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090A -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090A
KR20200023090A KR1020180099476A KR20180099476A KR20200023090A KR 20200023090 A KR20200023090 A KR 20200023090A KR 1020180099476 A KR1020180099476 A KR 1020180099476A KR 20180099476 A KR20180099476 A KR 20180099476A KR 20200023090 A KR20200023090 A KR 2020002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expansion joint
slab
support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261B1 (ko
Inventor
박대원
Original Assignee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2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7Flat continuous join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100) 단부에 콘크리트(200) 타설하여 신축이음장치(1)를 시공할 시 신축이음장치(1)의 수평을 조절 가능하고 콘크리트(200)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표면이 미려토록 하기 위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의 설치구조를 제공코자 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웃하는 슬래브(100)의 단부에 콘크리트(200)를 타설하여 좌우 한 쌍이 마주보게 설치되면서 교량의 신축에 따라서 마주보는 핑거플레이트(2)가 근접되었다가 멀어졌다가 슬라이드 신축되게 구성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슬래브(100) 단부에 콘크리트(200)로 고정되는 수평부(31)와 수직부(32)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절곡지지부재(3)가 구비되며, 절곡지지부재(3)의 수평부(31) 상면에 핑거플레이트(2)가 안치 고정되도록 핑거플레이트(2)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볼트(41)와 고정볼트(41)가 수평부(31)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게 수평부(31)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너트(42)로 이루어진 고정수단(4)이 구비되며, 이에 핑거플레이트(2)가 고정수단(4)으로 고정된 절곡지지부재(3) 후방 하측에 임의 조절되는 수평조절수단(6)가 구비되면서, 절곡지지부재(3)와 슬래브(100) 사이로 회동 가능한 굴절거푸집(7)이 더 구되어 시공 정밀도와 콘크리트(200) 유출이 차단되면서 외관이 수려하도록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finger type 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설치할 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상의 안정성과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더불어서 수평정밀도가 향상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상판 단부에 상호 마주보고 설치되어 온도 변화나 하중에 의한 탄성 변형으로 인한 교량의 신축에 따라서 상판의 이음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즉 교량의 신축에 따라 마주보며 슬라이드 신축되게 구성된 것으로서, 통상의 신축이음장치는 레일타입 또는 핑거타입 또는 복합적인 모듈러타입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중 핑거타입, 즉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설치하는 구조를 새롭게 개발코자 하는 것이다.
종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에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년 제77142호(2003년 10월 1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 신축이음쇠(=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레일부재(=절곡지지부재)와, 신축이음쇠와 레일부재를 체결하는 체결기구와, 레일부재의 저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신축이음쇠를 상판의 구조물에 연결하여 주기 위한 연결부재(=고정수단)가 포함되어 신축이음쇠인 핑거플레이트와 레일부재인 절곡지지부재가 견고하게 지지되게 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나, 이와 같이 핑거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절곡지지부재에 고정된 연결부재로 철근에 고정 시 핑거플레이트 양측의 높이가 상이하거나 기울어져 있을 시 이를 수평으로 반듯하게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함께 이로 인하여 부실시공 및 마주보는 핑거플레이트의 가운데에 처짐이 발생되어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소음 및 파손이 빈번하였으며, 비스듬한 핑거플레이트에 의한 타이어 손상 등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함께 종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7년 제134279호(2017년 12월 6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배수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한 수납 고정부 및 수납 고정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수납 고정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나, 시공 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지지대 사이의 거리와 교량의 슬래브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하부로 연장된 거푸집이 일자 형태로 제작되면 시공현장에서 강제로 벤딩시켜 시공해야 해서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신축이음장치의 지지대 사이 거리와 교량의 슬래브 사이의 거리가 불일치하더라도 지지대 하단과 슬래브 단부를 정확하게 맞추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의 구조가 필요로 하였던 것이다.
