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59Y1 -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659Y1
KR200406659Y1 KR2020050032069U KR20050032069U KR200406659Y1 KR 200406659 Y1 KR200406659 Y1 KR 200406659Y1 KR 2020050032069 U KR2020050032069 U KR 2020050032069U KR 20050032069 U KR20050032069 U KR 20050032069U KR 200406659 Y1 KR200406659 Y1 KR 200406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bridge
square
bol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철
석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50032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6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사각과 신축이음장치 방향을 일치시켜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키며,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시 교량의 슬래브 단부는 고정형을 채택하고, 슬래브 중앙부는 힌지형을 채택하여 차량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한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교대 또는 슬래브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며, 일측은 평활면을 가지며, 타측은 파형면으로 이루어진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파형면에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고, 일측에 볼트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좁고 길이가 길며 신축이 자유로운 신축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사각, 조절, 교량, 신축이음장치

Description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Bridge expansion joint for degree regulation type of angle of inclination}
도 1은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직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사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직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사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신축이음장치를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신축이음장치 10: 고정판
12: 볼트 14: 평활면
16: 파형면 20: 신축부재
22: 볼트 24: 볼트공
J: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본 고안은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 사각과 신축이음장치 방향을 일치시켜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키며,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시 교량의 슬래브 단부는 고정형을 채택하고, 슬래브 중앙부는 힌지형을 채택하여 차량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한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의 변위와 변형을 원활하게 수용하여 2차 응력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교면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교면수나 각종 오물이 하부로 유입되어 교좌장치의 부식이나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사각을 고려할 수 없는 구조인 즉 직교에 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바, 이때 교량 상판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1)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신축이음장치의 신축방향이 일치하여 별다른 문제점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교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차량진행방향과 신축이음장치(1)의 신축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사각방향 수평변위(전단변형량)에 의해 신축이음장치(1)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신축이음장치(1)의 신축방향이 차량진행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차량이 신축이음장치 통과시 주행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셋째, 사교에 신축이음장치(1)를 설치할 경우 교량의 슬래브 단부에서 신축이음장치(1)와 슬래브의 끝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시공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넷째, 사교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1)에서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필요에 따라 사교에 맞는 신축이음장치(1)를 주문 생산하여 설치하기도 하나 주문생산시 교량의 사각이 많이 소요되고, 사각이 현장마다 달라 주문생산할 때마다 설비를 자주 변경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교량 사각과 신축이음장치 방향을 일치시켜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키며,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시 교량의 슬래브 단부는 고정형을 채택하고, 슬래브 중앙부는 힌지형을 채택하여 차량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한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교대 또는 슬래브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며, 일측은 평활면을 가지며, 타측은 파형면으로 이루어진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파형면에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고, 일측에 볼트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좁고 길이가 길며 신축이 자유로운 신축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직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사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신축이음장치를 분해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교대 또는 슬래브에 볼트(12)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며, 일측은 평활면(14)을 가지며, 타측은 파형면(16)으로 이루어진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파형면(16)에 볼트(22)를 매개로 결합되고, 일측에 볼트공(24)이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좁고 길이가 길며 신축이 자유로운 신축부재(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0)에는 신축부재(20)가 힌지(30) 결합된 구조이다.
특히 슬래브 중앙부에서 차량의 충격에 저항할 수 있도록 힌지(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20)의 상면에는 충전재(40)가 충전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충전재(40)는 슬래브 단부에서 고정판(10)과 신축부재(20)를 조립한 후 그 조립부위를 채워주는 역할을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J)는 고정판(10)과 신축부(20)재로 구성됨으로써, 교량 사각과 신축이음장치의 신축방향을 일치시켜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과 차량의 주행시 주행성을 향상시킴을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0)은 교대 및 슬래브에 볼트(12)에 의해 설치되는 강판으로 일측은 평활면(14)을 가지며, 타측은 파형면(16)을 가진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20)는 고정판(10)의 파형면(16)에 볼트(22)를 매개로 하여 고정 설치되며, 차량통행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사교에서는 빗살 역할을 하는 강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J)는 교량 사각과 신축이음장치(J)의 신축방향을 일치시켜 신축이음장치(J)의 내구성과 차량주행시 쾌적성을 높이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교량의 슬래브 단부는 고정형으로 하고, 슬래브 중앙부는 힌지형을 채택하여 신축이음장치(J)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시킬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J)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교량 사각과 신축이음장치의 신축방향을 일치시켜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교량 슬래브 단부는 고정형을 채택하고, 슬래브 중앙부는 힌지형을 채택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여러 형태의 길이로 대량 생산한 후, 각 현장의 신축이음길이에 맞게 조립이 가능하므로 신축이음장치의 수송 및 시공성이 양호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교대 또는 슬래브에 볼트(12)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며, 일측은 평활면(14)을 가지며, 타측은 파형면(16)으로 이루어진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의 파형면(16)에 볼트(22)를 매개로 결합되고, 일측에 볼트공(24)이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좁고 길이가 길며 신축이 자유로운 신축부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에는 신축부재(20)가 힌지(30)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20)의 상면에는 충전재(40)가 충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20050032069U 2005-11-11 2005-11-11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406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069U KR200406659Y1 (ko) 2005-11-11 2005-11-11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069U KR200406659Y1 (ko) 2005-11-11 2005-11-11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152 Division 2005-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659Y1 true KR200406659Y1 (ko) 2006-01-23

Family

ID=4175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069U KR200406659Y1 (ko) 2005-11-11 2005-11-11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88B1 (ko) 2010-05-12 2010-08-2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내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 시공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88B1 (ko) 2010-05-12 2010-08-2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내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 시공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KR101411895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KR100957696B1 (ko) 후타재가 필요없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KR200406659Y1 (ko) 사각 조절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170096449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20211B1 (ko) 교량의 측방향 하중 지지형 신축 이음 장치
JP2009235847A (ja) 橋梁用伸縮装置及び橋梁用伸縮構造
KR100599207B1 (ko)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70000971A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2356049B1 (ko)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KR20040050690A (ko) 홍수 및 외부에 의한 충격진동에 의한 붕괴방지 교량건설구조
CN205443925U (zh) 模块化、大转角、多向变位伸缩装置以及桥梁
KR200275867Y1 (ko) 방호벽용 신축이음장치
KR100467848B1 (ko) 교량용 강 박스 거더
JP2019052505A (ja) 道路橋伸縮装置用間詰め構造
KR200272166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020033992A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JP3789412B2 (ja) 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用の埋設継手及び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
KR200310957Y1 (ko)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10049344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205474815U (zh) 多向变位伸缩装置以及桥梁
KR200332005Y1 (ko)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CN213951930U (zh) 一种桥梁伸缩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