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235A - 직접 작용 단부 링크 - Google Patents

직접 작용 단부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235A
KR20130016235A KR1020127024579A KR20127024579A KR20130016235A KR 20130016235 A KR20130016235 A KR 20130016235A KR 1020127024579 A KR1020127024579 A KR 1020127024579A KR 20127024579 A KR20127024579 A KR 20127024579A KR 20130016235 A KR20130016235 A KR 20130016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mmet
rod
bearing assemblies
end link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케이 트로터
데니스 엠 마크
트로이 에스 필드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1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4Retainers for holding a fixing element, e.g. bushing, nut, bolt etc., until it is tightly fixed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조향가능한 스트럿에 직접 작용 안정기 바를 연결하기에 적합한 단부 링크는 그 위에 제 1 및 제 2 그로밋을 구비하는 로드를 포함한다. 베어링 조립체가 제 1 및 제 2 그로밋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접 작용 단부 링크{DIRECT ACTING END LINK}
본 출원은 2010년 3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시리얼 번호 61/317,314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서스펜션 시스템, 특히 조향가능한 스트럿 유형의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안정기 바, 제어 암 및 스트럿과 연관된 단부 링크에 관한 것이다.
핸들링, 편안함 및 성능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상이한 서스펜션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자동차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범프(bump), 바디 롤(body roll) 등으로부터 수직 편향을 상쇄하기 위해 수직 스트럿(strut)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부 구성에서, 이 스트럿은 전체 조향 시스템 내에 부착되고 이에 의해 스트럿이 또한 차량이 조향될 때 회전한다. 이러한 구성은 "조향가능한 스트럿 서스펜션"이라고 알려져 있다.
안정기 바(stabilizer bar)는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을 위한 많은 구성에서 알려져 있으며 여러 방식으로 서스펜션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스트럿에 직접 작용하기 위해 스트럿에 연결될 때 안정기 바가 스트럿에 직접 작용한다는 점에서 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직접 작용(directing acting)" 서스펜션 시스템이라고 언급된다. 직접 작용 안정기가 조향가능한 스트럿에 제공될 때, 그 연결은 안정기 바를 스트럿에 연결하는데 사용된 링크가 동작 동안 안정기 바에 제공된 트위스트 모멘트 외에 차량이 우측이나 좌측으로 조향될 때 스트럿의 수직 움직임 뿐만 아니라 스트럿의 회전 움직임에 저항하고 이를 수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다소 복잡하다. 이 링크는 그 대향하는 단부들에서 상당히 상이한 관절식 연결을 경험할 수 있는데, 스트럿 단부 연결부는 기본적으로 회전을 경험하고, 안정기 단부 연결부는 기본적으로 경사각을 경험할 수 있다. 볼 조인트 링크가 그 연결부에 작용하는 힘과 다방향 관절식 연결을 수용하기 위해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되어 왔다.
