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492B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492B1
KR100808492B1 KR1020070012973A KR20070012973A KR100808492B1 KR 100808492 B1 KR100808492 B1 KR 100808492B1 KR 1020070012973 A KR1020070012973 A KR 1020070012973A KR 20070012973 A KR20070012973 A KR 20070012973A KR 100808492 B1 KR100808492 B1 KR 10080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late
bridge
groove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806A (ko
Inventor
서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ublication of KR2007009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이 여러 방향으로 유동되더라도 유연하게 신축 작용이 이루어지는 개선된 구조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어느 하나의 교량에 연결되며, 요입된 복수의 안착홈과 이 안착홈의 내벽을 따라 각각 형성된 핑거홈을 포함하는 제1핑거플레이트; 상기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볼트에 의해 축 결합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로부터 안착홈의 외측으로 연장된 선형돌출부를 포함하는 핑거;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핑거홈에 삽입되며, 양단부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보강부재; 그리고 다른 하나의 교량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에 대향되며 핑거의 선형돌출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2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신축이음장치, 핑거, 보강부재, 핑거홈, 여러방향, 신축, 탄성부재, 우레탄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도 1a는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b는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교량에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탄성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전,후방향(X축)으로 신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개략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좌,우방향(Y축)으로 신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에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제1핑거플레이트 11 : 안착홈
13 : 핑거홈 13a : 탄성부재
30 : 핑거 31 : 회전부
31a : 체결공 33 : 선형 돌출부
35 : 보강부재 36 : 베어링
36a : 베어링홈 37 : 오링
50 : 제2핑거플레이트 51 : 가이드 홈
60 : 하부판 70 : 지지부재
71 : 상판부 73 : 수직부
75 : 저부 80 : 앵커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방향으로 유연하게 신축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구조물은 온도 변화 및 하중에 의해 팽창되고 수축된다.
이에 따라, 일정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구조물은 일정길이마다 적정한 연결 틈새를 갖도록 교량 상판이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연결 틈새에는 신축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어 각각의 교량 상판을 연결한다.
이러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 인해, 교량 상판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교량의 수명이 길어지며 차량의 원활한 주행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P)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이격부재(1)와 이 이격부재(1) 외벽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앵커(미도시)를 갖는다.
상기 이격부재(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격부재(1)의 상측에는 엇갈리게 서로 삽입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3)가 설치 된다.
또한, 핑거플레이트(3)와 이격부재(1)가 형성하는 이격 공간 내에는 이격부재(1)의 상호 접근 및 이격에 대해 탄성적으로 대응하는 신축부재(7)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의 신축이음장치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교량에 설치되어 상호간에 신축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온도 변화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한 교량의 신축시에, 엇갈리게 삽입된 핑거플레이트(3)는 서로 삽입된 홈 내에서 왕복되면서 교량의 신축을 작용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 되었다.
도 1a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핑거플레이트(3) 및 이격부재(1)의 신축방향은 X축에만 한정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량 상판(P)이 Y축으로 유동될 경우에는 핑거플레이트(3)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방향으로 유연하게 신축작용이 이루어지는 핑거플레이트를 갖는 개선된 구조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핑거플레이트가 상호 유동되는 간격을 최대화하여 교량의 신축량을 최대화시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교량에 연결되며, 요입된 복수의 안착홈과 이 안착홈의 내벽을 따라 각각 형성된 핑거홈을 포함하는 제1핑거플레이트;상기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볼트에 의해 축 결합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로부터 안착홈의 외측으로 연장된 선형돌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핑거;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핑거홈에 삽입되며, 양단부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보강부재; 그리고 다른 하나의 교량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에 대향되며 핑거의 선형돌출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2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볼트의 둘레에는 핑거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어링의 둘레에는 오링(o-ring)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에는 회전된 핑거의 복원력을 보강하는 탄성 복원체가 더 설치되되, 상기 탄성 복원체는 회전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고정체와, 이 고정체의 회전 공간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중앙에는 상기 노출된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요입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체의 요입홈에 삽입되어 회전체의 회전을 간섭하는 우레탄 재질의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 및 제2핑거플레이트의 저면에는 각각 교량에 연결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제1핑거플레이트 및 제2핑거플레이트가 각각 지지되는 상판부와 이 상판부로부터 저면으로 수직 연장된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된 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핑거플레이트와 지지부재 사이에는 제1핑거플레이트와 핑거 및 제2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하부판이 각각 개재되되, 이 하부판은 핑거의 회전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제1핑거플레이트(10)와, 핑거(30)와, 제2핑거플레이트(50)와, 지지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핑거플레이트(10)는 신축이음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며, 어느 하나의 교량 (가)일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다.
