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834B1 -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834B1
KR102244834B1 KR1020200104554A KR20200104554A KR102244834B1 KR 102244834 B1 KR102244834 B1 KR 102244834B1 KR 1020200104554 A KR1020200104554 A KR 1020200104554A KR 20200104554 A KR20200104554 A KR 20200104554A KR 102244834 B1 KR102244834 B1 KR 10224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storage room
straight
active body
stre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희
유현승
김안수
이창현
임용희
김근필
김보경
Original Assignee
다스코 주식회사
가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스코 주식회사, 가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충격 또는 응력의 전달을 차단 내지 경감하는 변위 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의 축방향을 포함하여 상호 직교하는 3축 방향의 변위를 수용함은 물론 외력 또는 응력의 제거시 원활한 복원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10)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변위가 제거된 후에는 신속하게 복원되어,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MULTI-AXIAL DISPLACEMENT ABSORB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충격 또는 응력의 전달을 차단 내지 경감하는 변위 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의 축방향을 포함하여 상호 직교하는 3축 방향의 변위를 수용함은 물론 외력 또는 응력의 제거시 원활한 복원이 수행되는 것이다.
건물, 교량 또는 방음터널 등 각종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간 연결 형식은 연결 대상 부재간 상대적 변위의 허용 여부 및 정도 및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 형식을 해당 부재의 위치 및 역할 따라 적절하게 선택 적용함으로써,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구조물내 부재의 위치 및 기능에 따라 부재간 연결부에 일방향 또는 다방향의 변위가 허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부재간 연결부에 변위를 허용함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진동 등 외력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 변형에 의한 응력의 불필요한 전달을 차단하고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진 또는 강풍 등 예기치 못한 방향에서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한 대처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용 변위 흡수 수단이 개발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665073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1665073호를 비롯한 종래의 변위 흡수 장치는 주로 단일 신축체 또는 단일 마찰체가 적용되는 방식으로서, 단일 신축체 또는 단일 마찰체의 소재로는 고무나 연질 금속 등이 적용된다.
종래의 신축체의 경우 주로 고무제 판체가 적용되는데, 연결 대상 부재가 신축체의 양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재의 변위가 발생되면 신축체가 수축 또는 팽창되면서 변위를 수용하며, 변위를 유발한 외력 또는 응력이 제거되면 소개 자체의 물성에서 유래된 신축 탄력에 의하여 신축체가 복원되면서 각 부재가 원위치로 회복된다.
이러한 고무판 등 신축체에 있어서의 변위 수용 방향의 다축성(多軸性)은 소재 자체의 물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연결 대상 부재가 고무판 신축체의 양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발생되는 변위를 단일 신축체로 수용할 수 있는 바, 단순한 구조의 변위 수용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신축체가 발현하는 신축성 내지 복원성이 방향에 따라 상이한 이방성(異方性)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다축 변위 수용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표적인 신축체인 고무판의 경우, 부재와 신축체간 부착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압축 탄력성은 우수한 반면, 부재 부착면이 상호 이격되는 인장 탄력성 또는 부재 부착면과 평행한 방향의 변위를 수용하는 휨 또는 비틀림 탄력성은 불충분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마찰체는 주로 연질금속 판체 또는 금속판과 고무판 등이 다층으로 적층된 판체가 적용되는데, 연결 대상 부재의 변위 발생시 이를 수용함과 동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변위를 야기한 외력이 제거되어도 즉각적인 복원이 수행되지는 않는 바, 비정상적인 외부 충격 또는 급격하게 형성된 응력으로 인한 변위의 전파를 억제하는 수단으로 주로 사용될 뿐 상시 작동하는 변위 수용 장치로서의 기능은 사실상 기대할 수 없다.
