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248A -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248A
KR20030070248A KR1020020009707A KR20020009707A KR20030070248A KR 20030070248 A KR20030070248 A KR 20030070248A KR 1020020009707 A KR1020020009707 A KR 1020020009707A KR 20020009707 A KR20020009707 A KR 20020009707A KR 20030070248 A KR20030070248 A KR 2003007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inforcement
reinforcing bar
elastic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0066B1 (ko
Inventor
조홍준
Original Assignee
조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홍준 filed Critical 조홍준
Priority to KR10-2002-000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066B1/ko
Priority to CNB021574863A priority patent/CN1214166C/zh
Publication of KR2003007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및 구조물을 구축할 때 거푸집과 배근된 철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철근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를 한차례의 결속작업으로 수직 및 수평철근을 동시에 결속시키면서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벽체 및 기둥을 구축할 때 배근된 수직철근 또는 수평철근에 부착되어 상기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콘크리트 몰탈과 결합 친화력을 갖는 재질로 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 중간부분에 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폭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 지지되는 타측 지지면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상,하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철근수용홈과; 상기 철근수용홈을 기준하여 그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 각각의 단면 중간부분 각각에 상,하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줄홈과; 상기 양측 줄홈 각각의 후방측에 위치한 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양측 관통공과; 상기 양측 관통공 각각에 탄력적으로 압삽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철근을 탄력적으로 압지하는 한쌍의 탄성크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One touch clip type wall spacer}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및 구조물을 구축할 때 거푸집과 배근된 철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철근에 설치되는 스페이서(spacer)를 한차례의 결속작업으로 수직 및 수평철근을 동시에 결속시키면서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Wall spac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구축할 때에는 구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와 같은 간격으로 거푸집을 서로 마주하게 설치한 다음 양측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양측 거푸집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간격유지구로는 두 종류가 있는데, 그 하나는 거푸집과 거푸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철판을 소재로 하여 막대기 처럼 절곡가공되어 양측 거푸집의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로 지지하는 세파레이터(separator), 양측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P.V.C 콘 및 P.V.C 튜브와 함께 사용한 후 회수되는 타이볼트(Tie bolt), 타이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콘너트와 함께 양측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세파볼트(Sepa Bolt), 철제 거푸집(일명 유로폼이라고 함)에 사용되는 후렛타이(Falt Tie), 그 외 목제 또는 목제의 일면에 철판이 부착되어 있는 갱폼과 유로폼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세파타이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다른 하나는 배근된 철근에 설치되어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원형(도너츠형)으로 형성된 스페이서가 있다.
상기 원형 스페이서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된 것으로, 일측이 단절되어 철근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지지테와, 철근이 끼워져 고정되는 중심테 그리고 원형지지테와 중심테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리브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종래 기술의 원형 스페이서는 철근의 삽입이 잘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심테의 내경을 철근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는 한편 삽입통로에서 중심테를 향해 연장된 두개의 돌출편이 중심테에 끼워진 철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 두개의 돌출편이 철근을 지지하는 탄력이 견고하지 못할 뿐 아니라 수평철근에만 끼워져 있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시 거푸집이 미는 압력에 의해 철근에서 이완되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할 때 원형 스페이서가 철근에서 이탈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으며, 또한 원형 스페이서는 플라스틱 재질이기 때문에 큰크리트와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키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원형 스페이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벽체 또는 기둥을 구축하기 위해 배근되는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을 한차례의 결속작업으로 동시에 결속시키면서 거푸집 설치시 거푸집의 미는 압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철근에서 이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압에도 이탈되지 않고 철근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으며,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재질로 제조된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벽체 및 기둥을 구축할 때 배근된 수직철근 또는 수평철근에 부착되어 상기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콘크리트 몰탈과 결합 친화력을 갖는 재질로 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 중간부분에 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폭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 지지되는 타측 지지면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상,하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철근수용홈과;