KR 10-2003-0077142 A 2003. 10. 1. KR 10-2017-0134279 A 2017. 12. 6.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슬래브 단부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시 절곡지지부재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핑거플레이트의 선단부 자중에 의해서 처짐이 발생되면, 마주보는 신축이음장치를 수평이 되도록 핑거플레이트 선단부에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조절수단을 설치하거나, 핑거플레이트의 후방 하측에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수단을 설치토록 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코자 함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마주보는 신축이음장치의 각 절곡지지부재의 선단부 하측에 교량의 슬래브 선단부와 이어지게 자체 굴절되는 굴절거푸집이 설치되어 슬래브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 절곡지지부재의 선단부와 슬래브의 선단부가 일치되지 않더라도 콘크리트의 유출을 차단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표면이 미려토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을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 및 도면 등을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해결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는 이웃하는 슬래브의 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좌우 한 쌍이 마주보게 설치되면서 교량의 신축에 따라서 마주보는 핑거플레이트가 근접되었다가 멀어졌다가 슬라이드 신축되게 구성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슬래브 단부에 콘크리트로 고정되는 수평부와 수직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절곡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절곡지지부재의 수평부 상면에 핑거플레이트가 안치 고정되도록 핑거플레이트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볼트와 고정볼트가 수평부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게 수평부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이에 미세조절수단과 수평조절수단과 굴절거푸집이 더 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조절수단은 핑거플레이트(2)의 선단부에 상하로 관통된 미세조절홀(21)이 형성되며, 미세조절홀(21)에 내입되게 헤드가 없는 렌치볼트로 이루어진 미세조절볼트(22)가 결합되며, 미세조절볼트(22)의 하단이 미세조정홀(21)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절곡지지부재(3)의 상측에 지지되게 하여 핑거플레이트(2)의 경사를 미세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고정수단의 외측에 위치토록 절곡지지부재의 후방 하측에 하향 개구되게 설치된 회전지지구 또는 상부조절너트와, 회전지지구에 상단이 자유 회전되면서 걸림 결합되게 구성되거나 상부조절너트에 상단이 나사 체결되게 결합 구성되어서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구가 구비된 조절볼트와, 조절볼트의 하단이 나사 체결되게 결합 구성되면서 슬래브에서 돌출된 철근에 상향 개구되게 설치된 하부조절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조절수단의 조절볼트는 회전지지구에 자유 회전되게 걸림 결합되거나 상부조절너트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는 상단부와 하부조절너트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는 하단부로 상하 연결 구성된 굴절성(屈折性)의 플렉시블샤프트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굴절거푸집은 상측이 절곡지지부재의 수직부 하단에 용접 고정된 고정편과, 고정편 하부에 상측이 힌지에 의해서 회동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어 하측이 슬래브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구성된 가동마감편과, 가동마감편에 신축이음장치를 슬래브에 설치하고자 콘크리트 타설 시 밀려나지 않도록 슬래브에서 돌출된 철근에 철사로 연결 고정할 수 있게 철사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연결고리로 이루어지거나, 고정편의 하부와 가동마감편의 상부에 각각 힌지에 의해서 회동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어 슬래브에서 돌출된 철근에 철사로 연결 고정할 수 있게 철사가 관통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가동연장편이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는 핑거플레이트의 선단부에 상하로 나사 조절되어 핑거플레이트의 선단부 높낮이가 조절되게 설치된 미세조절수단과 더불어서 핑거플레이트가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되는 