특히, 상기와 같은 신축체 및 마찰체 공히 변위 수용 기능을 소재의 물성에 전적으로 의존하는데, 구조상 이들 신축체 및 마찰체는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으므로, 외부의 오염물 또는 직사 태양광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장기간 사용시 소재의 신축성 저하 및 물성 열화(劣化)가 불가피하여 변위 수용 기능이 급속하게 상실되는 바, 변위 수용 장치의 빈번한 교체가 필요한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변위 수용 장치의 빈번한 교체로 인하여, 막대한 유지관리 비용이 소모될 뿐 아니라, 교량 또는 방음터널 등의 시설물의 경우 교통 통제가 불가피한 바, 심각한 사용자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부재(10)의 변위를 수용하는 변위 수용 장치에 있어서,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에는 각각 접합부(20)가 접합되고, 일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의 말단부에는 타측 부재(10)측으로 돌출되는 활동체(40)가 설치되고, 타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에는 수납실(30)이 형성되어 상기 활동체(40)가 수납실(30)에 수용되되, 수납실(30)과 활동체(40) 사이에는 활동체(40)의 부재(10) 축방향 및 부재(10) 직교 방향 이동이 가능한 유격이 형성되며, 활동체(40)와 수납실(30) 내부면 사이에는 상호 동축을 이루는 2개의 직신축체(61)와, 직신축체(61)와 직교하고 직각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3개의 평신축체(62)가 설치되어,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가 신축되면서 수납실(30)내 활동체(40)의 위치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이다.
또한, 상기 수납실(30)에는 U자형 판체인 분할삽입판(70) 한쌍이 대칭으로 설치되어 수납실(30)의 개방부가 외곽에서 내측으로 축소되고, 활동체(40)에는 C자형 판체인 분할수용판(80) 한쌍이 대칭으로 설치되되 분할수용판(80)의 외부면에는 삽입홈(81)이 형성되어, 분할삽입판(70)이 삽입홈(81)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할수용판(80)이 연결 대상 부재(10)의 축방향 및 직교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10)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변위가 제거된 후에는 신속하게 복원되어,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이 상호 직교하는 다수의 신축체를 집약하여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단일 신축판 등이 적용되는 종래기술 대비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변위 수용 장치 적용 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 목적의 운용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밀폐형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도 6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 실시예의 작동 방식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가 방음터널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부재(10)의 변위를 수용함으로써 충격 또는 응력의 전달을 차단 내지 경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의 축방향을 포함하여 상호 직교하는 3축 방향의 변위를 수용하게 되는데, 동 도면상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는 중심축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즉,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가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는 상기 축방향의 전후 양측 방향 변위를 모두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동 도면의 평면상 상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상 전후 양측 방향의 변위와, 상기 축방향 및 축방향의 평면상 직교 방향 모두와 직교하는 동 도면상 상, 하 방향의 변위도 수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는 한쌍의 접합부(20) 사이에 수납실(30)이 구성되고, 양측의 접합부(20)가 수납실(30)에 내장되는 활동체(40)와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 등의 신축체로 구성되는 가동부(可動部)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며, 도 2에서와 같이 양측 접합부(20) 중 일측 접합부(20)는 연결 대상 부재(10) 중 일측 부재(10)에 접합되고, 양측 접합부(20) 중 타측 접합부(20)는 연결 대상 부재(10) 중 타측 부재(10)에 접합되는데, 이들 접합부(20)의 형상 및 구조는 연결 대상 부재(10)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통상의 부재(10)간 연결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결 대상 부재(10)가 수직판인 웨브 상단 및 하단에 수평판인 플랜지 중심부가 각각 접합된 형강인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를 구성하는 양측 접합부(20) 역시 동일한 형태의 형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연속된 부재(10)간 연결부에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를 적용하여도 이질적인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심각한 외관 훼손이 초래되지 않는다.
한편, 방음터널 골조 부재(10)간 연결부에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가 구조물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 밖에도 구조물의 측단 또는 구조물의 수직 지주 등 다양한 부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위 수용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직교하는 3축 방향의 변위를 방향에 관계 없이 수용함은 물론, 외력 또는 응력의 제거시 원활한 복원이 수행되어 변위 수용 장치 및 양측 연결 부재(1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으로, 이러한 작용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일측 접합부(20)에 형성된 활동체(40)가 타측 접합부(20)에 형성된 수납실(30) 내부에서 3축 방향의 자유로운 탄성 거동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일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의 말단부에는 타측 부재(10)측으로 돌출되는 외형상 직육면체 형상의 활동체(40)가 설치되고, 타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에는 수납실(30)이 형성되어 상기 활동체(40)가 수납실(30)에 수용되되, 수납실(30)과 활동체(40) 사이에는 활동체(40)의 부재(10) 축방향 및 부재(10) 직교 방향 이동이 가능한 유격(裕隔)이 형성되어, 유격이 형성된 수납실(30) 공간 내부에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활동체(40)가 이동 및 복귀되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체(40)의 이동 및 복귀는 활동체(40)와 수납실(3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부 구조 및 작동 방식을 도시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수납실(30) 내부에는 2개의 직신축체(61) 및 3개의 평신축체(62)가 설치되는데, 이들 2개의 직신축체(61)는 중심축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동축(同軸)을 이루고, 3개의 평신축체(62)는 모두 상기 직신축체(61)와 직교하되 중심축이 직각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되는 즉, 3개의 평신축체(62) 중 하나의 평신축체(62)가 연결 대상 부재(10)의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고, 나머지 2개 평신축체(62)는 상호 동축을 이루되 연결 대상 부재(10) 중심축과 동축을 이루는 평신축체(62)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의 구분은 각 신축체의 역학적 거동상 현격한 차이점이 존재하여 이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 신축체의 주된 신축 방향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재인 양측 부재(10)를 연결하는 상황이 상정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축체가 각각 직신축체(61) 또는 평신축체(62)로 분류된다.
