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832B1 -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832B1
KR102244832B1 KR1020200104548A KR20200104548A KR102244832B1 KR 102244832 B1 KR102244832 B1 KR 102244832B1 KR 1020200104548 A KR1020200104548 A KR 1020200104548A KR 20200104548 A KR20200104548 A KR 20200104548A KR 102244832 B1 KR102244832 B1 KR 10224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shaft
enclosure body
inner tube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희
유현승
김안수
이창현
임용희
김근필
김보경
Original Assignee
다스코 주식회사
가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스코 주식회사, 가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충격 또는 응력의 전달을 차단 내지 경감하는 변위 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의 축방향을 포함하여 상호 직교하는 3축 방향의 변위를 수용함은 물론 외력 또는 응력의 제거시 원활한 복원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변위가 제거된 후에는 신속하게 복원되어,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MULTI-AXIAL DISPLACEMENT ABSORB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충격 또는 응력의 전달을 차단 내지 경감하는 변위 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의 축방향을 포함하여 상호 직교하는 3축 방향의 변위를 수용함은 물론 외력 또는 응력의 제거시 원활한 복원이 수행되는 것이다.
건물, 교량 또는 방음터널 등 각종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간 연결 형식은 연결 대상 부재간 상대적 변위의 허용 여부 및 정도 및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 형식을 해당 부재의 위치 및 역할 따라 적절하게 선택 적용함으로써,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구조물내 부재의 위치 및 기능에 따라 부재간 연결부에 일방향 또는 다방향의 변위가 허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부재간 연결부에 변위를 허용함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진동 등 외력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 변형에 의한 응력의 불필요한 전달을 차단하고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진 또는 강풍 등 예기치 못한 방향에서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한 대처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용 변위 흡수 수단이 개발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665073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1665073호를 비롯한 종래의 변위 수용 장치는 주로 신축체 또는 마찰체가 적용되는 방식으로서, 신축체 또는 마찰체의 소재로는 고무나 연질 금속 등이 적용된다.
신축체의 경우 주로 고무제 판체가 적용되는데, 연결 대상 부재가 신축체의 양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재의 변위가 발생되면 신축체가 수축 또는 팽창되면서 변위를 수용하며, 변위를 유발한 외력 또는 응력이 제거되면 소개 자체의 물성에서 유래된 신축 탄력에 의하여 신축체가 복원되면서 각 부재가 원위치로 회복된다.
이러한 고무판 등 신축체에 있어서의 변위 수용 방향의 다축성(多軸性)은 소재 자체의 물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연결 대상 부재가 고무판 신축체의 양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발생되는 변위를 단일 신축체로 수용할 수 있는 바, 단순한 구조의 변위 수용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신축체가 발현하는 신축성 내지 복원성이 방향에 따라 상이한 이방성(異方性)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다축 변위 수용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표적인 신축체인 고무판의 경우, 부재와 신축체간 부착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압축 탄력성은 우수한 반면, 부재 부착면이 상호 이격되는 인장 탄력성 또는 부재 부착면과 평행한 방향의 변위를 수용하는 휨 또는 비틀림 탄력성은 불충분하거나, 충분한 인장 저항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부재와 신축체간의 부착력 부여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마찰체는 주로 연질금속 판체 또는 금속판과 고무판 등이 다층으로 적층된 판체가 적용되는데, 연결 대상 부재의 변위 발생시 이를 수용함과 동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변위를 야기한 외력이 제거되어도 즉각적인 복원이 수행되지는 않는 바, 비정상적인 외부 충격 또는 급격하게 형성된 응력으로 인한 변위의 전파를 억제하는 수단으로 주로 사용될 뿐 상시 작동하는 변위 수용 장치로서의 기능은 사실상 기대할 수 없다.
