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230B1 -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230B1
KR102553230B1 KR1020230002930A KR20230002930A KR102553230B1 KR 102553230 B1 KR102553230 B1 KR 102553230B1 KR 1020230002930 A KR1020230002930 A KR 1020230002930A KR 20230002930 A KR20230002930 A KR 20230002930A KR 102553230 B1 KR102553230 B1 KR 10255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precast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훈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이형훈
이상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훈, 이상협 filed Critical 이형훈
Priority to KR102023000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건축용 빔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 있어서, 지진하중이 발생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면서도 종방향 및 연결부위에서도 효과적으로 연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에 관한 것로서, 종래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종방향 및 횡방향 즉, 양방향으로 내부철근이 상, 하에 배근되도록 하여 임의의 방향에서 오는 지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종방향 및 연결부위에서도 효과적으로 연결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횡방향 연결철근과 종방향 연결철근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상, 하부에 연속 배치가 되어 임의의 방향에서 오는 지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상면으로 폐합되어 노출된 전단스트럽 철근인 상면 연결철근을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와 덧댐콘크리트의 휨 및 전단력에 대한 일체성을 갖게하여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와 덧댐콘크리트와의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하여 시간적 격차가 있는 시공단계를 갖지만 일체부재가 되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PRECAST EARTHQUAKE-RESISTANT HOLLOW SLAB AND THE CONNE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빔등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 있어서, 지진하중이 발생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 시공되며 덧댐콘크리와도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프리캐스트 슬래브(21,22)의 연결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프리캐스트 슬래브(22)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것으로서 통상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수평판 형태로 제작하게 되며,
이러한 프리캐스트 슬래브(22)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 연결철근(21)이 측면으로 후크 혀?痍?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도 1a와 같이 서로 이격된 프리캐스트 슬래브(22) 연결부위(b)에 상기 연결철근(21)이 서로 겹쳐지도록 세팅하고, 연결부위(b)에 미도시된 연결용 콘크리트등을 타설, 충전시켜 일체화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연결부위(b)를 별도로 이격 세팅시켜야 하고, 연결용 콘크리트등을 타설, 충전하는 작업이 수반될 수 밖에 없어 시공성과 작업성은 저하될 수 밖에 없으며,
도 1b는 종래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의 연결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는 내부에 중공부(S1)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자중감소에 유리하도록 하고, 측면으로는 연결철물(12)이 수평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면으로는 ㄷ자 형태의 전단철근(13)도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철물(12)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의 측면 연결부위(b1)에서 서로 체결되어 연결되고, 상기 전단철근(13)은 덧댐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매립됨으로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는 덧댐콘크리트(C)와 함께 서로 일체화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측면 연결부위(b1)의 연결철물(12)도 덧댐콘크리트(C)에 의하여 함께 매립되도록 하고 있으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의 양 하부플랜지가 서로 접하도록 하기 때문에 따로 측면 연결부위(b1)용 거푸집도 필요없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연결철물(12)을 서로 체결시키는 작업은 시공성 및 작업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전단철근(13)은 단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와 덧댐콘크리트(C)를 서로 합성시키는 역할 정도이어서 덧댐콘크리트(C)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의 구조적 일체성에 의한 내진성능까지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게 된다.