도 4 및 도 5 등 첨부된 도면상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신축체의 설치 상태를 비롯한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면상 좌측의 일측 접합부(20)에는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요입부(41)가 형성되고 요입부(41)의 내부면으로서 격판(50)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활동체(40)가 타측 접합부(20)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타측 접합부(20)의 말단부는 역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일측 접합부(20)측 면이 완전 개방된 수납실(30)이 형성되고, 상기 활동체(40) 대부분이 상기 수납실(30) 내부에 수납되는데, 이들 활동체(40) 및 수납실(30) 사이에는 다수의 직신축체(61) 및 다수의 평신축체(62)가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활동체(40)와 수납실(30) 내부 표면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체는 직신축체(61) 2개 및 평신축체(62) 3개로 구성되며, 3개의 평신축체(62)는 평면상 직신축체(6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등각(等角)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되고, 2개의 직신축체(61)는 측면상 동축으로 설치된다.
이들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되며, 기본적으로 봉상(棒狀)의 형태를 가지되 그 횡단면은 도면상 예시된 원형은 물론 적용처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의 말단부에는 금속판 등 경질 소재로 제작된 말단판(69)이 부착되는데, 말단판(69)은 직신축체(61) 또는 평신축체(62)의 설치 지점에서 신축체의 단부와 밀착면간의 긴밀하고 안정적인 안착 또는 안착상태에서의 원활한 활동(sliding)을 유도하거나, 인장측 외력에 대한 저항 필요시 신축체를 설치면에 강력하게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직신축체(61) 또는 평신축체(62) 말단부의 말단판(69)은 고무제 등 신축성 소재인 신축체 본체와 강력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금속체 말단판(69)의 신축체측 표면에 돌출물이 형성되어 신축체 본체에 매입되거나 신축체에 내장된 와이어 등의 고강도 선재(線材)가 말단판(69)에 결속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신축체 본체 및 말단판(69)간 결착 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 등 신축성 소재가 적용되는 봉체로서 도 5에서와 같이, 평면상 상호 대향하는 평신축체(62)의 탄발력이 평형을 이룸과 동시에, 도면상 상측 직신축체(61) 및 하측 직신축체(61)의 탄발력 역시 평형을 이룸으로써 수납실(30)내 활동체(40)의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활동체(40)에는 요입부(41)가 형성되고 요입부(41) 내부에는 격판(50)이 형성되는데, 이는 도면상 예시된 바와 같이, 활동체(40) 상면 및 저면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수평 판체인 격판(50)이 형성되는 것으로, 요입부(41) 내부에 직신축체(61)가 설치되어 직신축체(61)의 일단은 격판(50)에 밀착되고 타단은 수납실(30)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직신축체(61)의 설치공간 및 작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의 탄발력 균형을 통한 활동체(40)의 수납실(30)내 위치 및 자세 유지에 있어서,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 양단의 말단판(69)은 설치면 즉, 활동체(40)의 외부 표면, 활동체(40)의 요입부(41)내 격판(50) 표면 및 수납실(30) 내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들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의 양측 말단판(69) 중 적어도 일측의 말단판(69)은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직신축체(61) 또는 평신축체(62) 양측 말단판(69) 전체가 설치 대상면에 부착 고정되는 경우 봉체인 직신축체(61) 또는 평신축체(62)는 축방향 신축 이외에 휨 또는 비틀림 변형 및 복원을 수행하게 되며, 직신축체(61) 또는 평신축체(62)의 말단판(69) 중 적어도 일측 말단판(69)이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직신축체(61) 또는 평신축체(62)는 축방향 신축만을 수행하고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외력 작용시에는 말단판(69)이 설치 대상 부위의 표면을 따라 활동하면서 신축체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연결 대상 부재(10)와 동축을 이루는 평신축체(62) 즉, 활동체(40)의 말단에 설치되는 평신축체(62)로서 도 5의 도면상 좌측의 평신축체(62)는 연결 대상 부재(10)의 축방향 변위를 직접 수용하는 신축체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 대상 부재(10)가 수평재인 경우 평신축체(62) 양단의 말단판(69)이 