신축이음쇠에 차량의 중량이 분산되어 작용하므로 신축이음쇠 및 교량상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또 신축이음쇠의 하측에 설치되는 콘크리트마감 및 보호판이 교량 상판의 말단 이음부를 커버하는 역할과,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별도의 거푸집 설치작업 및 거푸집 해체작업이 필요치 않아 시공상의 편리함과 작업공정의 단축으로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선출원 등록고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그 시공 시 분할되어 설치되는 신축이음쇠의 높이를 맞추기가 어려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한 번 시공되고 나면 그 높이를 조정할 수 없어 상판의 보수나 포장 등으로 상판의 표면이높아지는 경우 신축이음장치로서의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시공과정에서 연속하여 설치되는 신축이음쇠의 높이를 일일이 맞출 필요가 없어 시공이 수월하고 정밀도가 뛰어나며, 시공 후 필요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기능도 뛰어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신축이음쇠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 신축이음쇠가 마주보고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신축이음쇠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 신축이음쇠가 마주보고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4a 신축이음쇠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a 신축이음쇠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상판12, 22 : 배근철근
14, 24 : 블록 아웃100 : 신축이음장치
110, 120 : 신축이음쇠130, 140 : 평판부재
150, 160 : 레일부재172, 174 : 클립
180 : 방수고무191, 196 : 체결기구
202, 204 : 연결부재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핑거와 핑거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며 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핑거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는 신축이음쇠가 교량의 서로 인접한 상판의 이음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교량상판의 신축에 대응하도록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있어서, 마주보는 신축이음쇠 저면에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고 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를 갖는 레일부재, 신축이음쇠와 레일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기구 및 레일부재의 저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신축이음쇠를 상판의 구조물에 연결하여주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레일부재로는 앵글이 적당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앵글과 유사한 “ㄷ” 모양의 채널이 이용될 수도 있다.
위 체결기구로는 신축이음쇠와 레일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와 소켓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의 소켓으로는 너트가 이용될 수 있으며, 앵글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글이 충분히 두꺼운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 앵글의 구멍 내주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앵글이 소켓의 역할을 하게 하여도 된다.
위 연결부재는 고리모양으로 휘어져서 일단은 수직부에, 타단은 수평부에 용접으로 각각 접합되는 철근으로 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부재의 마주보는 수직부의 상단 부근에는 위쪽으로 개구되게 클립이 각각 부착되고, 마주보는 두 클립 사이에는 그 끝단이 클립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신축이음쇠에 의해 눌려지는 방수고무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면 더욱 좋다. 두 클립에 그 끝단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신축이음쇠에 의해 방수고무의 끝단 부근이 눌려지면 방수고무와 신축이음쇠 및 클립과 방수고무 사이의 수밀이 더욱 완벽하게 이루어지고 빗물 등이 두 상판 사이를 통해서 그 하부로는 전혀 유출되지 않게 된다.
위 신축이음쇠와 레일부재 사이에는 구멍을 갖는 평판부재가 더 개재되고, 레일부재의 마주보는 수직부의 상단 부근에는 위쪽으로 개구되게 클립이 각각 부착되고, 마주보는 두 클립 사이에는 그 끝단이 클립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평판부재에 의해 눌려지는 방수고무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위 신축이음쇠의 핑거는 제 1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 1핑거와 제 1핑거들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제 2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 2핑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홈은 그 연결부를 기준으로 제 1깊이의 제 1홈과 제 1홈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제 2깊이를 가지는 제 2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서 위 신축이음쇠의 핑거는 제 1길이로 돌출되는 제 1핑거와 2이상의 제 1핑거 사이에 형성되고 제 2길이로 돌출되는 제 2핑거와 2이상의 제 1핑거 사이에 형성되고 제 3길이로 돌출되는 제 3핑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홈은 제 1깊이의 제 1홈과 2이상의 제 1홈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제 2깊이를 가지는 제 2홈과 2이상의 제 1홈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제 3깊이를 가지는 제 3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의 길이라 함은 핑거가 마주보는 타측의 신축이음쇠를 향해 돌출된 정도를 의미하고, 깊이라 함은 타측 신축이음쇠에 형성된 핑거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의 오목함의 정도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신축이음쇠(110, 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신축이음쇠(110, 120)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핑거(111, 121)가 설치되고, 각 핑거(111, 121) 사이에는 핑거(111, 121)에 의해 다수의 홈(113, 123)이 형성된다. 