볼 조인트 링크는 링크 스터드(link stud) 그 자체에 통상 수직으로 연결 단부의 회전 움직임을 수용하는 부착점에 유지되는 회전가능한 볼을 포함한다. 볼 조인트 링크는 볼 조인트 부츠(ball joint boot)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윤활유를 요구한다. 밀봉을 위해 요구되는 부츠는 볼 조인트 구조물에 그리스를 보유한다. 그러나, 부츠는 종종 쉽게 마모되거나 절단되거나 크랙이 가고, 이에 오염물이 유입되어 이에 따라 조인트 내에 존재할 때 오염물을 보유할 수 있다. 볼 조인트 링크 부츠는 빈번하고 규칙적인 서비스 또는 수리를 요하는 부품인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볼 조인트 링크의 단부의 회전 특성으로 인해, 고정된 단부가 제 위치에서 구동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조립과 설치가 곤란하고 단부의 회전은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나아가, 볼 조인트 링크는 마모로 인해 부식을 받기 쉽고, 마모되거나 부식될 때 고장나거나 동작이 불량하여 잡음이나 다른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종래의 그로밋 단부 링크는 안정기 바와 제어 암 사이에서와 같이 선형 부착점에 사용하는 것으로 또한 알려져 있다. 그러한 단부 링크는 각 단부에 선형 나사산이 형성된 부품이 있어 사실상 간단할 수 있다. 그러나, 간단한 선형 단부 링크는 연결 조인트에서의 회전 움직임으로 인해 조향가능한 스트럿 상에 직접 작용하는 서스펜션의 많은 설치장치에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향가능한 스트럿을 가지는 직접 작용 서스펜션 시스템에 적합한 그로밋 단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직접 작용 단부 링크는 스트럿 장착 패드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되는 그로밋(grommet)과, 상기 그로밋과 장착 패드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로드(rod)를 포함한다. 내부 단부에서 상기 로드는 칼라(collar)를 포함하며 상기 그로밋들 중 하나에 와셔(washer)나 베어링을 유지하며, 외부 단부에서 상기 로드는 다른 그로밋에 와셔를 유지하고 이에 부착된 단부 너트를 구비한다. 이들 구조물의 여러 그룹들을 위치시키고 상호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부품들 사이에 상대적 회전 위치들은 마모와 잡음을 최소화시키는데 있어 더 우수한 제어를 하기 위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그로밋을 스트럿 장착 패드와 그리고 이에 맞닿게 압축시키는 것에 의해 이 그로밋은 팽창하고 마모가 일어날 때의 크기 변동을 보상할 수 있다.
그 일 형태의 일 측면에서, 안정기를 직접 작용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는 스트럿에 연결하는 단부 링크는 서로 마주보고 그 사이에 스트럿 장착 패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각각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를 구비한다. 로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를 관통하여 연장한다. 상기 로드의 제 1 및 제 2 단부 구조물은 서로를 향해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을 압축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대향하는 측면들과 마주본다.
그 일 형태의 다른 측면에서, 안정기 바를 장착 패드가 구비된 조향 가능한 스트럿에 연결하기 위한 단부 링크는 고정된 칼라와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를 구비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그 사이에 장착 패드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제 1 및 제 2 그로밋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된 칼라와 상기 그로밋들 중 하나의 그로밋 사이의 상기 로드 상에는 제 1 베어링 조립체가 제공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와 상기 그로밋들 중 다른 하나의 그로밋 사이의 상기 로드 상에는 제 2 베어링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로드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에는 너트가 맞물린다.
그 일 형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로드를 구비하는 단부 링크 상에 있는 스트럿 연결 단부는 로드를 장착 패드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스트럿 연결 단부는 상기 로드에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 이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와 맞물리는 너트, 및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로부터 내부쪽으로 이격된 상기 로드 상에 칼라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그로밋 및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너트와 상기 칼라 사이의 상기 로드 상에 있다. 장착 패드 수용 공간이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 사이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사이에 한정된다.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부분들은 그 사이에서 제한된 상대적 회전을 하기 위해 상기 로드와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다른 부분들은 상기 장착 패드 수용 공간에 유지된 장착 패드와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잇점은 이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는데 사용된 도면을 참조할 때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직접 작용 단부 링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부 링크의 분해도.
도 3은 다른 직접 작용 단부 링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부 링크의 분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부 링크의 일 변형예의 부분 분해도.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부 링크의 다른 변형예의 부분 분해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부 링크의 또 다른 변형예의 부분 분해도.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단부 링크의 일 변형예의 부분 분해도.
도 9는 단부 링크의 다른 변형예의 부분 분해도.
도 10은 다른 직접 작용 단부 링크의 단면도.
도 11은 또 다른 직접 작용 단부 링크의 단면도.
도 12는 더 다른 직접 작용 단부 링크의 단면도.
도 13은 또 더 다른 직접 작용 단부 링크의 단면도.
도 14는 직접 작용 단부 링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5는 직접 작용 단부 링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6은 또 다른 단부 링크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도.