이때, 제1핑거플레이트(10)에는 요입된 복수의 안착홈(11)들이 제1핑거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에는 후술하는 핑거(30)의 회전부가 축 결합되며,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착홈(10)을 형성하는 내벽에는 이 내벽을 따라 핑거홈(13)이 형성된다.
상기 핑거홈(13)은 후술하는 핑거(30)의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핑거(30)의 원활한 회전 및 제1핑거플레이트(10)에 핑거(3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핑거(3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핑거(30)는 교량(가,나)이 여러 방향으로 유연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작용하며, 일측은 제1핑거플레이트(10)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핑거플레이트(50)에 안착된다.
이때, 제1핑거플레이트(10)에 안착홈(11)이 복수로 형성된 만큼, 상기 핑거(30)도 이에 대응되는 갯수 만큼 제공된다.
상기 핑거(30)는 제1핑거플레이트(10)의 안착홈(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31)와, 상기 회전부(31)로부터 제2핑거플레이트(50)를 향해 연장된 선형 돌출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31)는 도 3,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플레이 트(10,50)의 유동이 Y축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31)는 안착홈(11)에 대응되는 형태인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부(31)의 외주면에는 이 외주면을 따라 핑거홈(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된 보강부재(35)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31)의 중앙에는 제1핑거플레이트(10)의 안착홈(11)에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체결공(31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35)는 제1핑거플레이트(10) 및 핑거(30)에 작용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핑거(10)가 제1핑거플레이트(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10)에 대한 핑거(30)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부재(35)는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반원 형상으로 라운드진 회전부(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도록 회전부(31)의 외주면으로부터 핑거홈(13)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5)의 양단부에는 탄성부재(13a)가 설치된다. 이 탄성부재(13a)는 회전부(31)가 회전된 후, 복원되는 과정에서 보강부재(35)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보강부재(35)가 핑거홈(13)에 삽입되었을 때, 이 보강부재(35)의 양단부에 설치된 탄성부재(13a)는 핑거홈(13)이 시작되는 양단부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핑거(30)의 회전시 압착되면서 상기 핑거(30)에 탄성력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선형 돌출부(33)는 보강부재(35)가 형성된 회전부(31)의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사다리꼴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돌출부(33)는 후술하는 제2핑거플레이트(50)의 가이드 홈에 끼워져 왕복으로 가이드 되면서 도 3,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플레이트(10,50)의 유동이 X축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선형 돌출부(33)의 선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선형 돌출부(33)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지거나, 가이드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선형 돌출부(33)가 유동될 때, 상호 간에 부딪히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2핑거플레이트(50)는 신축이음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며, 다른 하나의 교량(나) 일면 전체에 설치된다.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50)에는 제1핑거플레이트(10)의 안착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홈(5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51)은 핑거(30)의 선형 돌출부(33)가 삽입되어 유동되는 공간으로서, 선형 돌출부(33)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핑거플레이트(10)와 제2핑거플레이트(50)의 저부에는 하부판(60)이 설치된다. 