절곡지지부재의 후방 하측에 슬래브의 고정철근에 지지되게 나사 조절식으로 조절토록 설치된 수평조절수단에 의해서 핑거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한 처짐으로 핑거플레이트와 핑거플레이트가 고정된 평판지지부재와 절곡지지부재의 기울어짐을 수평으로 바로 잡아주는 효과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핑거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유지시켜서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 파손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서 신축이음장치의 절곡지지부재의 선단부와 슬래브의 선단부가 정확하게 일치되게 돌출되지 않더라도 절곡지지부재의 선단부에 접하는 쪽의 고정편과 슬래브의 선단부에 접하는 쪽의 가동편이 회동 가능토록 힌지로 연결 구성된 굴절거푸집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절곡지지부재가 더 돌출되던지, 교량의 슬래브가 더 돌출되던지 상관없이 힌지를 중심으로 굴절되어 절곡지지부재의 선단부와 슬래브의 선단부에 밀착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시 누출이 최소화되는 효과와 함께 절곡지지부재와 슬래브를 잇는 부분의 외관미를 매끈하게 미려하도록 시공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수평조절수단이 구비된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2a는 본 발명에서 수평조절수단의 일례를 보인 입체도 및 이의 조절볼트에 플렉시블샤프트가 적용된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서 수평조절수단의 다른 실례를 보인 입체도 및 이의 조절볼트에 플렉시블샤프트가 적용된 예시도
도 3a는 신축이음장치를 슬래브에 설치한 상태에서 핑거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서 양측 신축이음장치의 선단이 처진 상태의 예시도
도 3b는 일측의 신축이음장치가 수평조절수단에 의해서 수평으로 조절된 상태의 예시도
도 3c는 양측의 신축이음장치가 수평조절수단에 의해서 수평으로 조절된 상태의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2단 굴절거푸집의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4b는 본 발명에서 3단 굴절거푸집의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5a는 본 발명에서 2단 굴절거푸집이 구비된 예시도로서, 절곡지지부재 사이보다 슬래브 사이가 더 먼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서 2단 굴절거푸집이 구비된 예시도로서, 절곡지지부재 사이보다 슬래브 사이가 더 가까운 상태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서 3단 굴절거푸집이 구비된 예시도로서, 절곡지지부재 사이보다 슬래브 사이가 더 먼 상태의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서 3단 굴절거푸집이 구비된 예시도로서, 절곡지지부재 사이보다 슬래브 사이가 더 가까운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은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설치할 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상의 안정성과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더불어서 수평정밀도가 향상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본 발명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의 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가 마주보는 한 쌍의 절곡지지부재(3)에 각각 고정수단(4)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마주보는 한 쌍의 절곡지지부재(3) 사이로 배수고무(35)가 결합 구성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에 있어서, 이와 같은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는 핑거플레이트(2)의 마주보는 선단이 무거워서 하부로 처짐이 발생되며 우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핑거플레이트(2)가 고정수단(4)으로 고정된 절곡지지부재(3)에서 고정수단(4) 외측으로 조작에 회전 조작에 의해서 절곡지지부재(3) 및 이에 고정된 핑거플레이트(2)를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평조절수단(6)이 구비되도록 한다.
