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335B1 -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335B1
KR100489335B1 KR10-2000-0083310A KR20000083310A KR100489335B1 KR 100489335 B1 KR100489335 B1 KR 100489335B1 KR 20000083310 A KR20000083310 A KR 20000083310A KR 100489335 B1 KR100489335 B1 KR 10048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iston
hollow
chamb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601A (ko
Inventor
박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0-008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3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86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comprising a pin or stem co-operating with an aperture, e.g. a cylinder-mounted stem co-operating with a hollow piston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1Assembly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안쪽 실린더와, 안쪽 실린더에 조립되는 피스톤 로드, 피스톤, 바디밸브 및 로드 가이드와, 안쪽 실린더와 바깥쪽 실린더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 챔버, 가스 챔버 및 고압 챔버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공에 설치되는 펌프 튜브 및 펌프 로드와, 상기 펌프 로드의 일단 및 펌프 튜브의 일단에 구비되는 인렛 밸브 및 아웃렛 밸브로 이루어지며,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중공(hollow hole)을 외부로 연결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피스톤 로드 조립 후 중공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다시 용접에 의해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 조립 시 중공에 잔류하게 되는 불필요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펌핑 응답성이 빨라지고, 댐퍼의 스프링 특성을 유지하며, 스티프니스 폭이 작아지고 공동 현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VEHICULAR HEIGHT CONTROL DAMPER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설치되는 유압식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능동적으로 자동차의 높이가 조절되는 유압식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차감을 개선하고 그리고 조향 안정성을 위하여 차와 같은 자동차는 현가 장치 사이에 유압식 쇽 업소버를 설치하고 있다. 쇽 업소버는 현가 스프링의 진동을 약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밴과 같은 비교적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자동차에서, 자동차 높이는 종종 탑승객이 많고 적음에 따라 변하는 하중에 의해 바뀐다. 혹은 수화물이 적거나 많음에 따라 바뀐다.
자동차 높이의 변화는 승차감과 조향 안정성을 떨어뜨린다. 이런 바람직하지 못한 조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가장치는 변하는 하중의 총계과 관련없이 일정한 자동차 높이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 현가장치가 미국특허 5,878,852호에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는 2개의 실린더(15,16)를 구비하여 안쪽 실린더(15)에는 피스톤 로드(11)에 피스톤(3)이 조립되고, 안쪽 실린더(15) 일측에는 바디밸브(19)를 다른 일측에는 로드 가이드(22)와 함께 고압 오일 씨일(seal;24)이 피스톤 로드(11)에 끼워져 밀봉시키고, 안쪽 실린더(15) 내부에는 오일이 가득 채워지고, 안쪽 실린더(15)와 바깥쪽 실린더(16) 사이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베이스 챔버(1)와 가스 챔버(5)에 의해 가압되는 고압 챔버(18)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 챔버(5)의 오일과 고압 챔버(18) 오일은 세퍼레이터(4)에 의해 구분된다.
안쪽 실린더(15)는 피스톤(3)에 의해 양분 구획되는 것으로, 피스톤(3)과 바디밸브(19) 사이에는 컴프레션 챔버(13)가, 피스톤(3)과 로드 가이드(22) 사이는 리바운드 챔버(20)가 형성되고, 피스톤(3)에는 리바운드 챔버(20)와 컴프레션 챔버(13)로 오일이 유동되는 오리피스(3a)가 뚫려지고, 피스톤(3)에는 오리피스(3a)를 막는 디스크(3b)가 설치되며, 디스크(3b)는 리테이너(3c)에 고정되고, 디스크(3b)는 오일의 흐름에 저항을 주어 압력차를 형성하게 될 때 결국에는 오리피스(3a)를 막는 디스크(3b)가 젖혀지며 오일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자동차의 높이 조절을 위해 중공(hollow hole)이 형성된 피스톤 로드(11)와 그 안쪽에 장착되는 펌프 튜브(10) 그리고 안에 삽입되는 펌프 로드(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펌프 로드(9)의 끝에 달린 인렛 밸브(6), 피스톤 로드(11) 상하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아웃렛 밸브(7), 펌프튜브(10)와 피스톤 로드(11)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 통로(17)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는 안쪽 실린더(15)에서 피스톤(3)이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각각의 챔버(리바운드 챔버(20)와 컴프레션 챔버(13)) 사이에 압력차가 형성되면서 오일이 피스톤(3)과 베이스 밸브(19)를 통해 흐르게 되고 펌프 튜브(10)와 펌프로드(9)를 통해 펌핑을 시작한다.
