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742A -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 Google Patents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742A
KR20030070742A KR1020020010265A KR20020010265A KR20030070742A KR 20030070742 A KR20030070742 A KR 20030070742A KR 1020020010265 A KR1020020010265 A KR 1020020010265A KR 20020010265 A KR20020010265 A KR 20020010265A KR 20030070742 A KR20030070742 A KR 20030070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tivity
parts
extrac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600B1 (ko
Inventor
박태영
신영준
윤동영
김광중
김재기
Original Assignee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6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한방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100 중량부당 대황 0.1∼20 중량부, 피의이인 0.1∼10 중량부, 녹각 0.1∼10 중량부, 백지 0.1∼10 중량부, 금은화 0.1∼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70∼100℃ 온도에서 2∼8 시간정도 가열하여 제조되는 다기능 한방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 한방 추출물은 우수한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과산화지질 방지활성, 항균활성 및 세포재생활성을 가지는 있으므로, 피부 화장품의 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Multifunctional chinese herb extract and skin cosmetic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기능 한방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100 중량부당 대황 0.1∼20 중량부, 피의이인 0.1∼10 중량부, 녹각 0.1∼10 중량부, 백지 0.1∼10 중량부, 금은화 0.1∼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70∼100℃ 온도에서 2∼8 시간정도 가열하여 제조되는 다기능 한방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대황(Rheum Palmatum)은 마디풀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인 개장군풀, 약용대황의 뿌리와 근경으로 키는 1.5m 정도이고 잎은 호박잎과 비슷하고 7-8월에 누르스름한 꽃이피며 시베리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건위, 지사, 설사 등에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어혈을 풀고 월경불순, 종양, 염증을 다스리며 변비를 없애준다고 나온다. 그 효능으로는 배변작용 및 수렴작용을 하여 변비를 치료하며 포도상구균, 진균 등에 대하여 모두 억제작용이 있고 담즙등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하며 이담, 해석과 소화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를 저하시킨다. 또한 열독으로 발생된 토혈, 치은종창, 화상, 습열황달, 담낭염 등에 치료제로 쓰이며 증에 따라 배합된다.
피의이인(Coicis Semen)은 이뇨, 배농, 소염, 진통, 자양약으로 설사, 수종, 각기등 증상에 사용되어졌으며, 민간에서는 피부가 검고 마르며 트는데 사용하며, 기미, 주근깨, 여드름 제거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낸다.
녹각은 간장, 신장 계통에 작용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어 항소염 작용을 하며 조루, 혈액 장애로 인한 병증과 외과적으로는 소염성 질환과 응저에 붙이면 화농성 염증에 고름을 제거 하고 독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백지(Angelica Dahurica)는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호흡을 증강시키고, 혈압을 올라가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항균작용과 관상동맥의 확장작용이 있다. 치통, 두통, 눈주위 상연부 뼈의 동통 등의 통증치료로 사용하며 몸의 종기에도 쓰인다.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과의 다년생, 덩굴성 식물인 인동의 꽃봉우리로 한방에서는 금은화의 애칭으로 '한방패니실린'이라고 부를 정도로 단맛과 찬기운 가져, 열을 내리고 해독작용을 하며, 염증을 사귀고, 종기의 고름을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항바이러스 작용, 항균작용, 항진균작용등이 있다고 보고되어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한방재료들을 특정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이 뛰어난 항산화활성, 피부미백활성, 항균활성 및 피부재생능력 등의 다기능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와 같은 다기능 활성을 갖는 한방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기능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한방 추출물(JSPE)과 기타 한방 추출물의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활성(%)을 비교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한방 추출물(JSPE)과 기타 한방 추출물의 과산화지질 방지 활성(%)을 비교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한방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크림(JSPE크림)과 일반크림의 피부 재생 능력을 비교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100 중량부당 대황 0.1∼20 중량부, 피의이인 0.1∼10 중량부, 녹각 0.1∼10 중량부, 백지 0.1∼10 중량부, 금은화 0.1∼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70∼100℃ 온도에서 2∼8 시간정도 가열하여 제조되는 다기능 한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수 추출액을 필터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축 추출물을 다시 물에 현탁시켜 용해시키고 동량의 유기용매를 첨가한 후 분별깔대기를 이용하여 유기용매층을 회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hexane) 또는 에틸에테르(ethyl eth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은 우수한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과산화지질 방지활성, 항균활성, 및 세포재생활성을 가지는 있음이 밝혀졌다(시험예 1 내지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은 피부노화방지, 피부미백, 항균, 피부재생 등에 유용한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품에 있어서, 다기능 한방 추출물이 화장품원료의 총량대비 0.1∼50 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 한방 추출물의 추출공정