모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 대상 부재(10)가 수직재인 경우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측의 말단판(69)은 활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활동체(40)와 수납실(30) 사이에 설치되는 각각의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가 역학적 균형을 이루면서 다축 방향의 변위 수용 및 변위 원인 제거시의 복원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 대상 부재(10)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평면상의 4개 신축체 즉, 2개의 직신축체(61) 및 연결 대상 부재(10)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2개의 평신축체(62)는 상시 압축된 상태에서 각각의 탄발력이 상호 평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이로써 이들 신축체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상쇄 내지 최소하여 신축체가 부담할 수 있는 허용 외력을 증대하고 신축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즉, 연결 대상 부재(10)에서의 변위 발생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4개의 신축체에 상시 일정 수준 압축된 상태가 조성되는 것인데, 이때의 압축 상태는 각 신축체에 대한 완전 압축이 아니라 추후 추가 압축의 여지가 존재하는 일부 압축상태로서, 상호 대향하는 2개 신축체의 탄발력이 균형을 이룸에 따라, 해당 방향에서 활동체(40)의 수납실(30)내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이렇듯, 탄발력의 균형을 이루는 구조를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10)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변위가 제거된 후에는 신속하게 복원되어,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활동체(40)가 내장되는 수납실(30) 및 이들 사이에 집약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신축체를 통하여,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다축 방향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고도의 역학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 방식상 수납실(30)의 전면(前面)이 완전 개방될 수 밖에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창안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변위의 수용 및 복원 등 본 발명 작동의 원활성은 완벽하게 확보하면서도 수납실(30)의 기밀을 확보하여 각종 오염물 및 직사광선으로부터 수납실(30) 내부 구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수납실(30)의 활동체(40)측 전면(前面)에는 U자형 판체인 분할삽입판(70) 한쌍이 대칭으로 설치되어 수납실(30)의 개방부가 외곽에서 내측으로 축소되고, 활동체(40)의 접합부(20)측 단부에는 C자형 판체인 분할수용판(80) 한쌍이 대칭으로 설치되되 분할수용판(80)의 외부면에는 삽입홈(81)이 형성되는 것으로, 분할삽입판(70)의 중심측 말단부가 분할수용판(80)의 삽입홈(81)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렇듯, U자형 분할삽입판(70) 한쌍과 C자형 분할수용판(80) 한쌍이 조합되는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 적용 구조물이 완성되어 활동체(40)가 수납실(30)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사후적으로 분할삽입판(70) 및 분할수용판(80)을 설치하여 수납실(30)을 밀봉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들 분할삽입판(70) 및 분할수용판(80)을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상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결합되는 분할삽입판(70)은 수납실(30)의 전방 외곽부에 부착, 고정되며, 도면상 측방에서 결합되는 분할수용판(80) 한쌍은 상호간에는 결속되어 일체화되되 분할수용판(80)의 내부면이 활동체(40) 표면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연결 대상 부재(10)의 축방향으로 분할수용판(80)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분할삽입판(70)이 삽입홈(81)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대상 부재(10)의 축방향은 물론, 연결 대상 부재(10)와 직교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에도 불구하고 수납실(30) 내부의 밀폐 상태는 긴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분할수용판(80)을 관통하는 주입공(85)이 형성되고, 주입공(85)의 외측에는 밀봉캡(86)이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밀봉캡(86)을 분리하고 주입공(85)으로 열화(劣化) 방지제 등을 분사하여 수납실(30)에 내장된 신축체의 성능을 유지하고 가용 수명을 연장할 수도 있다.
