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995B1 -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995B1
KR102355995B1 KR1020210030329A KR20210030329A KR102355995B1 KR 102355995 B1 KR102355995 B1 KR 102355995B1 KR 1020210030329 A KR1020210030329 A KR 1020210030329A KR 20210030329 A KR20210030329 A KR 20210030329A KR 102355995 B1 KR102355995 B1 KR 102355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lip member
support body
reinforcing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황
전계남
김상호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0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에 밀착되어 철근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지지체와,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져서 지지체에 결합 구비되어 있으며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철근을 감으면서 체결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쉽고 신속하게 철근에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후에는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콘크리트의 흐름 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철근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Spacer for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매립 배근되는 철근과 거푸집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철근의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철근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철근에 밀착되어 철근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지지체와,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져서 지지체에 결합 구비되어 있으며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철근에 감겨서 체결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쉽고 신속하게 철근에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후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흐름 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철근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콘크리트에 매립 배근되는 철근의 적절한 피복 두께 확보를 위하여 미리 거푸집과 철근 사이에 철근 스페이서를 끼워두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5-0030596호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 이용되던 여러 형태의 철근 스페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짐하는 과정에서 철근 스페이서에 충격이 가해져 철근 스페이서가 거푸집과 철근 사이에서 이탈하거나 또는 철근이 콘크리트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스페이서가 하부로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 현장에서는 철사를 이용하여 철근 스페이서를 철근에 감아서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철근 스페이서의 설치 속도와 효율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무엇보다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철근 스페이서의 결속상태가 좌우되어 콘크리트 타설시에 여전히 철근 스페이서가 제자리를 유지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기타 다양한 형태의 철근 스페이서가 존재하지만 이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없거나 또는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가격이 고가여서 실제 현장에서는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5-0030596호(1995. 11. 20.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철근과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및 다짐 과정에서 원래 설치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거푸집과 철근 사이에 정해진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철근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비숙련 작업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철근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어서 현장에서의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철근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거푸집에 닿게 되는 접지면적이 매우 작아서 설치한 자국이 남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철근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서로 교차하는 제1철근과 제2철근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철근과 거푸집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철근의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철근 스페이서로서, 제1철근의 정면을 감싸면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여 제1철근과 거푸집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와, 탄성을 가지며 길게 연장된 한 쌍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서 지지체의 후방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제1철근을 따라 연장되어 제2철근을 감싼 후 타단이 제1철근을 감싸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클립부재의 타단 사이를 벌려서 클립부재를 이루는 한 쌍의 탄성 부재 사이에 제1철근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지지체의 후방면이 제1철근의 전방측에 밀착되게 만들면 제1절곡부는 자동적으로 제2철근의 후방측을 감싸게 되고 클립부재의 타단 사이를 벌려서 타단에 형성된 제2절곡부를 제1철근의 전방측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클립부재의 탄성에 의해 제2절곡부가 제1철근의 전방측을 감싸게 되어 지지체가 제1철근에 밀착됨과 동시에 클립부재가 제1철근과 제2철근에 동시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철근 스페이서는 매우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타설 및 다짐을 진행할 동안에도 원래 설치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철근 스페이서를 이용하게 되면 거푸집과 철근 사이에는 사전에 정해놓은 철근 피복두께를 신뢰성있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철근 스페이서는 서로 직교하는 제1철근과 제2철근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철근이 직교하는 교차점에서는 별도의 철선 등을 이용하여 제1,2철근을 엮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지며, 그에 따라 철근 배근 작업이 간소화되고 그에 따라 작업비용 및 작업시간을 줄여서 더욱 경제적인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철근 스페이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사용되는 재질은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필요할 경우에는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또는 몰탈 등을 이용하여 쉽고 저렴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 스페이서는 지지체를 뿔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타설된 콘크리트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되며, 거푸집에 닿게 되는 접지면적이 매우 작아서 설치한 자국이 남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되는 매우 유용한 장점도 발휘하게 된다.