우선 상기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에서 절곡지지부재(3)는 신축이음장치(1)를 교량에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200)에 수평 및 수직으로 접하여 고정되는 수평부(31)와 수직부(32)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고정수단(4)은 절곡지지부재(3)의 수평부(31) 상면에 핑거플레이트(2)가 안치 고정되도록 핑거플레이트(2)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볼트(41)와 고정볼트(41)가 수평부(31)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게 수평부(31)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너트(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절곡지지부재(3)의 수평부(31) 하부에 고정된 고정너트(42) 하부에 하향 돌출되어 콘크리트(200)에 매설되는 수직인서트연결구(33)와, 상기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 내측에 내향 돌출되어 콘크리트(200)에 매설되는 수평인서트연결구(34)가 각각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서 핑거플레이트(2)와 절곡지지부재(3)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볼트(41)가 관통되게 구성된 평판지지부재(5)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평판지지부재(5)는 핑거플레이트(2)의 높이를 높이면서 고정수단(4)으로 핑거플레이트(2)를 절곡지지부재(3)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지지부재(5) 없이 핑거플레이트(2)와 절곡지지부재(3)가 직접 접하도록 고정수단(4)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수평조절수단(6)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4)의 외측에 위치토록 절곡지지부재(3)의 후방 하측에 하향 개구되게 설치된 회전지지구(6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지지구(61)에 상단이 자유 회전되면서 걸림 결합되게 구성되어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구(631)를 갖는 조절볼트(63)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볼트(63)의 하단이 나사 체결되게 결합 구성되면서 슬래브(100)에서 돌출된 철근(101)에 상향 개구되게 설치된 하부조절너트(64)가 구비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수평조절수단(6)은 다른 실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4)의 외측에 위치토록 절곡지지부재(3)의 후방 하측에 하향 개구되게 설치된 상부조절너트(62)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조절너트(62)에 상단이 나사 체결되게 결합 구성되어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구(631)를 갖는 조절볼트(63)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볼트(63)의 하단이 나사 체결되게 결합 구성되면서 슬래브(100)에서 돌출된 철근(101)에 상향 개구되게 설치된 하부조절너트(6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조절수단(6)의 조절볼트(63)는 도 2a에서 회전지지구(61)에 자유 회전되게 걸림 결합되거나 도 2b에서 상부조절너트(62)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는 상단부(651)와, 도 2a 또는 도 2b에서 하부조절너트(64)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는 하단부(652)로 상하 연결 구성된 굴절성(屈折性)의 플렉시블샤프트(65)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핑거플레이트(2)의 선단부 자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해서 핑거플레이트(2)와 절곡지지부재(3)가 마주보는 선단부로 하향되게 기울어져서 회전지지구(61)나 상부조절너트(62)가 심하게 기울어져 있을 때 조절볼트(63)의 상측이 회전지지구(61)나 상부조절너트(62)에 결합되어 함께 기울어져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상기 수평조절수단(6)은 도 3a 내지 도 3b에서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핑거플레이트(2)에서 마주보고 지그재그로 핑거가 선단부로 길게 돌출되어 있어서 자중에서 의해서 쉽게 처짐이 발생되는바, 이에 고정수단(4)의 고정너트(42) 하부에 하향 돌출되어 슬래브(100)의 철근(101)에 고정 지지되는 수직인서트연결구(33)의 외측인 절곡지지부재(3)의 후방 하측에서 조절볼트(63)를 회전 조작하여 절곡지지부재(3) 하부의 회전지지구(61)나 상부조절너트(62)와 철근(101)에 고정된 하부조절너트(64) 사이를 좁히거나 넓혀서 핑거플레이트(2)와 절곡지지부재(3) 및 사이에 개재된 평판지지부재(5)까지 수평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함께 상기 핑거플레이트(2)에는 절곡지지부재(3)의 수평을 조절하여 고정수단(4)으로 고정된 핑거플레이트(2)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한 수평조절수단(6)과는 별도로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핑거플레이트(2)에서 가장 길게 돌출되는 핑거의 선단부에 절곡지지부재(3) 또는 평판지지부재(5)에 지지되어 핑거플레이트(2)만 수평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조절수단(2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조절수단(20)은 핑거플레이트(2)의 선단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암나사를 갖는 미세조절홀(21)이 형성되며, 상기 미세조절홀(21)에 헤드가 없는 렌치볼트로 이루어진 미세조절볼트(22)가 나사 결합되게 이루어진다.