도 18은 단부 링크의 일부에 대한 또 다른 형태의 부분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거나 이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부품의 배열과 구성의 상세로 그 적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러 방식으로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구와 용어는 설명을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아니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비하는", "포함하는" 및 그 변형 어구의 사용은 이후 나열되는 항목과 그 균등물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항목과 그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 및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직접 작용 단부 링크(40)가 도시된다. 단부 링크(40)는 장착 패드(45) 또는 스트럿에 대한 다른 부착점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되고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그로밋(42, 44)을 구비하는 스트럿 연결 단부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그로밋(42, 44)은 장착 패드(45)에 있는 관통 홀(49)에 수용되고 그 대향하는 측면들과 맞물리는 감소된 직경의 마주보는 돌출하는 칼라(46, 48)를 포함한다. 베어링 조립체가 각 그로밋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베어링 레이스(50, 52), 베어링(54,56), 베어링 레이스(58, 60) 및 와셔(62,64)를 포함한다. 와셔(62)는 링크 로드(68) 상에 있는 고정된 칼라(66)와 마주본다. 링크 로드(68)의 말단 단부에서 너트(70)는 로드(68)의 나사산(71)과 맞물리는 것에 의해 조립체를 고정시킨다. 와셔(64)와 너트(70)는 단일 조립체로 제공될 수 있다. 베어링 레이스(50, 52)는 그로밋(42, 44)에 수용되며 이 그로밋(42, 44)과 맞물리는 레이스 칼라(72, 74)를 포함한다. 로드(68)는 이 그로밋이 상기 로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그로밋(42, 44)을 느슨하게 관통하며 연장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용시에, 그로밋(42, 44)은 장착 패드(45)에 설치되고 그로밋 칼라(46, 48)는 홀(49)의 대향하는 측면으로 삽입된다. 레이스 칼라(72, 74)는 그로밋(42, 44)으로 각각 삽입된다. 단부 너트(70)가 나사산(71)에 조여질 때 조립체는 서로 압축되어 그로밋 칼라(46,48)와 그로밋(42, 44)이 장착 패드(45)로 그리고 이 장착 패드(45)에 맞닿게 압축되고 이에 베어링 레이스 칼라(72, 74)와 베어링 레이스(50, 52)는 그로밋(42, 44)에 그리고 이 그로밋(42, 44)에 맞닿게 유지된다. 따라서, 그로밋(42, 44), 장착 패드(45) 및 베어링 레이스(50, 52)는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하지 않게 서로 고정되고 단부 링크(40)가 장착 패드(45)를 통해 연결되는 스트럿과 함께 제 1 서브조립체로서 회전하거나 이동된다. 베어링 레이스(58, 60), 와셔(62, 64), 칼라(66), 로드(68) 및 너트(70)는 어느 정도 분리된 제 2 서브조립체로서 서로 연결되어 베어링 레이스(58, 60), 와셔(62, 64), 칼라(66), 로드(68) 및 너트(70)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고 일반적으로 그로밋(42, 44)과 베어링 레이스(50, 52)와 장착 패드(45)의 전술된 제 1 서브조립체와 독립적으로 함께 이동한다. 베어링(54, 56)은 2개의 전술된 서브조립체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제 1 및 제 2 서브조립체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도 4는 단부 링크(40)와 유사한 단부 링크(140)에 대한 일 변형예의 조립도 및 분해도를 도시한다. 따라서, 단부 링크(40)의 부품 성분과 동일한 단부 링크(140)의 부품 성분은 단부 링크(40)와 단부 링크(140)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지게 식별되어 있다. 와셔(76, 78)는 로드(68) 및/또는 너트(70)에 있는 널(knurl)이 하나의 서브조립체로서 함께 베어링 레이스(58, 60)를 직접 결합시킬 때 자유로이 회전하게 유지된다. 