도 1의 (a) 내지 (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의 철근 스페이서가 철근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를 제설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후방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의 (a) 내지 (d)에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가 철근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철근을 기준으로 거푸집(도시를 생략함)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기재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기재한다. 도 1의 (b)에서 화살표 A는 전방을 향하는 것을 나타내며 화살표 B는 후방을 향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2개의 철근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함에 있어서 편의상 세워진 십자(十字) 형태로 도시하였는데, 이 때 도면에서 교차점에서 거푸집(도시를 생략함)과 더 가까운 쪽 즉, 전방측에 위치하는 철근(전방측 철근)은 "제1철근(201)"으로 명명하고, 후방측에 위치하는 철근(후방측 철근)은 "제2철근(202)"으로 명명한다. 제1철근이 길게 연장된 방향을 편의상 "제1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제2철근이 길게 연장된 방향은 "제2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도면에서는 수직방향이 제1방향으로 되어 있고 수평방향이 제2방향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 배치에서는 수직방향이 제2방향으로 되고 수평방향이 제1방향으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2철근을 십자형태로 교차시켜서 배치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연직하게 세워진 형태가 아니라 바닥에 뉘어놓는 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는, 제1철근(201)의 정면을 감싸면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지지체(1)와, 강재 와이어와 같이 탄성을 가지며 길게 연장된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지지체(1)의 후방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제1철근(201)을 따라 연장되면서 제2철근(202)을 감싼 후 타단이 제1철근(201)을 감싸는 클립부재(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지지체(1)는 그 후방면이 제1철근(201)에 밀착하는 형태로 제1철근(201)의 전방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제1철근(201)과 거푸집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재이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지지체(1)는 전방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줄어드는 뿔대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1)가 이와 같이 뿔대 형태를 가지는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철근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에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흐르는 것을 지지체(1)가 방해하는 상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타설된 콘크리트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위와 같이 지지체(1)를 뿔대 형태로 제작하게 되면 지지체(1)의 전방 끝단이 거푸집에 닿게 되는 접지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거푸집을 탈형 하였을 때,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철근 스페이서(100)를 설치한 자국이 남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발휘된다. 도면에서는 뿔대 형태의 일예로서 원뿔대 형상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뿔대 형태의 지지체(1)에서 전방 끝단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곡선을 가지는 볼록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경우 거푸집에 닿는 접지면적이 매우 작아지게 되어 거푸집 탈형 후 설치 자국이 거의 남지 않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그러나 지지체(1)의 전방 끝단이 반드시 이러한 곡선의 볼록면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을 아니며,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다른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지지체(1)에서 제1철근(201)이 밀착되는 후방면에는 제1철근(201)이 끼워지는 오목홈(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홈(10)이 형성되는 경우, 제1철근(201)이 오목홈(10)에 끼워지는 형태로 지지체(1)가 제1철근(201)에 밀착됨과 동시에 지지체(1)의 후방면이 제2철근(202)에도 밀착될 수 있다. 오목홈(10)이 없는 경우에는 지지체(1)의 후방면이 제1철근(201)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체(1) 자체가 제1철근(201)을 회전축으로 하여 양쪽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그로 인하여 지지체(1)의 밀착 설치 상태가 다소 불안정해질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후방면에 오목홈(10)이 형성되어 제1철근(201)이 오목홈(10)에 끼워지는 형태로 지지체(1)가 설치되면 지지체(1)가 제1철근(201)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에 따라 지지체(1)의 밀착 설치가 매우 안정화된 상태가 되고, 철근과 거푸집 간의 정해진 간격 유지라는 지지체(1)의 기본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목홈(10)이 형성되어 제1철근(201)이 오목홈(10)에 끼워지게 되면 지지체(1)가 제2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2철근이 연직면에 세워지고 특히 도면과 달리 제2방향이 연직방향으로 되었을 때 지지체(1)가 연직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지이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1,2철근이 직교하는 경우에 철근 스페이서(100)를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한 채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클립(clip)부재(2)는 탄성을 가지며 길게 연장된 한 쌍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각각 강재 와이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탄성 부재가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하며 클립부재(2)의 일단은 지지체(1)의 후방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클립부재(2)의 일단을 지지체(1)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지지체(1)에 매립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클립부재(2)를 이루는 탄성 부재는 강재 와이어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클립부재(2)의 타측 즉, 지지체(1)에 고정된 일단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부분은 제1철근(201)이 연장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제2철근(202)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클립부재(2)에는 제2철근(202)의 후방측을 감싸도록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절곡된 제1절곡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후속하여 클립부재(2)의 타측 끝 부분 즉, 타단에는 각각 제1철근(201)을 감싸도록 절곡된 제2절곡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절곡부(22)는 클립부재(2)가 연장되던 방향과 직교하는 형태로 구부러진 갈고리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클립부재(2)의 제1절곡부(21)가 1차적으로 제2철근(202)의 후방측을 감싸면서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클립부재(2)의 타단에서는 2차적으로 제2절곡부(22)가 제1철근(201)의 전방측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
도 5 내지 도 8에는 각각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를 제1,2철근의 교차점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후방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철근 스페이서(100)는 제1,2철근의 교차점에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우선 작업자는 클립부재(2)의 타단 사이를 벌려서, 클립부재(2)를 이루는 한 쌍의 탄성 부재 사이에 제1철근(201)이 삽입되도록 한다(도 5 및 도 6 참조). 클립부재(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작업자가 클립부재(2)의 타단을 벌여서 한 쌍의 탄성 부재 사이에 제1철근(201)을 삽입한 후에는 한 쌍의 탄성 부재는 자동적으로 원위치 즉, 벌여지기 전의 상태로 복귀된다.