대황 50g, 피의이인 20g, 녹각 10g, 백지 10g, 금은화 10g 등을 깨끗이 씻은 후 열풍건조기를 사용하여 60℃에서 10시간이상 건조시킨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분쇄물에 1000mL 물을 넣고 85℃에서 약 3시간정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Whatman NO.1 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추출물을 다시 물에 현탁시켜 용해시키고 동량의 Hexane을 첨가하여 분별깔대기를 이용하여 Hexane 층을 회수하여 Hexane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물층에 다시 동량의 Ethyl ether를 첨가하여 상기방법과 같이 Ethyl ether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재차 실험을 반복하여 Ethyl acetate 추출물, Butanol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임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추출된 열수 추출물을 "JSPE"이라 칭하고, 다음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2> : JSPE 함유 크림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방 추출물(JSPE)을 함유하고 표1의 조성을 갖는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성분 함량(%)
JSPE 5.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E.O) 1.8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1.2
스테아린산 2.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0
세탄올 1.0
스테아릴알콜 1.5
밀납 1.0
쉐어버터 0.5
올리브유 3.0
호호바유 9.0
스쿠알란 12.0
메틸폴리실록산 0.3
토코페롤 0.3
비타민 0.5
글리시레틴산스테아릴 0.05
나트륨히알우로네이트(0.5%) 7.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향료 적량
그레이프후루트 종자 추출물 0.5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을 가함
<실시예 3> : JSPE 함유 에센스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방 추출물(JSPE)을 함유하고 표2의 조성을 갖는 에센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성분 함량(%)
JSPE 5.0
나트륨히알우로네이트(0.5%) 5.0
하이드로라이즈드 익스텐신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해조추출물 5.0
트리에탄올아민 0.2
그레이프후루트 종자 추출물 0.2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을 가함
<실시예 4> : JSPE 함유 팩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방 추출물(JSPE)을 함유하고 표3의 조성을 갖는 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3]
성분 함량(%)
JSPE 5.0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20E.O) 1.2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0.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스테아릴알콜 1.5
밀납 0.5
메틸폴리실록산 0.2
호호바유 3.0
마카데미아넛 오일 3.0
스쿠알렌 1.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디나트륨 0.02
나트륨히알우로네이트(0.5%) 5.0
알란토인 0.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4
보존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을 가함
<실시예 5> : JSPE 함유 에센스 스킨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방 추출물(JSPE)을 함유하고 표4의 조성을 갖는 에센스 스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4]
성분 함량(%)
JSPE 3.0
나트륨히알우로네이트(0.5%) 8.0
위치하젤추출물 5.0
D-판토테닐알콜 0.2
알란토인 0.05
하이드로라이즈드 익스텐신 3.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5
에탄올 5.0
향료 적량
그레이프후루트 종자 추출물 0.3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을 가함
<시험예 1> :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효과
이번 실험은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피부노화는 크게 생리적 노화와 광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내에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인 프리라디칼이 지질, 단백질, 핵산등의 생체분자들을 변화시켜 노화현상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활성산소종은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도 생성되며, 질병상태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과잉으로 생성될 수 있고, 특히 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어 활성산소종을 만드는 광화학적 반응들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그 밖에도 흡연, 공해 및 세균감염 등도 활성산소종을 생성시키며, 과잉 활성산소종은 피부의 항산화 방어망을 위태롭게 만들어 지질과산화반응, DNA 산화 등으로 이어져 병리학상 암 및 피부탄력 감소, 주름살 및 기미 주근깨등의 피부노화로 이어짐으로써 필요한 항산화제를 함유한 식품이나 화장품을 통한 계속적인 항산화제 보충으로 피부 항산화 방어망을 견고히 할때 피부 노화를 지연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생성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에 관련하여 DPPH를 이용하여 프리라디칼 소거능력을 테스트해 보았다.
0.2mM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 용액 0.5ml 여러농도의 sample을 0.5ml 넣어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한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0.1mM DPPH를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량(SC50)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다음 표5과 같다.