단부 링크(140)는 단부 링크(40)와 유사하게 그로밋(42, 44)이 스트럿 장착 패드로 그리고 이 스트럿 장착 패드에 맞닿게 압축되고 베어링 레이스(50, 52)는 그로밋(42, 44)으로 그리고 이 그로밋(42, 44)에 맞닿게 압축되도록 조립되고 설치된다. 그로밋(42, 44), 베어링 레이스(50, 52) 및 그로밋(42, 44)들 사이에 유지되는 장착 패드는 본 명세서에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조립체에서 서로 압축적으로 연결되어 그로밋(42, 44), 베어링(50, 52) 및 장착 패드 사이의 상대적 회전운동이 제한되게 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은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없이 여러 부품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고정된 와셔 설계를 위해 포함될 수 있는 추가적인 특징을 도시한다. Keps 너트가 와셔(64)와 너트(70)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너트에 대하여 와셔가 회전하는 것으로 유지되는 일반적인 Keps 너트 조립체와는 달리, 고정된 와셔 설계에서 와셔는 너트에 완전히 고정된다. 와셔(64)에 있는 딤플(Dimple)(80)은 이 와셔와 베어링 레이스의 상대적 위치지정을 서로에 대하여 유지하기 위해 베어링 레이스(60)에 있는 그루브(82)와 맞물린다. 칼라(66)에 있는 톱니부는 와셔(62)의 면에 있는 그루브(86)와 맞물리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서로에 대하여 칼라(66)와 와셔(62)의 상대적인 위치지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부(88)는 너트(90)의 면에 제공되어 와셔/베어링 레이스(94)의 조합 면에 있는 그루브(92)와 맞물릴 수 있으며, 너트(90)로부터 관형 확장부(96)는 너트(90)와 와셔/베어링 레이스(94)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에 추가적인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와셔/베어링 레이스(94)의 ID에 누르는 것에 의해 조립체에 너트를 유지한다. 톱니부(88)와 그루브(92)는 관형 확장부(96)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관형 확장부(96)는 톱니부(88)와 그루브(92) 없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팅(floating) 와셔 설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상세를 도시한다. 로드 칼라(104)에서 외부쪽으로 로드(102) 상에 있는 널(100)은 베어링 레이스에 그루브를 형성하도록 베어링 레이스(106)로 압착될 수 있다. 널(100)은 간섭 없이 와셔(108)를 통과하여 지나간다. 따라서, 널은 와셔(108)와 독립적으로 베어링 레이스, 로드 및 칼라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이에 와셔는 자유로이 플로우팅하게 된다. 이와 유사한 널이 베어링 레이스(114)에 억지 끼워맞춰질 때 그루브를 형성하도록 플랜지 너트(112)에 사용될 수 있고, 이때 널이 간섭 없이 와셔(116)를 통과하여 이에 의해 와셔(116)가 자유로이 플로우팅하게 유지된다.
도 10은 그로밋(126, 128)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3개 부품의 베어링 조립체(122, 124)를 가지는 단부 링크(120)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강철 와셔(130, 132)가 중심 베어링(134, 136), 내부 레이스(138, 140) 및 외부 레이스(142, 144)를 포함하는 베어링 조립체에 인접하게 사용된다. 로드(148)에 있는 칼라(146)는 베어링 조립체(122)와 마주하며, 너트 및 와셔 조립체(150)는 베어링 조립체(124)와 마주한다.
도 11은 조립 및 설치 동안 감소된 부품과 가능한 간략화 및 절감을 위한 2개 부품의 베어링 조립체(162, 164)를 구비하는 단부 링크(160)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베어링 조립체(162, 164)는 그로밋(166, 168)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제공된다. 강철 와셔(170, 172)는 베어링 조립체에 인접하게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베어링 조립체는 중심 베어링 부품 없이 내부 베어링 부품(174, 176)과 외부 베어링 부품(178, 180)을 포함한다. 로드(184)에 있는 칼라(182)는 베어링 조립체(162)와 마주하고, 너트와 와셔 조립체(186)는 베어링 조립체(164)와 마주한다.
