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588B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588B1
KR100738588B1 KR1020050018932A KR20050018932A KR100738588B1 KR 100738588 B1 KR100738588 B1 KR 100738588B1 KR 1020050018932 A KR1020050018932 A KR 1020050018932A KR 20050018932 A KR20050018932 A KR 20050018932A KR 100738588 B1 KR100738588 B1 KR 10073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ncrete
plate
expansion joint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942A (ko
Inventor
김태숙
김용철
김용민
김용성
Original Assignee
(주)엠피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피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엠피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050018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5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이격부재와, 상기 교량 상판의 상호 대향하는 대향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기 이격부재의 외벽에 마련된 복수의 앵커를 갖는 본체와; 상기 교량 상판의 대향면의 판면방향에 대해 가로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이격부재와 상기 교량 상판의 대향면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복수의 콘크리트보강재와; 상기 콘크리트보강재를 상기 교량 상판의 대향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보강재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신축이음장치와 교량 상판을 연결하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파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FOR A BRIDG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교량 상판 5a : 대향면
10,10'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11 : 본체
13 : 이격부재 15 : 수평부재
19 : 신축부재 21 : 앵커
31 : 콘크리트보강재 35 : 관통공
39 : 연결부재 C : 콘크리트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이 음장치와 교량 상판을 연결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서 팽창하고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구조물은 교량 상판의 일정 길이마다 적정한 연결틈새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교량 상판 간의 연결틈새에는 신축되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로 인하여 교량 상판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10)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105)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이격부재(113)와, 교량 상판(105)의 상호 대향하는 대향면(105a)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격부재(113)의 외벽에 마련된 복수의 앵커(121)를 가진다.
이격부재(113)는 판형상을 가지며, 이격부재(113)의 상측에는 판형상의 수평부재(115)가 이격부재(113)와 상호 직교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격부재(113)와 수평부재(115)가 형성하는 이격 공간 내에는 이격부재(113)의 상호 접근 및 이격에 대해 탄성적으로 대응하는 신축부재(119)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앵커(121)는 이격부재(113)의 외벽에 교량 상판(105)의 대향면(105a)의 판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다. 앵커(121)의 상측에는 복 수의 함몰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123)에는 각 앵커(121)를 연결하며 보강하는 철근(125)이 수용되며, 각 철근(125)은 도시 않은 연결철근에 의해 일체로 엮어진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재(113)와 교량 상판(105)의 대향면(105a)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교량 상판(105)에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는, 수평부재와 교량 상판의 대향면 사이에 충진된 콘크리트가 차량의 통과시 발생하는 집중하중에 의해 함몰 파손되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이음장치와 교량 상판을 연결하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파손을 줄일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이격부재와, 상기 교량 상판의 상호 대향하는 대향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기 이격부재의 외벽에 마련된 복수의 앵커를 갖는 본체와; 상기 교량 상판의 대향면의 판면방향에 대해 가로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이격부재와 상기 교량 상판의 대향면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복수의 콘크리트보 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보강재의 상면은 상기 교량 상판의 상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보강재를 상기 교량 상판의 대향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보강재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보강재는 일체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 상판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5)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본체(11)와, 본체(11)와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를 보강하는 복수의 콘크리트보강재(31)를 가진다.
본체(11)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5)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이격부재(13)와, 교량 상판(5)의 상호 대향하는 대향면(5a)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격부재(13)의 외벽에 마련된 복수의 앵커(21)를 가진다.
이격부재(13)는 판형상을 가지며, 각 이격부재(13)의 상측에는 판형상의 수평부재(15)가 이격부재(13)와 상호 직교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호 대향하는 각 수평부재(15)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연속된 파형이 형성되어 있다.
이격부재(13)의 하측에는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을 향해 이격부재(13)에 대하여 가로로 연장된 받침부재(17)가 마련되어 있다. 받침부재(17)는 판형상을 가지며, 이격부재(13)의 단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각각 상호 결합된 이격부재(13)와 수평부재(15)의 다리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등의 하중이 받침부재(17)의 판면을 따라 분산된다.
한편, 이격부재(13)와 수평부재(15)가 형성하는 이격 공간 내에는 이격부재(13)의 상호 접근 및 이격에 대해 탄성적으로 대응하는 신축부재(19)가 마련되어 있다. 신축부재(19)의 양측면은 이격부재(13)의 내벽에 접착되고, 상면의 양 모서리측은 수평부재(15)에 접착되어, 신축부재(19)는 이격부재(13) 및 수평부재(15)를 신축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신축부재(19)는 탄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앵커(21)는 이격부재(13)의 외벽에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의 판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다. 앵커(21)는 판형상을 가지며, 상측에는 복수의 함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23)에는 각 앵커(21)를 연결하며 보강하는 철근(25)이 수용되며, 각 철근(25)은 도시 않은 연결철근에 의해 일체로 엮어진다.
복수의 콘크리트보강재(31)는 앵커(21)와 마찬가지로 교량 상판(5)의 대향면 (5a)의 판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콘크리트보강재(31)는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의 판면방향에 대해 가로로 본체(11)의 앵커(21)의 상측에 배치되는 리브(33)와, 리브(33)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앵커(21)의 상측에 결합되어 리브(33)를 앵커(21)에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37)를 가진다.