상기 철근수용홈을 기준하여 그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 각각의 단면 중간부분 각각에 상,하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줄홈과;
상기 양측 줄홈 각각의 후방측에 위치한 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양측 관통공과;
상기 양측 관통공 각각에 탄력적으로 압삽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철근을 탄력적으로 압지하는 한쌍의 탄성크립;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콘크리트 몰탈과 결합 친화력을 갖는 시멘트, 고령토, 규사를 혼합 반죽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한쌍의 탄성크립은 본체의 양측 관통공에 끼워질 때 각 관통공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압착되면서 삽입되는 탄성호형부와, 각 관통공의 하부로 노출되면서 걸림되는 걸림단부와, 양측 관통공과 줄홈 각각의 상단을 압지하는 상단지지부와, 상기 양측 돌출부에서 돌출되어 철근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단부 및 철근을 탄력적으로 압지하여 본체를 철근에 고정 부착시키는 압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크립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철근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철근수용홈
12 : 돌출부 13 : 줄홈
14 : 지지면 15 : 관통공
2 : 탄성크립 21 : 탄성호형부
22 : 걸림단부 23 : 상단지지부
24 : 압지부 25 : 안내단부
3 : 수직철근 4 : 수평철근
5 : 거푸집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크립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철근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본체를, 2는 한쌍의 탄성크립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본체(1)는 콘크리트 몰탈과 결합이 잘되는 친화력을 갖는 시멘트·고령토·규사를 원료로 하여 제조금형에 의하여 블럭과 같이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의 일측면 중간부분에는 수직철근(3)을 수용하는 철근수용홈(11)이 상,하 수직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철근수용홈(11)을 기준하여 그 좌,우측에 형성된 양측 돌출부(12) 각각의 중간부에도 상,하 수직상으로 형성된 양측 줄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철근수용홈(11)의 개구폭은 수직철근(3) 또는 수평철근(4)의 직경과 같거나 조금 큰 규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깊이는 수직 또는 수평철근의 직경과 같거나 조금 작은 규격으로 형성되는데, 그 개구폭 및 깊이는 철근수용홈(11)에 수용되는 수직 및 수평철근의 굵기(직경)에 따라 변동되는 규격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양측 돌출부(12)에 형성된 양측 줄홈(13) 각각의 후방으로서 거푸집(5)이 지지되는 타측 지지면(14)를 향해 줄홈(13)과 일직선을 이루는 양측 돌출부(12)의 후방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양측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양측 돌출부(12)의 수직단면부와 그 후방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양측 줄홈(13) 및 관통공(15)의 좌,우 폭은 직경이 작은 강철선으로 구성된 한쌍의 탄성크립(2)을 수용할 수 있도록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관통공(15)의 전,후 폭은 그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탄성크립(2)은 탄성이 강한 강철선을 소재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상기 본체(1)의 좌,우 양측 돌출부(12)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 양측 관통공(15)으로 압삽되는 부분과 양측 돌출부(12)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양측 관통공(15)으로 압삽되는 부분에는 상기 관통공(15)으로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압착되는 탄성호형부(21)와 관통공(15)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그 하단에 걸림되는 걸림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호형부(21)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으로 절곡된 채 관통공(15)과 줄홈(13)의 상단으로 노출면서 그 상단을 압지하는 상단지지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단지지부(23)에서 연장되어 양측 돌출부(12)의 전방으로 돌출된 채 수직철근(3) 또는 수평철근(4)을 탄력적으로 압지하는 압지부(24)가 각 철근의 외주면을 밀착상태로 붙잡이 줄 수 있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압지부(24)의 끝단에는 철근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에 한쌍의 탄성크립(2)을 조립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한쌍의 탄성크립(2)의 탄성호형부(21)는 양측 관통공(15)에 강제로 눌러서 삽입하기 전에는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5)의 전,후폭(d)보다 더 큰 폭(D)의 반경을 갖는 원호를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선 걸림단부(22)를 관통공(15) 상측에서 삽입시키면서 탄성호형부(21)를 관통공(15)으로 삽입시킬 때에는 탄성호형부(21)의 탄성보다 강한 압력으로 눌러주게 되면 상기 탄성호형부(21) 자체는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강제로 삽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삽입되는 탄성호형부(21)의 반발탄력에 의해 관통공(15)으로 삽입된 상단지지부(23)의 일측부분과 탄성호형부(21)의 하단과 걸림단부(22)을 잇는 부분이 관통공(15)의 일측 내면(도면상 우측 내면)에 탄력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이며, 또한 본체(1)의 하측으로 노출된 걸림단부(22)는 관통공(15)의 하단에 걸림된 상태가 되어 탄성크립(2)이 본체(1)에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된 한쌍의 탄성크립(2)은 그 상단지지부(23)의 일측은 관통공(15)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한편 본체(1)에서 노출되는 타측은 양측 돌출부(12)의 줄홈(13) 상단에 끼여있게 되는 상태가 되어 한상의 탄성크립(2) 각각은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양측 관통공(15)과 줄홈(13)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한쌍의 탄성크립(2)이 조립된 본체(1)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설치방법이다. 