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095A - 기록지 롤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지 롤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095A
KR20030074095A KR1020020070687A KR20020070687A KR20030074095A KR 20030074095 A KR20030074095 A KR 20030074095A KR 1020020070687 A KR1020020070687 A KR 1020020070687A KR 20020070687 A KR20020070687 A KR 20020070687A KR 20030074095 A KR20030074095 A KR 2003007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holder
paper roll
shaft por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499B1 (ko
Inventor
이나나가츠야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185End caps, plugs or ada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10Selective handling processes
    • B65H2301/14Selective handling processes of batches of material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 B65H2301/141Selective handling processes of batches of material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ormat, e.g. A0 - A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06Slot arrangement, e.g. saddle shaft b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Landscapes

  • Unwinding Web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다른 폭의 복수의 기록지 롤을 급지부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간단하게 한다. 급지부 내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 부재(21, 22)에는 다른 폭의 복수의 기록지 롤(11, 12)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부착할 때에는 각 기록지 롤(11, 12)의 양단에 제 1 및 제 2 홀더(23, 24)를 장착한다. 각 홀더(23, 24)에는 기록지 롤(11, 12)의 폭 방향의 위치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용 홈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1 홀더(23)의 유지부(43)에는 홈(51a)이 1개만 설치되어 있고, 한편, 제 2 홀더(24)의 유지부(44)에는 각 기록지 롤(11, 12)의 폭에 따른 2개의 홈(52a, 52b)이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43)는 폭 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이 신축에 의해 각 기록지 롤(11, 12)의 폭에 따라서 홈(51a)을 지지 부재(21)의 위치에 맞춘다.

Description

기록지 롤 홀더 장치{ROLL HOLDER DEVICE OF RECORDING PAPER}
본 발명은 감열 기록지나 인화지 등의 기록지 롤을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록지 롤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진 프린터나 컬러 감열 프린터에서는 긴 길이의 기록지를 롤 형상으로 감은 기록지 롤이 사용되고, 프린트 후에 규정 사이즈의 시트 페이퍼로 절단하고 있다. 이 기록지 롤은 종이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중공 형상의 권심으로 긴 길이의 기록지가 감겨져있다.
프린터의 급지부에 기록지 롤을 세트할 때에는, 기록지 롤의 양단에는 1쌍의 홀더로 이루어진 기록지 롤 홀더 장치가 부착된다. 프린터의 급지부에는 각 홀더를 장착한 기록지 롤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각 홀더를 이 지지부재에 형성된 슬릿에 세트함으로써,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들 각 홀더는 권심의 내주와 끼워맞추는 감합부(嵌合部)와 기록지 롤의 단면을 밀어 붙이는 플렌지 및 축부로 이루어진다. 이 축부를 슬릿에 삽입함으로써 기록지 롤이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이 축부에는 지지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기록지 롤의 폭 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용의 홈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기록지의 폭은 각종의 것이 있다. 기록지의 폭이 다른 경우에는, 각 홀더의 간격이 변화하기 때문에, 위치결정용의 홈과 상기 슬릿과의 결합위치가어긋나버린다. 이 때문에, 기록지의 폭에 따른 복수의 홀더를 준비하거나, 또는 동일한 홀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특개평 7-223759호 공보에 기재된 스페이서 등을 이용하여 다른 폭의 복수의 기록지 롤에 대응시켰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홀더를 준비하거나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경우에, 유저는 기록지 롤을 교환할 때 그 폭에 따라 사용하는 홀더나 스페이서를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작업은 유저에게 번거로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폭이 다른 기록지 롤의 부착 작업이 간단한 기록지 롤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기록지 롤 홀더 장치와 급지 매거진의 설명도.
도 2는 급지 매거진의 측면도.
도 3은 제 1 및 제 2 홀더의 외관도.