후속하여 작업자는 지지체(1)의 후방면이 제1철근(201)의 전방측에 밀착되게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클립부재(2)의 제1절곡부(21)는 자연스럽게 그리고 자동적으로 제2철근(202)의 후방측을 감싸게 된다(도 7 참조). 이와 병행하여 또는 이에 후속하여 클립부재(2)의 타단 사이를 벌려서 타단에 형성된 제2절곡부(22)를 제1철근(201)의 전방측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클립부재(2)의 탄성에 의해 제2절곡부(22)는 자연스럽게 그리고 자동적으로 제1철근(201)의 전방측을 감싸게 된다(도 8 및 도 3 참조). 클립부재(2)의 타단 사이를 벌려서 타단에 형성된 제2절곡부(22)를 제1철근(201)의 전방측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탄성에 의해 한 쌍의 탄성 부재가 벌어지기 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면서 제2절곡부(22)가 제1철근(201)의 전방측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는 제1,2철근의 교차점에 견고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체결 설치된다. 위에서는 각 설치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작업자는 위 설치단계의 과정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클립부재(2)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작업자가 약간의 힘으로 한 쌍의 탄성 부재를 벌려주고 타단의 위치를 바꾸기만 하여도 클립부재(2)는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위와 같은 형태로 제2철근(202)과 제1철근(201)에 동시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클립부재(2)가 제1,2철근에 견고하게 체결됨에 따라 지지체(1)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결합 설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다짐을 진행할 동안에 지지체(1) 및 이를 구비한 철근 스페이서(100)는 원래 설치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거푸집과 철근 사이에는 사전에 정해놓은 간격 즉, 설계된 철근 피복두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에서는 지지체(1)가 제1철근(201)에 밀착됨과 동시에 클립부재(2)가 제1철근(201)과 제2철근(202)에 동시에 결합된다. 즉, 클립부재(2)에 의해 제1철근(201)과 제2철근(202)이 엮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 기술에서는 제1,2철근이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여서 제1,2철근이 교차점에서 서로 밀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2철근이 직교하는 교차점에서는 별도의 철선 등을 이용하여 제1,2철근을 엮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를 제1,2철근의 교차점에 설치하게 되면, 클립부재(2)가 제1철근(201)과 제2철근(202)에 동시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2철근이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별적으로 움직여서 서로 밀착되지 못하여서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를 이용하게 되면 교차점에서 별도의 철선 등을 이용하여 제1,2철근을 엮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이 간소화되고 그에 따라 작업비용 및 작업시간을 줄여서 더욱 경제적인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발휘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에서 지지체(1)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특히 현장에서 사용하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 등을 이용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클립부재(2)의 일단을 지지체(1)에 고정시키는 것도 매우 용이한데, 예를 들어, 지지체(1)의 성형을 위한 몰드에 클립부재(2)의 일단부를 위치시키고 콘크리트 등을 몰드에 타설하여 지지체(1)를 제작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는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그만큼 현장에서 소요되는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100)는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미리 필요한 개수에 맞추어서 사전 제작하고 현장으로 운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거푸집(100)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데, 특히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할 수 있게 되므로 비숙련 작업자도 일관된 효과를 발휘하도록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 스페이서(100)는 제1,2철근의 교차점에 매우 쉽고 신속하게 그리고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체결 설치되며,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빠르고 경제적으로 설계된 철근 피복두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1: 지지체
2: 클립부재
100: 철근 스페이서

Claims (2)

  1. 전방의 제1철근(201)과 후방이 제2철근(202)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에 설치되어 철근과 거푸집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철근의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철근 스페이서(100)로서,
