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740A -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740A
KR20030073740A KR1020020013447A KR20020013447A KR20030073740A KR 20030073740 A KR20030073740 A KR 20030073740A KR 1020020013447 A KR1020020013447 A KR 1020020013447A KR 20020013447 A KR20020013447 A KR 20020013447A KR 20030073740 A KR20030073740 A KR 20030073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mber
valve
damper devic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9931B1 (ko
Inventor
권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2001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9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16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regulated by varying the resiliency of hydropneumatic suspensions
    • B60G17/042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regulated by varying the resiliency of hydropneumatic suspensions by varying the air pressure of the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4Fluid spring with an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2Accumulators for hydro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6Variable pressure accumulators for hydropneumatic suspensions
    • B60G2500/2062Variable pressure accumulators for hydropneumatic suspensions by varying the air-pressure of the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4Steering, corn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측 실린더의 일측에 병렬 설치되는 압력 가변밸브는, 가스챔버와 연통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상하 습동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하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측에 연통되어 질소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어큐물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댐퍼의 일측에 압력 가변밸브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코너링시나 굴곡진 도로의 주행시 차량의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되어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VEHICULAR HEIGHT CONTROL DAMPER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노면에서 받는 외부 진동을 감쇠함과 동시에 해당 차량의 적재물 하중에 관계없이 주행시에 있어서 차체 진동을 이용하고 자동적으로 차량의 높이를 설정 레벨에 따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완충장치로서, 그 내부는 감쇠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가스 및 오일 등의 충진물이 채워진다.
그런데, 비교적 많은 탑승객 또는 화물을 수송하는 자동차에서 차고는 탑승객 또는 수화물의 많거나 적음에 따라 바뀌게 되며, 이러한 자동차의 높이 변화는 승차감과 조향 안정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쇽 업소버도 자동차의 하중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자동차의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자동차의 높이가 조절되는 댐퍼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높이 조절 댐퍼 장치를 도시한 단면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내측 실린더(10)와, 내측 실린더(10)에 조립되는 로드 가이드(11), 피스톤 로드(20), 피스톤 밸브(30) 및 베이스 밸브(40)와, 피스톤 로드(20)의 중공(hollow hole)에 설치되는 펌프 튜브(21) 및 펌프 로드(22)와, 펌프 로드(22)의 일단 및 펌프 튜브(21)의 일단에 구비되는 인렛 밸브(23) 및 아웃렛 밸브(24)와, 내측 실린더(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실린더(50)와, 내측 실린더(10)와 외측 실린더(20)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 챔버(60), 가스챔버(70) 및 고압 챔버(80)를 포함한다.
내측 실린더(10)는 오일이 채워지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0)의 일측이 삽입되고, 피스톤 로드(20)에 끼워지는 로드 가이드(11) 및 오일 씰(12)에 의해 상단이 밀봉된다.
피스톤 로드(20)는 자동차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펌프 튜브(21)가 장착되고, 펌프 튜브(21) 내측에 중공의 펌프 로드(22)가 삽입되어 빈 공간에 펌프 챔버(25)가 형성되며, 펌프 로드(22)의 끝단에 인렛 밸브(23)가 구비되고, 펌프 튜브(21)의 일단에 피스톤 로드(20)의 상하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아웃렛 밸브(24)가 구비되며, 피스톤 로드(20)와 펌프 튜브(21)사이에 오일 통로(26)가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20)는 상단에 차량 장착부(27)가 형성되며, 내측 실린더(10) 내측에 삽입된 일단에 피스톤 밸브(30)가 결합된다.
피스톤 밸브(30)는 내측 실린더(10)의 내부를 상하로 리바운드 챔버(13) 및 콤프레션 챔버(14)로 양분하는 것으로서,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에 결합되는몸체(31)에 리바운드 챔버(13)와 콤프레션 챔버(14)간에 오일의 경로를 제공하는 오리피스(32)가 형성되고, 피스톤 밸브(30)에는 오리피스(32)를 막는 디스크(33)가 설치되며, 디스크(33)는 리테이너(34)에 고정되고, 디스크(33)는 오일의 흐름에 저항을 주어 압력차를 형성하게 될 때 결국에는 오리피스(32)를 막는 디스크(33)가 젖혀지며 오일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40)는 내측 실린더(10)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펌프 로드(22)의 중공(22a)을 통한 펌프 챔버(25) 및 베이스 챔버(60)로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유로(41)와, 콤프레션 챔버(14) 및 고압 챔버(80)로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 2 유로(42)를 형성하고 있다.
외측 실린더(50)는 내측 실린더(10)가 내측에 삽입되고, 그 상단이 패킹케이스(51)와 캡(52)에 의해 밀봉되며, 내부실린더(10)와의 사이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베이스 챔버(60)와, 세퍼레이터(71)에 의해 양분되는 가스 챔버(70)와 고압 챔버(80)가 각각 구비된다. 고압 챔버(80)는 가스 챔버(70)에 의해 가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의 리바운드 행정시에는, 리바운드 챔버(13)와 베이스 챔버(60)의 오일이 콤프레션 챔버(14)로 흐르고, 펌프 튜브(21)와 펌프 로드(22)의 빈공간(working volume) 즉, 펌프 챔버(25)에 저압측 오일이 흡입된다.