도 3c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미세조절볼트(22)가 미세조절홀(21)로 완전히 내입 및 관통되어 미세조절볼트(22)의 하단이 미세조정홀(21)의 하단에서 하향 돌출되고, 이때 미세조절볼트(22)의 하단이 핑거플레이트(2) 하부의 절곡지지부재(3)의 상측에 지지되거나, 도면에서와 같이 핑거플레이트(2)와 절곡지지부재(3) 사이에 평판지지부재(5)가 개재될 시 평판지지부재(5)의 상측에 지지되어 핑거플레이트(2)의 수평 및 경사를 절곡지지부재(3) 또는 평판지지부재(5)에서 미세하게 조절 가능토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조절수단(6)과 더불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71)과 이에 힌지(711)로 연결된 가동마감편(72)의 2단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4b에 도시되 바와 같이 고정편(71)과 가동마감편(72) 사이에 개재되어 각각 힌지(711)로 연결된 가동연장편(73)의 3단으로 이루어져서 각 힌지(711)를 기점으로 굴절되는 굴절거푸집(7)이 더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2단의 굴절거푸집(7)은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 하단에 용접 고정된 고정편(7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71)의 하부에 상측이 힌지(711)에 의해서 회동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어 하측이 슬래브(100)의 돌출 정도에 따라서 회동시켜서 슬래브(100)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구성된 가동마감편(72)이 구비되며, 상기 가동마감편(72)에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신축이음장치(1)를 슬래브(100)에 설치하고자 콘크리트(200) 타설 시 가동마감편(72)이 밀려나지 않도록 슬래브(100)에서 돌출 고정된 철근(101)에 철사(75)로 연결 고정할 수 있게 철사(75)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연결고리(74)가 구비된다.
상기 3단의 굴절거푸집(7)은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 하단에 용접 고정된 고정편(7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71)의 하부로 가동마감편(72)이 아닌 힌지(711)에 의해서 회동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는 가동연장편(73)이 더 구비되며, 가동연장편(73)의 하부에 상측이 힌지(711)에 의해서 회동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어 하측이 슬래브(100)의 돌출 정도에 따라서 회동시켜서 슬래브(100)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구성된 가동마감편(72)이 구비되며, 이때 슬래브(100)에서 돌출된 철근(101)에 철사(75)로 연결 고정할 수 있게 철사(75)가 관통되는 연결고리(74)는 가동마감편(72)뿐만 아니라 가동연장편(73)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도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의 설치구조는 이웃하는 슬래브(100)의 단부에 콘크리트(200)를 타설하여 한 쌍이 마주보게 설치되어 외부 기온 등에 의한 교량의 신축(伸縮)됨에 따라서 신축이음장치(1)의 마주보는 핑거플레이트(2)가 근접되었다가 멀어졌다가 슬라이드 신축되게 구성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에 수평조절수단(6)과 굴절거푸집(7)을 부가하여 핑거플레이트(2)의 선단부 자중에 의해서 발생되는 처짐에 의해서 기울어지는 신축이음장치(1)를 수평이 되도록 하고, 더불어서 콘크리트(200)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콘크리트(200) 양생 후 표면이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를 교량의 슬래브(100) 선단부에 설치코자 우선 핑거플레이트(2)가 고정수단(4)에 의해서 고정된 절곡지지부재(3)를 슬래브(100)의 성형 시 돌출되게 한 철근(101)에 지지되게 수직인서트연결구(33) 등을 이용하여 우선 고정 설치한 후 신축이음장치(1)와 슬래브(100) 사이로 콘크리트(200)를 부어서 양생하여 수직인서트연결구(33)와 수평인서트연결구(34)에 의해서 콘크리트(200) 양생 후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를 설치할 시 콘크리트(200)를 주입하기 전이나 주입한 후 양생 전에 도 3a에서와 같이 마주보는 핑거플레이트(2)의 선단부가 자중에 의해서 처짐이 발생되며,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3b에서와 같이 수평조절수단(6)의 조절볼트(63)에 형성된 작동구(631)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볼트(63)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지지구(61)나 상부조절너트(62)가 고정된 절곡지지부재(3)를 조절볼트(63)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조절너트(64)가 고정된 철근(101) 사이가 좁아지도록 견인하여서, 도 3c에서와 같이 절곡지지부재(3) 및 그에 고정수단(4)으로 고정된 핑거플레이트(2)의 후방을 눌러서 핑거플레이트(2)의 선단부를 