도 4는 홀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급지 매거진
11, 12기록지 롤
13기록지 롤 홀더 장치
14, 15기록지
16, 17권심
23제 1 홀더
24제 2 홀더
41, 42감합부
48, 49플렌지
43, 44축부
43a, 44a, 44b홈
53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록지 롤 홀더 장치는 긴 길이의 기록지를 롤 형상으로 감은 기록지 롤의 권심에 끼워장착(嵌着)되는 감합부와, 축부를 갖는 제 1 및 제 2의 한쌍의 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축부를 급지부 내에 고정된 한쌍의 지지 부재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함으로써, 상기 기록지 롤을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기록지 롤 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에 다른 폭의 기록지 롤을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홀더의 각 축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지지 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기록지 롤의 폭 방향의 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의 홈을 복수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홀더의 축부에 위치결정용의 홈을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제 1 홀더의 축부에 위치결정용의 홈을 1개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1 홀더의 위치결정용의 홈이 기록지 롤의 폭이 가장 좁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의 위치에 맞는 제 1 위치와, 기록지 롤의 폭이 가장 넓은 때에 상기 지지 부재의 위치에 맞는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홀더의 축부를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홀더의 축부를 상기 제 1 위치로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제 1 홀더의 축부에 폭이 넓은 기록지 롤을 상기 지지 부재에 세트할 때에 상기 지지 부재에 맞닿아 상기 축부를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급지 매거진(10)은 프린터에 착탈이 자유롭게 세트되어 프린트부에 기록지를 급지하는 급지 장치이다. 급지 매거진(10)은 기록지의 폭이 좁은 기록지 롤(11)과, 기록지의 폭이 넓은 기록지 롤(12)을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각 기록지 롤(11, 12)을 급지 매거진(10)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각 롤(11, 12)의 양단에 기록지 롤 홀더 장치(13)가 장착된다.
기록지 롤 홀더 장치(13)는 제 1 및 제 2의 한쌍의 홀더(23, 24)로 이루어진다. 각 기록지 롤(11, 12)은 긴 길이의 각 기록지(14, 15)를 중공 형상의 각 권심(16, 17)에 각각 감은 것이다. 기록지(14)의 폭 L1은, 예를 들면 89mm이고, 기록지(15)의 폭 L2는, 예를 들면 100mm이다.
급지 매거진(10)은 케이스 본체(18)와 덮개(19)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8)에는 한쌍의 지지 부재(21, 2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지지 부재(21, 22)에는 대략 L자형의 슬릿(21a, 22a)이 설치되어 있다. 각 슬릿(21a, 22a)에 각 홀더(23, 24)를 부착함으로써 각 기록지 롤(11, 12)이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각 지지 부재(21, 22)의 간격은 폭이 넓은 기록지 롤(12)에 맞추어 정해진다.
케이스 본체(18)에는 급지 롤러(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지 롤러(26)에 세트된 각 기록지 롤(11, 12)의 외주를 밀어 닿게하여 각 기록지 롤(11, 12)을 회전시킨다. 급지 롤러(26)는 구동 기어(27)를 통해서 프린터에 설치된 구동 모터(28)에 의해 구동된다. 케이스 본체(18)의 전면 하부에는 급지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급지구로부터 각 기록지(14, 15)가 프린트부로 보내진다.
각 기록지 롤(11, 12)의 권경은 사용하는 동안에 작아진다. 권경이 작아져도 각 기록지 롤(11, 12)의 외주가 항상 급지 롤러(26)와 맞닿도록 각 기록지 롤(11, 12)의 회전 중심은 그 권경에 따라 급지 롤러(26)로 향하여 이동한다. 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 슬릿(21a, 22a)의 하방 부분은 급지 롤러(26)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어, 각 홀더(23, 24)를 이동이 자유롭게 유지한다.
각 지지 부재(21, 22)에는 각 홀더(23, 24)와 맞닿아 각 기록지 롤(11, 12)을 급지 롤러(26)에 밀어 닿게하기 위한 압압 암(29)이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압압 암(29)은 각각 메인 암(31)과 보조 암(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암(31)은 강한 스프링(33)에 의해 각 홀더(23, 24)를 급지 롤러(26)로 향하여 압압하는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각 홀더(23, 24)를 각 지지 부재(21, 22)에 세트할 때에는, 강한 스프링(33)의 가압에 대항하여 메인 암(31)을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켜 각 홀더(23, 24)를 각 슬릿(21a, 22a)에 삽입한다.