콤프레션 행정시에는 콤프레션 챔버(14)의 오일이 리바운드 챔버(13)와 고압 챔버(80)로 흐르고, 이 때 펌프 챔버(25)의 오일은 고압 챔버(80)로 펌핑된다. 그리고 고압측으로의 펌핑 진행이 계속되면 기체의 압축에 의해 압력 상승이 일어나피스톤 밸브(30)의 위치를 상승시켜 차고를 조절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높이 조절 댐퍼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주행중 차량이 레벨링(leveling)되고 차고도 상승하나 코너링시나 굴곡진 도로를 주행할 때에는 레벨링된 압력이 빠져나가 차체의 양쪽이 기울어지거나 한쪽만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댐퍼의 일측에 압력 가변밸브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코너링시나 굴곡진 도로의 주행시 차량의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내측 실린더와, 내측 실린더에 조립되는 로드 가이드, 피스톤 로드, 피스톤 밸브 및 베이스 밸브와, 피스톤 로드의 중공(hollow hole)에 설치되는 펌프 튜브 및 펌프 로드와, 펌프 로드의 일단 및 펌프 튜브의 일단에 구비되는 인렛 밸브 및 아웃렛 밸브와, 내측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실린더와, 내측 실린더와 외측 실린더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 챔버, 가스챔버 및 고압 챔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실린더의 일측에 병렬 설치되는 압력 가변밸브는, 가스챔버와 연통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상하 습동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하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측에 연통되어 질소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어큐물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높이 조절 댐퍼 장치를 도시한 단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가변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측 실린더 11 : 로드 가이드
13 : 리바운드 챔버 14 : 콤프레션 챔버
20 : 피스톤 로드 21 : 펌프 튜브
22 : 펌프 로드 23 : 인렛밸브(inlet valve)
24 : 아웃렛 밸브(outlet valve) 25 : 펌프 챔버
30 : 피스톤 밸브 40 : 베이스 밸브
50 : 외측 실린더 60 : 베이스 챔버
70 : 가스 챔버 80 : 고압 챔버
90 : 압력 가변 밸브 91 : 밸브 하우징
92 : 어큐물레이터(accumulator) 93 : 제 1 유로
94 : 제 2 유로 95 : 제 3 유로
96 : 제 4 유로 97 : 스플
98 :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가변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내측 실린더(10)와, 내측 실린더(10)에 조립되는 로드 가이드(11), 피스톤 로드(20), 피스톤 밸브(30) 및 베이스 밸브(40)와, 피스톤 로드(20)의 중공(hollow hole)에 설치되는 펌프 튜브(21) 및 펌프 로드(22)와, 펌프 로드(22)의 일단 및 펌프 튜브(21)의 일단에 구비되는 인렛 밸브(23) 및 아웃렛 밸브(24)와, 내측 실린더(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실린더(50)와, 내측 실린더(10)와 외측 실린더(20)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 챔버(60), 가스챔버(70) 및 고압 챔버(8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가스 챔버(70)와 연통되도록 외측 실린더(50)의 일측에는 압력 가변밸브(90)가 설치된다.
여기서 압력 가변밸브(90)는, 밸브 하우징(91)과 어큐물레이터(92)로 구성되며, 밸브 하우징(91)의 일측에는 가스 챔버(70)와의 연통을 위하여 상, 하부에 각각 제 1 유로(93)와 제 2 유로(94)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어큐물레이터(92)와의 연통을 위하여 제 1, 2 유로(93, 94)와 대칭되는 위치에 제 3 유로(95) 및 제 4 유로(96)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유로들이 통과하는 밸브 하우징(91)의 내측 공간부에는 상하 습동 가능한 스풀(97)이 설치되고, 스풀(97)의 하면에는 스프링(98)이 설치된다.
한편, 제 3 유로(95) 및 제 4 유로(96)와 연통하는 어큐물레이터(92)에는 질소가 가스 충진되어 있으며, 드럼(drum) 형상의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내부실린더(10)에서 피스톤 밸브(30)가 왕복운동함에 따라 리바운드 챔버(13)와 콤프레션 챔버(14) 사이에 압력차가 형성되면서 오일이 피스톤 밸브(30)와 베이스 밸브(40)를 통해 흐르게 되고 펌프 튜브(21)와 펌프 로드(22)를 통해 펌핑을 시작한다.