들어올려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를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조작 시 핑거플레이트(2) 선단부가 들릴 정도로 과도하게 조절볼트(63)를 회전시켰을 시에는 역 방향으로 작동구(631)를 회전시켜서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평조절수단(6)에 의해서 핑거플레이트(2)와 절곡지지부재(3) 및 평판지지부재(5)까지의 기울어짐을 수평으로 바로 잡아주는 효과와 미세조절수단(20)에 의해서 절곡지지부재(3) 또는 평판지지부재(5)에서 핑거플레이트(2)의 기울어짐을 수평으로 미세하게 바로 잡아주는 효과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1)의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핑거플레이트(2)를 수평으로 유지시켜서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 파손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에서는 절곡지지부재(3)의 선단부 하측과 교량의 슬래브(100) 선단부에 대응되어 주입되는 콘크리트(200)를 차단하는 굴절거푸집(7)이 설치되며, 이러한 굴절거푸집(7)은 도 4a와 도 5a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고정편(71)과 가동마감편(72)이 힌지(711)로 회동 가능토록 연결 설치된 2단 구조와 도 4b와 도 6a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의 고정편(71)과 하부의 가동마감편(72) 사이로 가동연장편(73)이 개재되어 각각 힌지(711)로 회동 가능토록 연결 설치된 3단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면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편(71)과 가동마감편(72) 사이로 2개 이상의 가동연장편(73)을 힌지(711)로 연결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2단 구조의 굴절거푸집(7)은 도 5a에서와 같이 상측의 고정편(71)이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 하단에 용접 고정되고, 슬래브(100)의 선단부가 절곡지지부재(3)보다 덜 돌출되어 있으면 가동마감편(72)이 고정편(71)에서 외측으로 회동되어 하단이 슬래브(100)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하여 철사(75)로 가동마감편(72)에 형성된 연결고리(74)와 슬래브(100)에서 돌출된 철근(101)을 팽팽하게 지지토록 묶은 후 콘크리트(200)를 주입하게 되며, 도 5b에서와 같이 슬래브(100)의 선단부가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보다 이웃하는 슬래브(100)쪽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면 가동마감편(72)이 고정편(71)에서 내측으로 회동되어 하단이 슬래브(100)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하여 철사(75)로 연결고리(74)와 철근(101)을 팽팽하게 연결되게 설치 후 콘크리를 주입한다.
상기 3단 구조의 굴절거푸집(7)은 역시 도 6a에서와 같이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보다 슬래브(100)의 선단부가 덜 돌출되면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에 용접 고정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편(71)의 하부에서 가동연장편(73)과 가동마감편(72)을 외측으로 회동시켜서 가동마감편(72) 하단이 슬래브(100)의 선단부에 밀착되게 한 후 철사(75)로 가동연장편(73) 및 가동마감편(72)의 연결고리(74)와 철근(101)을 연결 설치하고, 도 6b에서와 같이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보다 슬래브(100)의 선단부가 더 돌출되면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에 고정된 고정편(71)의 하부에서 가동연장편(73)과 가동마감편(72)을 마주보는 내측으로 회동시켜서 가동마감편(72) 하단이 슬래브(100)의 선단부에 걸림 지지되게 한 후 철사(75)로 가동연장편(73) 및 가동마감편(72)의 각 연결고리(74)와 철근(101)을 연결 설치토록 하며, 이후 콘크리트(200)를 신축이음장치(1)와 슬래브(100) 사이로 주입하여 양생시킨 다음, 고정편(71)을 절곡지지부재(3)에서 분리시킨 후 철사(75)를 절단하여 굴절거푸집(7)을 신축이음장치(1)와 슬래브(100)에서 분리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굴절거푸집(7)에 의하면 고정편(71)에서 가동마감편(72)이나 가동연장편(73)이 힌지(711)에 의해서 내외측으로 회동되게 하여 교량의 슬래브(100) 선단부와 신축이음장치(1)의 절곡지지부재(3) 중 어느 것이 더 돌출되는지 상관없이 절곡지지부재(3)의 선단부와 슬래브(100)의 선단부에 밀착 고정되므로 콘크리트(200) 타설 시 누출이 최소화되면서 절곡지지부재(3)와 슬래브(100)를 잇는 콘크리트(200) 타설 부분의 외관미를 매끈하게 미려하도록 시공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슬래브 101:철근 200:콘크리트
1:(핑거형) 신축이음장치
2:핑거플레이트 20:미세조절수단 21:미세조절홀 22:미세조절볼트
3:절곡지지부재 31:수평부 32:수직부 33:수직인서트연결구 34:수평인서트연결구 35:배수고무
4:고정수단 41:고정볼트 42:고정너트
5:평판지지부재
6:수평조절수단 61:회전지지구 62:상부조절너트 63:조절볼트 631:작동구 64:하부조절너트 65:플렉시블샤프트 651:상단부 652:하단부