보조 암(32)과 약한 스프링(34)은 각 홀더(23, 24)를 세트할 때에는, 메인 암(31)을 비교적 약한 힘으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한편 덮개(19)를 닫은 때에는, 덮개(19)와 협동하여 메인 암(31)의 각 홀더(23, 24)에 대한 압압력을 증가시킨다.
즉, 약한 스프링(34)은 그 일단이 메인 암(31)에, 타 단이 보조 암(32)에 부착되어 있다. 덮개(19)에는 덮개(19)를 닫을 때에 보조 암(32)에 형성된 핀(32a)과 맞닿아서 보조 암(32)을 반시계 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맞닿음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암(32)은 이것을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결합에 의해 메인 암(31)과 함께 움직인다.
덮개(19)가 열려있을 때에는, 맞닿음부(19a)로부터의 압압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보조 암(32)은 약한 스프링(34)이 늘어나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각 홀더(23, 24)의 세트는 이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메인 암(31)을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해서는, 약한 스프링(33)의 가압에 대항하는 힘이 있으면 충분하다. 이 때문에, 각 홀더(23, 24)를 세트하기 쉽다.
한편, 덮개(19)를 닫은 때에는, 맞닿음부(19a)가 핀(32a)과 맞닿아서 보조 암(32)을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약한 스프링(34)이 압축된다. 이 때, 보조 암(32)은 덮개(19)에 의해 꽉 눌려져서 시계 방향으로의 요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약한 스프링의 가압력은 메인 암(31)을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방향으로 가해진다. 이 때문에, 메인 암(31)에는 약한 스프링(33)의 가압에 더하여 약한 스프링(34)의 가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메인 암(31)의 각 홀더(23, 24)에대한 압압력이 증가한다. 각 기록지 롤(11, 12)을 급지 롤러(26)에 밀어 닿게하는 힘이 증가하기 때문에, 슬립 등에 의한 회전력의 전달 로스가 방지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각 홀더(23, 24)는 각각 기록지 롤(11, 12)의 권심(16, 17)과 끼워맞추는 감합부(41, 42)와, 이 감합부(41, 42)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축부(43, 44)로 이루어진다. 각 홀더(23, 24)의 주요 부분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감합부(41, 42)와 각 축부(43, 44)에는 각각 금속제의 회전축(46, 47)이 삽입되어 있다. 각 회전축(46, 47)은 감합부(41, 42)와 함께 회전하고, 각 축부(43, 44)는 이 회전축(46, 47)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한다. 각 감합부(41, 42)에는 플렌지(48, 49)가 부착되어 있고, 핀(5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각 축부(43, 44)는 각 슬릿(21a, 22a)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각 기록지 롤(11, 12)이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각 축부(43, 44)에는 지지 부재(21, 22)와의 결합에 의해 기록지 롤(11, 12)의 폭 방향의 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의 홈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홀더(24)의 축부(44)에는 홈(44a)과 홈(44b)의 2개의 홈이 설치되어 있다. 홈(44a)은 폭이 좁은 기록지 롤(11)을 세트할 때, 슬릿(22a)에 삽입되고, 한편, 홈(44b)은 폭이 넓은 기록지 롤(12)을 세트할 때, 슬릿(22a)에 삽입된다.
한편, 제 1 홀더(23)의 축부(43)에는 홈(43a)이 1개만 설치되어 있다. 축부(43)는 감합부(41)에 대하여 기록지 롤의 폭 방향(축 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폭이 좁은 기록지 롤(11)을 세트할 때에 홈(43a)이 슬릿(21a)의위치에 맞는 제 1 위치(도 4a에 나타냄)와, 폭이 넓은 기록지 롤(12)을 세트할 때에 홈(43a)이 슬릿(21a)의 위치에 맞은 제 2 위치(도 4b에 나타냄)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감합부(41)의 내부에는 스프링(5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53)의 일단은 감합부(41)와 맞닿고, 타단은 축부(43)와 맞닿는다. 이 스프링(53)에 의해 축부(43)는 상기 제 1 위치로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축부(43)에는 대략 원추 형상을 한 가이드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54)는 축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플렌지(48)의 외주측으로부터 그 중심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사면을 갖는다. 가이드부(54)는 폭넓은 기록지 롤(12)을 세트할 때에 지지 부재(21)와의 맞닿음에 의해 축부(43)를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켜서 홈(43a)을 슬릿(21a)으로 안내한다.