특히, 상기와 같은 신축체 및 마찰체 공히 변위 수용 기능을 소재의 물성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소재의 열화(劣化)가 발생되면 변위 수용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무제 신축체 또는 마찰체의 경우 조기에 열화되는 단점이 있어, 변위 수용 장치의 빈번한 교체가 필요한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변위 수용 장치의 빈번한 교체로 인하여, 막대한 유지관리 비용이 소모될 뿐 아니라, 교량 또는 방음터널 등의 시설물의 경우 교통 통제가 불가피한 바, 심각한 사용자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부재(10)의 변위를 수용하는 변위 수용 장치에 있어서,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에는 각각 접합부(20)가 접합되고, 일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의 말단부에는 타측 부재(10)측으로 돌출되는 중공(中空)의 외함체(30)가 설치되고, 타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에는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외함체(30)가 절개부(21)에 수용되되, 절개부(21)와 외함체(30) 사이에는 외함체(30)의 부재(10) 축방향 및 부재(10) 직교 방향 이동이 가능한 유격이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관체인 내관체(40)가 외함체(30)에 내장되되, 외함체(30)의 내부면과 내관체(40)의 외부면 사이에는 내관체(40)를 중심으로 등각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4개의 평스프링(62)이 설치되어, 평스프링(62)의 탄발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외함체(30)내 내관체(40)의 위치가 유지되고, 내관체(40)의 내부에는 내관체(40)의 내부면을 따라 자유롭게 활동되는 활동체(50)가 삽입되되, 상기 평스프링(62)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활동축(51)이 활동체(5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함체(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판(31) 및 저판(32)이 접합되어 외함체(30)가 폐쇄되되 상판(31)의 중심부 및 저판(32)의 중심부에는 활동축(51)의 직경을 초과하는 축공(35)이 각각 형성되어, 활동축(51)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판(31)의 축공(35) 및 저판(32)의 축공(35)을 통과하여 노출되고, 활동축(51)의 상단 및 하단은 외함체(30)가 설치된 접합부(20) 타측 접합부(20)의 절개부(21) 상부 및 하부에 접합되며, 활동체(50)의 상면과 상판(31) 저면 사이와, 활동체(50)의 저면과 저판(32) 상면 사에에는 각각 축스프링(61)이 설치되어, 축스프링(61)의 탄발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내관체(40)내 활동체(50)의 위치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이다.
또한, 상기 외함체(30) 상단의 상판(31) 저면에는 세정관(70)이 부착되되, 세정관(70)은 유입단이 외함체(30) 외측으로 노출되고, 유입단의 타측 말단은 폐쇄되며, 세정관(70)에는 활동축(51)을 중심으로 외함체(30)내 평스프링(62) 상부를 선회하도록 굴곡이 형성되고, 세정관(70)의 하부에는 다수의 분출공(71)이 천공되어, 세정관(70)의 유입단으로 세정액이 주입됨에 따라 분출공(71)으로 세정액이 분출되어 평스프링(62)이 세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이며, 상기 외함체(30) 하단의 저판(32) 상면에는 외곽측에서 중심측으로 표면이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75)이 형성되고, 경사면(75) 하부에는 배출공(77)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변위가 제거된 후에는 신속하게 복원되어,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이 상호 직교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을 집약하여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고무제 신축체 등이 적용되는 종래기술 대비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변위 수용 장치 적용 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 목적의 운용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7은 세정관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도 7 실시예의 사용 방식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가 방음터널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부재(10)의 변위를 수용함으로써 충격 또는 응력의 전달을 차단 내지 경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의 축방향을 포함하여 상호 직교하는 3축 방향의 변위를 수용하게 되는데, 동 도면상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는 중심축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즉,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가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는 상기 축방향의 전후 양측 방향 변위를 모두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동 도면의 평면상 상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상 전후 양측 방향의 변위와, 상기 축방향 및 축방향의 평면상 직교 방향 모두와 직교하는 동 도면상 상, 하 방향의 변위도 수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는 양측의 접합부(20)가 외함체(30)를 비롯한 작동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며, 양측 접합부(20) 중 일측 접합부(20)는 연결 대상 부재(10) 중 일측 부재(10)에 접합되고, 양측 접합부(20) 중 타측 접합부(20)는 연결 대상 부재(10) 중 타측 부재(10)에 접합되는데, 이들 접합부(20)의 형상 및 구조는 연결 대상 부재(10)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통상의 부재(10)간 연결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결 대상 부재(10)가 수직판인 웨브 상단 및 하단에 수평판인 플랜지 중심부가 각각 접합된 형강인 경우,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를 구성하는 양측 접합부(20) 역시 동일한 형태의 형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연속된 부재(10)간 연결부에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를 적용하여도 이질적인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심각한 외관 훼손이 초래되지 않는다.