7:굴절거푸집 71:고정편 711:힌지 72:가동마감편 73:가동연장편 74:연결고리 75:철사

Claims (6)

  1. 이웃하는 슬래브(100)의 단부에 콘크리트(200)를 타설하여 좌우 한 쌍이 마주보게 설치되면서 교량의 신축에 따라서 마주보는 핑거플레이트(2)가 근접되었다가 멀어졌다가 슬라이드 신축되게 구성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슬래브(100) 단부에 콘크리트(200)로 고정되는 수평부(31)와 수직부(32)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절곡지지부재(3);
    절곡지지부재(3)의 수평부(31) 상면에 핑거플레이트(2)가 안치 고정되도록 핑거플레이트(2)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볼트(41)와 고정볼트(41)가 수평부(31)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게 수평부(31)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너트(42)로 이루어진 고정수단(4);
    핑거플레이트(2)의 선단부에 상하로 관통된 미세조절홀(21)이 형성되며, 미세조절홀(21)에 내입되게 헤드가 없는 렌치볼트로 이루어진 미세조절볼트(22)가 결합되며, 미세조절볼트(22)의 하단이 미세조정홀(21)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절곡지지부재(3)의 상측에 지지되게 해서 핑거플레이트(2)의 경사를 미세하게 조절토록 구성된 미세조절수단(20);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수단(4)의 외측에 위치토록 절곡지지부재(3)의 후방 하측에 하향 개구되게 설치된 회전지지구(61)와, 회전지지구(61)에 상단이 자유 회전되면서 걸림 결합되게 구성되어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구(631)가 구비된 조절볼트(63)와, 조절볼트(63)의 하단이 나사 체결되게 결합 구성되면서 슬래브(100)에서 돌출된 철근(101)에 상향 개구되게 설치된 하부조절너트(64)로 이루어진 수평조절수단(6);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수단(4)의 외측에 위치토록 절곡지지부재(3)의 후방 하측에 하향 개구되게 설치된 상부조절너트(62)와, 상부조절너트(62)에 상단이 나사 체결되게 결합 구성되어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구(631)가 구비된 조절볼트(63)와, 조절볼트(63)의 하단이 나사 체결되게 결합 구성되면서 슬래브(100)에서 돌출된 철근(101)에 상향 개구되게 설치된 하부조절너트(64)로 이루어진 수평조절수단(6);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수평조절수단(6)의 조절볼트(63)는 회전지지구(61)에 자유 회전되게 걸림 결합되거나 상부조절너트(62)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는 상단부(651)와, 하부조절너트(64)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는 하단부(652)로 상하 연결 구성된 플렉시블샤프트(65);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측이 절곡지지부재(3)의 수직부(32) 하단에 용접 고정된 고정편(71)과, 고정편(71) 하부에 상측이 힌지(711)에 의해서 회동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어 하측이 슬래브(100)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구성된 가동마감편(72)과, 가동마감편(72)에 신축이음장치(1)를 슬래브(100)에 설치하고자 콘크리트(200) 타설 시 밀려나지 않도록 슬래브(100)에서 돌출된 철근(101)에 철사(75)로 연결 고정할 수 있게 철사(75)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연결고리(74)로 이루어진 굴절거푸집(7);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고정편(71)의 하부와 가동마감편(72)의 상부에 각각 힌지(711)에 의해서 회동 가능토록 연결 설치되어 슬래브(100)에서 돌출된 철근(101)에 철사(75)로 연결 고정할 수 있게 철사(75)가 관통되는 연결고리(74)가 형성된 가동연장편(73);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KR1020180099476A 2018-08-24 2018-08-24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KR10217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76A KR102170261B1 (ko) 2018-08-24 2018-08-24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76A KR102170261B1 (ko) 2018-08-24 2018-08-24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90A true KR20200023090A (ko) 2020-03-04
KR102170261B1 KR102170261B1 (ko) 2020-10-28

Family

ID=6978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476A KR102170261B1 (ko) 2018-08-24 2018-08-24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277Y1 (ko) * 2020-10-14 2021-03-04 주식회사 탑시스템 분합 창호 받침대