또한, 각 축부(43, 44)의 굵기는 다르고, 예를 들면, 축부(43)의 직경 d1은 축부(44)의 직경 d2보다도 작다. 각 슬릿(21a, 22b)의 폭도 이들 직경 d1, d2에 맞춰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홀더(23, 24)가 반대 슬릿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지 매거진(10)에 폭이 좁은 기록지 롤(11)을 세트할 때에는, 기록지 롤(11)의 양단에 각 홀더(23, 24)를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각 지지 부재(21, 22)의 사이에 기록지 롤(11)을 하강시킨다. 제 1 홀더(23)의 축부(43)는 초기 위치(제 1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 1 홀더(23)의 홈(43a)을 슬릿(21a)에 맞추면, 제 2 홀더(24)의 홈(44a)이 슬릿(22a)의위치에 맞는다. 각 홈(43a, 44a)을 각 슬릿(21a, 22a)에 맞춘 상태에서 각 축부(43, 44)를 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기록지 롤(11)이 세트된다.
제 1 홀더(23)의 축부(43)에는 홈(43a)이 1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홈을 선택할 여지가 없어, 유저가 망설일 일도 없다. 또한, 유저가 잘못해서 제 2 홀더(24)의 홈(44b)을 슬릿(22a)에 넣었다고 하여도, 그 경우에는 제 1 홀더(23)의 홈(43a)이 슬릿(21a)의 위치에 맞지 않기 때문에, 기록지 롤(11)을 세트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각 홀더(24, 23)를 각각 반대 슬릿에 삽입하려고 하여도, 각 축부(43, 44)의 굵기와 각 슬릿(21a, 22a)의 폭이 다르기 때문에, 세트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망설임없이, 기록지 롤(11)을 적절한 위치에 세트할 수 있다.
한편, 폭넓은 기록지 롤(12)을 세트하는 경우에는, 제 2 홀더(24)의 홈(44b)을 슬릿(22a)에 맞춘다. 이 경우에는, 제 1 홀더(23)의 축부(43)는 초기 위치(제 1 위치)에 있기 때문에, 홈(43a)은 슬릿(21a)보다도 외측으로 위치하고, 슬릿(21a)의 위치에는 가이드부(54)가 위치한다. 그대로 기록지 롤(12)을 하강시키면, 지지 부재(21)와 가이드부(54)가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기록지 롤(12)을 밀어 넣으면, 가이드부(54)의 작용에 의해 축부(43)가 제 2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여, 홈(43a)이 슬릿(21)으로 안내된다. 홈(43a)이 슬릿(21a)의 위치에 맞으면, 축부(43)가 슬릿(21a)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기록지 롤(12)이 세트된다.