또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 내부에 배근된 주철근과 덧댐콘크리트(C)는 서로 구속되어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의 연결부위(b)는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지진하중에 매우 취약한 구조가 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1c는 종래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30)와 덧댐콘크리트(C)의 일체성 확보를 위한 연결수단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30)는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할 경우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철근을 미리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30)에 형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30) 외부로부터 중공부(S)를 연통시키는 연통홀(31)을 미리 형성시키고,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30)의 연통홀(31)에 후크형 연결철근(32)을 별도 삽입하고, 상기 후크형 연결철근(32)의 두부를 덧댐콘크리트(C)의 주철근(33)에 걸어 설치하여 덧댐콘크리트(C)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30)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후크형 연결철근(32)을 일일이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두부를 주철근(33)에 걸어 설치하는 것은 작업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고, 중공부(S)에 덧댐콘크리트(C) 또는 무수축콘크리트를 완전히 충전시켜야 하지만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059435호(발명의 명칭:프리캐스트 슬래브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공개일자: 2019년12월26일) 대한민국 특허 제10-2059435호(발명의 명칭:프리캐스트 슬래브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공개일자: 2022년06월15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4787호(발명의 명칭:프리캐스트 PSC 단일슬래브거더를 1점지지구조나 강결일체구조로 연결지지 한 연속다가구 프리캐스트PSC단일슬래브 거더교, 공개일자: 2005년09월07일)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의 내부철근과 일체로 형성된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부위 모두에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철근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되, 특히 횡방향 연결부위는 하부플랜지 측면이 서로 접하면서 형성된 연결공간에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을 삽입하고, 횡방향 연결철근이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과 서로 겹쳐지도록 하여 서로 일체화시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지진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용이하게 저항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의 내진성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덧댐콘크리트의 주철근과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상면 연결철근을 서로 폐합 및 연결시킬 수도 있도록 하고, 덧댐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시켜 시간을 달리하여 시공되는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와 덧댐콘크리트의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내진성능 확보에 유리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은 횡방향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더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덧댐콘크리트와 합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더욱 더 지진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 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는, 내부철근이 배근되고 중공부가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통부; 상기 내부철근과 일체로 연결되어, 몸통부 종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종방향 연결철근; 및 상기 내부철근, 종방향 연결철근과 일체로 연결되어 몸통부 횡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횡방향 연결철근;을 포함하여, 상기 종방향 연결철근과 횡방향 연결철근과 내부철근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일체로 함께 철근조립체로 제작되어 지진하중에 함께 저항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의 일측단부는 몸통부의 종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의 종방향 측면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의 일측단부는 몸통부의 횡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의 횡방향 측면 하부플랜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철근)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화 되어 임의의 방향에서 지진하중이 발생하더라도 함께 저항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는, 내부철근이 배근되고 중공부가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통부; 상기 내부철근으로부터 몸통부 상면으로 인출되어 몸통부 상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다수가 형성되며, 일측단부가 몸통부 상면으로 ㄷ자 형태의 중간부로 연장되고, 타측단부가 다시 내부철근에 연결되도록 하여, 몸통부 상면에 상면 연결철근이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노출되는 상면 연결철근; 및 상기 내부철근과 일체로 연결되어, 몸통부 종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종방향 연결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철근, 종방향 연결철근과 일체로 연결되어 몸통부 횡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횡방향 연결철근;을 포함하여, 상기 상면 연결철근, 종방향 연결철근과 횡방향 연결철근과 내부철근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일체로 함께 철근조립체로 제작되어 지진하중에 함께 저항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의 일측단부는 몸통부의 종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의 종방향 측면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의 일측단부는 몸통부의 횡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의 횡방향 측면 하부플랜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철근)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화 되어 임의의 방향에서 지진하중이 발생하더라도 함께 저항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빔 상면 공간인 종방향 연결공간을 이용하여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종방향 연결철근이 겹쳐지도록 하여 일체화시키고,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의 횡방향 연결부위는 하부플랜지 측면이 서로 접하면서 형성된 연결공간에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을 삽입하고,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횡방향 연결철근이 삽입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과 