한편, 방음터널 골조 부재(10)간 연결부에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가 구조물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 밖에도 구조물의 측단 또는 구조물의 수직 지주 등 다양한 부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직교하는 3축 방향의 변위를 방향에 관계 없이 수용함은 물론, 외력 또는 응력의 제거시 원활한 복원이 수행되어 변위 수용 장치 및 양측 연결 부재(1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으로, 이러한 작용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일측 접합부(20)에 형성된 외함체(30)가 타측 접합부(20)에 형성된 절개부(21) 내부에서 3축 방향의 자유로운 탄성 거동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일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의 말단부에는 타측 부재(10)측으로 돌출되는 중공(中空)의 외함체(30)가 설치되고, 타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에는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외함체(30)가 절개부(21)에 수용되되, 절개부(21)와 외함체(30) 사이에는 외함체(30)의 부재(10) 축방향 및 부재(10) 직교 방향 이동이 가능한 유격(裕隔)이 형성되어, 유격이 형성된 절개부(21) 공간 내부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외함체(30)가 이동 및 복귀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 및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함체(30) 내부에는 내관체(40) 및 활동체(50) 등이 다수의 스프링을 통하여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우선,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일측 접합부(20)에는 중공의 외함체(30)가 돌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관체인 내관체(40)가 외함체(30)에 내장되되, 외함체(30)의 내부면과 내관체(40)의 외부면 사이에는 평면상 내관체(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등각(等角)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되는 4개의 평스프링(62)이 설치되어, 평스프링(62)의 탄발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외함체(30)내 내관체(40)의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내관체(40)의 내부에는 내관체(40)의 내부면을 따라 자유롭게 활동되는 활동체(50)가 삽입되되, 상기 평스프링(62)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활동축(51)이 활동체(5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함체(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판(31) 및 저판(32)이 접합되어 외함체(30)가 폐쇄되되 상판(31)의 중심부 및 저판(32)의 중심부에는 활동축(51)의 직경을 초과하는 축공(35)이 각각 형성되어, 활동축(51)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판(31)의 축공(35) 및 저판(32)의 축공(35)을 통과하여 노출된다.
도 4에서와 같이, 활동축(51)의 상단 및 하단은 외함체(30)가 설치된 접합부(20) 타측 접합부(20)의 절개부(21) 상부 및 하부에 접합되며, 활동체(50)의 상면과 상판(31) 저면 사이와, 활동체(50)의 저면과 저판(32) 상면 사에에는 각각 축스프링(61)이 설치되어, 축스프링(61)의 탄발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내관체(40)내 활동체(50)의 위치가 유지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도면상 동일한 수평 평면에 중심축이 위치하는 평스프링(62) 4개가 그 중심축이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되되, 이들 4개의 평스프링(62)은 평면상 활동축(5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직각 간격의 등각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며, 활동축(51)에 결합되는 한쌍의 축스프링(61)은 평면상 활동축(51)과 동심(同心)으로 결합되되 상부 축스프링(61)은 활동체(50)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 축스프링(61)은 활동체(5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축스프링(61)은 활동축(5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반면, 평스프링(62)에는 내부에 삽입되는 별도의 지지 수단이 없으므로, 안정적인 설치 및 작동을 위하여 내관체(40)의 외부면 및 외함체(30)의 내부면에 각각 원형의 안착테(63)를 형성하여, 안착테(63)에 평스프링(62)의 양측 단부가 수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은 도 6에서와 같이, 외함체(30)에 내장된 각각의 스프링이 역학적 균형을 이루면서 다축 방향의 변위 수용 및 변위 원인 제거시의 복원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의 압축 설치 이전 상태를 도시한 도 5와 스프링의 압축 설치 이후 상태를 도시한 도 4를 대비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함체(30)에 내장되는 4개의 평스프링(62) 및 2개의 축스프링(61)이 상시 압축된 상태에서 각각의 탄발력이 상호 평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연결 대상 부재(10)에서의 변위 발생 여부와 관계 없이 외함체(30)에 내장된 4개의 평스프링(62) 및 2개의 축스프링(61)에 상시 일정 수준 압축된 상태가 조성되는 것인데, 이때의 압축 상태는 각 스프링에 대한 완전 압축이 아니라 추후 추가 압축의 여지가 존재하는 일부 압축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 6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등각 방사상으로 배치된 4개의 평스프링(62)은 그 중심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호 대향하는 2개 평스프링(62)의 탄발력이 균형을 이룸에 따라, 전체 평스프링(62)의 탄발력이 균형을 이루면서 내관체(40)의 외함체(30)내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도 6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활동체(50) 상부 축스프링(61)의 탄발력과 활동체(50) 하부 축스프링(61)의 탄발력 역시 균형을 이룸으로써, 내관체(40) 내 활동체(50)의 위치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렇듯, 탄발력의 균형을 이루는 2개 축스프링(61) 및 4개 평스프링(62)의 작용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10)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변위가 제거된 후에는 신속하게 복원되어,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이 상호 직교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을 효율적으로 집약하여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고무제 신축체 등이 적용되는 종래기술 대비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변위 수용 장치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외함체(30)에 내장된 스프링을 세정(洗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로써 외함체(30)에 내장된 스프링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고 가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스프링(61) 및 평스프링(62)은 폐쇄된 함체인 외함체(30)에 내장되는 바,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는 구조는 아니나, 본 발명의 구조 및 작동상 외함체(30)의 완전 밀폐는 불가능하며, 이는 외함체(30) 상, 하측으로 노출되는 활동축(51)의 작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판(31)의 축공(35) 및 저판(32)의 축공(35)이 확경 형성됨에서 기인한다.