이 때, 유저가 잘못해서 홈(44a)을 슬릿(22a)에 맞추었다 하더라도, 각 지지 부재(21, 22)의 간격은 기록지 롤(12)의 폭에 맞추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쪽의 홈(43a)을 슬릿(21a)에 맞출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망설임 없이 기록지 롤(12)을 적절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홀더의 한쪽에 복수의 홈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페이서를 사용하거나, 기록지 롤의 폭에 따른 복수의 홀더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폭의 기록지 롤을 급지 매거진(10)에 세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쪽의 홀더의 축부에 홈을 1개만 설치하고, 이 축부를 기록지 롤의 폭에 맞추어서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하기 때문에, 유저는 기록지 롤의 폭을 의식하지 않고, 기록지 롤을 적절한 위치에 세트할 수 있다. 또한, 그 1개의 홈이 가장 폭이 좁은 기록지 롤에 맞추어서 지지 부재의 위치에 맞도록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지 롤의 부착을 보다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2 홀더에 복수의 홈을 설치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제 1 홀더에도 복수의 홈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 2 홀더에 2개의 홈을 설치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홈을 3개 이상 설치하고, 3종류 이상의 폭의 기록지 롤을 세트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1 홀더의 축부를 스프링에 의해 가압하고 있지만, 스프링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제 1 홀더의 축부의 신축 범위는 각 기록지 롤의 폭에 따라 결정되고 있기 때문에, 유저가 홈의 선택을 잘못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부는 회전하지 않고, 감합부 및 플랜지가 회전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양자가 동시에 회전하는 홀더라도 좋다. 또한, 회전축을 축부에 의해 피복하고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회전축을 노출시킨채 슬릿에삽입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회전축 그 자체가 축부로 되고, 홈은 이 회전축과 이 회전측에 부착되는 위치결정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제 1 홀더와 제 2 홀더를 기록지 롤에 장착한 때에, 각 홀더를 권심의 내부에서 결합시켜, 부주의로 각 홀더가 벗어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결합 위치는 각 기록지 롤의 폭에 맞추어서 복수개 설치하면 좋다.
또한, 프린터에 착탈이 자유롭게 세트되는 급지 매거진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프린터 내의 급지부에 기록지 롤을 수납할 때에, 본 발명의 기록지 롤 홀더 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기록지 롤의 회전 중심이 이동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물론, 기록지 롤의 권경 변화에 따라서 회전 중심이 이동하지 않는 기록지 롤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급지 롤러와 기록지 롤의 외주를 맞닿게 하여 기록지 롤을 회전시키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홀더에 구동 기어를 설치하고, 홀더를 통해서 기록지 롤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록지로서는 인화지나 감열 기록지에 한정되지 않고, 보통지로도 좋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록지 롤 홀더 장치는 긴 길이의 기록지를 롤 형상으로 감은 기록지 롤의 권심에 끼워고정되는 감합부와 축부를 갖는 제 1 및 제 2의 한쌍의 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축부를 급지부 내에 고정된 한쌍의 지지 부재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함으로써 상기 기록지 롤을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기록지의 롤 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에 다른 폭의 기록지 롤을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홀더의 각 축부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지지 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기록지 롤의 폭 방향의 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 홈을 복수개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페이서나 기록지 롤의 폭에 따른 복수의 홀더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폭의 복수의 기록지 롤을 급지부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지 롤의 교환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제 2 홀더의 축부에 위치결정용 홈을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제 1 홀더의 축부에 위치결정용 홈을 1개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1 홀더의 위치결정용 홈이 기록지 롤의 폭이 가장 좁을 때 상기 지지 부재의 위치에 맞는 제 1 위치와, 기록지 롤의 폭이 가장 넓을 때, 상기 지지 부재의 위치에 맞는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홀더의 축부를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유저가 기록지 롤의 폭에 따라서 홈의 선택에 망설이든지, 잘못해서 다른 홈을 맞추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기록지 롤의 폭을 의식하지 않고, 다른 폭의 복수의 기록지 롤을 적절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홀더의 축부를 상기 제 1 위치로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1 홀더의 축부에 폭이 넓은 기록지 롤을 상기 지지 부재에 세트할 때에 상기 지지 부재와 맞닿게 하여 상기 축부를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기록지 롤의 부착 작업이 보다 간단하게 된다.

Claims (3)

  1. 긴 길이의 기록지를 롤 형상으로 감은 기록지 롤의 권심에 끼워 고정되는 감합부(嵌合部)와, 축부를 갖는 제 1 및 제 2의 한쌍의 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축부를 급지부 내에 고정된 한쌍의 지지 부재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함으로써 상기 기록지 롤을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기록지 롤 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 부재에 다른 폭의 기록지 롤을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홀더의 각 축부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지지 부재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기록지 롤의 폭 방향의 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의 홈을 복수개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 롤 홀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홀더의 축부에 위치결정용의 홈을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제 1 홀더의 축부에 위치결정용의 홈을 1개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1 홀더의 위치결정용 홈이 기록지 롤의 폭이 가장 좁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의 위치에 맞는 제 1 위치와, 기록지 롤의 폭이 가장 넓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의 위치에 맞는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홀더의 축부를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 롤 홀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의 축부를 상기 제 1 위치로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제 1 홀더의 축부에 폭이 넓은 기록지 롤을 상기 지지 부재에 세트할 때에 상기 지지 부재에 맞닿아서 상기 축부를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지 롤 홀더 장치.