서로 겹쳐지도록 하여 서로 일체화시키기 때문에 이방향슬래브와 같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어 내진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의 횡방향 연결부위에 삽입되는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을 횡방향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더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덧댐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하여 횡방향 연결부위 구조적 일체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역시 내진성능을 더 확보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덧댐콘크리트의 주철근과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상면 연결철근을 서로 폐합시킬 경우, 덧댐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일체화시켜 프리캐스트 내진 중공슬래브와 덧댐콘크리트의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과 내진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연결예시도,
도 1b는 종래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연결예시도,
도 1c는 종래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와 덧댐콘크리트(C)의 일체성 확보를 위한 연결수단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의 예시도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내부철근, 상면 연결철근, 종방향 연결철근, 횡방향 연결철근에 의한 철근조립체의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도 2a에 의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의 횡방향 연결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도 2b에 의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의 횡방향 연결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예시도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내부철근(114), 상면 연결철근(120), 종방향 연결철근(130), 횡방향 연결철근(140)에 의한 철근조립체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는 일방향슬래브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도 1c를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는 내부철근이 연속화 되지 않은 채(연결을 위해 노출되지 않고 있음)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측면은 연결철근이 연속화 되지 않고 예컨대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내부에 1방향 철근만 연속되어 배근됨에 따라 내진성이 확보될 수 없어, 구조적 한계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일방향슬래브에 의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는 임의의 방향에서 오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도 1c와 같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상면에 덧댐콘크리가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에 내부의 하면철근(주철근)과 덧댐콘크리트 내부에 배근되는 주철근은 폐합스트럽으로 연결할 수 없어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와 덧댐콘크리트부의 일체화가 되지 않는 구조적 단점을 가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종방향 및 횡방향 즉, 양방향으로 내부철근이 상, 하에 배근되도록 하여 임의의 방향에서 오는 지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종방향 및 연결부위에서도 효과적으로 연결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예컨대,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횡방향 연결철근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상부와 하부에서 연속화되어 종방향 연결철근과 십자(+)형태 즉, 양방향으로 연결철근들이 중공슬래브 상, 하부에 연속 배치가 되어 임의의 방향에서 오는 지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종방향은 연결철근이 연속화 배치되고 횡방향으로는 연결철근이 단절되어 제작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 있어서 설치시 횡방향으로도 연결철근이 연속화 되어 시공완료후, 세그먼트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가 양방향으로 철근이 연속화되어 임의의 방향에서 지진하중이 발생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함께 저항할 수 있으면서도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부위에서도 구조적으로 연결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상면으로 폐합되어 노출된 전단스트럽 철근인 상면 연결철근(120)을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와 덧댐콘크리트의 휨 및 전단력에 대한 일체성을 갖게하여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와 덧댐콘크리트와의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하여 시간적 격차가 있는 시공단계를 갖지만 일체부재가 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는 도 2a 및 도 2b를 모두 직육면체 수평판 형태로 미리 거푸집등을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슬래브로서, 통상 건축물용 빔 상면에 거치시키고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상면 연결철근(120)을 이용하여 덧댐콘크리트(160)과도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는 자중감소를 위하여 종방향으로 중공부(111)가 몸통부(110)에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을 통한 구조적 일체화를 위하여 종방향 연결철근(13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 및 후술되는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을 함께 이용하여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상면 연결철근(120)을 덧댐 콘크리트(160)의 주철근(161)을 스트럽 방식으로 폐합시켜 구조적 일체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도 2a와 도 2b에 의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차이는 몸통부(110) 상면에 상면 연결철근(120) 다수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는가 여부 및 덧댐콘크리트(160) 사용여부이며,
특히, 도 2b와 같이 몸통부(110) 상면에 상면 연결철근(120) 다수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경우,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 내부로부터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상면 연결철근(120)을 덧댐콘크리트(160)의 주철근(161)과 서로 연결시켜 폐합되도록 하여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먼저 도 2a에 의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는 몸통부(110), 종방향 연결철근(130), 횡방향 연결철근(140)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몸통부(110)는 도 2a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거푸집(미도시)에 내부철근(114)을 미리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후, 탈형시켜 제작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으로 제작할 수 있고, 이에 중공부(111), 전단홈(112), 하부플랜지(113), 내부철근(114)을 포함하게 된다.