핑거(111, 121)의 길이 및 홈(113, 123)의 깊이는 비균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핑거(111, 121)는 연결부(115, 1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115, 125)에는 간격을 두고 구멍(117,1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이음쇠(110, 120)가 마주보고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 신축이음쇠(110)의 각 핑거(111)는 마주보는 타측 신축이음쇠(120)의 홈(1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주보고 있다. 이러한 신축이음쇠(110, 120)는 현실적으로 교량 상판(10, 20)의 폭만큼 길게 만들기 어렵고 또 무거워서 취급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1∼2m 정도의 길이로 만들어지며, 교량 상판(10, 20)의 폭방향으로 다수 개가 연이어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쇠(110, 120)의 저면으로는 평판부재(130, 140)가 설치된다. 이 평판부재(130, 140)는 신축이음쇠(110, 120)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평판부재(130, 140)에는 신축이음쇠(110, 120)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멍(117, 127)과 같은 위치에 역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 평판부재(130, 140)는 신축이음쇠(110, 120)와 같은 길이로 만들어도 되고, 교량의 폭과 같은 길이로 만들어도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재(130, 140) 저면으로는 레일부재(150, 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일부재(150, 160)로는 앵글(angle)이 적당하다. 이 레일부재(150, 160)는 평판부(130, 140)의 저면에 밀착되는 수평부(152, 162)와 수평부(152, 162)에 수직한 수직부(154, 164)로 되어 있다. 이 레일부재(150, 160) 수평부(152, 162)에도 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된다. 이 레일부재(150, 160)는 교량 상판(10, 20)의 폭과 같은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일부재(150, 160)는 신축이음장치 시공 시 그 위에 장착되는 신축이음쇠(110, 120)의 높이를 일일이 조정하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레일부재(150, 160)로는 “ㄷ”단면모양을 갖는 채널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양측 레일부재(150, 160)의 수직부(154, 164) 상단 부근에는 위쪽이 개구된 클립(172, 17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클립(172, 174)은 뒤에서 설명되는 방수고무(18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그 상단은 레일부재(150, 160)의 상면보다 조금 낮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체결기구(191, 19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체결기구(191, 196)는 신축이음쇠(110, 120)와 평판부재(130, 140)를 레일부재(150, 160)에 고정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기구(191, 196)로는 볼트(192, 197)와 볼트(192, 197)가 나사결합 될 수 있는 소켓(193, 198)으로 구성된 것이 적당하다. 소켓(193, 198)으로는 너트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레일부재(150, 160)의 수평부(152, 162) 저면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레일부재(150, 160) 수평부(152, 162)의 두께가 충분한 경우 수평부(152, 162)의 구멍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50, 160)의 저면에는 고리모양의 연결부재(202, 204)가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202, 204)는 처음 시공 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교량 상판(10, 20)의 배근철근(12, 22) 등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가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결부재(202, 204)로는 고리모양으로 굴곡된 철근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 연결부재(202, 204)의 일단은 레일부재(150,160)의 수평부(152, 162)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고, 그 타단은 레일부재(150, 160)의 수직부(154, 164)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02, 204)와 배근철근(12, 22)의 연결은 용접이나 강선을 이용한 결선작업 등을 이용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레일부재(150, 160) 사이에는 방수고무(1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수고무(180)의 양측 끝단은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는 클립(172, 174)에 각각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U자 형태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방수고무(180)의 양측 끝단 부근은 그 위쪽의 평판부재(130, 140)에 의해 가압 된다. 이에 따라 방수고무(180)와 평판부재(130, 140) 사이 및 방수고무(180)와 클립(172, 174) 사이에 거의 완벽한 수밀이 이루어진다.
위 방수고무(180) 상에 피이 폼(PE FORM) 등으로 된 스펀지 형태의 것을 채워서 이물질이 방수고무 위에 쌓이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가 설치되는 교량 상판(10, 20)의 끝단에는 “ㄴ”자 단면모양으로 파여져 있는데, 통상 이를 블록 아웃(block out, 14, 24)이라 한다. 이 블록 아웃(14, 24)에는 배근철근(12, 22)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된다.
