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111Y1 -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111Y1
KR200275111Y1 KR2019990008589U KR19990008589U KR200275111Y1 KR 200275111 Y1 KR200275111 Y1 KR 200275111Y1 KR 2019990008589 U KR2019990008589 U KR 2019990008589U KR 19990008589 U KR19990008589 U KR 19990008589U KR 200275111 Y1 KR200275111 Y1 KR 200275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spacer
sides
spac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043U (ko
Inventor
조홍준
Original Assignee
조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홍준 filed Critical 조홍준
Priority to KR2019990008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111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0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Spacer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및 구조물의 벽체나 기둥에 배근되는 철근과 거푸집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철근에 설치되어 거푸집과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월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좌,우측 길이가 지름보다 길고 측면 단면형상이 우물 정(井)자형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 본체와,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좌,우 양측에 대칭상으로 형성되며,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자형으로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성하며,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구획부를 기준하여 양측에 대칭상으로 형성되는 '+'자형의 삽입부 각각의 삽입홈 간격을 일측은 넓고 타측 좁게 형성하여 굵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철근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양측 '+'자형의 삽입부 각각을 형성하는 수직 및 수평방향 삽입홈의 깊이를 깊고 낮게 형성하며, 상기 양측에 형성된 '+'자형 삽입부 각각의 삽입홈 양측에 탄성지지편을 형성하여 삽입된 철근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WALL SPACER}
본 고안은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및 구조물의 벽체나 기둥에 배근되는 철근을 붙잡아주는 스페이서로서, 특히 철근이 거푸집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게 하기 위하여 철근에 설치되어 거푸집과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월 스페이서(WALL SPC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및 구조물을 구축할 때에는 바닥이나 각 층의 슬라브는 물론이고 벽체와 기둥에 철근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철근이 설계에 맞추어 거푸집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벽체나 기둥에 설치되는 철근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월 스페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츠형으로 구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는 바, 상기 월 스페이서(100)는 그 중심에 형성된 철근삽입부(101)와 환형 지지부(102)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연결리브(103)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철근삽지부(101)와 환형 지지부(102) 각각의 일측에는 철근(200)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개구된 삽입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삽입홈(104)의 양측에는 철근삽지부(101)를 향해 대칭상으로 돌출되어 철근(200)이 삽입될 때에는 탄력적으로 벌어졌다가 철근(200)이 일단 삽입되면 철근을 압착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탄력지지편(10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지지부(102)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도너츠형 월 스페이서(100)가 거푸집에 닿았을 때 회전하지 않게 하는 회전방지돌기(106)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도너츠형 월 스페이서(100)는 환형 지지부(102) 자체가 두께가 얇고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여 거푸집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환형 지지부(102)가 찌끄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철근(200)과 거푸집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못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또한 종래 기술의 도너츠형 월 스페이서(100)는 철근(200)이 설치되는 철근삽입부(101)가 중심에 하나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200)의 굵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규격으로 된 월 스페이서(100)를 구비해야 하므로 월 스페이서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사출금형을 여러 벌 제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월 스페이스를 단면이 우물 정(井)자형의 사각 기둥형으로 형성하여 '+'자로 교차되는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을 동시에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자형의 삽입부를 형성하므로서 월 스페이서가 거푸집의 압력을 충분히 견디면서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철근과 거푸집과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월 스페이서의 양측에 굵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철근을 붙잡아 줄 수 있도록 간격이 넓고 좁은 '+'자형의 삽입부를 대향지게 형성하므로서 하나의 월 스페이서를 가지고 굵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철근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이 +자형으로 교차되는 부위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페이서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본체는 상,하측 길이보다 좌,우측 길이를 길게 형성한 다음 길이가 긴 좌,우측을 기준하여 좌,우 양측 각각에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대칭상으로 형성되며, 굵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철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 삽입홈은 넓은 간격을, 타측 삽입홈은 좁은 간격을 가지도록 각각 +자형으로 형성되는 양측 삽입부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양측에 대칭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삽입부 각각에 형성되는 수평 삽입홈의 깊이는 깊게 형성되고, 수직 삽입홈의 깊이는 낮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또한 상기 양측 삽입부의 수직 및 수평 삽입홈 각각의 내측에 철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지지편을 서로 마주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의 (A)(B)는 본 고안의 월 스페이서의 실시예 사시도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월 스페이서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부
