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77Y1 - 분합 창호 받침대 - Google Patents

분합 창호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277Y1
KR200493277Y1 KR2020200003665U KR20200003665U KR200493277Y1 KR 200493277 Y1 KR200493277 Y1 KR 200493277Y1 KR 2020200003665 U KR2020200003665 U KR 2020200003665U KR 20200003665 U KR20200003665 U KR 20200003665U KR 200493277 Y1 KR200493277 Y1 KR 200493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elevating
steppe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시스템
Priority to KR2020200003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06B1/6023Anchoring means completely hidden between the frame and the border of the opening, at least part of the means being previously fixed to the wall
    • E06B1/603Anchoring means completely hidden between the frame and the border of the opening, at least part of the means being previously fixed to the wall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합 창틀의 바닥부가 안착 지지되는 것으로, 장공의 제1결합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1관통부가 타공된 지지부, 분합 창틀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결합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2관통부가 타공된 받침부 및 지지부 및 받침부 사이에 수직하게 스트로크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가 제1관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압지 결합되고, 하부가 제2관통부에 압지 고정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제1관통부는 지지부 저면에 승하강부의 둘레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제1홈부와, 지지부 상면에 승하강부 상부가 압지되는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합 창호 받침대 {LOW SUPPORT BRACKET OF SLIDING PATIO WINDOW}
본 고안은 두 곳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 즉, 분합창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분합창호를 견고히 지지함은 물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분합 창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과 발코니 사이나, 거실과 방 사이와 같이 두 곳 사이에 설치하는 창호를 분합 창호라고 한다.
분합 창호는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호틀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이들 창호틀은 발코니로부터 또는 외기에 대한 저항성 및 내후성을 비롯하여 내구성 및 창호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높은 기계적 성질을 만족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분합창호는 시공이 올바르게 되어야 견고하게 내장되어 분합용으로서 기능을 성실히 수행할 수 있다.
즉, 창틀이 올바른 수평도로 설치되어 창호가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분합 창호 시공 시 수평도 유지는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합 창호 시공 시, 창틀을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필요한 위치에 고정시키되, 창틀이 중력 또는 하중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 창틀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창틀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선행기술 20-2015-0004216호와 같은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 지지부재(이하, 창호 하부 지지부재)가 고안되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창호 하부 지지부재(10)는 창틀(300)과 바닥 사이에 도포된 콘크리트의 경화 과정에서, 경화가 시작되는 방향으로 당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창틀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발생하게 되면, 지지부(200)는 받침부(100)에 결합된 기존 위치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수축력을 따라 받침부(100)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지지부(200) 및 받침부(100)는 같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이 경우, 공구가 지지부(200) 및 받침부(100) 사이 간격에 충분히 진입하지 못해 볼트를 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전술한 창호 받침대가 이외, 종래의 분합 창호 시공 방법으로는, 조적벽돌 위에 창틀을 배치시키고 창틀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고임판을 배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시공 현장 별로 두께별로 준비된 고임판을 종류별로 준비하여야 하고, 수평도를 측정한 후, 창틀을 들고 수평도에 근접한 고임판을 골라서, 창틀과 조적벽돌 사이에 끼우고 다시 수평도를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창틀을 들었다가 놓는 작업자, 수평도를 측정하는 작업자, 알맞은 고임판을 골라서 끼워 넣는 작업자 등 다수의 작업자가 시공을 위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4216호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 지지부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4607호 (창틀용 지지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158호 (창틀용 지지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시 경화 과정에서 수축에 의해 고정 설치된 창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분합 창호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 2목적은, 창호 받침대 상에 창틀이 시공된 상태에서도 공구(스패너 등)를 이용하여 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소의 인력으로 창틀의 수평도 조정 작업이 가능한, 분합 창호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 3목적은, 지지부 및 받침부 사이에 공구가 진입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볼트 체결이 용이한, 분합 창호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분합 