    제1철근(201)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위치하여 제1철근(201)과 거푸집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1)와,
    탄성을 가지며 길게 연장된 한 쌍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서 지지체(1)의 후방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은 제2철근(202)을 감싸면서 제1철근(201)을 따라 연장되어 타단이 제1철근(201)을 감싸는 클립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클립부재(2)의 타단 사이를 벌려서 클립부재(2)를 이루는 한 쌍의 탄성 부재 사이에 제1철근(201)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지지체(1)의 후방면이 제1철근(201)의 전방측에 밀착되게 만들면 제1절곡부(21)는 자동적으로 제2철근(202)의 후방측을 감싸게 되고 클립부재(2)의 타단 사이를 벌려서 타단에 형성된 제2절곡부(22)를 제1철근(201)의 전방측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클립부재(2)의 탄성에 의해 제2절곡부(22)가 제1철근(201)의 전방측을 감싸게 되어 지지체(1)가 제1철근(201)에 밀착됨과 동시에 클립부재(2)가 제1철근(201)과 제2철근(202)에 동시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지지체(1)는 전방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줄어드는 뿔대 형태를 가지며;
    뿔대 형태의 지지체(1)에서 전방 끝단은 곡선을 가지는 볼록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스페이서.
  2. 삭제
KR1020210030329A 2021-03-08 2021-03-08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KR102355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29A KR102355995B1 (ko) 2021-03-08 2021-03-08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29A KR102355995B1 (ko) 2021-03-08 2021-03-08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995B1 true KR102355995B1 (ko) 2022-02-08

Family

ID=8025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329A KR102355995B1 (ko) 2021-03-08 2021-03-08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9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596U (ko) 1994-04-19 1995-11-20 선경건설 주식회사 철근 받침용 스페이서
KR100440066B1 (ko) * 2002-02-23 2004-07-14 조홍준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101691168B1 (ko) * 2014-09-01 2016-12-29 (주)창신아그멕 교차 파이프용 와이어클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596U (ko) 1994-04-19 1995-11-20 선경건설 주식회사 철근 받침용 스페이서
KR100440066B1 (ko) * 2002-02-23 2004-07-14 조홍준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101691168B1 (ko) * 2014-09-01 2016-12-29 (주)창신아그멕 교차 파이프용 와이어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1974A (zh) 一种砌体填充墙与主体框架的柔性连接装置及方法
KR20060058756A (ko) 안정화된 토양 구조물 및 그 토양 구조물 건설용 외장재요소
KR20210073061A (ko)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55995B1 (ko)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KR20220126112A (ko) 직선형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KR20210073062A (ko) 외부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19536B1 (ko)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개량형 전단보강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벽체 배근공법
KR102065623B1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KR100343369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JP2001020295A (ja) アンカーボルト保持具
EP1242696B1 (en) Supporting method for hollow-core slabs and end attachment
KR200203661Y1 (ko)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KR102234463B1 (ko) 전단보강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보강 구조
JP6232190B2 (ja)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6587802B2 (ja) 配筋用スペーサおよび配筋方法
KR102553230B1 (ko)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KR100262119B1 (ko)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 결속용 커플러
JP6515120B2 (ja) 配筋方法
KR102289282B1 (ko) 단부 압착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및 이를 이용한 바닥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1355915B1 (ko) 차수판을 구비하는 피에이치씨 파일
KR102316590B1 (ko) 결속력이 상승된 그리드가 구비된 옹벽연결구조
KR102635026B1 (ko) Pc벽체 수평철근 연속화장치
KR200273400Y1 (ko)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KR102102744B1 (ko) 토목용 다기능 지압판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