즉, 리바운드 행정시에는 리바운드 챔버(20)와 베이스 챔버(1)의 오일이 컴프레션 챔버(13)로 흐르고, 펌프튜브(10)와 펌프로드(9)의 빈공간(working volume) 즉, 펌프 챔버(12)에 저압측 오일이 흡입된다. 컴프레션 행정시에는 컴프레션 챔버(13)의 오일이 리바운드 챔버(20)와 고압 챔버(18)로 흐르고, 이때 펌프 챔버(12)의 오일은 고압 챔버(18)로 펌핑된다. 그리고 고압측으로의 펌핑 진행이 계속되면 기체의 압축에 의해 압력상승이 일어나 피스톤(3)을 밀어 피스톤(3)의 위치를 상승시켜 차고를 조절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높이조절 쇽 업소버는 피스톤 로드의 삽입 과정에서 피스톤 로드의 중공 부위에 있던 공기가 빠져나갈 포트가 없는 관계로 오일 및 가스 충진 후에도 펌프 챔버 내부에서 빠지지 않게 되므로 펌핑 응답 특성 및 쇽 업소버의 스프링 특성이 저하되어 차고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공동(cavitation) 현상의 발생으로 차량에 큰 충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스톤 로드 조립시 중공 부위에 있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포트를 구비하여 펌핑 응답성이 빨라지며, 쇽 업소버의 스프링 특성을 유지하여 공동(cavitation)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중공(hollow hole)을 외부로 연결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피스톤 로드 조립 후 중공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다시 용접에 의해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와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의 일단이 고정볼트 부재로 나사결합되며, 고정볼트 삽입부와 중공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중공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를 배출시킬 수 있는 체크 밸브가 통로 일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는 2개의 실린더(15,16)를 구비하여 안쪽 실린더(15)에는 피스톤 로드(11)에 피스톤(3)이 조립되고, 안쪽 실린더(15) 일측에는 바디밸브(19)를 다른 일측에는 로드 가이드(22)와 함께 고압 오일 씨일(seal;24)이 피스톤 로드(11)에 끼워져 밀봉시키고, 안쪽 실린더(15) 내부에는 오일이 가득 채워지고, 안쪽 실린더(15)와 바깥쪽 실린더(16) 사이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베이스 챔버(1)와 가스 챔버(5)에 의해 가압되는 고압 챔버(18)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 챔버(5)의 오일과 고압 챔버(18) 오일은 세퍼레이터(4)에 의해 구분된다.