즉, 상,하 수직상으로 형성된 철근수용홈(11)이 수직철근(3)을 수용하도록 설치하면서 양측 돌출부(12)에서 돌출된 한쌍의 탄성크립(2)의 안내단부(25)가 수평철근(4)의 상부에 접촉되게 하면서 압지부(24) 내측으로 수평철근(4)이 끼워지도록 본체(1)에 힘을 가하게 되면 경사진 안내단부(25)가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수평철근(4)은 압지부(24)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압지부(24)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삽입된 수평철근(4)을 강하게 압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수직철근(3)과 수평철근(4)이 직교하는 부분에 설치된 본체(1)는 철근수용홈(11)내측의 수직면과 좌,우측 수직면이 수직철근(3)의 3방향에서 밀착된 상태로 포위하고 있으며, 또한 양측 돌출부(12)는 수직철근(3)의 좌,우 양측을 포위한 상태에서 한쌍의 탄성크립(2)의 강한탄성압지력에 의하여 수평철근(4)에 밀착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본체(1)는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의 교차지점에 요지부동의 상태로 설치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체(1)는 수직철근(3)과 수평철근(4)이 직교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 원형 스페이서를 수평철근에 설치한 것에 비하여 거푸집(5)을 받쳐주는 강도가 더욱 강해져 거푸집(5)을 본체(1)의 지지면(14)에 강하게 밀착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으며,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압이 본체(1)에 작용하게 되더라도 본체(1)가 철근에서 이탈하거나 또는 좌,우로 밀려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설치 당시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거푸집(5)을 지지하고 있게 되므로서 구축하고자 하는 벽체 및 기둥을 설계에서 정한 두께로 구축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체(1)는 콘크리트 몰탈과 결합이 잘 되는 친화력을 갖는 시멘트, 고령토, 규사를 원료로 하여 제작되어 있으므로 거푸집(5)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있는 본체(1)는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탈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플라스틱재질로 된 종래의 스페이서에 비하여 구축되는 벽체 및 기둥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며, 또한 본체(1)는 콘크리트 몰탈과 같은 색상을 띠고 있으므로서 거푸집(5)을 해체하였을 때 거푸집(5)을 지지하고 있던 본체(1)의 지지면(14)이 경화된 콘크리트 벽면에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종래의 플라스틱제 스페이서로 벽면을 구축한 후 벽면에 노출된 플라스틱을 은폐시키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서 인건비을 줄일 수 있고 공기도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특징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콘크리트 벽체 및 기둥을 구축할 때 기 배근된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이 직교상으로 교차하는 부분에 본체를 설치함에 있어 본체의 철근수용홈에 수직철근이 수용되게 하면서 한쌍의 탄성크립을 한차례의 부착작업으로 수평철근에 강한 탄성력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본체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체는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어 종래 기술에서 수평철근에 원형 스페이서를 설치한 것에 비하여 설치강도가 강하여 거푸집을 본체에 강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할 때에도 이탈되거나 좌,우로 밀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처음 설치 당시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서 벽체 및 기둥을 설계에서 정한 두께로 구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체의 재질이 콘크리트 몰탈과 결합친화력을 갖고 있으므로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벽체 및 기둥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종래 기술의 원형 스페이서는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해체하였을 때 벽체 및 기둥의 내,외면에 표출된 플라스틱 부분을 시멘트 몰탈로 미장하여 은폐시켜는 마감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월 스페이서는 본체의 재질이 콘크리트 몰탈과 같은 시멘트이므로 거푸집을 해체하였을 때 벽체 및 기둥의 내,외면에 표출되는 본체의 지지면이 콘크리트 몰탈과 같은 색상을 띠게 되므로서 종래와 같이 시멘트 몰탈로 마감하는 마감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벽체 및 기둥을 구축할 때 배근된 수직철근 또는 수평철근에 부착되어 상기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콘크리트 몰탈과 결합 친화력을 갖는 재질로 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 중간부분에 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폭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 지지되는 타측 지지면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상,하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철근수용홈과;
    상기 철근수용홈을 기준하여 그 좌,우측에 형성된 돌출부 각각의 단면 중간부분 각각에 상,하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줄홈과;
    상기 양측 줄홈 각각의 후방측에 위치한 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양측 관통공과;