도 12는 저 마찰 및 마모를 가지는 3개 부품의 베어링 설계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단부 링크(190)는 그로밋(196, 198)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베어링 조립체(192, 194)를 포함한다. 전술된 실시예의 강철 와셔와 각 베어링 조립체에 있는 하나의 베어링 레이스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베어링/와셔 부품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조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베어링 조립체(192)는 베어링/와셔(200)의 조합을 포함하며 베어링 조합체(194)는 베어링/와셔(202)의 조합을 포함한다. 베어링 조립체(192, 194)는 중심 베어링 부품(204, 206)과 내부 베어링 레이스(208, 210)를 각각 더 구비한다. 로드(214)에 있는 칼라(212)는 베어링 조립체(192)와 마주하며, 너트와 와셔 조립체(216)는 베어링 조립체(194)와 마주한다.
도 13은 감소된 부품의 2개 부품의 베어링 설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단부 링크(220)는 그로밋(226, 228)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베어링 조립체(222, 224)를 포함한다. 강철 와셔와 하나의 베어링 레이스는 와셔 면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베어링/와셔 부품(230, 232)으로 다시 결합되어, 분리된 중심 베어링 부품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1개 부품의 베어링 절반부/레이스(234, 236)의 제 2 세트가 제공된다. 마모 면은 또한 부품(230, 232)에 있는 마모면을 대신하여 또는 이 마모면에 더하여 레이스(230, 232)에 제공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로드(240)에 있는 칼라(238)는 베어링 조립체(222)와 마주하며, 너트(242)는 베어링 조립체(224)와 마주한다.
도 14는 그 대향하는 측면들에 로드 칼라(258, 260)를 구비하는 로드(256)의 각 단부에 전술된 바와 같은 연결 구조물(252, 254)을 구비하는 단부 링크(250)를 도시한다. 상기 연결 구조물(252, 254) 중 하나는 스트럿에 연결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연결 구조물(252, 254)의 다른 하나는 안정기 바에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나아가 단부 링크는 로드의 단 하나의 단부에만 전술된 바와 같은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고, 로드의 대향하는 단부에는 연결 구성의 다른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단부 링크의 다른 부품과는 분리된, 함께 이동하기 위한 여러 부품을 그룹화하는 단부 링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단부 링크(280)는 그로밋(286, 288)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베어링 조립체(282, 284)를 포함한다. 베어링 조립체(282, 284)는 각각 내부 베어링 레이스(290, 292), 외부 베어링 레이스(294, 296) 및 중심 베어링 부품(298, 300)을 각각 구비한다. 로드(304)에 있는 칼라(302)는 베어링 조립체(282)와 마주하며, 너트(306)는 베어링 조립체(284)와 마주한다. 널 부분(308, 310)은 널 부분(308, 310)보다 더 연한 플라스틱이나 다른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외부 베어링 레이스(294, 296)와 각각 맞물리기 위해 로드(304) 상에 각각 제공되어, 널 부분들이 그 내부에 내장되게 한다. 따라서, 외부 베어링 레이스(294, 296)는 그로밋(286, 288)과 함께 그룹화된 내부 베어링 레이스(290, 292)와는 분리되며 함께 회전하도록 로드(304)와 함께 그룹화된다. 중심 베어링 부품(298, 300)은 내부 베어링 레이스와 외부 베어링 레이스를 포함하는 그룹과는 독립적이다. 장착 패드 수용 공간(312)은 그로밋(286, 288)들 사이에 한정된다.