이 하부판(60)은 제1핑거플레이트(10) 및 핑거(30)와 제2핑거플레이트(50)를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핑거플레이트(10)의 저부에 설치된 하부판(60)은 핑거(30)의 선형 돌출부(33)측으로 과도하게 연장될 필요가 없는 특징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핑거와 핑거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구성에서의 하부판은 핑거(3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핑거(30)의 저면 전체 즉, 선형 돌출부(33)까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구성은 제1,2핑거플레이트(10,50)가 서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제1핑거플레이트(10)에 설치된 하부판이 제2핑거플레이트(50)에 설치된 하부판에 간섭됨으로써, 제1,2핑거플레이트(10,50) 상호간에 신축될 수 있는 유동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핑거(30)는 하부판(60)이 핑거(30)의 선형돌출부(33)를 지지하지 않더라도, 보강부재(35)가 제1핑거플레이트(10)의 핑거홈(13)에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핑거(30)는 하중을 견디는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부판(60)은 제2핑거플레이트(50) 측으로 과도하게 연장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1,2핑거플레이트(10,50) 상호간에 신축되는 유동거리가 최대화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60)에는 핑거(30)의 체결공(31a)에 대응되는 축 공(60a)이 형성된다. 이 축 공(60a)은 핑거(30)를 하부판(60) 및 지지부재(70)의 상판부(71)에 축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지지부재(70)는 제1핑거플레이트(10) 및 제2핑거플레이트(50)를 교량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1핑거플레이트(10) 및 제2핑거플레이트(50)의 저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70)는 하부판(60)을 지지하는 상판부(71)와,이 상판부(71)에서 저면으로 수직 연결된 수직부(73)와, 이 수직부(73)로부터 절곡된 저 부(7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판부(71)에는 상기 체결공(31a) 및 축 공(60a)에 대응되는 또 하나의 축 공(71a)이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별도로 구비된 볼트(B)는 지지부재(70)의 저면으로부터 축 공(71a,60a) 및 체결공(31a)을 차례로 통과하고, 체결공(31a)을 통과하여 노출된 볼트(B)의 단부에는 너트(N)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핑거(30)는 제1핑거플레이트(10)의 안착홈(11)에서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재(70)의 수직부(73)에는 앵커(80)가 설치되고 이 앵커(80)에는 철근(미도시)이 엮어진 채로 교량(가,나)에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어 신축이음장치가 교량에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핑거(30)를 축 결합시킨 볼트(B)의 둘레에는 핑거(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36)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핑거(30)의 회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함으로써, 각각의 핑거플레이트(10,50)가 신축되거나 복원되는 과정에서 핑거(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핑거(30)의 회전부(31) 저면 중, 체결공(31a)에 대응된 위치에는 베어링(36)이 설치되기 위한 베어링홈(36a)이 더 형성되고, 이 베어링홈(36a)에 베어링(36)이 설치됨으로써, 체결공(31a)을 통과한 볼트(B)의 둘레에는 베어링(36)이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36)과 체결공(31a) 사이에는 오링(o-ring)(37)이 개재되 어 베어링(36) 측으로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B)의 헤드부와 상판부(71)의 저면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35)에 설치된 탄성부재(13a)와 더불어 핑거(30)의 복원력을 원활하게 제공하도록 탄성 복원체(4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탄성 복원체(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공간부(41a)가 형성된 원통형의 고정체(41)와, 이 고정체(41)의 회전 공간부(41a)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중앙에는 상기 노출된 볼트(B)가 삽입되는 삽입공(43a)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요입홈(43b)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전체(43)와, 상기 고정체(41)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며 회전체(43)의 요입홈(43b)에 삽입되어 회전체(43)의 회전을 간섭하는 우레탄 재질의 복원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핑거플레이트(10)의 안착홈(11)에 핑거(30)의 회전부(31)를 안착시킨다. 이때, 핑거(30)의 회전부(31)에 형성된 보강부재(35)는 상기 핑거홈(13)으로 삽입되고 보강부재(35)의 양단부에 설치된 탄성부재(13a)는 핑거홈(13)의 양단부에 밀착된다.