즉, 몸통부(110)는 도 2a를 참조하면, 중공부(111)가 사각, 원형등 다양한 단면 형태로 양 종방향 측면 사이에 연장된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이로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중공부(111)가 연장되는 방향을 종방향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도 2a를 참조하면, 몸통부(110)의 양 종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후술되는 종방향 연결철근(130)을 중공부(111) 사이 사이에 수평 돌출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몸통부(110)의 양 횡방향 측면에는 전단홈(112)이 다수 파여져 역시 다수가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하단에 하부플랜지(113)가 수평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후술되는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전단홈(112) 사이사이에 역시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단홈(112)은 파여져 형성되기 때문에 횡방향 연결부위에 타설되는 무수축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가 충진되면서 횡방향 연결부위의 연결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하부플랜지(113)는 도 4a를 참조하면, 횡방향 연결부위에 별도의 연결용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횡방향 연결부위에 타설되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면서,
도 4b를 참조하면, 하부플랜지(113)에 의한 횡방향 연결부위에서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간섭없이 돌출 될 수 있도록 횡방향 연결철근(140)의 하단이 하부플랜지(113) 상면(A)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몸통부(110) 내부에 배근되는 내부철근(114)은 도 3a와 같이, 종방향 연결철근(130),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함께 철근조립체로 일체로 제작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종방향 연결철근(130)은 도 2a와 같이, 건축용 빔(미도시) 상면에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종방향 측면을 종방향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용 후크철근으로서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는 종방향 연결철근(130)의 일측단부는 몸통부(110)의 종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110)의 종방향 측면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앞서 살펴본 몸통부(110)의 양 종방향 측면에는 노출된 중공부(111) 사이사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130)이 수평돌출 되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종방향 연결철근(130)은 예컨대 건축용 빔 상면에 형성되는 종방향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겹쳐지도록 하거나 겹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무수축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가 종방향연결부위에 충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타설 및 양생되면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를 종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종방향 연결철근(130)도 도 3a와 같이, 내부철근(114),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함께 철근조립체로 일체로 제작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횡방향 연결철근(140)은 도 2a와 같이, 종방향 연결철근(130)에 대응하여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를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건축용 빔 상면에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횡방향 측면을 횡방향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주기 위하여 역시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역시 횡방향 연결철근(140)의 일측단부는 몸통부(110)의 횡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110)의 횡방향 측면 하부플랜지(113)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방식을 지칭하게 된다.
이에, 앞서 살펴본 몸통부(110)의 양 횡방향 측면에는 노출된 전단홈(112) 사이사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수평돌출 되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횡방향 연결철근(140)은 건축용 빔 상면에 형성되는 횡방향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충진재를 상기 횡방향연결부위에 충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충진시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를 횡방향으로도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몸통부(110)의 하부플랜지(113)는 횡방향 연결부위에 별도의 연결용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횡방향 연결부위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면서,
하부플랜지(113)에 의한 횡방향 연결부위에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간섭없이 돌출 될 수 있도록 횡방향 연결철근(140)의 하단이 하부플랜지(113) 상면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하게 되며 횡방향 연결부위에서는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세팅시키게 된다.
역시 도 3a에 의하면, 종방향 연결철근(13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과 내부철근(114)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일체로 제작하고, 상기 내부철근(114)과 연결시켜 일체로 제작하여, 내부철근(114)은 예컨대 서로 십자형(종방향 및 양방향으로 연장)형태로, 종방향 연결철근(130),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함께 철근조립체로 일체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양 방향으로 서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발생하는 지진하중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b에 의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는 몸통부(110), 상면 연결철근(120), 종방향 연결철근(130), 횡방향 연결철근(140)을 포함하게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몸통부(110)는 도 2b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거푸집(미도시)에 내부철근(114)을 미리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후, 탈형시켜 제작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으로 제작할 수 있고, 이에 중공부(111), 전단홈(112), 하부플랜지(113), 내부철근(114)을 포함하게 됨은 도 2a와 동일하다.