[표 5]
SC50 JSPE과 비교
JSPE 15.3325
Tocopherol 15.594 1.02배
감초 373.2 24배
솔잎 1004.325 66배
울금 4137.75 240배
상기 표 5에서 보여지듯이, SC50의 값을 측정한 결과 JSPE의 경우 15.3325㎍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인 Tocopherol 보다 좋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항산화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는 감초보다는 24배 높은 활성을 보이고 있으며, 솔잎에 비해서는 66배, 울금에 비해서는 240배 이상의 활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JSPE가 뛰어난 항산화능력을 나타낸다.
<시험예 2> : 티로시나제 저해(Tyrosinase Inhibition) 측정
기미, 주근깨는 사춘기 이후 여자들의 얼굴에 생기는 비정상적인 색소침착증이며 노인성 검버섯은 노년기 사람의 얼굴이나 팔, 다리 등의 피부에 색소가 비정상적으로 생성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모두 원인 물질은 멜라닌(melanin)이다. 멜라닌은 화학적, 물리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이어서 일단 생성된 색소를 파괴, 분해하여 제거하기는 매우 힘들며, 멜라닌을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번 실험은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티로시나제라는 효소가 기능억제되는 정도를 보고 미백효과를 판단한 것이다.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시료 3㎕를 마이크로플레이트(96웰)에 넣고, 0.1M 인산완충액(pH7.0) 137㎕, 0.05% L-티로신 40㎕, 135U/ml 티로시나제 20㎕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490nm에서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저해율(%)={1-(S-A)/E}×100
S= 시료대신에 인산완충액을 넣었을 때의 흡광도
E= 시료를 넣었을 때의 흡광도
A= 티로신나제대신에 인산완충액을 넣었을 때의 흡광도
상기와 같이 측정된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도 1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보여지듯이, JSPE는 일정농도이상에서 현재 기능성 미백제로 사용되고 있는 Kojic acid, Arbutin보다 높은 활성을 보이고 있으며 천연물중 미백작용이 강한 감초 및 목단피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시험예 3> : 과산화지질 방지 효과 측정(TBARS 측정)
프리라디칼은 생체물질인 지질과 반응하여 세포나 조직에 손상을 유발하여 생체의 방어능력을 감소시켜 인체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합성 항산화제를 사용하면 간비대, 체내 흡수물질의 일부가 독성물 혹은 발암성 물질로 변환될수 있으므로 천연 항지질산화제를 찾고자 본 실험을 행하였다. 이번 실험은 유지의 산패가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carbonyl 화합물 중 malonaldehyde의 생성에 근거를 둔 것이다. 산패된 유지나 지방질 식품 중의 malonaldehyde는 다음 반응식과 같이 두 분자의 thiobarbituric acid와 한 분자의 malonaldehyde가 반응하여 적자색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를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malonaldehyde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Linoleic acid 0.17g에 0.1M의 인산완충액 18.5ml을 첨가하고 각 식물추출물 시료를 1.5ml 첨가한다. 플라스크를 60℃에서 진탕한후 이중 시료 2ml을 취하여 3%의 Trichloroacetic acid 1.0ml을 가하고, 0.75%의 Thiobarbituric acid 2.0ml을 가한후 시험관 진탕기에서 30초간 진탕한 후 철망에 넣어 항온조(95℃)에서 40분간 반응시킨다. 이후 냉수로 냉각하여 Acetic acid 1.0ml을 가하고, Chloroform 2.0ml을 가한다. 약 30초간 진탕한 후 3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후 상등액을 취하여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과산화지질 방지활성(%)을 도 2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보여지듯이, 흡광도 측정결과 JSPE가 항지질산화를 70%이상 저해함을 나타냈었으며, 항산화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는 감초추출물이나 목단피에 비해서 항지질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시험예 4> : 항균효과
피부에서 일어나는 각종 질환중의 일부는 세균감염에 의한 질환으로서 여드름, 종기와 같은 화농성 질환, 무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균에 의한 질환이외에도 화장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항균제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합성항균제는 균독성이외에도 피부독성까지 유발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항균제의 병패를 예방하기 위하여 자연물을 이용한 천연항균제가 필요하며 이에 효과를 테스트를 행하였다.
세균(E. coli, S.aureus, B. subtilis)은 Nutrient broth(10ml)에 효모(C. albicans)는 potato dextrose broth (10ml)에 한백금이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새로운 Nutrient agar plate와 potato dextrose agar plate를 준비하여 세균 및 효모배양액 200㎕씩 분주하여 도말한다. 도말한 plate에 paper disk법에 의해 항균물질을 60㎕씩 올려 37℃에서 24시간배양한 후 clear zone의 크기를 비교하여 항균활성의 정도를 측정한다.