도 1∼도 3을 통해 설명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시공은 레일부재(150, 160) 고정, 방수고무(180) 장착, 평판부재(130, 140), 신축이음쇠(110, 120) 고정의 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먼저, 그 저면에 연결부재(202, 204)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교량 상판(10, 20)의 폭과 같은 길이의 레일부재(150, 160) 한 쌍을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배치하여 배근철근(12, 22) 등에 고정한다. 그렇게 한 다음 레일부재(150, 160)의 수직부(154, 164)에 설치되어 있는 클립(172, 174)에 방수고무(180)의 양측 끝단을 각각 삽입한 다음, 각 레일부재(150, 160)의 수평부(152, 162) 상에 평판부재(130, 140)를 깐다.
평판부재(130, 140) 위에 신축이음쇠(110, 120)를 배치하여 체결기구(191, 196)로 신축이음쇠(110, 120)와 평판부재(130, 140)를 레일부재(150, 160)에 고정한다. 체결구(191, 196)로 신축이음쇠(110, 120)와 평판부재(130, 140)를 레일부재(150, 160)에 고정함에 따라 방수고무(180)의 양측 끝단 부근은 평판부재(130, 140)에 의해 가압 된다. 평판부재(130, 14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방수고무(180)의 양측 끝단 부근은 신축이음쇠(110, 120)에 의해 가압 된다.
하나의 신축이음부재(110, 120)에 대한 고정이 완료되면 그 옆쪽의 레일부재(150, 160) 상에 다시 앞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평판부재(160, 140)와 신축이음부재(110, 120)를 깔고 체결기구(191, 196)로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교량 상판(10, 20)의 전체 폭에 걸쳐서 평판부재(130, 140)와 신축이음쇠(110, 120)를 고정한다. 이러한 시공과정에서 평판부재(130, 140)와 신축이음쇠(110, 120)는 레일부재(150, 160)의 수평부(152, 162) 상에 탑재되므로, 신축이음쇠(110, 120)의 높낮이를 별도로 조정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편리하다.
교량 상판(10, 20)의 전체 폭에 걸쳐서 평판부재(130, 140)와신축이음쇠(110, 120)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블록 아웃(14, 24)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 재료를 주입하여 양생하면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레일부재(150, 160)를 고정 후에 콘크리트를 친 다음 평판부재(130, 140)와 신축이음쇠(110, 120)를 체결구(191, 196)로 고정하는 과정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교량의 상판(10, 20) 사이에 배치한 후 콘크리트 작업을 하는 과정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된 후에 도로보수 등을 위해 교량 상판(10, 20)의 표면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더 포장하는 경우 상판(10, 20)의 표면이 신축이음쇠(110, 120)의 표면보다 더 높아지는 경우, 체결기구(191, 196)의 볼트(192, 197)를 풀고, 신축이음쇠(110, 120)를 들어낸 다음 상판(10, 20) 표면과 신축이음쇠(110, 120) 표면 간의 높이 차이에 해당되는 두께의 평판부재(130, 140)를 깔고 그 위에 신축이음쇠(110, 120)를 탑재하여 볼트(192, 197)로 체결하면 신축이음쇠(110, 120)의 표면 높이와 상판(10, 20)의 표면 높이가 같아지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원래 설치되어 있던 평판부재(130, 140)를 제거하고 그 보다도 두꺼운 새로운 평판부재(130, 140)를 이용하여 신축이음쇠(110, 120)의 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에서는, 신축이음쇠(110, 120)의 설치과정에서 먼저 설치된 이웃하는 신축이음쇠(110, 120)와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별도의 노력을 할 필요가 없고, 방수고무(180)는 평판부재(130, 140)나 신축이음쇠(110, 120)에 의해 가압 되며, 신축이음쇠(110, 12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도 4a는 신축이음쇠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 신축이음쇠가 마주보고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축이음쇠(110, 120)의 핑거(111, 121)는 제 1길이로 돌출 되는 제 1핑거(111a, 121a)와 제 1핑거(111a, 121a)보다 더 앞쪽으로 제 2길이로 돌출 되는 제 2핑거(111b, 121b)를 교대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 1핑거(111a, 121a)와 제 2핑거(111b, 121b) 사이에는 제 1깊이의 제 1홈(113a, 123a)과 제 1깊이보다 더 깊은 제 2깊이로 제 2홈(113b, 123b)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 1핑거(111a, 121a)와 제 2핑거(111b, 121b)를 연결하는 연결부(115, 125)에는 앞에서 설명한 볼트 등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구멍(117, 127)이 형성되어 있다.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측 신축이음쇠(110)의 제 1핑거(111a)는 타측 신축이음쇠(120)의 제 1홈(123a)에 결합되고, 일측 신축이음쇠(110)의 제 2핑거(111b)는 타측 신축이음쇠(120)의 제 2홈(123b)에 각각 결합된다.