즉, 몸통부(110)는 도 2b를 참조하면, 중공부(111)가 사각, 원형등 다양한 단면 형태로 양 종방향 측면 사이에 연장된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이로서 역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중공부(111)가 연장되는 방향을 종방향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도 2b를 참조하면, 몸통부(110)의 양 종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후술되는 종방향 연결철근(130)을 중공부(111) 사이 사이에 수평 돌출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음은 역시 동일하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몸통부(110)의 양 횡방향 측면에는 전단홈(112)이 다수 파여져 역시 다수가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하단에 하부플랜지(113)가 수평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후술되는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전단홈(112) 사이사이에 역시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도 역시 동일하다.
이러한 전단홈(112)은 파여져 형성되기 때문에 횡방향 연결부위에 타설되는 덧댐콘크리트(160)가 충진되면서 횡방향 연결부위의 연결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하부플랜지(113)도 도 5a를 참조하면, 횡방향 연결부위에 별도의 연결용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횡방향 연결부위에 타설되는 덧댐콘크리트(160)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면서,
도 5b를 참조하면, 하부플랜지(113)에 의한 횡방향 연결부위에서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간섭없이 돌출 될 수 있도록 횡방향 연결철근(140)의 하단이 하부플랜지(113) 상면(A)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하게 됨도 역시 동일하다.
또한 몸통부(110) 내부에 배근되는 내부철근(114)은 역시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종방향 연결철근(130),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함께 철근조립체로 일체로 제작되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면 연결철근(120)은 도 2b와 같이,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를 덧댐콘크리트(160)과 서로 구조적으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일종이 폐합 스트럽 철근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2b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측단부가 내부철근(114)으로부터 몸통부(110) 상면으로 ㄷ자 형태의 중간부로 연장되고, 타측단부가 다시 내부철근(114)에 연결되도록 하여, 몸통부(110) 상면에 상면 연결철근(120)이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노출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폐합된 ㄷ자 형태인 상면 연결철근(120)은 도 2b를 참조하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으로 다수가 몸통부(110) 상면에 형성되어 있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덧댐콘크리트(160) 타설 이전 주철근(161)을 상기 폐합된 ㄷ자 형태의 상면 연결철근(120) 내부로 수평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세팅시키고, 가는 철선등으로 서로를 구속시켜
결국 폐합된 상면 연결철근(120)에 덧댐콘크리트(160)의 주철근(161)이 결속되면서, 덧댐콘크리트(160)에 결속된 주철근(161)과 상면 연결철근(120)이 매립되어 양생과정에서 서로 합성되어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일체화되어 거동하는 내진성능을 구비함으로서 종래 단순 전단연결철근과 그 기능 및 작용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면 연결철근(120)도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몸통부(110)의 내부철근(114), 종방향 연결철근(13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과 일체로 조립되는 철근조립체로 제작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종방향 연결철근(130)은 도 2b와 같이, 건축용 빔(미도시) 상면에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종방향 측면을 종방향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용 후크철근으로서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는 종방향 연결철근(130)의 일측단부는 몸통부(110)의 종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110)의 종방향 측면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는 것은 도 2a와 동일하다.
이에, 앞서 살펴본 몸통부(110)의 양 종방향 측면에는 노출된 중공부(111) 사이사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130)이 수평돌출 되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종방향 연결철근(130)은 예컨대 건축용 빔 상면에 형성되는 종방향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겹쳐지도록 하거나 겹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덧댐콘크리트(160)가 종방향연결부위에 타설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타설 및 양생되면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를 종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종방향 연결철근(130)도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내부철근(114), 상면 연결철근(120),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함께 철근조립체로 일체로 제작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횡방향 연결철근(140)은 도 2b와 같이, 종방향 연결철근(130)에 대응하여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를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은은 도 2a와 동일하다.
이에 건축용 빔 상면에 서로 인접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횡방향 측면을 횡방향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주기 위하여 역시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역시 횡방향 연결철근(140)의 일측단부는 몸통부(110)의 횡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110)의 횡방향 측면 하부플랜지(113)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방식을 지칭하게 된다.