그 측정 결과를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균명 JSPE Propyl Paraben Ethyl Paraben Butyl Paraben
B. Subtilis 20×20 7×7 8×8 7×7
S. aureus 12×12 8×8 - -
C. albicans 10×10 - - -
E. coli 9×9 - - -
상기 표 6에서 보여지듯이, JSPE는 4가지 균, 즉 일반적인 포자형성균인 B. subtilis, 화농성구균인 S. aureus, 병원성 효모균인 C. albicans, 대장균(E. coli)에 대하여 항균력을 보이고 있었으며 그 항균작용도 우수하였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는 항균 및 보존제인 Propyl paraben, Ethyl paraben, Butyl paraben과 비교한 결과 JSPE 항균을 나타낼수 있는 균의 숫자도 우세하였으며, 그 작용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5> : 세포재생능력테스트
피부가 외부에서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을 받을 경우 세포가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손상이 더 싶해졌을 경우 상처가 생기게 되며 흉터로 남게 된다. 이러한 상처부위가 빨리 아물게 하고 새살이 빨리 돋게 하기 위하여 세포재생능력을 테스트해 보았다. 효소적인 방법이 아닌 동물을 이용하여 피부상처치유능력을 테스트하였다.
실험용 흰쥐의 등부분의 털을 가위로 잘라낸후, 제모제를 이용하여 나머지털을 제거하였다. 털이 제거된 부위에 물리적으로 상처를 입힌후 일반제형의 크림과 샘플이 첨가된 크림을 도포하여 18시간 후 피부재생능력을 테스트해 보았다.
상기 피부재생능력의 테스트 결과를 도 3a(크림 도포전) 및 3b(크림 도포 18시간후)에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보여지듯이, 일반제형의 크림을 도포한 경우와 JSPE 크림을 도포한 경우를 비교해 보면, 확실히 세포재생능력 및 상처치유능력이JSPE를 함유함으로서 뛰어난 효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JSPE의 세포재생능력이 매우 뛰어남을 알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활성,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과산화지질 방지활성, 항균활성, 및 세포재생활성을 가지는 있으므로(시험예 1 내지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은 피부노화방지, 피부미백, 항균, 피부재생 등에 유용한 기능성 피부 화장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물 100 중량부당 대황 0.1∼20 중량부, 피의이인 0.1∼10 중량부, 녹각 0.1∼10 중량부, 백지 0.1∼10 중량부, 금은화 0.1∼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70∼100℃ 온도에서 2∼8 시간정도 가열하여 제조되는 다기능 한방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프리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한방 추출물.
  3. 제 1항에 있어서,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한방 추출물.
  4. 제 1항에 있어서, 과산화지질 방지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한방 추출물.
  5. 제 1항에 있어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한방 추출물.
  6. 제 1항에 있어서, 세포재생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한방 추출물.
  7. 제 1항에 따른 다기능 한방 추출물을 0.1∼50 중량%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KR10-2002-0010265A 2002-02-26 2002-02-26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KR100523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265A KR100523600B1 (ko) 2002-02-26 2002-02-26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265A KR100523600B1 (ko) 2002-02-26 2002-02-26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742A true KR20030070742A (ko) 2003-09-02
KR100523600B1 KR100523600B1 (ko) 2005-10-24

Family

ID=3222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265A KR100523600B1 (ko) 2002-02-26 2002-02-26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06B1 (ko) * 2005-08-02 2007-03-29 박민식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290B1 (ko) 2005-03-31 2007-01-12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130245B1 (ko) * 2009-10-29 2012-03-26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사향쥐에서 얻은 사향추출물과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 복합 한방조성물
KR102171980B1 (ko) * 2019-01-16 2020-10-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31A (ja) * 1995-07-25 1997-02-04 Tsumura & Co 化粧料
JP2000169329A (ja) * 1998-12-09 2000-06-20 Rashieru Seiyaku Kk 化粧料組成物
KR20010018655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17791B1 (ko) * 2000-08-14 2004-02-11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10000396A (ko) * 2000-09-26 2001-01-05 이봉석 미백 화장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06B1 (ko) * 2005-08-02 2007-03-29 박민식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3600B1 (ko) 2005-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H0717845A (ja) 皮膚外用剤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90070455A (ko)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769302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23600B1 (ko)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KR102498980B1 (ko)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6388A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3484B1 (ko)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21422A (ko) 아토피와 각종 피부염증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552307B1 (ko)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KR102313715B1 (ko) 은행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23368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