도 5a는 신축이음쇠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 신축이음쇠가 마주보고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축이음쇠(110, 120)의 핑거(111, 121)는 제 1길이로 돌출되는 제 1핑거(111a, 121a)와 제 1핑거(111a, 121a)보다 더 앞쪽으로 제 2길이로 돌출되는 제 2핑거(111b, 121b) 및 제 1핑거(111a, 121a) 보다는 길고 제 2핑거(111b, 121b)보다는 짧게 제 3길이로 돌출되는 제 3핑거(111c, 121c)를 교대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 1핑거(111a, 121a)와 제 2핑거(111b, 121b) 및 제 3핑거(111c, 121c) 사이에는 제 1깊이의 제 1홈(113a, 123a)과 제 1깊이보다 더 깊은 제 2깊이의 제 2홈(113b, 123b) 및 제 1깊이보다는 깊고 제 2깊이보다는 얕은 제 3깊이로 제 3홈(113c, 123c)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 1핑거(111a, 121a)와 제 2핑거(111b, 121b) 및 제 3핑거(111c, 121c)를 연결하는 연결부(115, 125)에는 앞에서 설명한 볼트 등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구멍(117, 127)이 형성되어 있다.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측 신축이음쇠(110)의 제 1핑거(111a)는 타측 신축이음쇠(120)의 제 1홈(123a)에 결합되고, 일측 신축이음쇠(110)의 제 2핑거(111b)는 타측 신축이음쇠(120)의 제 2홈(123b)에 결합되고, 일측 신축이음쇠(110)의 제 3핑거(111c)는 타측 신축이음쇠(120)의 제 3홈(123c)에 각각 결합된다.
도 6은 도 4a 신축이음쇠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a 신축이음쇠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제 2핑거(111b, 121b) 사이에 2개 또는 3개의 제 1핑거(111a, 121a)를 각각 형성하고, 또 이웃하는 두 제 2홈(113b, 123b) 사이에 2개 또는 3개의 제 1홈(113a, 123a)이 배치되도록 하여 신축이음쇠(110, 12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신축이음쇠(110, 120)는 위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을 기초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그 시공과정에서 신축이음쇠가 레일부재의 수평부 상에 놓여지면 자연적으로 그 높이가 이웃한 신축이음쇠와 같아지므로, 신축이음쇠의 높이를 서로 맞추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치 않아 시공하기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양쪽 끝단이 클립에 삽입되는 방수고무의 양쪽 끝단 부근이 평판부재 또는 신축이음쇠에 의해 가압 되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방수성능이 매우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시공된 후에 교량의 보수 등으로 교량 상판의 표면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되는 경우 상판 표면의 높이 변화에 맞추어 신축이음쇠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신축이음쇠의 핑거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하강하여 교량의 상판이 수축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합된 한 쌍의 신축이음쇠의 간격이 벌어졌을 때, 길게 형성된 긴 핑거에 의해 서로 형합된 상태가 되어 차량의 중량이 양측 신축이음쇠에 개별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양측 신축이음쇠에 차량의 중량이 분산되어 작용하므로 신축이음쇠에 발생되는 응력이 적고 소음도 적게 발생된다.