이에, 앞서 살펴본 몸통부(110)의 양 횡방향 측면에는 노출된 전단홈(112) 사이사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수평돌출 되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횡방향 연결철근(140)은 건축용 빔 상면에 형성되는 횡방향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덧댐콘크리트(160)를 상기 횡방향연결부위에 타설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타설시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를 횡방향으로도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몸통부(110)의 하부플랜지(113)는 횡방향 연결부위에 별도의 연결용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횡방향 연결부위에 덧댐콘크리트(160)가 타설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면서,
하부플랜지(113)에 의한 횡방향 연결부위에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간섭없이 돌출 될 수 있도록 횡방향 연결철근(140)의 하단이 하부플랜지(113) 상면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하게 되며 횡방향 연결부위에서는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세팅시키게 된다.
역시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종방향 연결철근(13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과 내부철근(114)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일체로 제작하고, 상기 내부철근(114)과 연결시켜 일체로 제작하여, 내부철근(114)은 예컨대 서로 십자형(종방향 및 양방향으로 연장)형태로 종방향 연결철근(130),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함께 철근조립체로 일체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 연결방법]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도 2a에 의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횡방향 연결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도 2b에 의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횡방향 연결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 연결방법은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종방향 연결은 건축용 빔 상면을 이용하여 종방향연결부위에서 종방향 연결철근(130)을 서로 겹쳐지도록 하거나 서로 이격시켜 세팅한 이후, 덧댐콘크리트(160)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된 종방향 연결철근(130)이 매립되도록 하는 방법이며,
상기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횡방향 연결은,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하면, 몸통부(110)의 하부플랜지(113)가 접하면서 형성되는 횡방향연결부위에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을 먼저 하방 삽입시킨 후,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 사이사이에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수평 삽입되도록 하여 횡방향연결부위에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 후, 충진재가 타설 및 충전되어 양생됨에 따라 횡방향연결부위에서의 연결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은 도 4a 및 도 5a와 같이, 횡방향연결부위에서 서로 겹쳐진 횡방향 연결철근(140)에 의한 횡방향 연결성능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입체 형태의 철근조립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이러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은 도 4a 및 도 5a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가진 수평철근(151)과 스트럽철근(152)이 수평철근(151)을 감싸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철근조립체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직육면체 형태의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은 횡방향연결부위 내측에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크기 및 부피를 가진 것으로 제작하면 된다.
이에 도 4a 및 도 5a와 같이, 횡방향연결부위에서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기 이전에 미리 횡방향 연결공간에 하방 삽입시키고,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 사이사이에 횡방향 연결철근(140)으로 수평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등으로 횡방향연결부위에는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4b와 같이,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의 상단이 횡방향연결부위 내부로 위치하도록 할 수 도 있고, 도 5b와 같이,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의 상단이 횡방향연결부위 상방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도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도 5b와 같이, 더 돌출된 상단은 덧댐콘크리트(160) 매립에 의하여 횡방향연결부위에서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와 덧댐콘크리트(160)의 일체성 확보에 의한 연결성능 증가가 가능하도록 하여 특히 횡방향연결부위에 작용하는 내진하중에 의한 저항성능도 함께 증진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덧댐콘크리트(160)는 도 5b와 같이,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를 건축용 빔 상면에 횡방향연결부위에서 서로 횡방향 연결철근(140) 및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을 이용하여 연결시며 서로를 합성시켜 일체화시키기 위한 콘크리트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덧댐콘크리트(160) 내부에 배근되는 주철근(161)은 주철근(161)과 폐합된 상면 연결철근(120)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과 덧댐콘크리트(160)를 폐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서 도 4a 및 도 4b에 의하면,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의 상단이 횡방향연결부위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횡방향연결부위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몸통부(110)에 형성된 하부플랜지(113)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연결부위 내부로만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이 하방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 사이사이에 양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수평 삽입되도록 하여 횡방향연결부위에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이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최종 횡방향연결부위는 충진재로 마감된다.