도 16 및 도 17은 조립체의 그로밋들 사이에 장착 패드에 베어링 조립체가 제공되는 더 다른 대안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따라서, 단부 링크(320)는 일반적으로 그로밋(326, 328)들 사이 조립체의 중심에서 서로 마주하는 베어링 조립체(322, 324)들을 포함한다. 베어링 조립체(322, 324) 각각은 내부 베어링 레이스(330, 332), 외부 베어링 레이스(334, 336) 및 중심 베어링 부품(338, 340)을 포함한다. 로드(344) 상에 있는 칼라(342)는 그로밋(326)과 맞닿은 단부 와셔(346)와 마주한다. 너트와 와셔 조립체(348)는 그로밋(328)과 마주한다. 장착 패드 수용 공간(350)은 베어링 조립체(322, 324)들 사이에 한정된다. 고무나 다른 물질로 된 마주하는 디스크(352, 354)는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 패드에 내부 베어링 레이스(330, 332)를 맞물리게 하기 위해 내부 베어링 레이스(330, 332)의 내부쪽에 제공될 수 있다. 외부 베어링 레이스(334, 336)는 함께 회전하도록 로드(344)와 그로밋(326, 328)과 맞물린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전술된 그로밋은 예를 들어, 장착 패드나 베어링 레이스(도 17)에 있는 원형 개구와 마찰로 맞물리기 위해 일반적으로 둥근 외부 구성을 가지는 그로밋 칼라를 포함하였다. 그러나, 맞물리는 장착 패드나 베어링 레이스와 그로밋들 중 임의의 것과 보다 확실히 맞물리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기하학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8은 방사상 돌출부(364)를 구비하는 그로밋 칼라(362)를 가지는 그로밋(360)을 도시한다. 장착 패드(366)는 개구(368)에 그로밋 칼라(362)의 보다 확실한 물리적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 그로밋 칼라(362)와 맞물리는 각진 코너(372)와 편평부(flat)(370)를 구비하는 대응하게 형성된 개구(368)를 포함한다. 함께 이동하도록 맞물리는 인접한 부품들 사이에 다른 상보적인 기하학적 구성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로드와 베어링 레이스 사이에 키 형성된 맞물림(keyed mating)이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로드와 맞물리는 베어링 레이스를 통해 홀에 있는 평평한 영역과 로드의 길이를 따른 평평한 영역을 맞물리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단부 링크에 있는 베어링, 베어링 면 및 베어링 부품으로 여러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는 테프론 소결된(Teflon sintered) 베어링 조립체, 니들(needle) 롤러 베어링, 테프론 코팅된 와셔 및 스트럿 베어링 또는 쓰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사용될 수 있는 구조물의 유형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단부 링크는 환경 요소들에 더 잘 저항하도록 우수한 내구성을 제공한다. 알려진 연결부에 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단부 링크는 개선된 실패 모드를 제공한다. 마모가 일어나더라도, 단부 링크는 계속해서 매우 잘 작동할 수 있다. 과도하게 잡음이 생기고 느슨해지며 마모로부터 동작이 어려울 수 있는 볼 조인트 링크와는 달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설계에서는 그로밋의 초기 압축이 그로밋으로 하여금 다른 부품들이 마모할 때 팽창하게 하여 이에 의해 그로밋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 마모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증가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 후에도 눈에 띄는 성능의 변화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러 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른 실시예는 서로에 대하여 어느 부품이 회전할지를 제어할 수 있어서 링크의 동작으로부터 잡음, 진동, 윙윙 소리, 마모 및 다른 구조적 현상을 보다 정밀하게 분리하고 이를 보상할 수 있게 한다. 조향 가능한 스트럿의 장착 패드에 그로밋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향 "감각"이 원하는 응답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설계는 유지 및 구동 특징이나 백업 렌치(wrench)가 간략화되거나 기존의 볼 링크 조인트 유형의 조립체에 비해 요구되지 않으므로 더 낮은 비용과 더 개선된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나아가, 구조물이 보다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왼손과 오른손에 특정된 링크가 필요치 않을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전술된 바의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한정된 발명은 그 본문 및/또는 도면에 언급되거나 이로부터 명백한 개별 특징들의 2개 이상의 모든 대안적인 조합으로까지 확장되는 것이 이해된다. 이들 상이한 조합의 전체는 본 발명의 여러 대안적인 측면들을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알려진 최상의 형태를 설명하며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본 청구범위는 종래 기술이 허용하는 범위까지 대안적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은 이하 청구범위에 개시된다.