    상기 양측 관통공 각각에 탄력적으로 압삽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철근을 탄력적으로 압지하는 한쌍의 탄성크립;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콘크리트 몰탈과 결합 친화력을 갖는 시멘트, 고령토, 규사를 혼합 반죽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탄성크립은 본체의 양측 관통공에 끼워질 때 각 관통공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압착되면서 삽입되는 탄성호형부와, 각 관통공의 하부로 노출되면서 걸림되는 걸림단부와, 양측 관통공과 줄홈 각각의 상단을 압지하는 상단지지부와, 상기 양측 돌출부에서 돌출되어 철근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단부 및 철근을 탄력적으로 압지하여 본체를 철근에 고정 부착시키는 압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10-2002-0009707A 2002-02-23 2002-02-23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100440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707A KR100440066B1 (ko) 2002-02-23 2002-02-23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CNB021574863A CN1214166C (zh) 2002-02-23 2002-12-20 快速贴合式壁隔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707A KR100440066B1 (ko) 2002-02-23 2002-02-23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248A true KR20030070248A (ko) 2003-08-30
KR100440066B1 KR100440066B1 (ko) 2004-07-14

Family

ID=2780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707A KR100440066B1 (ko) 2002-02-23 2002-02-23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40066B1 (ko)
CN (1) CN1214166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03B1 (ko) * 2006-06-30 2007-05-16 김봉주 유연철물을 구비한 스페이서
KR20170031336A (ko)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아이맥스트럭처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432B (zh) * 2013-06-24 2015-04-29 徐金盛 一种高强度混凝土垫块及其制作方法
CN108274593A (zh) * 2018-03-05 2018-07-13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水泥轨枕自动挡浆夹
KR102355995B1 (ko) * 2021-03-08 2022-02-08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969Y1 (ko) * 1988-05-18 1991-07-12 박만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용 세퍼레이터
KR910002425Y1 (ko) * 1988-07-05 1991-04-20 설승훈 철근 받침대
JP2741458B2 (ja) * 1992-07-08 1998-04-15 大トー株式会社 鉄筋の間隔保持具及び鉄筋保持具
KR950019062U (ko) * 1993-12-13 1995-07-24 강환봉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간격유지구
KR970006113Y1 (ko) * 1994-03-31 1997-06-19 선경건설 주식회사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KR19990084367A (ko) * 1998-05-06 1999-12-06 조홍준 고령토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고강도 스페이서를제조하는 방법
KR200275111Y1 (ko) * 1999-05-19 2002-05-10 조홍준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JP2001032447A (ja) * 1999-07-27 2001-02-06 Sanyoo:Kk 鉄筋保持具
JP2001182223A (ja) * 1999-12-28 2001-07-03 Sanshin Giken Kk 型枠内鉄筋支持具およびそれに用いるモルタルコー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03B1 (ko) * 2006-06-30 2007-05-16 김봉주 유연철물을 구비한 스페이서
KR20170031336A (ko)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아이맥스트럭처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KR101880343B1 (ko) * 2015-09-11 2018-07-19 주식회사 아이맥스트럭처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0066B1 (ko) 2004-07-14
CN1214166C (zh) 2005-08-10
CN1439787A (zh)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539B2 (en) Concrete form panels, concrete wall and method of forming
KR100440066B1 (ko)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200209620Y1 (ko) 콘크리트거푸집용 팀버브라켓트
KR100419881B1 (ko) 거푸집용 투명패널 및 이를 이용한 투명거푸집 구조
KR200275111Y1 (ko)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JP3706476B2 (ja) 間隔保持用部材及びそれを含む型枠形成用部材
CN219864251U (zh) 一种无梁楼盖固定结构
KR200317486Y1 (ko) 규격폼과 규격폼의 연결구조
KR200352520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조절구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100397580B1 (ko) 건물용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0114180Y1 (ko) 거푸집 조임장치
KR102163109B1 (ko)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KR200394623Y1 (ko) 유로폼 보강재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KR200306758Y1 (ko) 각목 설치용 클램프
KR20010090924A (ko) 유로폼 거푸집용 스페이서
KR102022185B1 (ko) 거푸집용 목재 지지대 고정구
KR200184342Y1 (ko) 철근구조물의 철근 고정구조
KR970005542Y1 (ko)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KR20030023315A (ko)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JPH1046716A (ja) 複数のプレートを端部に有するスペーサー部材を用いた成形体繋ぎあわせ式コンクリート型枠材料
JPH0627717Y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締付座金用補助具
KR19980032110U (ko) 철근간격유지대
KR200262343Y1 (ko) 콘크리트벽체 공사용 스페이서
KR200249981Y1 (ko) 거푸집 패널의 수평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