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002B1 -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002B1
KR101851002B1 KR1020170123877A KR20170123877A KR101851002B1 KR 101851002 B1 KR101851002 B1 KR 101851002B1 KR 1020170123877 A KR1020170123877 A KR 1020170123877A KR 20170123877 A KR20170123877 A KR 20170123877A KR 101851002 B1 KR101851002 B1 KR 10185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ea
brush
mortar
expansion joint
brus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연
박정기
Original Assignee
박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연 filed Critical 박수연
Priority to KR102017012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축이음장치의 양측편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인접한 앙카플레이트 사이에 모르타르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다수의 브러시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량(2)의 구획부(3) 간 연결부위에 마주하게 설치되는 양측 상부수평판(12)과, 상기 양측 상부수평판(12)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각각 형성되는 하부수직판(14)으로 된 연결본체프레임(10); 상기 연결본체프레임(10)을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마주하는 내측으로 탄성작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신축부재(20); 상기 구획부(3)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인접한 교량(2)의 단부측에 매립 고정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수직판(14)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3) 상에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열 구비되는 보강철근(5)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철근(5)이 진입되는 하부개방부(32)와, 상기 하부개방부(32)의 양측으로 연장 확장되어 보강철근(5)을 지지 고정하는 양측 고정부(34)로 된 다수의 앵커플레이트(30); 상기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인접한 앵커플레이트(30) 간에 연결 고정되는 지지봉(41)과, 상기 지지봉(41)의 외주연 상으로 노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재(43)로 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브러쉬부재(43)가 외면에 형성된 지지봉(41)은 인접한 지지봉(41)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일체 연결된 지지봉(41)의 일측단부에 설치된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모르타르 내에 위치되는 브러쉬부재(43)가 회전되면서 브러쉬부재(43)의 전체면에 모르타르가 골고루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with improved stiffness}
본 발명은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이음장치의 양측편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인접한 앙카플레이트 사이에 모르타르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다수의 브러시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상부 구조물은 온도 변화, 건조 수축, 크리프 등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발생한다. 아울러 상부 또는 기타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 등에 의하여 각종 변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교량 상부 구조물 사이에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921415호에서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체결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교량의 거동시 상기 상판과 상판사이의 간격변화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변하도록 X축,Y축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서 원호형으로 움푹들어간 다수의 리세스을 갖는 제 1, 2 지지부와, 상기 제 1, 2 지지부 사이에서 일단부는 상기 리세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한쌍의 링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링크부재;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측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체결 고정되고, 상기 상판에 각각 매설되고, 철근을 용이하게 수용하여 보유하도록 형상화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직립 고정부와 상기 직립 고정부의 일면에서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에서, 상부영역에는 하단을 향하여 일부 절개되어서 다시 상기 직립 고정부 쪽으로 절개된 제 1 철근 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는 상기 직립 고정부를 향하여 절개된 제 2 철근 배치공이 형성된 다수의 앵커;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방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 1, 2 지지부의 상기 리세스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2 지지부 내에 박히는 선회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은 상하로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의 타단을 관통하여 형성된 힌지공에 삽입되는 힌지볼트에 의해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2 지지부에는 다수의 제 1 볼트공 및 다수의 제 2 볼트공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지지부는 상기 제 1 볼트공과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수평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는 제 1 체결볼트와 제 1 체결너트에 의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면상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 1, 2 지지부와 상기 수평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볼트공, 상기 수평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 그리고 상기 수직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는 제 2 체결볼트와 제 2 체결너트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는 타설되는 모르타르가 앵커 및 수직플레이트의 표면에만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앵커와 수직플레이트 사이 공간부 상에는 모르타르만 타설되어 있어 강성이 약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외부충격이나 변화에 모르타르에 균열이 쉽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92141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신축이음장치의 양측편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인접한 앙카플레이트 사이에 모르타르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다수의 브러시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2)의 구획부(3) 간 연결부위에 마주하게 설치되는 양측 상부수평판(12)과, 상기 양측 상부수평판(12)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각각 형성되는 하부수직판(14)으로 된 연결본체프레임(10); 상기 연결본체프레임(10)을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마주하는 내측으로 탄성작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신축부재(20); 상기 구획부(3)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인접한 교량(2)의 단부측에 매립 고정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수직판(14)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3) 상에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열 구비되는 보강철근(5)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철근(5)이 진입되는 하부개방부(32)와, 상기 하부개방부(32)의 양측으로 연장 확장되어 보강철근(5)을 지지 고정하는 양측 고정부(34)로 된 다수의 앵커플레이트(30); 상기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인접한 앵커플레이트(30) 간에 연결 고정되는 지지봉(41)과, 상기 지지봉(41)의 외주연 상으로 노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재(43)로 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브러쉬부재(43)가 외면에 형성된 지지봉(41)은 인접한 지지봉(41)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일체 연결된 지지봉(41)의 일측단부에 설치된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모르타르 