안쪽 실린더(15)는 피스톤(3)에 의해 양분 구획되는 것으로, 피스톤(3)과 바디밸브(19) 사이에는 컴프레션 챔버(13)가, 피스톤(3)과 로드 가이드(22) 사이는 리바운드 챔버(20)가 형성되고, 피스톤(3)에는 리바운드 챔버(20)와 컴프레션 챔버(13)로 오일이 유동되는 오리피스(3a)가 뚫려지고, 피스톤(3)에는 오리피스(3a)를 막는 디스크(3b)가 설치되며, 디스크(3b)는 리테이너(3c)에 고정되고, 디스크(3b)는 오일의 흐름에 저항을 주어 압력차를 형성하게 될 때 결국에는 오리피스(3a)를 막는 디스크(3b)가 젖혀지며 오일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자동차의 높이 조절을 위해 중공(hollow hole)이 형성된 피스톤 로드(11)와 그 안쪽에 장착되는 펌프 튜브(10) 그리고 안에 삽입되는 펌프 로드(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펌프 로드(9)의 끝에 달린 인렛 밸브(6), 피스톤 로드(11) 상하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아웃렛 밸브(7), 펌프튜브(10)와 피스톤 로드(11)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 통로(17)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는 안쪽 실린더(15)에서 피스톤(3)이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각각의 챔버(리바운드 챔버(20)와 컴프레션 챔버(13)) 사이에 압력차가 형성되면서 오일이 피스톤(3)과 베이스 밸브(19)를 통해 흐르게 되고 펌프 튜브(10)와 펌프로드(9)를 통해 펌핑을 시작한다.
즉, 리바운드 행정시에는 리바운드 챔버(20)와 베이스 챔버(1)의 오일이 컴프레션 챔버(13)로 흐르고, 펌프튜브(10)와 펌프로드(9)의 빈공간(working volume) 즉, 펌프 챔버(12)에 저압측 오일이 흡입된다. 컴프레션 행정시에는 컴프레션 챔버(13)의 오일이 리바운드 챔버(20)와 고압 챔버(18)로 흐르고, 이때 펌프 챔버(12)의 오일은 고압 챔버(18)로 펌핑된다. 그리고 고압측으로의 펌핑 진행이 계속되면 기체의 압축에 의해 압력상승이 일어나 피스톤(3)을 밀어 피스톤(3)의 위치를 상승시켜 차고를 조절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11)의 일단에 중공(hollow hole)을 외부로 연결하는 통로(30)가 마련되어 피스톤 로드(11) 조립 후 중공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다시 용접에 의해 밀폐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도 3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차체와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11)의 일단이 고정볼트 부재(40)로 나사결합되며, 고정볼트 삽입부(41)와 중공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42)가 형성되고, 중공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를 배출시킬 수 있는 체크 밸브(50)가 통로(42) 일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30) 및 체크 밸브(50)는 피스톤 로드(11) 조립시 중공에 잔류하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포트를 제공하여 펌핑 응답성이 빨라지며, 스티프니스(stiffness) 폭이 작아지고 공동(cavitation)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42) 내부에서 유동되면서 통로(42)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통로(42) 내부에 설치되는 볼(51)과, 이 볼(51)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5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크 밸브(50)는 피스톤 로드(11)를 조립 한 후 고정볼트 부재(40)를 체결하기 전에 날카로운 송곳 등을 이용해 체크 밸브(50)의 볼(51)을 가압하여 중공의 공기를 배출시킨 다음 고정볼트 부재(40)를 체결하므로 중공에는 공기가 잔류하지 않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 조립 시 중공에 잔류하게 되는 불필요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펌핑 응답성이 빨라지고, 댐퍼의 스프링 특성을 유지하며, 스티프니스 폭이 작아지고 공동 현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챔버 3 ; 피스톤
4 ; 세퍼레이터(seperator) 5 ; 가스 챔버
6 ; 인렛 밸브(inlet valve) 7 ; 아웃렛 밸브(outlet valve)
8 로드 가이드 9 ; 펌프 로드
10 ; 펌프 튜브 11 ; 피스톤 로드
12 ; 펌프 챔버 13 ; 콤프레션 챔버(compression chamber)
14 ; 오일 씨일(oil seal) 15 ; 안쪽 실린더
16 ; 바깥쪽 실린더 18 ; 고압 챔버
19 ; 베이스 밸브 20 ; 리바운드 챔버(rebound chamber)
30 ; 통로 40 ; 고정 볼트 부재
41 ; 고정볼트 삽입부 42 ; 통로
50 ; 체크 밸브 51 ; 볼
52 ; 탄성부재

Claims (3)

  1. 삭제
  2. 자동차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안쪽 실린더와, 안쪽 실린더에 조립되는 피스톤 로드, 피스톤, 바디밸브 및 로드 가이드와, 안쪽 실린더와 바깥쪽 실린더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 챔버, 가스 챔버 및 고압 챔버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공(hollow hole)에 설치되는 펌프 튜브 및 펌프 로드와, 상기 펌프 로드의 일단 및 펌프 튜브의 일단에 구비되는 인렛 밸브 및 아웃렛 밸브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에 있어서,