창틀의 바닥부가 안착 지지되는 것으로, 장공의 제1결합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1관통부가 타공된 지지부, 상기 분합 창틀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결합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2관통부가 타공된 받침부 및 상기 지지부 및 받침부 사이에 수직하게 스트로크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가 상기 제1관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압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제2관통부에 압지 고정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지지부 저면에 상기 승하강부의 둘레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제1홈부와, 상기 지지부 상면에 상기 승하강부 상부가 압지되는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홈부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부가 관통부에 결합되는 스크류로드와, 상부에 설정 깊이 탭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는 탭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로드는 상기 탭과 치합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부 및 상기 지지부 저면에 인접하는 상기 스크류부 단부에 단면 구조로 면취 가공되어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로드는 상면이 설정 깊이 단차되어, 단차된 하단을 향할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단차홈과, 상기 단차홈을 감싸는 둘레부로 구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둘레부는 상기 제1홈부에 삽입되고 상부가 프레싱되면, 가압되어 상기 제2홈부에 압지된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스크류부와 치합되어 설정된 높이를 유지시키는 마감너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면이 설정 깊이 단차되어, 단차된 하단을 향할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단차홈과, 상기 단차홈을 감싸는 둘레부로 구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 아래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부가 형성되는 랙로드와,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하도록 피니언 기어가 결합되는 피니언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는 상기 제1홈부에 삽입되고 상부가 프레싱되면, 가압되어 상기 제2홈부에 압지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응력에 의한 승하강부의 높낮이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 시 고정시킨 분합 창틀의 수평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 및 받침부가 각각 분합 창틀 및 바닥에 고정된 후에도 공구를 이용하여 승하강부를 스트로크시킬 수 있어, 측정되는 수평도에 따라 즉각적인 높이 변화를 적용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승하강부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에 결합되어, 지지부를 회전시키면 볼트 체결을 위한 공구의 진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 하부 지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합 창호 받침대를 나타낸 평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합 창호 받침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면선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합 창호 받침대를 나타낸 평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합 창호 받침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단면선 B-B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피니언 기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합 창호 받침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합 창틀(2)이 설치되는 벽면의 공간부 바닥(3)에 설치되어 분합 창틀(2)을 지지하는 분합 창호 받침대(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합 창호 받침대(1)를 나타낸 평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합 창호 받침대(1)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지지부(10), 받침부(30) 및 승하강부(50)를 포함한다.
지지부(10)는 분합 창틀(2)의 바닥부가 안착 지지되는 것으로, 장공의 제1결합홀(11)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1관통부(13)가 타공된다. 제1결합홀(11)을 통해 결합되는 앵커볼트에 의해 지지부(10)는 분합 창틀(2)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받침부(30)는 분합 창틀(2)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3)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결합홀(31)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2관통부(33)가 타공된다. 제2결합홀(31)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받침부(30)는 바닥(3)에 고정된다. 받침부(30)는 지지부(10)와 길이방향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합홀(31)은 받침부(30)의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공구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받침부(30)는 공구의 진입이 쉽도록 지지부(10)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승하강부(50)는 상기 지지부(10) 및 받침부(30) 사이에 수직하게 스트로크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가 제1관통부(13)로 회전 가능하도록 압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제2관통부(33)에 압지 고정된다.
특히, 제1관통부(13)는 지지부(10) 저면에 승하강부(50)의 둘레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제1홈부(131)와, 상면에 승하강부(50) 상부가 압지되는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홈부(133)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면선 A-A의 단면도이다.
특히, (a)는 단면도이고, (b)는 (a)의 결합부(511)가 프레싱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50)는 스크류로드(51) 및 탭파이프(53)를 포함한다.
스크류로드(51)는 상부가 제1관통부(13)에 결합된다.
탭파이프(53)는 상부에 설정 깊이의 탭(531)이 형성되고 하부가 받침부(30)에 결합된다.