의 간격을 비교하기 위한 좌,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월 스페이서 사용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월 스페이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월 스페이서에 형성된 탄성지지편의 작동상태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월 스페이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페이서 본체 11 : 구획부
12 : 보강부 2,3 : 삽입부
21,31 : 수평 삽입홈 22,32 : 수직 삽입홈
23,33 : 지지부 24,34 : 탄성지지편
4 : 살빼기공 5 : 수직철근
6 : 수평철근 7 : 거푸집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B)는 본 고안의 월 스페이서의 실시예 사시도들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월 스페이서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부의 간격을 비교하기 위한 좌,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월 스페이서 사용상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월 스페이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월 스페이서에 형성된 탄성지지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스페이서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 본체(1)는 3∼7mm(바람직하게는 5mm)의 두께로 측면 단면이 대략적으로 우물 정(井)자형을 이루면서 사각 기둥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스페이서 본체(1)는 수평 및 수직철근(5)(6)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도 4 참조)을 기준하여 좌,우측 길이(H1)가 상,하측 길이(H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 본체(1)는 상,하측 길이(H2)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획부(11)를 기준하여 양측에 +자형의 삽입부(2)(3)가 형성되는데, 상기 일측의 삽입부(2)의 수직 및 수평 삽입홈(21)(22)의 간격(L1)과 타측의 삽입부(3)의 수직 및 수평 삽입홈(31)(32)의 간격(L2)은 서로 다르게(L1L2)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측 삽입부(2)가 굵은 철근(예; 직경이 15mm인 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및 수평 삽입홈(21)(22)의 간격(L1)을 넓게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그 반대측의 타측 삽입부(3)는 가는 철근(예; 직경이 10mm인 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및 수평 삽입홈(31)(32)의 간격(L2)은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본체(1)의 양측에 형성되는 +자형의 삽입부(2)(3) 각각을 구성하고 있는 수평 삽입홈(21)(31)은 깊이를 깊게 형성하는 한편, 수직 삽입홈(22)(32)의 깊이는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수직 삽입홈(22)(32) 각각에는 지지부(23)(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본체(1)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네곳에 형성되는 코너부에는 상기 구획부(11)와 일치하는 위치에 보강부(12)를 형성하여 스페이서 본체(1)의 강도를 증강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페이서 본체(1)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재료의 절감을 위하여 +자형 삽입부(2)(3)의 수평 및 수직 삽입홈 각각의 벽면에 살빼기공(4)을 다수 형성하는데, 상기 살빼기공(4)들은 스페이서 본체(1) 자체가 거푸집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한곳의 벽면에 한개 또는 복수개씩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도 1의 (A)(B)의 실시예와 같이 스페이서 본체(1)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벽면 양 끝부분을 모따기하거나 또는 수직단면 그대로를 유지시킬 수 있는데, 상기한 (A)도의 경우에는 재료를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B)도의 경우에는 거푸집(5)과의 접촉면이 넓어져 스페이서 본체(1)의 설치에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 본체(1) 양측에 형성된 +자형의 삽입부(2)(3) 각각의 수평 삽입홈(21)(31) 중간부분과 수직 삽입홈(22)(32)의 삽입단 양쪽 벽면에는 내측을 향해 대칭상으로 돌출되는 탄성지지편(24)(3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탄성지지편(24)(34)이 철근의 삽입을 탄력적으로 허용할 수 있도록 구멍(25)(35)을 형성하므로서 수평철근(5) 및 수직철근(6) 각각을 해당 삽입홈으로 삽입시킬 때 상기 탄성지지편(24)(34)들이 탄력적으로 구멍(25)(35)속으로 몰입되는 한편 각 철근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 즉, 각 삽입홈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삽입된 각 철근을 탄력적으로 압착 지지하도록 하므로서 상기 스페이서 본체(1)가 수평철근(5) 및 수직철근(6)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체나 기둥에는 수직철근(6)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 설치되며, 상기 수직철근(6)들을 고정시키는 수평철근(5)이 일정높이로 다수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 및 수직철근(5)(6)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7)이 설치되는데, 본 고안은 상기한 수평 및 수직철근(5)(6)들이 교차하는 곳에 설치되어 상기한 철근과 거푸집(7)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스페이서 본체(1)를 설치하는 과정 및 그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 굵은 철근에 사용되는 것을 실시예로 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 본체(1)의 일측에 굵은 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간격(L1)이 넓게 형성된 일측 +자형의 삽입부(2)를 수평철근(5)과 수직철근(6)이 서로 +로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통상 수평철근(5)은 안쪽에 위치하고 수직철근(6)은 바깥에 위치하게 되므로 깊이가 깊게 형성된 수평 삽입홈(21)은 상기한 수평철근(5)과 수평철근(6)을 함께 수용하도록 상기 스페이서 본체(1)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수평철근(5)은 깊이가 깊게 형성된 수평 삽입홈(21)에 수용되는 한편 상기 수직철근(6)은 깊이가 낮은 수직 삽입홈(22)에 수용되게 되므로서 상기 스페이서 본체(1)의 일측에 넓은 간격(L1)으로 형성된 +자형의 삽입부(2)가 상기한 수평 및 수직철근(5)(6)을 동시에 수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스페이서 본체(1)에 삽입된 수평 및 수직철근(5)(6)은 상기 수평 및 수직 삽입홈(21)(22)의 끝단면을 형성하고 있는 구획부(11) 및 지지부(23) 각각에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스페이서 본체(1) 자체는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 삽입홈(21)의 중간부분와 수직 삽입홈(22)의 삽입단 양측에 형성된 탄성지지편(24)들은 도 7의 도시예와 같이 수평 및 수직철근(5)(6)이 삽입될 때에는 구멍(25)을 향해 탄력적으로 몰입되었다가 상기한 수평 및 수직철근이 탄성지지편(24)을 통과하여 삽입이 완료된 상태가 되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돌출되면서 수평 및 수직철근(5)(6)을 구획부(11) 및 지지부(23)쪽을 향해 탄력적으로 압착하게 되므로서 상기 스페이서 본체(1)는 수평 및 