리브(33)는 판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의 리브(33)에는 연결부재(39)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복수의 관통공(3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5)에는 콘크리트보강재(31)를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39)가 관통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39)로서 보조철근이 개시되어 있으며, 각 보조철근은 도시 않은 연결철근에 의해 일체로 엮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37)의 하단부에 복수의 걸림홈(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콘크리트보강재(31)는 앵커(21)의 상측에 걸림 유지된다.
여기서, 리브(33)의 상면은 교량 상판(5)의 상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량 상판(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레그(37)에 걸림홈(38)을 형성하지 않고 앵커(21)의 상측에 레그(37)를 용접할 수도 있다.
이에, 복수의 콘크리트보강재(31)는 이격부재(13)와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를 보강하여, 차량의 통과시 발생하는 집중하중은 콘크리트보강재(31)로 분산되어 이격부재(13)와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C)는 내구성이 증대되어 함몰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로서 복수의 관통공(35) 대신에 리브(33)의 앵커(21)를 향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각 앵커(21)를 연결하는 철근(25)이 수용되는 수용홈(3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레그(37)는 필요치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를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5) 사이에 배치한다.
이 때, 앵커(21)의 상측에 마련된 콘크리트보강재(31)는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의 판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리브(33)의 상면은 교량 상판(5)의 상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량 상판(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다음,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의 판면방향을 따라 복수의 앵커(21)의 함몰부(23)에 철근(25)을 수용하며 각 앵커(21)를 연결한 후, 연결철근(미도시)으로 각 철근(25)을 일체로 엮는다.
마찬가지로,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의 판면방향을 따라 콘크리트보강재(31)의 리브(33)에 형성된 관통공(35)에 연결부재(39)를 관통 결합하며 각 콘크리트보강재(31)를 연결한 후, 연결철근(미도시)으로 각 연결부재(39)를 일체로 엮는다.
이어서, 신축이음장치(10)와 교량 상판(5) 사이, 즉 본체(11)의 이격부재(13)와 교량 상판(5)의 대향면(5a)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 후 양생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신축이음장치의 본체에 교량 상판의 대향면의 판면방향에 대해 가로로 복수의 콘크리트보강재를 마련함으로써, 이격부재와 교량 상판의 대향면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복수의 콘크리트보강재에 의해 보강되고, 이에 신축이음장치와 교량 상판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 영역에 차량의 통과시 발생하는 집중하중이 콘크리트보강재로 분산되어, 이격부재와 교량 상판의 대향면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내구성이 증대되어 함몰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보강재가 앵커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콘크리트보강재는 교량 상판의 대향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격부재의 외벽 또는 수평부재의 외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보강재가 교량 상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교량 상판의 상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콘크리트보강재는 이격부재와 교량 상판의 대향면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 영역에 노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즉 매몰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이음장치와 교량 상판을 연결하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파손을 줄일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1.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이격부재와, 상기 교량 상판의 상호 대향하는 대향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기 이격부재의 외벽에 마련된 복수의 앵커를 갖는 본체와;
    상기 교량 상판의 대향면의 판면방향에 대해 가로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이격부재와 상기 교량 상판의 대향면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복수의 콘크리트보강재와;
    상기 콘크리트보강재를 상기 교량 상판의 대향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보강재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보강재의 상면은 상기 교량 상판의 상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삭제
KR1020050018932A 2005-03-08 2005-03-08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73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932A KR100738588B1 (ko) 2005-03-08 2005-03-08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932A KR100738588B1 (ko) 2005-03-08 2005-03-08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141U Division KR200385647Y1 (ko) 2005-03-08 2005-03-08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942A KR20060097942A (ko) 2006-09-18
KR100738588B1 true KR100738588B1 (ko) 2007-07-12

Family

ID=3762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932A KR100738588B1 (ko) 2005-03-08 2005-03-08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22B1 (ko) * 2007-07-05 2008-09-02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881770B1 (ko) * 2008-05-14 2009-02-09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06012822B (zh) * 2016-07-13 2018-10-12 刘强 伸缩缝调节器及其伸缩缝调节器构件
CN106223192B (zh) * 2016-08-29 2018-06-29 武世峰 一种公路桥梁减震降噪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743A (ko) * 2000-01-17 2001-08-11 조남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030000773A (ko) * 2001-06-27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의 진공/퍼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743A (ko) * 2000-01-17 2001-08-11 조남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030000773A (ko) * 2001-06-27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의 진공/퍼지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75743
200377361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942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582B1 (ko) 무용접 철근트러스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0775580B1 (ko) 보강된 루프 철근 이음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바닥판 모듈, 그 이음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바닥판
KR101095959B1 (ko)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10073858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11021362A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の継手構造
KR20100006537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07996B1 (ko)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541465B1 (ko) 장스팬 바닥판 시스템
US3564799A (en) Shear connector for deep corrugated steel formed composite structure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KR200385647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6181960B2 (ja) 縦目地伸縮装置
KR10099287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580194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 이와 공장제작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649747B1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KR101259140B1 (ko) 수평력분산수단이 구비된 콘크리트 보를 이용한 교량
KR101675040B1 (ko) 보강재가 결합된 개구재형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과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200377361Y1 (ko) 보강재가 구비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101500591B1 (ko)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방법.
KR102042090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보강철근 결합체와 지지판을 이용한 h말뚝과 콘크리트 교대 구조체의 일체화 구성을 가지는 일체식 교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4478U (ko)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KR101886760B1 (ko) 교량신축이음장치
KR101580273B1 (ko)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KR20150018366A (ko) 콘크리트 플랜지와 강재 웨브 접합형 거더 시공방법
KR20190073965A (ko)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