10 : 부재
20 : 접합부
30 : 수납실
40 : 활동체
41 : 요입부
50 : 격판
61 : 직신축체
62 : 평신축체
69 : 말단판
70 : 분할삽입판
80 : 분할수용판
81 : 삽입홈
85 : 주입공
86 : 밀봉캡

Claims (2)

  1. 구조물의 부재(10)간 연결부에 설치되어 부재(10)의 변위를 수용하는 변위 수용 장치에 있어서,
    연결 대상 양측 부재(10)에는 각각 접합부(20)가 접합되고;
    일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의 말단부에는 타측 부재(10)측으로 돌출되는 활동체(40)가 설치되고;
    타측 부재(10)에 접합된 접합부(20)에는 수납실(30)이 형성되어 상기 활동체(40)가 수납실(30)에 수용되되, 수납실(30)과 활동체(40) 사이에는 활동체(40)의 부재(10) 축방향 및 부재(10) 직교 방향 이동이 가능한 유격이 형성되며;
    활동체(40)와 수납실(30) 내부면 사이에는 상호 동축을 이루는 2개의 봉상(棒狀) 직신축체(61)와, 직신축체(61)와 직교하고 직각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3개의 봉상 평신축체(62)가 설치되되, 상기 직신축체(61) 및 부재(10)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평신축체(62)는 상시 압축된 상태에서 각각의 탄발력이 상호 평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직신축체(61) 및 평신축체(62)가 신축되면서 수납실(30)내 활동체(40)의 위치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납실(30)에는 U자형 판체인 분할삽입판(70) 한쌍이 대칭으로 설치되어 수납실(30)의 개방부가 외곽에서 내측으로 축소되고;
    활동체(40)에는 C자형 판체인 분할수용판(80) 한쌍이 대칭으로 설치되되 분할수용판(80)의 외부면에는 삽입홈(81)이 형성되어;
    분할삽입판(70)이 삽입홈(81)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할수용판(80)이 연결 대상 부재(10)의 축방향 및 직교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KR1020200104554A 2020-08-20 2020-08-20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KR10224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554A KR102244834B1 (ko) 2020-08-20 2020-08-20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554A KR102244834B1 (ko) 2020-08-20 2020-08-20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834B1 true KR102244834B1 (ko) 2021-04-27

Family

ID=7572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554A KR102244834B1 (ko) 2020-08-20 2020-08-20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8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713B1 (ko) * 2018-09-18 2019-08-28 주식회사 대연 볼 타입 수직 수평 탄성블럭 면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713B1 (ko) * 2018-09-18 2019-08-28 주식회사 대연 볼 타입 수직 수평 탄성블럭 면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141B1 (ko) 이중곡률 곡면을 가진 다경간 연속교량의 지진력 분산전달장치
DK1994324T3 (en) Højpassivt subdued vibrationsisoleringsbeslag low profile and multiple axes
JP6694195B1 (ja) バネ式制震ダンパー
US20100281807A1 (en) Expansion joint system using flexible moment connection and friction springs
KR20180065144A (ko) 탄성계수를 갖는 구조물 제진보강용 가새장치
JP6798749B2 (ja) エネルギー伝達装置および使用方法
US5870863A (en) Toggle linkage seismic isolation structure
JP5787534B2 (ja) 耐震構造体
JP2007278411A (ja) ダンパー装置
US20230212831A1 (en) Damper and damper system for damp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between a tensioned cable and a support structure
KR102244834B1 (ko) 구조물용 다축 변위 흡수 장치
KR101368377B1 (ko)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A3045493A1 (en) A viscoelastic bracing damper
KR100997698B1 (ko) 교량용 면진받침
KR20190030467A (ko)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KR102244832B1 (ko) 구조물용 다축 변위 수용 장치
JP5199687B2 (ja) 制振装置、制振構造、及び制振パネル
KR100760212B1 (ko) 교량의 수평력 제어를 위한 스틸댐퍼
JP2013159978A (ja) モジュール型橋梁用伸縮装置
KR102138941B1 (ko) 쐐기를 이용한 면진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지지 쐐기기구
KR20180065145A (ko) 탄성계수를 갖는 인방보형 제진 댐퍼
KR20090033673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KR101051059B1 (ko)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100997697B1 (ko) 교량용 면진받침
KR102158342B1 (ko) 회전성능이 향상된 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