즉, 외함체(30) 상단에 접합되는 상판(31) 중심부의 축공(35) 및 외함체(30) 하단에 접합되는 저판(32) 중심부의 축공(35)은 그 내경이 활동축(51)의 직경을 충분히 초과하여 활동축(51)의 중심축 직교 방향 이동을 보장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렇듯 확경된 축공(35)과 활동축(51) 사이의 공간으로 분진 또는 조류 배설물 등 외부의 오염물이 외함체(30) 내부로 유입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외함체(30) 내부로 유입된 분진 또는 조류 배설물 등의 오염물은 평스프링(62) 및 축스프링(61) 등 내장 부품에 침착되어 스프링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함은 물론 부식을 촉진하게 되는 바, 외함체(30) 내부 구성에 대한 주기적인 세정이 요구되는데, 축공(35)을 통하여 접근이 가능한 축스프링(61) 및 활동축(51) 등의 구성은 세정이 용이한 반면, 본 발명의 구조상 평스프링(62)의 세정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외함체(30) 상단의 상판(31) 저면에 다수의 분출공(71)이 형성된 세정관(70)을 부착하여, 외부에서 주입된 세정액이 평스프링(62)을 비롯한 외함체(30) 내부 구성에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외함체(30) 내부 구성에 대한 간편하고 효과적인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세정관(70)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그 유입단이 외함체(30) 외측으로 노출되고, 유입단의 타측 말단은 폐쇄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7 상부의 발췌부에서와 같이, 세정관(70)에는 활동축(51)을 중심으로 외함체(30)내 평스프링(62) 상부를 선회하도록 굴곡이 형성되고, 세정관(70)의 하부에는 다수의 분출공(71)이 천공되어, 도 8에서와 같이, 세정관(70)의 유입단으로 세정액이 주입됨에 따라 분출공(71)으로 세정액이 분출되어 외함체(30) 내부의 평스프링(62) 등이 세정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외함체(30) 하단의 저판(32) 상면에는 외곽측에서 중심측으로 표면이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75)이 형성되고, 경사면(75) 하부에는 배출공(77)이 천공되어, 평스프링(62) 등에 대한 세정을 마친 세정액과 오염물이 외함체(30)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10 : 부재
20 : 접합부
21 : 절개부
30 : 외함체
31 : 상판
32 : 저판
35 : 축공
40 : 내관체
50 : 활동체
51 : 활동축
61 : 축스프링
62 : 평스프링
63 : 안착테
70 : 세정관
71 : 분출공
75 : 경사면
77 : 배출공

Claims (3)

  1.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부재(10)의 변위를 수용하는 변위 수용 장치에 있어서,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에는 각각 접합부(20)가 접합되고;
    일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의 말단부에는 타측 부재(10)측으로 돌출되는 중공(中空)의 외함체(30)가 설치되고;
    타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에는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외함체(30)가 절개부(21)에 수용되되, 절개부(21)와 외함체(30) 사이에는 외함체(30)의 부재(10) 축방향 및 부재(10) 직교 방향 이동이 가능한 유격이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관체인 내관체(40)가 외함체(30)에 내장되되, 외함체(30)의 내부면과 내관체(40)의 외부면 사이에는 내관체(40)를 중심으로 등각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인 4개의 평스프링(62)이 설치되어, 평스프링(62)의 탄발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외함체(30)내 내관체(40)의 위치가 유지되고;
    내관체(40)의 내부에는 내관체(40)의 내부면을 따라 자유롭게 활동되는 활동체(50)가 삽입되되, 상기 평스프링(62)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활동축(51)이 활동체(5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함체(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판(31) 및 저판(32)이 접합되어 외함체(30)가 폐쇄되되 상판(31)의 중심부 및 저판(32)의 중심부에는 활동축(51)의 직경을 초과하는 축공(35)이 각각 형성되어, 활동축(51)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판(31)의 축공(35) 및 저판(32)의 축공(35)을 통과하여 노출되고;
    활동축(51)의 상단 및 하단은 외함체(30)가 설치된 접합부(20) 타측 접합부(20)의 절개부(21) 상부 및 하부에 접합되며, 활동체(50)의 상면과 상판(31) 저면 사이와, 활동체(50)의 저면과 저판(32) 상면 사에에는 코일 스프링인 축스프링(61)이 각각 설치되어, 축스프링(61)의 탄발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내관체(40)내 활동체(50)의 위치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함체(30) 상단의 상판(31) 저면에는 세정관(70)이 부착되되, 세정관(70)은 유입단이 외함체(30) 외측으로 노출되고, 유입단의 타측 말단은 폐쇄되며;