Claims (24)

  1. 직접 작용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는 스트럿(strut)에 안정기를 연결하는 단부 링크(end link)로서, 상기 안정기는 그 안에 홀을 가지는 장착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 링크는,
    서로 마주하며 그 사이에 스트럿 장착 패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1 및 제 2 그로밋(grommet)과;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각각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로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을 서로를 향해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대향하는 측면들과 마주하는 상기 로드의 제 1 및 제 2 단부 구조물
    을 포함하는 단부 링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은 상기 장착 패드에 있는 홀과 맞물리기 위해 감소된 직경의 칼라(collar)를 구비하는, 단부 링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의 대향하는 측면들과 맞물리기 위해 감소된 직경의 칼라를 구비하는, 단부 링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상기 장착 패드에 있는 홀과 맞물리기 위해 감소된 직경의 칼라를 구비하는, 단부 링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 부분을 구비하는, 단부 링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중 하나는 상기 단부 구조물 중 하나와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단부 구조물 중 다른 하나와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 부분을 구비하는, 단부 링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 부분을 포함하는, 단부 링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구조물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단부 링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은 서로에 대하여 제한된 회전을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구조물에 대해서는 더 독립적인 회전을 하도록 서로 연결된, 단부 링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에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구조물에 연결된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단부 링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구조물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중 하나에 인접한 로드 칼라와,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중 다른 하나와 맞물리는 너트를 포함하는, 단부 링크.
  12. 장착 패드를 구비하는 조향가능한 스트럿에 안정기 바를 연결하기 위한 단부 링크로서,
    고정된 칼라와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를 구비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 상에서 서로 마주하며 그 사이에 상기 장착 패드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상기 그로밋 중 하나와 상기 고정된 칼라 사이의 상기 로드 상에 있는 제 1 베어링 조립체와;
    상기 그로밋 중 다른 하나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 사이의 상기 로드 상에 있는 제 2 베어링 조립체와;
    상기 로드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에 맞물린 너트
    를 포함하는 단부 링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상기 칼라, 상기 너트 및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부분들은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된, 단부 링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각각의 부분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다른 부분들과 독립적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된, 단부 링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상기 칼라, 상기 너트 및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다른 부분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독립적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된, 단부 링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 조립체는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칼라에 연결된 부분을 포함하는, 단부 링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 조립체는 이와 함께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너트에 연결된 부분을 포함하는, 단부 링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 조립체는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칼라에 연결된 부분을 포함하는, 단부 링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각각의 다른 부분들은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와 독립적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된, 단부 링크.
  20. 로드를 포함하는 단부 링크에 있는 스트럿 연결 단부로서, 상기 스트럿 연결 단부는 상기 로드를 장착 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럿 연결 단부는,
    상기 로드에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와 맞물리는 너트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로부터 내부쪽으로 이격된 상기 로드 상에 있는 칼라와;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 사이의 상기 로드 상에 있는 제 1 및 제 2 그로밋과;
    상기 너트와 상기 칼라 사이의 상기 로드 상에 있는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 중 하나와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사이에 한정된 장착 패드 수용 공간과;
    그 사이에 제한된 상대적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로드와 상호 연결된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부분과, 상기 장착 패드 수용 공간에 유지된 장착 패드와 상호 연결된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다른 부분
    을 포함하는 스트럿 연결 단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로밋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럿 연결 단부.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 중 하나는 상기 칼라와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그로밋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너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럿 연결 단부.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상에 제 1 및 제 2 널 부분(knurled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널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조립체의 부품과 맞물리는, 스트럿 연결 단부.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 중 적어도 하나는 장착 패드의 상보적으로 형성된 개구에 수용된 돌출부를 가지게 형성된 그로밋 칼라를 구비하는, 스트럿 연결 단부.