Claims (7)

  1.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핑거와 상기 핑거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며 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핑거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는 신축이음쇠가 교량의 서로 인접한 상판의 이음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교량상판의 신축에 대응하도록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신축이음쇠 저면에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고 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를 갖는 레일부재;
    상기 신축이음쇠와 상기 레일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기구; 및
    상기 레일부재의 저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신축이음쇠를 상기 상판의 구조물에 연결하여주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앵글이고,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신축이음쇠와 상기 레일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와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고리모양으로 휘어져서 일단은 수직부에, 타단은 수평부에 용접으로 각각 접합되는 철근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신축이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의 마주보는 수직부의 상단 부근에는 위쪽으로 개구되게 클립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마주보는 두 클립 사이에는 그 끝단이 상기 클립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이음쇠에 의해 눌려지는 방수고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쇠와 상기 레일부재 사이에는 구멍을 갖는 평판부재가 더 개재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마주보는 수직부의 상단 부근에는 위쪽으로 개구되게 클립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마주보는 두 클립 사이에는 그 끝단이 상기 클립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평판부재에 의해 눌려지는 방수고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쇠의 상기 핑거는 제 1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 1핑거와 상기 제 1핑거들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제 2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 2핑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홈은 제 1깊이의 제 1홈과 상기 제 1홈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제 2깊이를 가지는 제 2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쇠의 상기 핑거는 제 1길이로 돌출되는 제 1핑거와 2이상의 제 1핑거 사이에 형성되고 제 2길이로 돌출되는 제 2핑거와 2이상의 제 1핑거 사이에 형성되고 제 3길이로 돌출되는 제 3핑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홈은 제 1깊이의 제 1홈과 2이상의 제 1홈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제 2깊이를 가지는 제 2홈과 2이상의 제 1홈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제 3깊이를 가지는 제 3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1020020016082A 2002-03-25 2002-03-25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030077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082A KR20030077142A (ko) 2002-03-25 2002-03-25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082A KR20030077142A (ko) 2002-03-25 2002-03-25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142A true KR20030077142A (ko) 2003-10-01

Family

ID=3237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082A KR20030077142A (ko) 2002-03-25 2002-03-25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142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13B1 (ko) * 2007-01-19 2007-04-27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블록아웃이 없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49351B1 (ko) * 2007-06-16 2007-08-14 (주)피엔알시스템 각 형강을 이용한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0798654B1 (ko) * 2007-07-27 2008-01-28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08492B1 (ko) * 2006-03-15 2008-02-29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808444B1 (ko) * 2007-12-26 2008-02-29 주식회사 케이.알 교량 상판 신축 이음장치 및 방법
KR100814958B1 (ko) * 2007-03-19 2008-03-20 웅진엔지니어링(주) 신축이음장치의 재설치공법
KR100841264B1 (ko) * 2007-10-10 2008-06-25 매크로드 주식회사 볼트 교체가 가능한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KR100957696B1 (ko) * 2008-04-30 2010-05-12 김성길 후타재가 필요없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KR100978997B1 (ko) * 2007-11-15 2010-08-30 여미영 교량차도의 신축이음
KR101228655B1 (ko) * 2004-07-07 2013-01-31 마게바 에스.에이. 브릿지 장치
KR101236191B1 (ko) * 2010-11-17 2013-02-22 고훈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보수공법
KR101411895B1 (ko) * 2012-06-13 2014-06-26 김남훈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WO2017171223A1 (ko) * 2016-03-30 2017-10-05 케이씨테크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이음쇠
KR20200023090A (ko) 2018-08-24 2020-03-0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KR20200089357A (ko) * 2019-01-16 2020-07-27 주식회사 제트콘코리아 폴리머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교량 신축이음 보수공법
KR102253508B1 (ko) * 2020-09-24 2021-05-18 주식회사 리얼테크 신축이음장치
KR102308948B1 (ko) * 2020-12-11 2021-10-06 이두성 후타콘크리트 공동발생을 최소화시킨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KR102308947B1 (ko) * 2020-12-11 2021-10-06 이두성 신축이음장치 연결부 누수를 최소화시킨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1625U (ko) * 1977-03-26 1978-10-19