    세정관(70)에는 활동축(51)을 중심으로 외함체(30)내 평스프링(62) 상부를 선회하도록 굴곡이 형성되고, 세정관(70)의 하부에는 다수의 분출공(71)이 천공되어;
    세정관(70)의 유입단으로 세정액이 주입됨에 따라 분출공(71)으로 세정액이 분출되어 평스프링(62)이 세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외함체(30) 하단의 저판(32) 상면에는 외곽측에서 중심측으로 표면이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75)이 형성되고;
    경사면(75) 하부에는 배출공(77)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KR1020200104548A 2020-08-20 2020-08-20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KR10224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548A KR102244832B1 (ko) 2020-08-20 2020-08-20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548A KR102244832B1 (ko) 2020-08-20 2020-08-20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832B1 true KR102244832B1 (ko) 2021-04-27

Family

ID=7572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548A KR102244832B1 (ko) 2020-08-20 2020-08-20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35B1 (ko) * 2021-05-25 2022-03-25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다방향 내진 기능을 갖는 내진 유닛을 구비한 외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586A (ja) * 1998-06-02 2001-08-24 Jiro Kitamura 免震装置、滑り支承また免震構造
KR100677164B1 (ko) * 2006-01-23 2007-02-02 신재화 철도차량 완충 연결장치
KR101615268B1 (ko) * 2014-10-01 2016-04-2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거동 복합감쇠장치
KR102139093B1 (ko) * 2019-07-11 2020-07-29 덕인금속 주식회사 마감재 부착용 내진 브래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586A (ja) * 1998-06-02 2001-08-24 Jiro Kitamura 免震装置、滑り支承また免震構造
KR100677164B1 (ko) * 2006-01-23 2007-02-02 신재화 철도차량 완충 연결장치
KR101615268B1 (ko) * 2014-10-01 2016-04-2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거동 복합감쇠장치
KR102139093B1 (ko) * 2019-07-11 2020-07-29 덕인금속 주식회사 마감재 부착용 내진 브래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35B1 (ko) * 2021-05-25 2022-03-25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다방향 내진 기능을 갖는 내진 유닛을 구비한 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2651B2 (en) Shock suppressor
KR102244832B1 (ko)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JP4966439B2 (ja) 耐震伸縮継手
KR101742040B1 (ko) 마찰 댐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50084B1 (ko)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JP4545920B2 (ja) 橋梁における免震構造系
KR20180065144A (ko) 탄성계수를 갖는 구조물 제진보강용 가새장치
JP6503178B2 (ja) 土木構造物の懸架システムのケーブルにおける振動を減衰させる装置
JP2007278411A (ja) ダンパー装置
KR102170121B1 (ko) 마찰진자형 교량 면진 받침
JP2011516797A (ja) 構造体用支持体
US6042094A (en) Self-centering column assembly employing liquid spring and structures containing such columns
US20230212831A1 (en) Damper and damper system for damp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between a tensioned cable and a support structure
JP5199687B2 (ja) 制振装置、制振構造、及び制振パネル
KR102284182B1 (ko) 3차원 교량 신축 이음장치
KR200431157Y1 (ko)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20090033673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KR102244834B1 (ko)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JP3174860B2 (ja) 免震装置及びこの装置が設けられてなる軽重量構造物の免震構造
JP2009097301A (ja) 減衰機能を備えた転がり免震支承装置
JP6306910B2 (ja) 吊支装置の揺れ防止具を用いた揺れ防止構造
CN113513099A (zh) 一种用于塔器的调谐质量阻尼器
KR102283043B1 (ko) 판구조의 잔류변형 저감형 댐퍼
KR100977041B1 (ko) 건축물의 제진용 헌치
JP4039136B2 (ja) 構造物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振動エネルギ吸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