수직철근(5)(6)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설치상태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스페이서 본체(1)가 수평 및 수직철근(5)(6)에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서 거푸집(7)과의 설치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게 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는 굵은 굵기의 수평 및 수직철근(5)(6)에 상기 스페이서 본체(1)를 설치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가는 굵기의 철근에 스페이서 본체(1)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는 철근을 수용하는 +자형의 삽입부(3)가 가는 굵기의 수평 및 수직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굵은 철근을 수용하는 +자형 삽입부(2)가 형성된 부분은 거푸집(7)에 지지되도록 하는데, 이 경우에도 +자형 삽입부(3)를 형성하고 있는 수평 삽입홈(31) 및 수직 삽입홈(32)의 끝단면을 형성하고 있는 구획부(11)와 지지부(33)에 가는 수평 및 수직철근이 밀착됨과 동시 탄성지지편(34)에 의하여 견고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 본체(1)는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어짐 없이 수평한 상태에서 거푸집을 지지하게 되므로 철근과 거푸집과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스페이서 본체를 측면 단면형상이 우물 정(井)자형으로 형성시킨 다음 그 양측에 '+'자형의 삽입부를 형성하되, 양측 삽입부의 수평 및 수직 삽입홈의 간격을 넓고 좁게 구성하는 수단으로 하나의 스페이서 본체를 가지고 굵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철근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스페이서 본체는 3∼7mm 정도의 두께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벽면을 우물 정(井)자형으로 성형하는 수단으로 종래 기술의 도너츠형 월 스페이서에 비하여 강한 강도를 보유하게 됨과 동시 수직 및 수평철근을 동시에 수용하게 되므로서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어지는 현상없이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특징이 있어 철근과 거푸집과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주며, 나아가 하나의 스페이서 본체를 굵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철근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 본체를 사출성형하는 금형의 제작수를 줄일 수 있게 하여 금형제작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가져다주는 등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또는 구축물 구축작업시 콘크리트 벽체 및 기둥이 설계대로 구축될 수 있게 하는 특징과 함께 거푸집의 설치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이 +자형으로 교차되는 부위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페이서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본체는 상,하측 길이보다 좌,우측 길이를 길게 형성한 다음 길이가 긴 좌,우측을 기준하여 좌,우 양측 각각에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대칭상으로 형성되며, 굵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철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 삽입홈은 넓은 간격을, 타측 삽입홈은 좁은 간격을 가지도록 각각 +자형으로 형성되는 양측 삽입부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본체의 양측에 대칭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삽입부 각각에 형성되는 수평 삽입홈의 깊이는 깊게 형성되고, 수직 삽입홈의 깊이는 낮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삽입부의 수직 및 수평 삽입홈 각각의 내측에 철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지지편을 서로 마주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KR2019990008589U 1999-05-19 1999-05-19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KR200275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589U KR200275111Y1 (ko) 1999-05-19 1999-05-19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589U KR200275111Y1 (ko) 1999-05-19 1999-05-19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43U KR20000021043U (ko) 2000-12-15
KR200275111Y1 true KR200275111Y1 (ko) 2002-05-10

Family

ID=4216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589U KR200275111Y1 (ko) 1999-05-19 1999-05-19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1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066B1 (ko) * 2002-02-23 2004-07-14 조홍준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WO2009128676A2 (ko) * 2008-04-18 2009-10-22 Jung Moon Hyoung 흙 벽체 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흙 벽체 틀과 흙 구들 틀 그리고 이를 이용한 흙 벽체 축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43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128A (en) Interlocking mortarless building block system
WO1991010791A1 (en) Insulating block form for constructing concrete wall structures
UA73949C2 (en) Improved system for wall construction with falsework
US3449878A (en) Building bricks or blocks and structures utilising the same
WO2000065166A1 (en)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same
KR200275111Y1 (ko)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KR101828341B1 (ko) 판형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157355Y1 (ko)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100440066B1 (ko)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101155829B1 (ko) 벽체용 스페이서
US6145267A (en) Interlocking blocks of precise height
KR20080041977A (ko) 거푸집형 블럭
KR200258518Y1 (ko) 건축용 단열재 조립패널
JP3706476B2 (ja) 間隔保持用部材及びそれを含む型枠形成用部材
KR200262343Y1 (ko) 콘크리트벽체 공사용 스페이서
KR100396310B1 (ko) 건축용 철근받침구
US5553432A (en) Horizontal forming block with curved side wall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KR200397318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유니트
KR20200038829A (ko)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KR102543584B1 (ko) 서포트 존치 및 조기탈형이 가능한 와플폼 시스템
KR102369376B1 (ko) 철근받침대 및 철근받침대 성형용 금형장치
KR0132926Y1 (ko) 다목적 조적블록
KR200334292Y1 (ko) 주택 기초용 조립식 프리캐스팅 블록
KR200203651Y1 (ko) 벽체성형 블록
KR200210569Y1 (ko) 철근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