특히, 스크류로드(51)는 전술한 탭(531)과 치합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부(515) 및 지지부(10) 저면에 인접하는 스크류부(515) 단부에 단면 구조로 면취 가공되어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513)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부(513)는 스크류로드(51)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승하강부(50)는 스크류부(515)와 치합하는 마감너트(55)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감너트(55)는, 스크류부(515)와 탭(531)이 1차 치합하여 스크류부(515)의 스트로크 위치가 결정되면, 탭파이프(53) 상단에 위치하도록 조여짐으로써 스크류부(515)와 2차 치합하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설정된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스크류로드(51)는 도 4의 (b)를 참조하여, 상면이 설정 깊이 단차되어, 단차된 하단을 향할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단차홈(5111)과, 단차홈(5111)을 감싸는 둘레부(5113)로 구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둘레부(5113)는 도 4의 (a)를 참조하여, 지지부(10)의 제1홈부(131)에 삽입되고 상부가 프레싱되면, 가압되어 제2홈부(133)에 압지된다.
이때, 제1홈부(131)는 둘레부(5113)와 보통 또는 헐거운 끼워맞춤, 특히 H6/h6 공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합부(511)가 지지부(1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부(10) 및 받침부(30)가 각각 분합 창틀(2) 및 바닥(3)에 고정된 후에도 작업자는 자유롭게 높이 조절부(513)를 돌림으로써 승하강부(50)를 스트로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합 창호는 설치 시의 수평도와 설치 후의 수평도가 어떻게 유지되는가에 따라 분합 창호의 품질을 좌우하는 요소로 매우 중요하다.
본문의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바닥(3)에 벽돌을 조적하여 조적벽돌 위에 창틀을 배치시켜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방식을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필요한 인력을 간략히 서술하자면, 벽돌을 나르는 인력과 벽돌을 쌓는 인력, 그리고 창틀을 잡아 지탱해주는 인력, 창틀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인력, 측정되는 수평도에 맞춰 적절한 고임판을 선택하여 조적벽돌과 창틀 사이에 배치시키는 인력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분합 창호의 시공에만 많은 인력과 시공 시간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곧 시공사가 부담하게 되는 비용이 된다. 안타깝게도, 많은 건설 현장에서 건설 비용을 줄이기 위해, 충분하지 않은 안전 장비 구비, 또는 부실한 마감재 사용 등, 현장 인력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들고 있다.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과 같은 도 1에 도시된 창호 지지부재(10)의 경우에는 모르타르의 경화 시에 기존에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면서 높이가 틀어지게 된다. 이러한 창호 지지부재(10)의 높이 변화는 창틀이 휘어, 창문의 여닫이가 불가능한 중요한 하자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하자는 즉시 시공을 다시 해야 하고, 입주 후 발견이 될 경우에는 더 많은 수리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시공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실시예와 같은 분합 창호 지지대(1)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분합 창호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창틀(2) 지지 인력과 분합 창호 받침대(1)를 결합하는 인력만이 필요로 한다. 분합 창호 받침대(1)가 창틀(2) 및 바닥(3)에 가결합된 후, 이 인력이 그대로 수평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수평도에 따라 승하강부(60)를 적절히 스트로크시킨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분합 창호 시공 비용과 시간을 모두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제품의 하자율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합 창호 받침대(1)를 나타낸 평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합 창호 받침대(1)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같이 지지부(10), 받침부(30)를 포함하고, 다른 형태의 승하강부(60)를 포함한다.
지지부(10)는 분합 창틀(2)의 바닥부가 안착 지지되는 것으로, 장공의 제1결합홀(11)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1관통부(13)가 타공된다.
받침부(30)는 분합 창틀(2)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3)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결합홀(31)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2관통부(33)가 타공된다. 받침부(30)는 지지부(10)와 길이방향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부(60)는 지지부(10) 및 받침부(30) 사이에 수직하게 스트로크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가 상기 제1관통부(13)에 회전가능하도록 압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제2관통부(33)에 압지 고정된다.