내에 위치되는 브러쉬부재(43)가 회전되면서 브러쉬부재(43)의 전체면에 모르타르가 골고루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브러쉬부재(43)는 지지봉(41) 상에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브러쉬부재(43)에 마찰되는 모르타르에 꼬임강성이 부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가 설치된 공간측의 양측 하부수직판(14)의 외측면에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60)이 선택적으로 더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양측 상부수평판(12)과, 상기 양측 상부수평판(12)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각각 형성되는 하부수직판(14)으로 된 연결본체프레임(10)을 교량(2)의 구획부(3) 간 연결부위에 마주하게 설치하는 단계(S1); 상기 연결본체프레임(10)을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마주하는 내측으로 신축부재(20)를 탄성작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단계(S2); 상기 구획부(3)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인접한 교량(2)의 단부측에 매립 고정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수직판(14)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3) 상에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열 구비되는 보강철근(5)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철근(5)이 진입되는 하부개방부(32)와, 상기 하부개방부(32)의 양측으로 연장 확장되어 보강철근(5)을 지지 고정하는 양측 고정부(34)로 된 다수의 앵커플레이트(30)를 설치하는 단계(S3); 상기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인접한 앵커플레이트(30) 간에 연결 고정되는 지지봉(41)과, 상기 지지봉(41)의 외주연 상으로 노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재(43)로 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를 설치하되, 상기 브러쉬부재(43)가 외면에 형성된 지지봉(41)은 인접한 지지봉(41)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일체 연결된 지지봉(41)의 일측단부에 설치된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모르타르 내에 위치되는 브러쉬부재(43)가 회전되면서 브러쉬부재(43)의 전체면에 모르타르가 골고루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지지봉(41)은 양측 고정부(34)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브러쉬부재(43)는 지지봉(41) 상에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브러쉬부재(43)에 마찰되는 모르타르에 꼬임강성이 부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평행한 지지봉(41) 간에 동일 형태의 접촉면적 확대용 연결브러쉬(48)가 연결 구성되어지되, 상기 한 쌍의 평행한 지지봉(41) 간에 연결되는 접촉면적 확대용 연결브러쉬(48)는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가 설치된 공간측의 양측 하부수직판(14)의 외측면에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60)이 선택적으로 더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이음장치의 양측편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인접한 앙카플레이트 사이에 모르타르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다수의 브러시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의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 사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브러쉬부재의 다양한 변형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촉면적 확대용 연결브러쉬의 사용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의 사용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의 양측편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인접한 앙카플레이트 사이에 모르타르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다수의 브러시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연결본체프레임(10), 신축부재(20), 앵커플레이트(30) 및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본체프레임(10)은 도 1에서와 같이 교량(2)의 구획부(3) 간 연결부위에 마주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양측 상부수평판(12)과, 상기 양측 상부수평판(12)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각각 형성되는 하부수직판(14)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구현하도록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본체프레임(10)을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마주하는 내측으로 탄성작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신축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신축부재(20)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내측면에 “∪”형태로 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3)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인접한 교량(2)의 단부측에 매립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앵커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플레이트(30)는 도 1에서와 같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수직판(14)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앵커플레이트(30)에는 구획부(3) 상에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열 구비되는 보강철근(5)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철근(5)이 진입되는 하부개방부(32)와, 상기 하부개방부(32)의 양측으로 연장 확장되어 보강철근(5)을 지지 고정하는 양측 고정부(34)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인접한 앵커플레이트(30) 간에 연결 고정되는 지지봉(41)과, 상기 지지봉(41)의 외주연 상으로 노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재(43)로 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를 구비 설치한다.
상기 브러쉬부재(43)는 신축이음장치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인접한 앵커플레이트(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인데, 상기 브러쉬부재(43)가 구비된 상태에서 모르타르가 타설되면 브러쉬의 형태 특성상 브러쉬 사이사이 마다에 모르타르가 완벽하게 채워지기 힘들어 공극이 발생되는 문제가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브러쉬부재(43)가 외면에 형성된 지지봉(41)은 인접한 지지봉(41)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일체 연결된 지지봉(41)의 일측단부에 설치된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모르타르 내에 위치되는 브러쉬부재(43)가 회전되면서 브러쉬부재(43)의 전체면에 모르타르가 골고루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50)은 모터로 구현되게 하거나, 수동 작동 가능한 레버 형태로 구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50)에 의해 일체 연결된 지지봉(41)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봉(41)이 끼워지는 하부수직판(14)에 베어링 부재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수단(50)에 의한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회전 작용 및 모르타르와의 접촉력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브러쉬부재(43)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지지봉(41) 상에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브러쉬부재(43)에 마찰되는 모르타르에 꼬임강성이 부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적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지지봉(41)은 양측 고정부(34)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게 하고, 상기 한 쌍의 평행한 지지봉(41) 간에 동일 형태의 접촉면적 확대용 연결브러쉬(48)가 연결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평행한 지지봉(41) 간에 연결되는 접촉면적 확대용 연결브러쉬(48)는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가 설치된 공간측의 양측 하부수직판(14)의 외측면에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60)이 선택적으로 더 결합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60)은 브라켓 형태로서 다수의 통공(61) 및 내부공간부(63)를 갖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60)의 구성으로 인해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적이 더욱 확대된다.