이후, 볼트(B)를 이용하여 연통된 체결공(31a)과 축공(60a,71a)을 통과시켜 핑거(30)의 회전부(31)를 안착홈(11)에서 회전 가능하게 체결시킨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B)의 둘레에는 베어링이(36) 및 탄성복원체(40)가 설치되고, 베어링(36)의 둘레에는 오링(37)이 설치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핑거(30)가 설치된 제1핑거플레이트(10)를 제2핑거플레이트(50)와 대향되게 배치시킨다.
이때, 핑거(30)의 선형 돌출부(33)는 제2핑거플레이트(50)의 가이드 홈(51)에 삽입되되, 선형 돌출부(33)의 단부는 제2핑거플레이트(50)에 설치된 하부판(71)에 안착된 상태이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6a는 본 발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좌,우방향(X축) 신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개략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상,하방향(Y축)의 신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개략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수축 원인이 가해지면 각각의 교량(가,나)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 중, 핑거(30)의 선형 돌출부(33)는 제2핑거플레이트(50)내 가이드 홈(51)에서 왕복 되면서 X축 방향으로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가,나)중 어느 하나의 교량에 상,하 방향(Y축)으로 힘이 가해지면 핑거(30)의 회전부(31)가 제1핑거플레이트(10)의 안착홈(11)에서 회전되면서 Y축 방향으로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핑거(30)는 회전부(31)의 볼트(B)를 중심으로 Y축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볼트(B)는 베어링(31a)에 의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회전부(31)의 보강부재(35)는 이 보강부재(35)와 밀착된 탄성부재(13a)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핑거(30)의 위치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3a)의 탄성력에 의해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볼트(B)의 하측에 설치된 탄성 복원체(40)에 의해 복원되는 힘이 더 증가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트(B)가 회전되면 이 볼트(B)가 삽입된 회전체(43) 역시 볼트(B)를 따라 회전된다. 이때, 회전체(43)의 요입홈(43b)에 형성된 복원부재(45)에 의해 간섭이 되는데, 복원부재(45)의 재질이 우레탄임으로 이 회전체(43)는 이 복원부재(45)를 억지로 가압하면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억지로 가압된 복원부재(45)는 탄성력이 발생되어 상기 회전체(43)를 원위치로 원활하게 복원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핑거(30)는 지속적인 회전과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어느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유연하게 신축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덧붙여, 상기 복수의 핑거(30)는 제1핑거플레이트(10)의 안착홈(11)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복수의 핑거(30)들 중, 몇 개의 핑거(30)만 손상되었을 때, 핑거(30) 및 제1핑거플레이트(10) 전체를 교체 또는 수리할 필요 없이 손상된 부위의 핑거(30)만 용이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작업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그 저면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방식의 지지부재들에도 공히 적용되더라도 같은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즉,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발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지지부재(90)를 다른 방식으로 적용한 경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에 여러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신축이음장치에 의해 유연하게 신축 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하면 회전부와 선형 돌출부로 이루어진 핑거의 외주면에 보강부재가 더 형성됨으로써, 여러 방향으로 유연하게 신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핑거에 가해지는 하중이 보강부재로 분산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핑거를 지지하는 하부판의 연장폭이 줄어들어 핑거플레이트 간의 유동 간격이 최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핑거의 보강부재와 핑거홈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지지부재의 하측으로 노출된 볼트에도 탄성 복원체가 설치됨으로써 핑거가 회전되고 복원되는 힘이 증가 된다. 이에 따라, 핑거의 복원 작용이 원활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볼트의 둘레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베어링의 둘레에 오링이 설치됨으로써, 핑거의 회전이 원활해짐은 물론, 베어링에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아 기계적인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핑거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핑거플레이트에 결합됨으로써 핑거 의 일부만 손상되었을 때, 핑거 또는 핑거플레이트 전체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필요 없이, 부분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교체 비용 또는 수리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높은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어느 하나의 교량에 연결되며, 요입된 복수의 안착홈과 이 안착홈의 내벽을 따라 각각 형성된 핑거홈을 포함하는 제1핑거플레이트;
    상기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볼트에 의해 축 결합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로부터 안착홈의 외측으로 연장된 선형돌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핑거;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핑거홈에 삽입되며, 양단부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보강부재; 그리고