승하강부(60)는 상면이 설정 깊이 단차되어 단차된 하단을 향할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단차홈(6111)과, 단차홈(6111)을 감싸는 둘레부(6113)로 구성되는 결합부(611)가 형성되며, 결합부(611) 아래 길이방향을 따라 렉기어부(615)가 형성되는 랙로드(61)와, 랙기어부(615)에 치합하도록 피니언 기어(65)가 결합되는 피니언 파이프(63)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60)는 높이 조절부(613)가 없어도 승강이 자유롭게 가능하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높이 조절부(613)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613)에 의해 지지부(10)가 안정적으로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6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단면선 B-B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피니언 기어(65)”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로드(61)는 상면이 설정 깊이 단차되어, 단차된 하단을 향할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단차홈(6111)과, 단차홈(6111)을 감싸는 둘레부(6113)로 구성되는 결합부(6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둘레부(6113)는 제1홈부(131)에 삽입되고 상부가 프레싱되면, 가압되어 제2홈부(133)에 압지된다.
이 경우, 제1실시예와 같이, 제1홈부(131)는 둘레부(6113)와 보통 또는 헐거운 끼워맞춤, 특히 H6/h6 공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합부(611)가 지지부(1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부(1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홀(11) 및 제2결합홀(31)을 통해 지지부(10) 및 받침부(30)를 결합시킬 때, 볼트 체결을 위한 공구가 들어갈 공간이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피니언 파이프(63)는 상측 단부가 관통되어 피니언 기어(65)가 일부 진입되도록 형성되는 기어관통홀(631)과, 기어관통홀(631)의 양 측면에 상응하는 영역이 평행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각 양 측면에 피니언 기어(65)와 동심이 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축고정홀(633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판(63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65)는 원심축과 동심이 되도록 양측면이 돌출 형성되어 축고정홀(6331)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651)이 형성된다. 회전축(651)은 양측면에 원심축과 동심이 되도록 설정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또한, 랙로드(61)는 랙기어부(615)에 상응하는 길이로 설정폭 절개되어 가이드홈(617)이 형성되고, 피니언 파이프(63)는 가이드홈(617)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측 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돌기(634)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617) 및 가이드돌기(634)는 랙기어부(615) 및 피니언 기어(65)와 상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65)의 회전에 의해 랙기어부(615)의 스트로크 이동 시, 가이드돌기(634)가 스트로크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617)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피니언 기어(65)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에 상반되는 힘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제2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60)는 피니언 기어(65)에 의해 스트로크 이동한 승하강부(6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635)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고정부(635)는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핀홀(6351)과, 핀홀(6351)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는 축핀(6353)과, 축핀(6353)이 폭 방향으로 결합되고 일측이 피니언 파이프(63)의 원심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캠(6355)로 구성된다.
특히, 핀홀(6351)은 고정캠(6355)이 일측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예각 영역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의 핀홀(6351) 상부 타측은 수평하고, 일측은 상부측으로 설정 각도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타측은 하부측으로 설정 각도 기울기를 형성하고, 일측은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캠(6355)은 일측 상부가 예각, 하부가 둔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랙로드(61)는 고정캠(6355)의 일측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고정홈(619)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어, 고정캠(6355)이 승하강부(60)의 스트로크 이동에 따라 안착 또는 분리되는 고정홈(61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스트로크 이동한 승하강부(60)는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65)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홈은 소켓홈, 특히 육각렌치용 홈일 수 있고, 드라이버홈, 특히 십자드라이버용 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드라이버 및 육각렌치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승하강부(60)를 스트로크 시킬 수 있으며, 전동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승하강부(60)를 스트로크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합 창호 받침대(1)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분합 창호 받침대(1)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같이, 지지부(10), 받침부(30) 및 승하강부(50)를 포함한다.
지지부(10)는 판 형이고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키홈 형상의 제1결합홀(11)이 복수개 형성되며, 분합 창틀(2) 하부에 결합된다.