이때,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60)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 하부수직판(14) 상에 끼움 등의 형태로 선택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의한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은, 양측 상부수평판(12)과, 상기 양측 상부수평판(12)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각각 형성되는 하부수직판(14)으로 된 연결본체프레임(10)을 교량(2)의 구획부(3) 간 연결부위에 마주하게 설치하는 단계(S1); 상기 연결본체프레임(10)을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마주하는 내측으로 신축부재(20)를 탄성작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단계(S2); 상기 구획부(3)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인접한 교량(2)의 단부측에 매립 고정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수직판(14)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3) 상에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열 구비되는 보강철근(5)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철근(5)이 진입되는 하부개방부(32)와, 상기 하부개방부(32)의 양측으로 연장 확장되어 보강철근(5)을 지지 고정하는 양측 고정부(34)로 된 다수의 앵커플레이트(30)를 설치하는 단계(S3); 상기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인접한 앵커플레이트(30) 간에 연결 고정되는 지지봉(41)과, 상기 지지봉(41)의 외주연 상으로 노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재(43)로 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를 설치하되, 상기 브러쉬부재(43)가 외면에 형성된 지지봉(41)은 인접한 지지봉(41)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일체 연결된 지지봉(41)의 일측단부에 설치된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모르타르 내에 위치되는 브러쉬부재(43)가 회전되면서 브러쉬부재(43)의 전체면에 모르타르가 골고루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지지봉(41)은 양측 고정부(34)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브러쉬부재(43)는 지지봉(41) 상에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브러쉬부재(43)에 마찰되는 모르타르에 꼬임강성이 부여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평행한 지지봉(41) 간에 동일 형태의 접촉면적 확대용 연결브러쉬(48)가 연결 구성되어지되, 상기 한 쌍의 평행한 지지봉(41) 간에 연결되는 접촉면적 확대용 연결브러쉬(48)는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가 설치된 공간측의 양측 하부수직판(14)의 외측면에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60)이 선택적으로 더 결합 구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에 의하면 신축이음장치의 양측편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인접한 앙카플레이트 사이에 모르타르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다수의 브러시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연결본체프레임 12 : 상부수평판
14 : 하부수직판 20 : 신축부재
30 : 앵커플레이트 40 :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
41 : 지지봉 43 : 브러쉬부재

Claims (10)

  1. 교량(2)의 구획부(3) 간 연결부위에 마주하게 설치되는 양측 상부수평판(12)과, 상기 양측 상부수평판(12)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각각 형성되는 하부수직판(14)으로 된 연결본체프레임(10);
    상기 연결본체프레임(10)을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마주하는 내측으로 탄성작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신축부재(20);
    상기 구획부(3)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인접한 교량(2)의 단부측에 매립 고정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수직판(14)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3) 상에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열 구비되는 보강철근(5)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철근(5)이 진입되는 하부개방부(32)와, 상기 하부개방부(32)의 양측으로 연장 확장되어 보강철근(5)을 지지 고정하는 양측 고정부(34)로 된 다수의 앵커플레이트(30);
    상기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인접한 앵커플레이트(30) 간에 연결 고정되는 지지봉(41)과, 상기 지지봉(41)의 외주연 상으로 노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재(43)로 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브러쉬부재(43)가 외면에 형성된 지지봉(41)은 인접한 지지봉(41)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일체 연결된 지지봉(41)의 일측단부에 설치된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모르타르 내에 위치되는 브러쉬부재(43)가 회전되면서 브러쉬부재(43)의 전체면에 모르타르가 골고루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브러쉬부재(43)는 지지봉(41) 상에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브러쉬부재(43)에 마찰되는 모르타르에 꼬임강성이 부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가 설치된 공간측의 양측 하부수직판(14)의 외측면에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60)이 선택적으로 더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7. 양측 상부수평판(12)과, 상기 양측 상부수평판(12)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각각 형성되는 하부수직판(14)으로 된 연결본체프레임(10)을 교량(2)의 구획부(3) 간 연결부위에 마주하게 설치하는 단계(S1);
    상기 연결본체프레임(10)을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마주하는 내측으로 신축부재(20)를 탄성작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단계(S2);