KR1020020070687A 2002-03-12 2002-11-14 기록지 롤 홀더 장치 KR100547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67518 2002-03-12
JP2002067518A JP2003267596A (ja) 2002-03-12 2002-03-12 記録紙ロールホル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095A true KR20030074095A (ko) 2003-09-19
KR100547499B1 KR100547499B1 (ko) 2006-01-31

Family

ID=2803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687A KR100547499B1 (ko) 2002-03-12 2002-11-14 기록지 롤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24091B2 (ko)
JP (1) JP2003267596A (ko)
KR (1) KR100547499B1 (ko)
CN (1) CN1211213C (ko)
TW (1) TWI2431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74B1 (ko) * 2011-08-17 2012-02-15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음식물류 폐기물 수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6241B2 (ja) * 2002-03-04 2006-02-1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紙収納装置
FR2879090A1 (fr) * 2004-12-15 2006-06-16 Maurice Granger Dispositif de controle et de verrouillage de passage d'embout porte bobine de materiau d'essuyage sur un flasque support d'appareil distributeur
FR2868407B1 (fr) * 2004-04-01 2021-10-01 Maurice Granger Embout de retenue pour bobine de materiau d'essuyage sur un appareil distributeur de materiau d'essuyage
MXPA06011251A (es) * 2004-04-01 2007-03-08 Maurice Granger Mecanismo de cierre para un dispensador, rollo de material y tapa terminal del mismo, y metodo para insertar un rollo de material en el mecanismo de cierre.
FR2876681A1 (fr) * 2004-10-18 2006-04-21 Maurice Granger Dispositif protecteur d'embouts pour bobines de materiaux d'essuyage
FR2879092A1 (fr) * 2004-12-15 2006-06-16 Maurice Granger Dispositif de controle et de verrouillage de passage d'embout porte bobine de materiau d'essuyage sur un flasque support d'appareil distributeur
ES2315779T3 (es) * 2005-12-07 2009-04-01 Sca Hygiene Products Ab Obturador de extremo para un rollo de material, rollo de material y mecanismo de retencion de un dispositivo de suministro.
US20080061185A1 (en) * 2006-09-12 2008-03-13 Kim Achton Dispensing system with catching arm for sheet material rolls
US7896564B2 (en) * 2006-11-16 2011-03-01 Datamax-O'neil Corporation Portable printer
JP2009143695A (ja) * 2007-12-14 2009-07-02 Seiko Instruments Inc 給紙装置
JP5109797B2 (ja) * 2008-05-14 2012-12-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紙ロール支持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5665353B2 (ja) * 2010-04-23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支持装置、プリント装置、支持方法、および装填方法
TWI381950B (zh) * 2010-05-21 2013-01-11 Primax Electronics Ltd 捲筒固定軸結構
JP4974092B2 (ja) * 2010-10-25 2012-07-1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ロール紙セット構造
GB2485245B (en) * 2011-03-14 2012-10-17 Wrap Film Systems Ltd An anti misuse system
CN102259507A (zh) * 2011-06-16 2011-11-30 苏州万图明电子软件有限公司 带伸缩式纸托的打印机
CN102442589A (zh) * 2011-09-20 2012-05-09 吴江市华彩转移印花有限公司 卷布筒
JP5821760B2 (ja) * 2012-04-11 201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装填装置及び記録装置
US9701091B2 (en) * 2012-07-19 2017-07-11 Ranpak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cushioning wrap material
CN102815101B (zh) * 2012-08-09 2014-12-31 新达通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机及其纸卷储存调节装置