받침부(30)는 판 형이고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제2결합홀(31)이 복수개 형성되며, 지지부(10)와 평행하게 바닥(3)에 결합된다. 받침부(30)는 지지부(10)와 길이방향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합홀(31)은 받침부(30)의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공구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받침부(30)는 공구의 진입이 쉽도록 지지부(10)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승하강부(50)는 상면이 설정 깊이 단차되어 단차된 하단을 향할수록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단차홈(5111)과, 단차홈(5111)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둘레부(5113)로 구성되는 결합부(511)가 지지부(10)에 삽입 결합되고, 하부가 받침부(30)에 결합되어 상하로 스트로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승하강부(5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스크류로드(51), 탭파이프(53) 및 마감너트(5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의 경우, 특히, 지지부(10)는 길이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승하강부(50)는 지지부(10)의 길이 양방향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받침부(30)는 승하강부(50) 하부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분합 창호 받침대(1)는 창호의 무게 및 두께가 설정 하중 및 폭 이상일 때 적용하여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분합 창틀(2)을 결합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승하강부(50, 60)의 하부는 제2관통부(33)에 삽입되고, 단부가 가압되어 압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 방식은 작업이 단순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한 쌍의 받침부(30)가 각각 절곡되어 수평부 및 수직부로 형성된다. 수평부는 바닥(3)과 결합되고, 수직부는 탭파이프(53)의 반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받침부(30)가 탭파이프(53)를 서로 마주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 방식은 수직부가 탭파이프(53)를 감싸는 방식으로, 수직부가 탭파이프(5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합 창호는 일반적으로 단창 또는 이중창이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따른 분합 창호 받침대(10)는 단창에 적합하고, 제3실시예에 따른 분합 창호 지지대(10)는 이중창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응력에 의한 승하강부(50, 60)의 높낮이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 시 고정시킨 분합 창틀의 수평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 및 받침부(30)가 각각 분합 창틀(2) 및 바닥(3)에 고정된 후에도 공구를 이용하여 승하강부(50, 60)를 스트로크시킬 수 있어, 측정되는 수평도에 따라 즉각적인 높이 변화를 적용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승하강부(50, 60)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10)에 결합되어, 지지부(10)를 회전시키면 볼트 체결을 위한 공구의 진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분합 창호 받침대 2: 분합 창틀
3: 바닥 10: 지지부
11: 제1결합홀 13: 제1관통부
30: 받침부 31: 제2결합홀
33: 제2관통부 50: [제1실시예]승하강부
51: 스크류로드 53: 탭파이프
55: 마감너트 60: [제2실시예]승하강부
61: 랙로드 63: 피니언 파이프
65: 피니언 기어 131: 제1홈부
133: 제2홈부 511: 결합부
513: 높이 조절부 515: 스크류부
531: 탭 611: 결합부
613: 높이 조절부 615: 랙기어부
617: 가이드홈 619: 고정홈
631: 기어관통홀 633: 고정판
634: 가이드돌기 635: 고정부
651: 회전축 5111: 단차홈
5113: 둘레부 6111: 단차홈
6113: 둘레부 6331: 축고정홀
6351: 핀홀 6353: 축핀
6355: 고정캠

Claims (5)

  1. 분합 창틀의 바닥부가 안착 지지되는 것으로, 장공의 제1결합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1관통부가 타공된 지지부;
    상기 분합 창틀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결합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제2관통부가 타공된 받침부;
    상기 지지부 및 받침부 사이에는 제1관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압지 결합되는 스크류로드 및 상기 스크류로드와 나사결합되며 하단은 제2관통부에 압지 고정되는 탭파이프로 구비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로드를 회전시킴에 의해 탭파이프에서 인출 상승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지지부 저면에 상기 승하강부의 둘레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제1홈부와, 상기 지지부 상면에 상기 승하강부 상부가 압지되는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합 창호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부가 제1관통부에 결합되는 스크류로드와, 상부에 설정 깊이 탭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는 탭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로드는,
    상기 탭과 치합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부; 및
    상기 지지부 저면에 인접하는 상기 스크류부 단부에 단면 구조로 면취 가공되어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합 창호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로드는,
    상면이 설정 깊이 단차되어, 단차된 하단을 향할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단차홈과, 상기 단차홈을 감싸는 둘레부로 구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둘레부는,
    상기 제1홈부에 삽입되고 상부가 프레싱되면, 가압되어 상기 제2홈부에 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합 창호 받침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스크류부와 치합되어 설정된 높이를 유지시키는 마감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합 창호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면이 설정 깊이 단차되어, 단차된 하단을 향할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단차홈과, 상기 단차홈을 감싸는 둘레부로 구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 아래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부가 형성되는 랙로드와,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하도록 피니언 기어가 결합되는 피니언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는,
    상기 제1홈부에 삽입되고 상부가 프레싱되면, 가압되어 상기 제2홈부에 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합 창호 받침대.