    차체와 결합되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이 고정볼트 부재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고정볼트 부재의 삽입부와 상기 중공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를 배출시킬 수 있는 체크 밸브가 통로 일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통로 내부에서 유동되면서 상기 통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통로 내부에 설치되는 볼과, 상기 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10-2000-0083310A 2000-12-27 2000-12-27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10048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310A KR100489335B1 (ko) 2000-12-27 2000-12-27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310A KR100489335B1 (ko) 2000-12-27 2000-12-27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601A KR20020053601A (ko) 2002-07-05
KR100489335B1 true KR100489335B1 (ko) 2005-05-12

Family

ID=2768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310A KR100489335B1 (ko) 2000-12-27 2000-12-27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7552B (zh) * 2013-10-18 2015-10-28 浙江工业大学 一种不受低压影响的双向恒力气动输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4030U (ko) * 1980-12-18 1982-06-26
JPS61533U (ja) * 1984-06-07 1986-01-06 株式会社 小金井製作所 緩衝器
JPS63185936U (ko) * 1987-05-25 1988-11-29
JPH0650373A (ja) * 1992-04-09 1994-02-22 Diebolt Internatl Inc ガススプリング
KR950009017A (ko) * 1993-09-17 1995-04-21 마이클 씨. 다이볼트 충전밸브를 구비한 가스스프링
KR960013719U (ko) * 1994-10-11 1996-05-17 최종호 현가 스프링을 내장한 다기능 현가댐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4030U (ko) * 1980-12-18 1982-06-26
JPS61533U (ja) * 1984-06-07 1986-01-06 株式会社 小金井製作所 緩衝器
JPS63185936U (ko) * 1987-05-25 1988-11-29
JPH0650373A (ja) * 1992-04-09 1994-02-22 Diebolt Internatl Inc ガススプリング
KR950009017A (ko) * 1993-09-17 1995-04-21 마이클 씨. 다이볼트 충전밸브를 구비한 가스스프링
KR960013719U (ko) * 1994-10-11 1996-05-17 최종호 현가 스프링을 내장한 다기능 현가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601A (ko) 200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6294B (zh) 车辆减震器及其控制方法
JP5579790B2 (ja) 連続的に調整可能な半能動弁を有する衝撃緩衝器
US6918473B2 (en) Stroke dependent bypass
US8511447B2 (en) Triple tube shock absorber having a shortened intermediate tube
US20090033009A1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pring-damper unit
US6871845B2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uspension strut unit
US7073643B2 (en) Compensated rod for a frequency dependent damper shock absorber
JPH07233833A (ja) ハイドロニューマチックシリンダ
US6412615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for motor vehicles
WO2005033545A1 (en) Adjacent baffle design for shock absorber
US6270064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GB2417541A (en) Base cup connection for shock absorber
US6883652B2 (en) Heavy duty base valve
KR100489335B1 (ko)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US6651547B2 (en) Guide for the piston rod of a piston-cylinder assembly
KR100759931B1 (ko)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100447618B1 (ko) 자동차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100726587B1 (ko)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
US6364075B1 (en) Frequency dependent damper
US6382373B1 (en) Frequency dependant damper
KR20050104250A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100716427B1 (ko) 차고 조절용 쇽 업소버
KR100721673B1 (ko) 차량의 높이 조절 댐퍼 장치
KR20080081484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JP3033457B2 (ja) セルフポンピング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