즉, 리바운드 행정시에는 리바운드 챔버(13)와 베이스 챔버(60)의 오일이 콤프레션 챔버(14)로 흐르고, 펌프 챔버(25)에 저압측 오일이 흡입된다. 콤프레션 행정시에는 콤프레션 챔버(14)의 오일이 리바운드 챔버(13)와 고압 챔버(80)로 흐르고, 이 때 펌프 챔버(25)의 오일은 고압 챔버(80)로 펌핑된다. 그리고 고압측으로의 펌핑 진행이 계속되면 기체의 압축에 의해 압력 상승이 일어나 피스톤 밸브(30)의 위치를 상승시켜 차고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차량이 차고 조절되나 코너링을 하거나 굴곡진 도로의주행으로 레벨링된 압력이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 압력조절밸브(90)에서는 리바운드시 레벨링된 고압 챔버(80)의 오일이 빠져나가고, 가스챔버(70)가 팽창하게 된다. 고압챔버(80)를 다시 레벨링 시키기 위하여 팽창된 가스챔버(70)의 질소가스가 제 2 유로(94)를 통하여 스플(97)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서 제 4 유로(96)를 통한 어큐물레이터(92)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압축 행정시에는 고압챔버(80)가 충진되면서 상대적으로 세퍼레이터(71)에 의하여 가스챔버(70)가 압축된다. 이 때에는 어큐물레이터(92)의 질소가스가 제 3 유로(95)를 빠져나오면서 스플(97)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스프링(98)을 압축시키게 된다. 스플(97)의 이동으로 생긴 공간부로 질소가스는 제 1 유로(93)를 통하여 가스챔버(70)로 보충되어 고압챔버(80)가 종전과 같이 레벨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댐퍼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된 압력 가변 밸브(90)로 하여 차량의 코너링시나 굴곡진 도로의 주행시 일시적으로 차량이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는, 댐퍼의 일측에 압력 가변밸브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코너링시나 굴곡진 도로의주행시 차량의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되어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내측 실린더와, 내측 실린더에 조립되는 로드 가이드, 피스톤 로드, 피스톤 밸브 및 베이스 밸브와, 피스톤 로드의 중공(hollow hole)에 설치되는 펌프 튜브 및 펌프 로드와, 펌프 로드의 일단 및 펌프 튜브의 일단에 구비되는 인렛 밸브 및 아웃렛 밸브와, 내측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실린더와, 내측 실린더와 외측 실린더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 챔버, 가스챔버 및 고압 챔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실린더의 일측에 병렬 설치되는 압력 가변밸브는, 가스챔버와 연통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상하 습동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하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측에 연통되어 질소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어큐물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1020020013447A 2002-03-13 2002-03-13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10075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447A KR100759931B1 (ko) 2002-03-13 2002-03-13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447A KR100759931B1 (ko) 2002-03-13 2002-03-13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740A true KR20030073740A (ko) 2003-09-19
KR100759931B1 KR100759931B1 (ko) 2007-09-18

Family

ID=3222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447A KR100759931B1 (ko) 2002-03-13 2002-03-13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9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813B1 (ko) * 2005-08-19 2007-05-18 (주)콜로써스 시리얼 에이티에이 외장형 스토리지 장치의 메인보드와인터페이스 카드의 연결구조
KR101276869B1 (ko) * 2009-12-09 2013-06-18 주식회사 만도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KR101336917B1 (ko) * 2009-10-06 2013-12-09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밸브를 이용한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425B1 (ko) * 2006-11-15 2008-04-07 주식회사 만도 셀프 펌핑유닛을 갖는 쇽업소버
KR100819424B1 (ko) 2006-11-15 2008-04-07 주식회사 만도 셀프 펌핑유닛을 이용하여 차고조절 가능한 쇽업소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510A (ja) * 1983-07-15 1985-02-05 Showa Mfg Co Ltd 車高調整式油圧ダンパ−
JPS60185615A (ja) * 1984-03-06 1985-09-21 Kayaba Ind Co Ltd 車高調整装置
JP3700958B2 (ja) * 1996-11-08 2005-09-2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813B1 (ko) * 2005-08-19 2007-05-18 (주)콜로써스 시리얼 에이티에이 외장형 스토리지 장치의 메인보드와인터페이스 카드의 연결구조
KR101336917B1 (ko) * 2009-10-06 2013-12-09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밸브를 이용한 댐퍼
KR101276869B1 (ko) * 2009-12-09 2013-06-18 주식회사 만도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931B1 (ko)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33833A (ja) ハイドロニューマチックシリンダ
KR100507756B1 (ko) 자기가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장치
KR100759931B1 (ko)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US8146721B2 (en) Self leveling shock absorber
KR100808420B1 (ko) 셀프 레벨라이저 댐퍼
JPH05162525A (ja) 車高調整装置
JPH08142630A (ja) セルフポンピング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0807776B1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100726587B1 (ko)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
KR100726599B1 (ko) 차고 조절용 쇽 업소버
KR100716427B1 (ko) 차고 조절용 쇽 업소버
KR100722134B1 (ko)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100736548B1 (ko)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
KR100447618B1 (ko)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100702326B1 (ko) 차고 조절용 쇽 업소버
KR100489335B1 (ko)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100711002B1 (ko) 차고 조절용 쇽 업소버
KR102477647B1 (ko) 감쇠력 조정이 가능한 쇼크 업소버
KR20090085713A (ko)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KR100722139B1 (ko) 차고 조절용 쇽 업소버
JP3279127B2 (ja) セルフポンピング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0747989B1 (ko) 높이 조절 댐퍼의 릴리프밸브
JP3123402B2 (ja) セルフポンピング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513917Y2 (ja) フロントフォ―ク
KR100596929B1 (ko) 스프링레이트 저감을 위한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