CN115418939A (zh) * 2022-09-05 2022-12-02 天津交科新材料有限公司 一种单元式预制快装桥梁伸缩装置和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0779A (ko) * 2001-04-03 2001-08-25 류왕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에 있어서 단면복구용 접철식 거푸집
KR20030077142A (ko) 2002-03-25 2003-10-01 박대원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101383680B1 (ko) * 2013-07-18 2014-04-17 주식회사 아이엠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장치
KR101411895B1 (ko) * 2012-06-13 2014-06-26 김남훈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KR20170134279A (ko) 2017-09-28 2017-12-06 포인텍이앤씨(주) 거푸집 겸용 배수 부재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0779A (ko) * 2001-04-03 2001-08-25 류왕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에 있어서 단면복구용 접철식 거푸집
KR20030077142A (ko) 2002-03-25 2003-10-01 박대원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101411895B1 (ko) * 2012-06-13 2014-06-26 김남훈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KR101383680B1 (ko) * 2013-07-18 2014-04-17 주식회사 아이엠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장치
KR20170134279A (ko) 2017-09-28 2017-12-06 포인텍이앤씨(주) 거푸집 겸용 배수 부재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277Y1 (ko) * 2020-10-14 2021-03-04 주식회사 탑시스템 분합 창호 받침대
CN115418939A (zh) * 2022-09-05 2022-12-02 天津交科新材料有限公司 一种单元式预制快装桥梁伸缩装置和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261B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3090A (ko)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US20180169897A1 (en) Upright concrete wall panel form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789320B1 (ko) 콘크리트 타설 이동 칸막이폼
KR20200019034A (ko) 높이조절 및 현장 유간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7213136B2 (ja) 箱桁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システム
KR102139132B1 (ko) 단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강재 거푸집 구조체, 이를 통해 제작된 psc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0231051Y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박스거더 시공용 이동형내부 거푸집
KR101124692B1 (ko) 조립식 반력프레임을 이용한 빔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빔 제작방법
KR101596860B1 (ko) 곡선부 프리캐스트 벽체 제작을 위한 가변형 형틀장치, 그 형틀장치를 이용한 곡선부 프리캐스트 벽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곡선부 프리캐스트 벽체
KR20220010301A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KR102120857B1 (ko) 교량 바닥판의 시공 시스템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KR100225536B1 (ko)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114650A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타이바 고정구
CN207616847U (zh) 一种预制楼梯模具
CN217168940U (zh) 一种桥梁曲线段用t型梁的成型模具
KR102337630B1 (ko) 캠버가 형성된 래티스거더 설치용 지그
KR200281361Y1 (ko) 높이가 조절되는 코너거푸집
KR20130048123A (ko) 경계석 시공장치
KR102367116B1 (ko) 상부 및 하부타이바를 구비한 곡선형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곡선형 거더
JP2550885B2 (ja) 階段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型枠装置
KR20190061903A (ko) 지장물이 존재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의 하향경사 상면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힌지개폐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향경사 상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JP7081779B2 (ja) 床用目地装置
JPH0619676Y2 (ja) トンネルの覆工用移動型枠
JP4816504B2 (ja) 敷設レ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