    다른 하나의 교량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에 대향되며 핑거의 선형돌출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2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둘레에는 핑거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둘레에는 오링(o-ring)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는 회전된 핑거의 복원력을 보강하는 탄성 복원체가 더 설치되되,
    상기 탄성 복원체는 회전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고정체와, 이 고정체의 회전 공간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중앙에는 상기 노출된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요입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체의 요입홈에 삽입되어 회전체의 회전을 간섭하는 우레탄 재질의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 및 제2핑거플레이트의 저면에는 각각 교량에 연결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1핑거플레이트 및 제2핑거플레이트가 각각 지지되는 상판부와 이 상판부로부터 저면으로 수직 연장된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된 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제1,2핑거플레이트와 지지부재 사이에는 제1핑거플레이트와 핑거 및 제2핑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하부판이 각각 개재되되, 이 하부판은 핑거의 회전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070012973A 2006-03-15 2007-02-08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808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3987 2006-03-15
KR1020060023987 2006-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806A KR20070093806A (ko) 2007-09-19
KR100808492B1 true KR100808492B1 (ko) 2008-02-29

Family

ID=3868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973A KR100808492B1 (ko) 2006-03-15 2007-02-08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15B1 (ko) * 2008-12-24 2009-10-14 진형건설(주)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29B1 (ko) * 2013-06-27 2015-01-14 포인텍이앤씨(주)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CN110205927B (zh) * 2019-05-31 2020-06-16 河海大学 广角度智能除尘桥梁伸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80A (ko) * 2000-01-04 2001-07-23 이두성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30011435A (ko) * 2001-08-02 2003-02-11 일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KR20030077142A (ko) * 2002-03-25 2003-10-01 박대원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040022613A (ko) * 2002-09-09 2004-03-16 매크로드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보수를 위한 교량의 신축이음 교체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80A (ko) * 2000-01-04 2001-07-23 이두성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30011435A (ko) * 2001-08-02 2003-02-11 일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KR20030077142A (ko) * 2002-03-25 2003-10-01 박대원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040022613A (ko) * 2002-09-09 2004-03-16 매크로드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보수를 위한 교량의 신축이음 교체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15B1 (ko) * 2008-12-24 2009-10-14 진형건설(주)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806A (ko)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492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US7481582B2 (en) Bearing device and pin for bearing device
CN103538080B (zh) 机器人
JP4641558B2 (ja) 特大変位に耐えられるモジュール式櫛形橋梁ジョイント装置
KR10161014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4966439B2 (ja) 耐震伸縮継手
US6536594B2 (en) Vibration damping bushing with engaging jaws, and assembly including the bushing and a bracket for mounting the bushing
KR101368377B1 (ko)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EP1918445B1 (de) Laugenbehälter mit Ballastgewicht für eine Waschmaschine
KR101483071B1 (ko)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KR101213715B1 (ko) 신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 이음 장치
JP5572174B2 (ja) モジュール型橋梁用伸縮装置
WO1998026197A1 (en) Device for anchoring the basket damper in a washing machine or the like
JP3666385B2 (ja) 電動式射出機構
KR102244832B1 (ko)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KR100964161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20150004621U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4688066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
KR101851002B1 (ko)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US8091293B2 (en) Bearing and expansion joint system including same
KR20033544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30016235A (ko) 직접 작용 단부 링크
KR200332530Y1 (ko) 탄성받침용 탄성변위 스토퍼
KR102169796B1 (ko) 밀착형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FI126105B (fi) Fraktiointi- tai lajitinla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