    상기 구획부(3)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인접한 교량(2)의 단부측에 매립 고정하기 위해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수직판(14)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3) 상에 연결본체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열 구비되는 보강철근(5)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철근(5)이 진입되는 하부개방부(32)와, 상기 하부개방부(32)의 양측으로 연장 확장되어 보강철근(5)을 지지 고정하는 양측 고정부(34)로 된 다수의 앵커플레이트(30)를 설치하는 단계(S3);
    상기 양측 하부수직판(14)의 각 외측으로 형성되어 매립되는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인접한 앵커플레이트(30) 간에 연결 고정되는 지지봉(41)과, 상기 지지봉(41)의 외주연 상으로 노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재(43)로 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를 설치하되, 상기 브러쉬부재(43)가 외면에 형성된 지지봉(41)은 인접한 지지봉(41) 간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일체 연결된 지지봉(41)의 일측단부에 설치된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모르타르 내에 위치되는 브러쉬부재(43)가 회전되면서 브러쉬부재(43)의 전체면에 모르타르가 골고루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지지봉(41)은 양측 고정부(34)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의 브러쉬부재(43)는 지지봉(41) 상에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브러쉬부재(43)에 마찰되는 모르타르에 꼬임강성이 부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평행한 지지봉(41) 간에 동일 형태의 접촉면적 확대용 연결브러쉬(48)가 연결 구성되어지되, 상기 한 쌍의 평행한 지지봉(41) 간에 연결되는 접촉면적 확대용 연결브러쉬(48)는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적 확대용 브러쉬(40)가 설치된 공간측의 양측 하부수직판(14)의 외측면에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된 접촉면적 확대용 브라켓(60)이 선택적으로 더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KR1020170123877A 2017-09-26 2017-09-26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KR10185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877A KR101851002B1 (ko) 2017-09-26 2017-09-26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877A KR101851002B1 (ko) 2017-09-26 2017-09-26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002B1 true KR101851002B1 (ko) 2018-04-20

Family

ID=6208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877A KR101851002B1 (ko) 2017-09-26 2017-09-26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005B1 (ko) 2022-04-08 2023-02-28 주식회사 세왕엔지니어링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15B1 (ko) * 2008-12-24 2009-10-14 진형건설(주)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KR101405370B1 (ko) 2014-01-06 2014-06-11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재활용 자재를 첨부한 조성물과 더블 믹서 샤프트를 이용한 단면 보수 보강방법
KR101477954B1 (ko) 2014-04-30 2014-12-31 (주)영광산업개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15B1 (ko) * 2008-12-24 2009-10-14 진형건설(주)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KR101405370B1 (ko) 2014-01-06 2014-06-11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재활용 자재를 첨부한 조성물과 더블 믹서 샤프트를 이용한 단면 보수 보강방법
KR101477954B1 (ko) 2014-04-30 2014-12-31 (주)영광산업개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005B1 (ko) 2022-04-08 2023-02-28 주식회사 세왕엔지니어링 톱니형 앵커와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를 적용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44936A (ko) 2022-04-08 2023-10-17 주식회사 세왕엔지니어링 톱니형과 환봉앵커 복합교차용 앵커방식과 전단력 증강용 톱니앵커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582B1 (ko) 무용접 철근트러스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0743044B1 (ko) 내진용 신축이음장치
JP2011220100A (ja) 立体高架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51002B1 (ko) 모르타르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강성을 보강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강성보강 방법
KR20180042007A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101692989B1 (ko) 내진 강화부재가 구비된 pdf 저수조
JP507867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目地部の耐震補強継手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83858B1 (ko)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체결공법
KR101580194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 이와 공장제작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951734B1 (ko) 교량의 핑거 조인트
KR200442923Y1 (ko) 케이블 받침대
KR10073858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10106614A (ja) 高架橋の耐震構造
KR101064193B1 (ko) 관절형 신축이음장치
KR20070115472A (ko)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KR102215093B1 (ko) 내진성을 강화한 건축구조물의 천정용 랙 모듈러
KR20220015681A (ko) 익스펜션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JP6782887B2 (ja) 開口補強ユニット
JP4441660B2 (ja) 機能分離型橋梁支承装置
KR102319576B1 (ko) 건축물용 내진보강구조
JP2004353177A (ja) フィンガー式伸縮装置
KR200358314Y1 (ko)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용 핑거조인트
KR101686122B1 (ko) 슬래브 시공용 탈형 데크 가설 소켓형 동바리 받침폼
JP2007085098A (ja) 耐震補強ブレース構造
KR10049344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