JPS5677505U (ko) * 1979-11-15 1981-06-24
JPS5696103U (ko) * 1979-12-20 1981-07-30
JPS58160906U (ja) * 1982-04-19 1983-10-26 鉄道軌材工業株式会社 高架橋等の床板継目装置
EP0231525A1 (de) * 1986-01-30 1987-08-12 Glacier GmbH - Sollinger Hütte Fahrbahnübergang für Dehnfugen bei Eisenbahnbrücken
KR200184750Y1 (ko) * 2000-01-17 2000-06-01 조남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0184728Y1 (ko) * 2000-01-04 2000-06-01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JP2000199203A (ja) * 1999-01-06 2000-07-18 Motonosuke Arai 道路橋継目部の伸縮装置及び道路橋端部の補強構造
KR200209803Y1 (ko) * 1998-05-26 2001-01-15 박대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254617Y1 (ko) * 2001-08-02 2001-12-01 일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1625U (ko) * 1977-03-26 1978-10-19
JPS5677505U (ko) * 1979-11-15 1981-06-24
JPS5696103U (ko) * 1979-12-20 1981-07-30
JPS58160906U (ja) * 1982-04-19 1983-10-26 鉄道軌材工業株式会社 高架橋等の床板継目装置
EP0231525A1 (de) * 1986-01-30 1987-08-12 Glacier GmbH - Sollinger Hütte Fahrbahnübergang für Dehnfugen bei Eisenbahnbrücken
KR200209803Y1 (ko) * 1998-05-26 2001-01-15 박대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00199203A (ja) * 1999-01-06 2000-07-18 Motonosuke Arai 道路橋継目部の伸縮装置及び道路橋端部の補強構造
KR200184728Y1 (ko) * 2000-01-04 2000-06-01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184750Y1 (ko) * 2000-01-17 2000-06-01 조남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0254617Y1 (ko) * 2001-08-02 2001-12-01 일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655B1 (ko) * 2004-07-07 2013-01-31 마게바 에스.에이. 브릿지 장치
KR100808492B1 (ko) * 2006-03-15 2008-02-29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712013B1 (ko) * 2007-01-19 2007-04-27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블록아웃이 없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14958B1 (ko) * 2007-03-19 2008-03-20 웅진엔지니어링(주) 신축이음장치의 재설치공법
KR100749351B1 (ko) * 2007-06-16 2007-08-14 (주)피엔알시스템 각 형강을 이용한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0798654B1 (ko) * 2007-07-27 2008-01-28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41264B1 (ko) * 2007-10-10 2008-06-25 매크로드 주식회사 볼트 교체가 가능한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KR100978997B1 (ko) * 2007-11-15 2010-08-30 여미영 교량차도의 신축이음
KR100808444B1 (ko) * 2007-12-26 2008-02-29 주식회사 케이.알 교량 상판 신축 이음장치 및 방법
KR100957696B1 (ko) * 2008-04-30 2010-05-12 김성길 후타재가 필요없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KR101236191B1 (ko) * 2010-11-17 2013-02-22 고훈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보수공법
KR101411895B1 (ko) * 2012-06-13 2014-06-26 김남훈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WO2017171223A1 (ko) * 2016-03-30 2017-10-05 케이씨테크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이음쇠
KR20200023090A (ko) 2018-08-24 2020-03-0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KR20200089357A (ko) * 2019-01-16 2020-07-27 주식회사 제트콘코리아 폴리머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교량 신축이음 보수공법
KR102253508B1 (ko) * 2020-09-24 2021-05-18 주식회사 리얼테크 신축이음장치
KR102308948B1 (ko) * 2020-12-11 2021-10-06 이두성 후타콘크리트 공동발생을 최소화시킨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KR102308947B1 (ko) * 2020-12-11 2021-10-06 이두성 신축이음장치 연결부 누수를 최소화시킨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7142A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US5887400A (en) Expansion control system
CN101297090B (zh) 安装砖、砖组件的系统和该系统中使用的结合元件、安装砖的方法和砖地修理方法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1579046B1 (ko)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US20130205518A1 (en) Upper Structure for Bridge
CA2679462C (en) Environmental culvert system
KR200417259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A2250776C (en) Method for reinforcing wall structure
KR102057323B1 (ko)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KR20180002100U (ko) 데크 고정구조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CN1548655A (zh) 桥梁伸缩缝装置
KR200198769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2305121B1 (ko) 가황식 배수시트 및 방수도포재를 이용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누수방지 신축이음장치
KR200201588Y1 (ko) 조립식 간이 다리용 교각부재
KR101084668B1 (ko)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CN113293698A (zh) 一种公路桥梁多缝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KR200167589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0272166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JP2004332358A (ja) 道路橋用伸縮継手及び道路橋用伸縮継手の製造方法
KR200301139Y1 (ko) 콘크리트 수로관의 연결구조
JP2019052505A (ja) 道路橋伸縮装置用間詰め構造
KR200406659Y1 (ko)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2374328B1 (ko) 천연목재의 강성을 보강한 클립형 데크로드 및 이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