KR1020127024579A 2010-03-25 2011-03-22 직접 작용 단부 링크 KR20130016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731410P 2010-03-25 2010-03-25
US61/317,314 2010-03-25
PCT/US2011/029307 WO2011119526A2 (en) 2010-03-25 2011-03-22 Direct acting end l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235A true KR20130016235A (ko) 2013-02-14

Family

ID=4398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579A KR20130016235A (ko) 2010-03-25 2011-03-22 직접 작용 단부 링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02113B2 (ko)
EP (1) EP2550169A2 (ko)
KR (1) KR20130016235A (ko)
WO (1) WO20111195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235A (ko) * 2010-03-25 2013-02-1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직접 작용 단부 링크
KR102138687B1 (ko) * 2019-05-27 2020-07-28 주식회사 센트랄 스트러트 현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9969A (en) * 1938-08-04 1939-08-15 Hudson Motor Car Co Stabilizer mechanism
US4575114A (en) * 1983-10-31 1986-03-11 Ford Motor Company Vehicle suspension joint
JPH0639204B2 (ja) * 1984-09-06 1994-05-25 日本発条株式会社 車両用スタビライザ装置
DE3886340T2 (de) 1987-10-19 1994-03-31 Nissan Motor Doppelquerlenkeraufhängung mit Stabilisator.
US5551722A (en) * 1988-10-26 1996-09-03 Maclean-Fogg Company Vehicle suspension link
US4944523A (en) * 1989-03-03 1990-07-31 Illinois Tool Works End link for stabilizer bar
US5449193A (en) * 1993-07-27 1995-09-12 Illinois Tool Works Inc. End link for a vehicle stabilizer bar
CA2140174C (en) * 1994-02-07 2000-08-22 Eric G. Parker Pivotal ball-end link
US6572127B2 (en) * 2001-05-18 2003-06-03 Maclean-Fogg Company Link assembly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20050079032A1 (en) * 2001-05-18 2005-04-14 Jiri Pazdirek Link assembly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6866276B2 (en) * 2002-05-10 2005-03-15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Roll bumper stabilizer bar links
US7258504B2 (en) * 2004-03-31 2007-08-21 Edwards Industries, Inc. Link assembly
DE102005034330A1 (de) * 2005-07-22 2007-01-25 Sram Deutschland Gmbh Gelenkverbindung
DE102007005567A1 (de) * 2007-02-05 2008-08-07 Mvs Europe Gmbh Befestigungselement, insbesondere zur Verbindung zweier Teile in einem Fahrwerk
KR20130016235A (ko) * 2010-03-25 2013-02-1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직접 작용 단부 링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1375A1 (en) 2012-12-20
EP2550169A2 (en) 2013-01-30
US8702113B2 (en) 2014-04-22
WO2011119526A2 (en) 2011-09-29
WO2011119526A3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5115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ежду приводом косилочного ножа и косилочным ножом
WO2010029847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529440C (zh) 具有密封匣的球形万向节
US20140044384A1 (en) Direct acting endlink seal
CN104154111B (zh) 用于转向柱的滚动轴承
CN105121256A (zh) 具有绝缘中间层的双重波形弹簧
US10371195B2 (en) Socke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 socket assembly
CN108351029B (zh) 用于销接头的圆周碎屑密封件
EP3430279B1 (en) Socke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 socket assembly
US20170008362A1 (en) Strut-type suspension device
JP4118690B2 (ja) 玉継ぎ手
KR20130016235A (ko) 직접 작용 단부 링크
JP4346106B2 (ja) スタビライザーの支持構造
BR102015018187B1 (pt) Vedação para um mancal de rolamento com o inserto, junta universal com uma bucha de mancal e/ou bucha de mancal com a vedação
US10875377B2 (en) Sway bar linkage with bushing
US20080213036A1 (en) Ball and Socket Joint
US20190126703A1 (en) Control Arm Bearing and Method of Making
EP1800014A2 (en) Link assembly for a vehicule suspension system
KR20070093592A (ko) 차량의 프런트 서스펜션 로어링크의 차체 마운팅 구조
WO2020185644A1 (en) Socke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 socket assembly
US4541641A (en) Seal member and tolerance compensator
CN110936972A (zh) 一种抗侧滚扭杆组成的防轴向窜动方法及抗侧滚扭杆组成
US9726250B1 (en) Self-tightening and wear compensating suspension mounting system
JP2005106117A (ja) 連結構造
JP5048351B2 (ja) スタビライザー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