US9770142B2 (en) * 2013-12-02 2017-09-26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Llc Multi-piece support for paper roll product
CN104213391A (zh) * 2014-09-09 2014-12-17 浙江盛通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纱线条干均匀度测试仪
CN107000426B (zh) * 2014-11-21 2019-10-01 鲍勃斯脱梅克斯股份有限公司 用于压印箔卷筒的支撑系统、开卷模组、压印机以及卷筒的装配方法
JP6627480B2 (ja) * 2015-12-15 2020-0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7600517A (zh) * 2017-09-06 2018-01-19 苏州市春欣塑料制品有限公司 便于膜卷横移和更换的路由器壳贴膜装置
CN108638673B (zh) * 2018-05-07 2020-01-1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打印机用转轴、打印机及金融自助终端
US11471009B2 (en) 2019-03-25 2022-10-18 Faner Aroma Product Co., Ltd. Paper dispenser
CN111993799A (zh) * 2020-09-10 2020-11-27 孚凡科技(上海)有限公司 夹纸组件、夹纸机构及热敏打印机
KR102423532B1 (ko) * 2020-11-03 2022-07-21 김강은 포장용 랩핑 거치대
CN115257200A (zh) * 2022-07-28 2022-11-01 上海商米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打印机纸仓、打印机及打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3836A (en) * 1926-06-11 1928-03-27 Hall Nathaniel Carpet roller
US2107020A (en) * 1937-06-24 1938-02-01 Victor Adding Machine Co Adjustable paper roll support
US3145943A (en) * 1962-12-06 1964-08-25 Tom S Grant Electric tape winding and display device
US3411734A (en) * 1967-04-12 1968-11-19 Celeron Mfg Company Adjustable width paper roll support
US4129266A (en) * 1977-07-21 1978-12-12 Addressograph-Multigraph Corporation Paper cassette
US4191342A (en) * 1978-07-10 1980-03-04 Reinhold Ronald W Adjustable roll mandrel
US5551647A (en) * 1990-07-18 1996-09-03 Browning; Thomas D. Cable storage and feeding device
JPH07223759A (ja) 1994-02-08 1995-08-22 Murata Mach Ltd ロール紙保持スペーサ
JP3403641B2 (ja) * 1998-06-15 2003-05-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ペーパマガジンの巻芯
US6402085B1 (en) * 2001-08-02 2002-06-11 Tony A. Smith Lock tight rolled paper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74B1 (ko) * 2011-08-17 2012-02-15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음식물류 폐기물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3653A (zh) 2003-09-24
TWI243145B (en) 2005-11-11
CN1211213C (zh) 2005-07-20
TW200403185A (en) 2004-03-01
US6824091B2 (en) 2004-11-30
KR100547499B1 (ko) 2006-01-31
JP2003267596A (ja) 2003-09-25
US20030173451A1 (en) 200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499B1 (ko) 기록지 롤 홀더 장치
US6491252B2 (en) Winding core holding mechanism, roll medium hold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winding device using said mechanism and device
US6315235B1 (en) Roll tensioner
JP6480069B1 (ja) 巻管へのシート状製品の巻取り装置
US5785272A (en) Coiler spool with built-in gripper slot
EP1293352B1 (en) Ink film holding device and ink film reel
AU6878901A (en) Core end plug for sheet roll material
JP4403526B2 (ja) 巻芯支持軸
US7100859B2 (en) Holder device of recording paper roll
JP2896054B2 (ja) ドラムカートリッジ式画像形成装置
US4143830A (en) Core supports
JPH1179482A (ja) シート巻取軸
JP2013010623A (ja) 熱転写プリンタのフィルム巻出し巻取り方法及びフィルム巻出し巻取り巻回コア装着装置
JPH1179486A (ja) 巻芯チャック装置
JPH10265103A (ja) シート巻取軸
EP1035063B1 (en) Chuck device for winding core
JPS6214029Y2 (ko)
JPH10120255A (ja) フリクション巻軸
JP2006188355A (ja) 記録紙ロールホルダ装置
KR20000061683A (ko) 지류 권취용 볼 캠 코어
JP2603914B2 (ja) 紙管類のチャック装置
JPH11139633A (ja) 原紙ロール支持装置
JPS6214030Y2 (ko)
JPH0355559Y2 (ko)
JP2023097672A (ja) 係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