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에 의하면,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을 이용하되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의 상단이 횡방향연결부위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즉,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횡방향연결부위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몸통부(110)에 형성된 하부플랜지(113)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연결부위에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이 하방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 사이사이에 양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수평 삽입되도록 하여 횡방향연결부위에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상기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의 상단을 관통하여 덧댐콘크리트(160)의 주철근(161)이 배근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몸통부 상면에 상면 연결철근(120)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주철근(161)이 상면 연결철근(120) 내부를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고,
덧댐콘크리트(160)를 일정 두께로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와 덧댐콘크리트(160)는 서로 합성되어 구조적으로 일체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110: 몸통부
111: 중공부 112: 전단홈
113: 하부플랜지 114: 내부철근
120: 상면 연결철근 130: 종방향 연결철근
140: 횡방향 연결철근
150: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
151: 수평철근 152: 스트럽철근
160: 덧댐콘크리트 161: 주철근

Claims (5)

  1. 내부철근(114)이 배근되고 중공부(111)가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통부(110);
    상기 내부철근(114)과 일체로 연결되어, 몸통부(110) 종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종방향 연결철근(130); 및
    상기 내부철근(114), 종방향 연결철근(130)과 일체로 연결되어 몸통부(110) 횡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횡방향 연결철근(140);을 포함하여, 상기 종방향 연결철근(13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과 내부철근(114)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일체로 함께 철근조립체로 제작되어 지진하중에 함께 저항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130)의 일측단부는 몸통부(110)의 종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110)의 종방향 측면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130)의 일측단부는 몸통부(110)의 횡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110)의 횡방향 측면 하부플랜지(113)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철근(130,140)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화 되어 임의의 방향에서 지진하중이 발생하더라도 함께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2. 내부철근(114)이 배근되고 중공부(111)가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통부(110);
    상기 내부철근(114)으로부터 몸통부(110) 상면으로 인출되어 몸통부(110) 상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다수가 형성되며, 일측단부가 몸통부(110) 상면으로 ㄷ자 형태의 중간부로 연장되고, 타측단부가 다시 내부철근(114)에 연결되도록 하여, 몸통부(110) 상면에 상면 연결철근(120)이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노출되는 상면 연결철근(120); 및
    상기 내부철근(114)과 일체로 연결되어, 몸통부(110) 종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종방향 연결철근(13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철근(114), 종방향 연결철근(130)과 일체로 연결되어 몸통부(110) 횡방향 측면에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로 형성시킨 횡방향 연결철근(140);을 포함하여, 상기 상면 연결철근(120), 종방향 연결철근(13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과 내부철근(114)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일체로 함께 철근조립체로 제작되어 지진하중에 함께 저항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130)의 일측단부는 몸통부(110)의 종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110)의 종방향 측면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으로 세팅된 반원형 후크 형태의 종방향 연결철근(130)의 일측단부는 몸통부(110)의 횡방향 측면 상부로부터 인출되어 중간부가 반원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면서 타측단부가 몸통부(110)의 횡방향 측면 하부플랜지(113)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철근(130,140)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화 되어 임의의 방향에서 지진하중이 발생하더라도 함께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횡방향 연결은,
    몸통부(110)의 하부플랜지(113)가 접하면서 형성되는 횡방향연결부위에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을 먼저 하방 삽입시킨 후,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 사이사이에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수평 삽입되도록 하여,
    횡방향연결부위에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 후, 충진재 또는 덧댐콘크리트(160)가 타설 및 충전되어 양생됨에 따라 횡방향연결부위에서의 연결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4. (a) 제1항의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몸통부(110)의 하부플랜지(113)가 접하면서 형성되는 횡방향연결부위에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을 먼저 하방 삽입시키는 단계; 및
    (b) 삽입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 사이사이에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수평 삽입되도록 하여 횡방향연결부위에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은 횡방향연결부위 내부로만 노출되어 횡방향연결부위를 충진재로 마감하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연결방법.