KR2020200003665U 2020-10-14 2020-10-14 분합 창호 받침대 KR200493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65U KR200493277Y1 (ko) 2020-10-14 2020-10-14 분합 창호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65U KR200493277Y1 (ko) 2020-10-14 2020-10-14 분합 창호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277Y1 true KR200493277Y1 (ko) 2021-03-04

Family

ID=7487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665U KR200493277Y1 (ko) 2020-10-14 2020-10-14 분합 창호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277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764Y1 (ko) * 2000-08-22 2001-02-15 세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프리 액세스 플로어용 포스트
KR100841092B1 (ko) * 2007-06-12 2008-06-25 한 기 김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140114607A (ko) 2013-03-19 2014-09-29 류재현 창틀용 지지대
KR20150004216U (ko) 2014-05-14 2015-11-24 손지호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 지지부재
KR200489158Y1 (ko) 2017-08-23 2019-05-09 김상만 창틀용 지지대
KR20200023090A (ko) * 2018-08-24 2020-03-0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764Y1 (ko) * 2000-08-22 2001-02-15 세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프리 액세스 플로어용 포스트
KR100841092B1 (ko) * 2007-06-12 2008-06-25 한 기 김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140114607A (ko) 2013-03-19 2014-09-29 류재현 창틀용 지지대
KR20150004216U (ko) 2014-05-14 2015-11-24 손지호 발코니 확장용 창호 하부 지지부재
KR200489158Y1 (ko) 2017-08-23 2019-05-09 김상만 창틀용 지지대
KR20200023090A (ko) * 2018-08-24 2020-03-0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1450C (en) Adjustable door mounting system
KR200493277Y1 (ko) 분합 창호 받침대
CN110863674B (zh) 一种集成装配式钢结构建筑
US20230340794A1 (en) Lintel Lift Apparatus and Method
KR101194263B1 (ko)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KR101072082B1 (ko) 창호 시공을 위한 앵글유닛
DE10041775C1 (de) Befestigungssystem für Wandelemente an Gebäudewänden
EP2834440B1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frame member and installation method
JP2720382B2 (ja) 独立フーチング基礎の形成方法
EP2444576A2 (de) Montagekonsole
CN209384443U (zh) 矿渣、建渣材料制备的墙板的窗洞门洞结构
CN210249484U (zh) 一种装配式施工窗帘盒
JP3029125U (ja) 建築用型枠パネルの桁梁支承装置
JP3113860U (ja) ユニットハウス用壁パネルの固定構造
JP3100101B2 (ja) 建築の基礎構造物
CN117684674A (zh) 一种基于装配式建筑的保温防裂型外墙板
KR200339376Y1 (ko) 벽체 거푸집 수평지지체
EP3995661A1 (de) Fenster- oder türrahmen mit schiebeelementen und deren kleben ans mauerwerk sowie montageverfahren hierzu
JPH0662179U (ja) 枠体の取付け装置
DE29704900U1 (de) Fenster- und Außentüreinsätze mit vorgefertigtem Rolladenaufnahmekasten für Elektro-Rolläden aus Beton, starrem Kunststoff, Verbundgußmassen und Verbundwerkstoffen, insbesondere für den Rohbau von Wohnhäusern
JPH0119745Y2 (ko)
EP3712367A1 (de) Laibungsklemme
KR20080072776A (ko) 거푸집패널의 높이조절장치
KR20070000527U (ko) 발코니 창호의 수평조절 장치
DE29702156U1 (de) Fenster- und Außentüreinsätze mit vorgefertigtem Rolladenaufnahmekasten und Gurtrollerschacht aus Beton, starren Kunststoffen und Verbundgußmassen, insbesondere für den Rohbau von Wohnhäus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