  5. (a) 제2항의 삽입형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100)의 몸통부(110)의 하부플랜지(113)가 접하면서 형성되는 횡방향연결부위에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을 먼저 하방 삽입시키는 단계;
    (b) 삽입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 사이사이에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수평 삽입되도록 하여 횡방향연결부위에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로 겹쳐진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과 횡방향 연결철근(140)에 덧댐콘크리트(160)가 타설 및 충전되어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의 몸통부(110) 상면에 형성된 상면 연결철근(120)에 덧댐콘크리트(160)의 주철근(161)이 상기 상면 연결철근(120) 내부를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면서, 상기 (b) 단계에서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의 상단이 횡방향연결부위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삽입형 횡방향 연결철근(150)의 상단을 관통하여 덧댐콘크리트(160)의 주철근(161)이 배근되어 서로 폐합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연결방법.
KR1020230002930A 2023-01-09 2023-01-09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KR10255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930A KR102553230B1 (ko) 2023-01-09 2023-01-09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930A KR102553230B1 (ko) 2023-01-09 2023-01-09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230B1 true KR102553230B1 (ko) 2023-07-10

Family

ID=8715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930A KR102553230B1 (ko) 2023-01-09 2023-01-09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2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8684A (ja) * 2001-10-30 2003-05-14 Shimizu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スラブ
KR200394787Y1 (ko) 2005-04-29 2005-09-07 홍석희 프리캐스트 psc단일슬래브거더를 1점지지구조나강결일체구조로 연결지지 한 연속다가구 프리캐스트psc단일슬래브거더교
KR20150007689A (ko) * 2013-07-12 2015-01-21 (주)에스앤씨산업 하부 반단면 콘크리트 슬래브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502029B1 (ko) * 2014-09-23 2015-03-12 주식회사 케이이씨 래티스 철근을 갖는 중공슬래브 및 상기 중공슬래브의 제조방법
KR102059435B1 (ko) 2019-03-21 2019-12-26 한녹희 프리캐스트 슬래브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8684A (ja) * 2001-10-30 2003-05-14 Shimizu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スラブ
KR200394787Y1 (ko) 2005-04-29 2005-09-07 홍석희 프리캐스트 psc단일슬래브거더를 1점지지구조나강결일체구조로 연결지지 한 연속다가구 프리캐스트psc단일슬래브거더교
KR20150007689A (ko) * 2013-07-12 2015-01-21 (주)에스앤씨산업 하부 반단면 콘크리트 슬래브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502029B1 (ko) * 2014-09-23 2015-03-12 주식회사 케이이씨 래티스 철근을 갖는 중공슬래브 및 상기 중공슬래브의 제조방법
KR102059435B1 (ko) 2019-03-21 2019-12-26 한녹희 프리캐스트 슬래브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482B1 (ko) 교량용 브라켓을 이용한 반단면데크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77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973702B1 (ko) 조립식 교각
CA2714391A1 (en) Masonry with vertical reinforced concrete strengthening
KR101780370B1 (ko) 소켓슈와 앵커부재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합성구조체
KR101519086B1 (ko) 프리캐스트 t형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교량 시공방법
KR101146758B1 (ko)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KR100966144B1 (ko) 교대 소켓부 및 횡방향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20220123926A (ko) 인터러킹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US7124545B1 (en) Tilt-up panel and method
JP3799036B2 (ja) 建物の基礎構造とその構築方法
KR102553230B1 (ko)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JP5509380B1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及び耐震補強構造
KR20140110491A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94586B1 (ko)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지하외벽 구조
KR101159097B1 (ko) 종방향으로 연속화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교대 및 그 시공방법
CN210767205U (zh) 装配式建筑
KR102658468B1 (ko)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2229028B1 (ko)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80103260A (ko) 분리타설을 위한 철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지지구조
KR200404658Y1 (ko)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
KR101304335B1 (ko) 절곡성형부재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슬래브 및 그 시공 방법
KR10059976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합성 중공 교각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68408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